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므나쎄 지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므나쎄 지파는 요셉의 아들 므나쎄의 후손으로 구성된 이스라엘의 지파이다. 므나쎄 지파는 검은색 바탕에 유니콘이 수놓아진 깃발을 사용했으며, 이스라엘 왕국 분열 이후 북이스라엘 왕국에 속했다가 기원전 723년경 아시리아에 의해 정복당했다. 므나쎄 지파는 요르단 강 동편과 서편에 걸쳐 영토를 분배받았으며, 요르단 강 동편의 므나쎄 지파는 길르앗 북부 지역에, 서편의 므나쎄 지파는 에브라임 지파의 북쪽에 위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 - 레위 지파
    레위 지파는 야곱의 아들 레위의 자손으로, 이스라엘 민족의 종교적 의례와 관련된 특별한 역할을 수행하며 성막과 성전 봉사, 율법 교육 등을 담당하고 다른 지파와 달리 토지를 분배받지 못하고 백성들의 십일조로 생활하며 이스라엘 전역에 흩어져 거주했으며, 야훼와의 특별한 언약을 맺은 존재로 묘사되고 상징으로는 아론의 지팡이가 있다.
  •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 - 유다 지파
    유다 지파는 야곱의 넷째 아들 유다의 후손으로 구성된 이스라엘 지파이며, 유다 왕국을 형성하고 메시아 예수가 배출되었으며, 바빌론 유수 이후 유대인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다.
므나쎄 지파
므나쎄 지파 정보
므나쎄 지파의 상징
므나쎄 지파의 상징
히브리어מְנַשֶּׁה
표준 발음Mənaššé
티베리아 발음Mənaššeh
의미잊게 하다
로마자 표기Mənasseh
성경 정보
아버지요셉
어머니아스낫
형제에브라임
자손길르앗, 마길
할아버지야곱
민족이스라엘 민족
바산
길르앗
므낫세 반 지파

2. 명칭과 상징

므나쎄 지파의 깃발은 검은 바탕에 유니콘이 수놓아져 있었다.[2]

2. 1. 상징

므나쎄 지파의 깃발은 유니콘이 수놓아진 검은 깃발이다.[2]

3. 성경 속 므나쎄 지파

므나쎄 지파는 요셉의 아들 므나쎄의 후손으로, 이스라엘 열두 지파 중 하나였다. 이 지파는 요르단 강을 기준으로 동쪽과 서쪽에 걸쳐 넓은 영토를 소유했다.[7]

성경에 따르면, 므나쎄 지파는 여호수아의 가나안 정복 이후 이스라엘 지파들의 연합체 일원으로 존재했다. 중앙 정부 없이 판관이라 불리는 임시 지도자들이 다스렸으나, 블레셋의 위협에 맞서 사울을 왕으로 하는 중앙 집권 왕국을 세웠다. 사울 사후 유다 지파를 제외한 지파들은 사울 가문에 충성했으나, 이쉬-보세트 사후 다윗을 왕으로 추대하여 이스라엘 왕국을 재통합했다.

그러나 다윗의 손자 르호보암 시대에 북부 지파들은 다시 분열하여 북이스라엘 왕국을 세웠고, 므나쎄 지파도 이에 속했다. 북이스라엘 왕국은 기원전 723년 아시리아에 멸망하고 주민들은 추방당했으며, 이후 므나쎄 지파는 잃어버린 열 지파 중 하나로 여겨지게 되었다.[1]

판관 기드온입다는 므나쎄 지파 출신이었다. 다윗시글락에서 어려움을 겪을 때 므나쎄 사람들의 도움을 받았고, 일부 므나쎄 사람들은 아사 왕 시대에 남왕국 유다로 이주하기도 했다.[1]

성경은 므나쎄 지파의 기원을 요셉의 아들 므나쎄로 설명하지만,[11] 일부 학자들은 이를 다른 지파들과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은유로 해석하기도 한다.[12]

