물가자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물가자미는 몸이 긴 타원형으로 납작하며, 큰 입과 뾰족한 이빨을 가지고 있다. 두 눈은 오른쪽에 있으며, 오른쪽은 암갈색 바탕에 무늬가 있고 왼쪽은 흰색이다. 옆줄은 반달 모양으로 휘어져 있고, 등지느러미는 윗눈 앞쪽에서 시작하며, 꼬리지느러미는 마름모꼴이다. 눈이 있는 쪽은 빗비늘, 없는 쪽은 둥근비늘로 덮여 있다. 한반도 연근해, 북서태평양 등에 분포하며, 수심 200m 이내의 모래나 펄질 바닥에 서식한다. 암컷이 수컷보다 크며, 치어는 갑각류, 성어는 어류를 먹는다. 산란기는 1~6월이며, 4년생부터 산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자미과 - 도다리
도다리는 몸길이 약 30cm의 마름모꼴 어류로, 오른쪽 눈, 얕은 수심 서식, 갯지렁이 등을 먹는 특징을 가지며, 가을에 맛이 좋고 회로 즐겨 먹으며 넙치와 구별된다. - 가자미과 - 강도다리
강도다리는 북태평양에 서식하는 넙칫과 어류로, 눈의 방향이 기형인 경우가 흔하며, 성장하면서 다양한 해양 생물을 섭취하고, 대한민국에서는 낚시 대상어로 인기가 있다. - 식용 물고기 - 생선
생선은 전 세계 32,000종 이상 존재하는 물에 사는 척추동물인 어류를 통칭하며, 다양한 맛과 질감, 풍부한 영양을 제공하지만 건강상 위험과 환경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 식용 물고기 - 연어 (음식)
연어는 주황색 또는 붉은색을 띠는 생선으로, 단백질과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며, 훈제, 사시미, 스시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물가자미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Eopsetta grigorjewi |
명명자 | Herzenstein, 1890 |
이명 | Hippoglossus grigorjewi Herzenstein, 1890 Verasper otakii Jordan & Snyder, 1900 |
생물학적 분류 | |
상태 | 취약 (VU) |
상태 기준 | IUCN3.1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강 |
목 | 가자미목 |
과 | 가자미과 |
속 | 물가자미속 |
종 | 물가자미 |
형태 및 서식지 | |
최대 크기 | 60 cm |
서식 수심 범위 | 60 m ~ 1325 m |
2. 형태
몸은 긴 타원형으로, 두께가 얇고 폭이 넓어 납작하다.[2]
입은 큰 편이고 이빨이 뾰족하다.[2] 위턱에는 이빨이 2줄 있는데, 안쪽 이빨이 바깥쪽 이빨에 비해 아주 작다.[2] 아래턱에는 이빨이 1줄이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조금 앞쪽에 위치하며, 위턱의 끝이 아래쪽 눈 앞까지 이어져 있다.[2]
두 눈이 오른쪽에 있는데, 위쪽 눈이 아래쪽 눈보다 조금 크다.[2] 눈이 있는 오른쪽은 연한 암갈색 바탕에 무늬가 있으며, 눈이 없는 왼쪽은 흰색이다.[2] 오른쪽의 무늬는 크고 작은 흑갈색 또는 유백색 반점이 흩어진 모양으로, 특히 옆줄 아래위로 각각 3개의 큰 흑갈색 반점이 마주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2]
옆줄은 가슴지느러미 윗부분에서 시작해 반달 모양으로 볼록하게 휘어 등쪽으로 굽어 있으며, 뒤쪽에서는 몸 옆면의 중앙을 가로지른다.[2] 머리 등쪽 가장자리에서는 거의 일직선에 가깝다.[2]
등지느러미는 윗눈 앞쪽에서 시작하고, 꼬리지느러미는 마름모꼴이다.[2] 가슴지느러미의 중간과 아래쪽은 연조(지느러미를 이루는 연한 뼈)가 갈라져 있다.[2] 눈이 있는 쪽의 가슴지느러미 연조 11개 중 7개가 갈라져 있다.[2]
2. 1. 비늘
눈이 있는 오른쪽은 빗비늘로, 눈이 없는 왼쪽은 둥근비늘로 덮여 있다.[2]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비늘이 끝까지 줄기에 있는 반면,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기저 부위에 비늘이 있다.[2] 꼬리지느러미의 기저는 2/3 부위까지 비늘로 덮여 있다.[2] 눈 사이는 2~3줄의 작은 비늘로 덮여 있다.[2]3. 분포
한반도 연근해를 비롯하여 북서태평양의 황해, 동중국해, 보하이해 등에 분포한다.[2] 원산지는 한국, 일본, 중국, 대만이다.[2]
3. 1. 회유
물가자미는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두 개의 주요 어군으로 나뉜다. 첫 번째 어군은 여름 동안 황해의 백령도나 중국 산둥성 연안에 머물다가, 수온이 내려가는 가을이 되면 남쪽으로 이동하여 제주도 서쪽 바다에서 겨울을 보낸다. 두 번째 어군은 가을과 겨울 동안 제주도 동남쪽 바다에 분포하다가, 봄과 여름이 되면 북쪽으로 올라가 쓰시마섬 서쪽 해역과 동해에서 지낸다.[2]4. 생태
심해어인 물가자미는 수심 200m 이내의 바닥이 모래나 펄질인 곳에 서식한다.[2]
몸길이 10cm 이하인 치어일 때는 작은 갑각류를 먹고, 10cm 이상이 되면 새우류, 성게류, 게류, 오징어류 섭이하며, 15cm 이상인 개체는 주로 물고기를 먹는다.[2] 하루에 2번, 오전 11시 쯤과 오후 18시 쯤에 먹이 활동을 한다.[2]
4. 1. 성장
암컷이 수컷보다 크며, 암컷의 경우 1년생 8cm, 2년생 14cm, 3년생 19cm, 4년생 23cm, 6년생 28cm, 8년생 32cm까지 성장한다.[2]4. 2. 산란
4년생이 되면 산란을 하는데, 산란기는 1∼6월이며 주 산란장은 거제도 남쪽 해역 등 좁은 해협 사이이다.[2] 몸길이 20cm∼32cm인 개체가 약 25∼76만개의 알을 산란한다.[2]참조
[1]
Fishbase
[2]
웹인용
물가자미 ''Eopsetta grigorjewi''
https://www.nifs.go.[...]
2019-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