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셀은 야곱의 여덟 번째 아들이자 아셀 지파의 조상으로, '행복' 또는 '축복'을 의미하는 이름이다. 성경에서 아셀은 가드의 동생으로 묘사되며, 야곱과 모세로부터 축복을 받았다. 아셀은 4남 1녀를 두었으며, 아셀 지파는 갈릴리 서쪽 지역을 분배받았다. 유대 전승에서는 아셀이 형제들의 화해를 도왔으며, 공익을 위해 노력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일부 학자들은 아셀 지파의 기원을 바다 민족인 웨세쉬에서 찾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곱의 자식 - 레위
    레위는 야곱의 세 번째 아들이자 레위 지파의 시조이며, 디나 강간 사건 복수와 관련된 야곱의 저주에도 불구하고 그의 후손들은 이스라엘 제사장 직무를 맡았고, 모세와 아론이 그의 대표적인 후손이며, 이름은 '연합함' 또는 '사제'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는 해석이 있다.
  • 야곱의 자식 - 즈불룬
    즈불룬은 레아가 야곱에게서 낳은 여섯 번째 아들이자 세 아들을 둔 즈불룬 지파의 조상으로, 그의 이름은 '선물', '영예', '희생' 등으로 해석되며, 즈불룬 지파는 가나안 정착 시 갈릴리 지방 남부에 상속지를 받았다.
아셀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아셀
원어 이름אָשֵׁר
원어 이름 (로마자 표기)Asher
프란시스코 데 수르바란의 그림 (야곱과 그의 열두 아들들, 1640–45년경)
출생일15 셰바트
사망일20 셰바트 (123세)
아버지야곱
어머니질바
배우자아돈 (첫 번째 아내)
하다라 (두 번째 아내)
자녀임나 (아들)
이스와 (아들)
이스위 (아들)
브리아 (아들)
세라 (딸)
친척르우벤 (이복형)
시므온 (이복형)
레위 (이복형)
유다 (이복형)
(이복형)
납달리 (이복형)
갓 (형)
잇사갈 (이복동생)
스불론 (이복동생)
디나 (누이)
요셉 (이복동생)
베냐민 (이복동생)

2. 어원

창세기토라는 아셀(Asher)의 이름이 "행복" 또는 "축복"을 의미한다고 전한다.[24][2] 이는 히브리어 단어 בְּאָשְׁרִי|베오쉬리heb(beoshri, '내 행복 속에서')와 אִשְּׁרוּנִי|이쉬셰르니heb(ishsheruni), 또는 이들의 어원으로 추정되는 אֹשֶׁר|오셰르heb(osher)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24][2] 성경 창세기 30장 13절에는 레아가 아셀을 낳고 "행복하도다! 딸들이 나를 행복하다고 부를 것이다."라고 말하며 그의 이름을 '아셀'이라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3]

문서 가설을 받아들이는 성서 비평 학자들은 창세기에서 두 가지 다른 어원을 제시하는 것이 각각 여호와 문서(야훼이스트)와 엘로힘 문서(엘로이스트)라는 서로 다른 두 출처에서 기인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24][2]

다른 한편으로, 일부 학자들은 아셀의 이름이 원래 부족이 숭배했던 여신 아세라[25][4]아시리아의 주요 신 아슈르[26][5]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특히 아슈르의 경우, '아셀'과 동족어 관계일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5]