3. 1. 기원과 가나안 정착

므나쎄 지파는 요셉의 두 아들 중 장자인 므나쎄의 후손으로, 이스라엘 땅을 분배받을 때 요르단 강 동쪽과 서쪽에 두 지역으로 나뉘어 땅을 받았다. 므나쎄 반지파는 르우벤 지파, 갓 지파와 함께 요르단 강 동편의 땅을 분배받았고, 나머지 반지파는 요르단 강 서편인 가나안 땅을 분배받았다. 요르단 강 동쪽에 있는 지파는 마길 갈래가 주를 이루었으며, 길르앗 북부 지역에 자리를 잡았다. 므나쎄 지파는 다른 지파들이 요단강 서편을 정복하는 것을 도왔다.[7]

이스라엘 열두 지파에게 할당된 영토; 므나쎄는 넓은 녹색-노란색 지역을 받았다


대안적인 재구성은 서부와 동부 영토가 불연속적임을 보여준다(1852년 지도).


성경은 가나안 정복이 완료된 후 여호수아가 열두 지파에게 땅을 분배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성경 학자 케네스 키친은 이 정복이 기원전 1200년 직후라고 주장한다.[3] 그러나 일부 현대 학자들은 여호수아서에 묘사된 정복 사건이 실제로 일어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4]

므나쎄 지파는 에브라임 지파와 경계에 있던 몇몇 성을 차지하였다. 마찬가지로 므나쎄 지파도 이싸갈 지파아셀 지파의 영토 안에 있던 일부 성들이 자기들의 소유라고 주장했으나, 이곳에 사는 가나안 원주민을 쫓아내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후에 가나안 원주민들을 정복하여 종으로 삼았다.[7]

토라에 따르면, 이 지파는 요셉의 아들인 므나쎄의 후손으로 구성되었으며, 그에게서 이름을 따왔다.[11] 그러나 일부 성경 비평가들은 이를 은유로 보며, 이스라엘 연맹 내 다른 지파들과의 연관성에 대한 어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한다.[12] 성경 기록에 따르면 요셉은 라헬야곱의 두 아들 중 하나이며, 베냐민의 형제이자, 에브라임과 그의 첫 아들 므나쎄의 아버지이다. 므나쎄가 장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야곱은 에브라임의 후손이 형제의 후손보다 더 위대할 것을 예견했기 때문에 에브라임이 장자의 축복을 받았다.

3. 1. 1. 요르단 강 동쪽 므나쎄 반지파

므나쎄 지파는 요셉의 장자인 므나쎄의 후손으로, 이스라엘 땅 분배 시 요르단 강 동쪽과 서쪽에 걸쳐 두 지역을 할당받았다. 므나쎄 반지파는 르우벤 지파, 갓 지파와 함께 요르단 강 동편 땅을 분배받았고, 나머지 반지파는 요르단 강 서편의 가나안 땅을 받았다. 요르단 강 동쪽의 므나쎄 지파는 주로 마길 갈래가 주를 이루었으며, 길르앗 북부 지역에 자리를 잡았다. 이들은 다른 지파들이 요단강 서편을 정복하는 것을 도왔다.[7]

대부분의 설명에 따르면, 요르단 동편의 므나쎄 반지파는 서쪽 반지파와 거의 완전히 지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었고, 동 므나쎄의 남서쪽 모서리와 서 므나쎄의 북동쪽 모서리에서만 살짝 접촉했다. 동 므나쎄는 단 지파가 북쪽의 라잇을 포위하기 전까지 요르단 동쪽에 위치한 가장 북쪽의 이스라엘 집단이었다. 남쪽으로는 갓 지파, 서쪽으로는 납달리 지파와 잇사갈 지파가 인접해 있었다. 동 므나쎄는 남쪽의 마하나임에서 북쪽의 헤르몬 산에 이르는 땅을 차지했고, 바산 전체를 포함했다. 이 지역은 물이 풍부하여 가나안에서 가장 가치 있는 지역 중 하나였으며, 므나쎄의 지리적 위치는 서쪽의 에스드라엘론과 동쪽의 호란이라는 두 개의 중요한 산길을 방어하는 데 유리했다.

기원전 732년경, 이스라엘 왕국(사마리아)의 왕 베가아람르신과 동맹을 맺고 예루살렘을 위협했다. 유다의 왕 아하스는 앗시리아 왕 디글랏 빌레셀 3세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아하스로부터 조공을 받은 디글랏 빌레셀은 다마스쿠스와 이스라엘을 약탈하고 아람을 합병했다.[8][9] 또한 요르단 동쪽 영토(르우벤 지파, 갓 지파, 길르앗의 동 므나쎄)와 예투르, 나비쉬, 노답의 사막 전초 기지를 포함한 지역을 점령하고, 그 주민들을 포로로 잡아 앗시리아로 이주시켰다. 기원전 723년에는 쇠퇴한 이스라엘 왕국이 다시 앗시리아의 침략을 받아 나머지 인구가 추방되었다.

3. 1. 2. 요르단 강 서쪽 므나쎄 반지파

므나쎄 지파는 요셉의 두 아들 중 장자인 므나쎄의 후손으로, 이스라엘 땅 분배 시 요르단 강 동쪽과 서쪽에 걸쳐 넓은 영토를 받았다. 므나쎄 반지파는 요르단 강 서쪽, 즉 가나안 땅을 분배받았다. 이들은 에브라임 지파의 북쪽, 아셀 지파, 스불론 지파, 잇사갈 지파의 남쪽에 위치했으며, 지중해까지 이르는 광활한 땅을 차지했다.[7]

므나쎄 지파는 에브라임 지파와 경계에 있는 몇몇 성을 차지했고, 잇사갈 지파와 아셀 지파 영토 내의 일부 성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지역에 살던 가나안 원주민들을 완전히 쫓아내지는 못했고, 이후에 그들을 정복하여 종으로 삼았다.[7]

여호수아서에 따르면, 므나쎄의 영토는 요르단 강을 가로질러 두 개의 "반 지파"를 형성했으며, 각 지파는 강 양쪽에 있었다.[7] 서 므나쎄는 에브라임의 바로 북쪽, 요르단과 해안 사이, 서부 가나안의 중심부 바로 북쪽에 위치했으며, 북서쪽 모서리는 갈멜 산에 있었고, 북쪽으로는 아셀 지파와 잇사갈 지파가 인접해 있었다.

''나할 카나''라는 계곡의 시내는 남쪽의 에브라임 영토와 북쪽의 므나쎄 영토를 나누는 경계 역할을 했다.[10] 현대 이스라엘 정착촌인 카르네이 쇼므론은 이 계곡 근처에 건설되었다.[10]

3. 2. 판관 시대

판관 기드온은 므나쎄 지파의 마길 갈래 중 아비에셀 가족에 속해 있는 사람이었다. 마찬가지로 판관 입다는 므나쎄 지파의 마길 갈래 중 길르앗 갈래 사람이었다.

타나크에 따르면, 므나쎄 지파는 여호수아가 땅을 정복한 후부터 기원전 1050년경 최초의 이스라엘 왕국이 형성되기 전까지 이스라엘 지파들의 느슨한 연합의 일부였다. 중앙 정부는 존재하지 않았고, 위기의 시대에는 재판관(판관기 참조)으로 알려진 임시 지도자들이 백성을 이끌었다. 블레셋의 침략 위협이 커지자, 이스라엘 지파들은 이에 대처하기 위해 강력한 중앙 집권 군주제를 형성하기로 결정했고, 므나쎄 지파는 초대 왕으로 사울을 맞이하며 새로운 왕국에 합류했다. 사울의 죽음 이후, 유다 지파를 제외한 모든 지파는 사울 가문에 충성을 유지했지만, 이스라엘 왕위를 계승한 사울의 아들 이쉬-보세트가 사망한 후 므나쎄 지파는 다른 북부 이스라엘 지파들과 함께 유다의 왕 다윗을 재통합된 이스라엘 왕국의 왕으로 추대했다. 그러나 다윗의 손자 르호보암이 기원전 930년경에 왕위에 오르자 북부 지파들은 다윗 가문과 사울의 지파 베냐민 지파에서 분리되어 북부 왕국으로서의 이스라엘을 재건했다. 므나쎄는 북부 왕국의 일원이었으며, 기원전 723년경 아시리아에 의해 왕국이 정복되고 인구가 추방될 때까지 존속했다.