3. 성경에서

토라에 따르면 아셀(히브리어: אָשֵׁר|아셰르he)의 이름은 '행복' 또는 '축복'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용어 '오셰르'(''osher'')에서 유래했다.[2] 창세기 30장 13절은 그의 출생 시 어머니 레아가 "행복하도다! 딸들이 나를 행복하다고 부를 것이다"라고 외치며 이름을 '아셀'이라 지었다고 기록하고 있다.[3] 성서 비평의 문서 가설 학자들은 이름의 유래에 대한 두 가지 설명(창 30:13, 창 49:20)이 각각 다른 출처(야훼이스트, 엘로이스트)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고 본다.[2] 일부 학자들은 아셀의 이름이 고대 가나안의 여신 아세라[4]아시리아의 주신 아슈르[5]와 연관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아셀은 야곱의 여덟 번째 아들이며, 그의 후손들은 아셀 지파를 형성했다. 아셀 지파는 아셀의 자녀들을 조상으로 하는 임나 족, 이스비 족, 베리아 족, 헤벨 족, 말키엘 족의 다섯 씨족으로 구성되었다. 여호수아기에 따르면, 아셀 지파는 가나안 정복 후 갈릴리 산지의 서쪽 사면부터 지중해 연안에 이르는 땅을 분배받았다. 이 지역은 남쪽으로는 카르멜 산 정상에서 시작하여 북쪽으로는 두로시돈 부근까지 이어졌으며, 동쪽으로는 스불론 지파와 납달리 지파, 남쪽으로는 므낫세 지파의 영토와 접했다.

판관기에 따르면 아셀 지파는 할당받은 영토 내 지중해 연안의 여러 도시에서 기존 거주민들을 완전히 몰아내지는 못했다. 또한 드보라시스라와 싸울 때 협력하지 않았으나, 이후 기드온미디안과 싸울 때는 군사를 보내 협력했다. 사무엘기열왕기에 따르면, 다윗 왕 시대에는 군대를 파견했으며, 솔로몬 시대에는 이스라엘의 12행정 구역 중 하나에 포함되었다. 이스라엘 왕국이 남북으로 분열될 때, 아셀 지파는 북이스라엘 왕국의 초대 왕 여로보암 1세를 따랐다.

기원전 722년 북이스라엘 왕국이 아시리아에 멸망한 후에도 아셀 지파의 일부는 유다 왕국에 남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역대기하에는 유다 왕국의 왕 히스기야가 예루살렘 성전에서 유월절을 지킬 때 아셀 지파의 일부 사람들이 초청에 응하여 참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신약성경누가복음에는 아셀 지파 출신의 여예언자 안나가 성전에서 아기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 메시아로 알아보고 찬양하는 이야기가 나온다.

3. 1. 야곱과 모세의 축복

야곱은 임종할 때 아셀을 축복하며 "그의 양식은 기름지고, 그는 왕의 진미를 낼 것이다"라고 말했다(창세기 49:20).[7] 모세 역시 아셀 지파에 대해 "아셀은 다른 아들들보다 복을 받을지어다. 그의 형제들에게 존경을 받게 하시고, 그의 발을 올리브 기름에 담글지어다"라고 축복했다(신명기 33:24).[8]

3. 2. 아셀의 가족과 출애굽

야곱의 여덟 번째 아들인 아셀은 아셀 지파의 조상이다. 그는 갓의 남동생으로, 둘 다 레아의 시녀였던 질바의 아들이다(창세기 35:26). 성경 기록에 따르면 질바는 단순한 시녀가 아니라 야곱의 아내로서 지위가 변화한 것으로 나타난다(창세기 30:9).[9] 일부 성서 학자들은 아셀의 어머니가 원래 시녀였다는 점을 들어 아셀 지파가 온전히 이스라엘 혈통에서 기원한 것은 아닐 수 있다고 본다.[26][5] 이들은 아셀이 이스라엘 부족 연맹과 일부 연관된 씨족일 수는 있어도, 완전한 정치 공동체의 일원은 아니었을 수 있다고 해석하기도 한다.[26][5]

구약성경에 따르면 아셀은 네 아들(임나, 이수아, 이스위, 브리아)과 딸 하나(세라)를 두었다.[28][10] 이들은 모두 가나안에서 태어나 아셀과 함께 이집트로 이주했으며,[28][10] 그 후손들은 출애굽 시기까지 이집트에 머물렀다고 전해진다.[29][11] 아셀의 딸 세라는 토라(창세기 46:17)에 이름이 언급된 야곱의 유일한 손녀이다.[28][10]