3. 3. 분열 왕국 시대

르호보암이 기원전 930년경에 왕위에 오르자 북부 지파들은 다윗 가문과 사울의 지파 베냐민 지파에서 분리되어 북부 왕국으로서의 이스라엘을 재건했다. 므나쎄 지파는 북부 왕국의 일원이었으며, 기원전 723년경 아시리아에 의해 왕국이 정복되고 인구가 추방될 때까지 존속했다.[1]

3. 3. 1. 북이스라엘 왕국의 멸망과 므나쎄 지파

다윗시글락(오늘날의 텔 엘-쿠웰페)에서 어려움을 겪을 때 므나쎄 사람들의 도움을 받았다. 그리고 아사 왕의 정치에 야훼 하느님이 함께하신다는 소식을 듣고 남왕국 유다로 이주하기도 했다.[1]

타나크에 따르면, 므나쎄 지파는 여호수아가 땅을 정복한 후부터 기원전 1050년경 최초의 이스라엘 왕국이 형성되기 전까지 이스라엘 지파들의 느슨한 연합의 일부였다. 중앙 정부는 존재하지 않았고, 위기의 시대에는 재판관(판관기 참조)으로 알려진 임시 지도자들이 백성을 이끌었다.[1] 블레셋의 침략 위협이 커지자, 이스라엘 지파들은 이에 대처하기 위해 강력한 중앙 집권 군주제를 형성하기로 결정했고, 므나쎄 지파는 초대 왕으로 사울을 맞이하며 새로운 왕국에 합류했다. 사울의 죽음 이후, 유다 지파를 제외한 모든 지파는 사울 가문에 충성을 유지했지만, 이스라엘 왕위를 계승한 사울의 아들 이쉬-보세트가 사망한 후 므나쎄 지파는 다른 북부 이스라엘 지파들과 함께 유다의 왕 다윗을 재통합된 이스라엘 왕국의 왕으로 추대했다.[1] 그러나 다윗의 손자 르호보암이 기원전 930년경에 왕위에 오르자 북부 지파들은 다윗 가문과 사울의 지파 베냐민 지파에서 분리되어 북부 왕국으로서의 이스라엘을 재건했다. 므나쎄는 북부 왕국의 일원이었으며, 기원전 723년경 아시리아에 의해 왕국이 정복되고 인구가 추방될 때까지 존속했다.[1]

그때부터 므나쎄 지파는 잃어버린 열 지파 중 하나로 여겨져 왔다.[1] 이스라엘 왕국의 일부였던 므나쎄 지파의 영토는 기원전 720년대에 아시리아인에게 정복당했고, 지파의 많은 구성원이 추방당했다. 다른 구성원들은 남쪽으로 도망쳐 유다 왕국으로 갔다.[2]

4. 므나쎄 지파의 영토

므나쎄 지파는 요르단강을 사이에 두고 동쪽과 서쪽에 걸쳐 넓은 영토를 차지했다. 동쪽 영토는 마길 가문을 중심으로 길르앗 북부 지역에 자리 잡았고, 서쪽 영토는 에브라임 지파 북쪽, 아셀 지파와 잇사갈 지파 남쪽에 위치했다.

므나쎄 지파의 영토는 가나안에서 가장 비옥하고 중요한 지역 중 하나였다. 특히 요르단 동쪽 지역은 물이 풍부하여 농업에 유리했고, 서쪽의 에스드라엘론과 동쪽의 호란은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였다.

성경에 따르면 므나쎄 지파는 여호수아가나안 정복 이후에 땅을 분배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정복 사건이 실제로 일어났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기원전 732년경, 이스라엘 왕 베가아람과 동맹을 맺고 예루살렘을 위협하자, 유다 왕 아하스는 앗시리아에 도움을 요청했다. 그 결과 앗시리아는 이스라엘과 아람을 공격하여 요르단 동쪽 지역을 점령하고 주민들을 하부르 강 유역으로 강제 이주시켰다.[9]

4. 1. 영토 분쟁

므나쎄 지파는 요셉의 두 아들 중 장자인 므나쎄의 후손으로, 이스라엘 땅을 분배받을 때 두 지역으로 나뉘어 땅을 받았다. 므나쎄 지파의 반은 르우벤 지파, 갓 지파와 함께 요르단강 동쪽 땅을 받았고, 나머지 '므나쎄 반지파'는 요르단강 서쪽의 가나안 땅을 받았다. 요르단강 동쪽의 므나쎄 지파는 주로 마길 가문이 주를 이루었으며, 길르앗 북부 지역에 자리를 잡았다. 이들은 다른 지파들이 요단강 서편을 정복하는 것을 도왔다. 서쪽의 므나쎄 반지파는 요르단강에서 서쪽으로 지중해까지 이르는 넓은 땅을 받았는데, 에브라임 지파의 북쪽, 아셀 지파, 스불론 지파, 잇사갈 지파의 남쪽에 위치했다. 에브라임 지파는 므나쎄 지파와 경계에 있던 몇몇 성을 차지했고, 므나쎄 지파도 이싸갈 지파와 아셀 지파의 영토 안에 있던 일부 성을 소유했다고 주장했지만, 가나안 원주민들을 완전히 쫓아내지는 못하고 나중에 정복하여 종으로 삼았다.[3][4]

성경은 여호수아가나안 정복을 완료한 후 열두 지파에게 땅을 분배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성경 학자 케네스 키친은 이 정복이 기원전 1200년 직후라고 주장한다.[3] 그러나 일부 현대 학자들은 여호수아서에 묘사된 정복이 실제로 일어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4][5][6]

여호수아서에 따르면, 므나쎄의 영토는 요르단 강을 가로질러 두 개의 "반 지파"를 형성했으며, 각 지파는 강 양쪽에 위치했다. 대부분의 설명에 따르면, 요르단 동편 반 지파는 서쪽 반 지파와 거의 완전히 불연속적이었고, 동 므나쎄의 남서쪽 모서리와 서 므나쎄의 북동쪽 모서리에서만 살짝 접촉했다.

서 므나쎄는 에브라임의 바로 북쪽, 즉 요르단과 해안 사이, 서부 가나안의 중심부 바로 북쪽에 위치했으며, 북서쪽 모서리는 갈멜 산에 있었고, 북쪽으로는 아셀 지파와 잇사갈 지파가 인접해 있었다. 동 므나쎄는 단 지파가 더 북쪽 라잇을 포위하기 전까지 요르단 동쪽에 위치한 가장 북쪽의 이스라엘 집단이었다. 다른 인접 지파는 남쪽의 갓 지파와 서쪽의 납달리 지파와 잇사갈 지파였다. 동 므나쎄는 남쪽의 마하나임에서 북쪽의 헤르몬 산에 이르는 땅을 차지했고, 그 안에 바산 전체를 포함했다. 이 영토는 가나안에서 귀중한 상품인 물이 풍부하여 이 나라에서 가장 가치 있는 지역 중 하나였으며, 므나쎄의 지리적 상황은 서쪽의 에스드라엘론과 동쪽의 호란이라는 두 개의 중요한 산길을 방어할 수 있게 했다.

기원전 732년경, 이스라엘 (사마리아)의 왕 베가아람의 왕 르신과 동맹을 맺고 예루살렘을 위협했다. 유다의 왕 아하스는 앗시리아의 왕 디글랏 빌레셀 3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아하스에게 조공을 받은 후,[8] 디글랏 빌레셀은 다마스쿠스와 이스라엘을 약탈하고 아람을 합병했으며,[9] 요르단 동쪽 영토(르우벤 지파, 갓 지파, 길르앗의 동 므나쎄), 예투르, 나비쉬, 노답의 사막 전초 기지를 포함했다. 이 영토의 사람들은 포로로 잡혀 하부르 강 유역의 앗시리아로 이주했다. 723년에는 이스라엘의 쇠퇴한 왕국이 다시 앗시리아에 침략당하고 나머지 인구가 추방되었다.

''나할 카나'' 계곡의 시내는 (여호수아 17:9) 남쪽의 에브라임의 영토와 북쪽의 므나쎄의 영토를 나누었다. 현대 이스라엘 정착촌인 카르네이 쇼므론은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이 계곡 근처에 건설되었다.[10]

5. 현대의 므나쎄 지파

므나쎄 지파는 이스라엘 왕국의 일부였으나, 기원전 720년대에 아시리아에게 영토를 정복당했다. 많은 지파 구성원들이 추방되었고, 일부는 남쪽 유다 왕국으로 도망쳤다. 이들의 추방과 흩어짐으로 인해 후속 역사는 기록되지 않았다.

그러나 여러 현대 집단이 므나쎄 지파의 후손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주장은 다양한 수준의 학술적 및 랍비적 지지를 받고 있다. 브네이 메나셰와 사마리아인 모두 자신들의 추종자 중 일부가 이 지파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

6. 비평적 관점

일부 비평적 학자들은 드보라의 노래에서 마길과 길르앗을 서로 다른 부족의 이름으로 취급한다. (전통적으로 이들은 지역의 이름으로 간주되며, 길르앗 지역은 므나쎄의 손자보다 훨씬 오래 전에 그렇게 명명되었다.) 또한 이 시에서 므나쎄는 언급되지 않으며, 엘로히스트 텍스트에서도 므나쎄는 자주 언급되지 않고 마길만 언급된다. 게다가 마길은 요르단강 동쪽에 정착한 것으로 묘사되어, 이 구절들에서 므나쎄의 서쪽 절반이 언급되지 않는 점이 여전히 설명되지 않고 있다. 비평적 학자들은 두 구역이 서로 다른 기원을 가졌다고 주장하며, 역대기 상에서 서쪽 "반 지파"와 동쪽 "반 지파"에 대해 별도의 부족 통치자가 명명되었다는 점을 지적한다.[15]

참조

[1] 서적 The Tiberian Pronunciation Tradition of Biblical Hebrew, Volume 1. Open Book Publishers
[2] 웹사이트 MANASSEH https://www.jewishen[...] 2023-12-06
[3] 서적 On the Reliability of the Old Testament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4] 서적 The Face of Old Testament Studies: A Survey of Contemporary Approaches Baker Academic 2004-10-01
[5] 서적 Jewish Studies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Volume 1: Biblical, Rabbinical, and Medieval Studies BRILL
[6] 서적 The Jewish Study Bible: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0-17
[7] 성경
[8] 성경
[9] 서적 Ancient Israel: What Do We Know and How Do We Know It? T&T Clark
[10] 간행물 Carta's Official Guide to Israel and Complete Gazetteer to all Sites in the Holy Land Jerusalem
[11] 성경
[12] 기타 Peake's Commentary on the Bible
[13] 기타 Jewish Encyclopedia
[14] 기타 Jewish Encyclopedia
[15] 성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