성경에는 아셀의 아내 이름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 고전 랍비 문헌과 같은 유대교 전승에 따르면, 세라의 어머니는 '하두라'이며 에벨의 후손이라고 한다. 하두라는 아셀의 두 번째 부인이었고, 세라는 하두라가 첫 남편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이라는 설도 있다.[13] 또한 하두라와 결혼하기 전, 아셀에게는 이시마엘의 후손인 '아돈'이라는 첫 번째 아내가 있었다는 전승도 있다.[5] 반면, 유빌리서는 아셀의 아내 이름이 '이욘'(아마도 '비둘기'라는 뜻)이라고 기록하여 다른 전승과 차이를 보인다.[5]

한편, 아셀 가족의 이집트 이주 및 출애굽 기록은 당대의 이집트 기록과 부분적으로 모순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기원전 14세기 이집트 기록에는 '아세루'라는 집단이 등장하는데, 이 이름이 아셀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들이 가나안 지역(후에 아셀 지파가 정착한 지역과 유사한 곳)에 거주했다고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26][5] 이는 아셀의 후손들이 출애굽 이전부터 가나안에 있었다는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

야곱은 임종을 앞두고 아셀을 축복하며 "그의 양식은 기름지고, 그는 왕의 진미를 낼 것이다"라고 예언했다(창세기 49:20).[27][7] 모세 또한 아셀 지파를 축복하며 "아셀은 다른 아들들보다 복을 받을 것이며, 그의 형제들에게 존경을 받고, 그의 발을 올리브 기름에 담글 것이다"라고 말했다(신명기 33:24).[27][8]

4. 유대 전승에서

토라에서는 아셀(heb)의 이름이 "행복" 또는 "축복"을 의미한다고 언급하며, 이는 두 가지 변형된 형태의 히브리어 용어인 '오셰르'(''osher''), 즉 "베오쉬리"(''beoshri'', '내 행운 속에'라는 의미)와 "이쉬쉐루니"(''ishsheruni'')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한다.[2] 성서 비평 학자들 중 일부 문서 가설을 따르는 이들은 이 두 이름의 유래를 각각 야훼이스트와 엘로이스트라는 서로 다른 출처에서 온 것으로 보기도 한다.[2] 성경 창세기 30장 13절에는 그의 어머니 레아가 출산 시 "행복하도다! 딸들이 나를 행복하다고 부를 것이다"라고 외치며 이름을 아셀이라 지었다고 기록되어 있다.[3] 한편, 일부 학자들은 아셀의 이름이 고대에 부족이 숭배했을 가능성이 있는 여신 아세라[4]아시리아의 주신(主神)인 아슈르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5] 특히 아슈르의 경우, '아셀'과 동족어 관계에 있다.[5]

야곱은 임종을 앞두고 아셀을 축복하며 "그에게서 나는 먹을거리는 기름지고, 그는 왕에게 올릴 진수성찬을 차리리라"(창세기 49:20)고 예언했다.[7] 모세 또한 아셀 지파를 축복하며 "아셀은 아들들 가운데 가장 복을 많이 받아, 제 형제들의 귀염을 받으리라. 그의 발이 기름 속에 잠기리라"(신명기 33:24)고 말했다.[8]

토라에 따르면 아셀은 가나안에서 태어나 네 아들과 딸 하나를 두었으며, 이들과 함께 이집트로 이주했다.[6][10] 그의 후손들은 출애굽 때까지 이집트에 머물렀다고 전해진다.[11] 이는 이집트의 기록과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일 수 있는데, 기원전 14세기경 이집트 기록에는 아셀의 이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는 '아세루'라는 집단이 아셀 지파의 전통적인 영토와 유사한 가나안 지역에 거주했다는 내용이 있기 때문이다.[5] 아셀의 딸 세라토라에 이름이 언급된 야곱의 유일한 손녀이다(창세기 46:17).[10]

4. 1. 아셀의 성품과 역할

아셀은 형제들이 사제직 계승 문제를 두고 다툴 때 중재자 역할을 했다고 전해진다(''시프레 신명기'' 355).[30] 이처럼 아셀은 공동체의 이익을 위해 헌신하는 덕망 있는 인물의 본보기로 여겨진다. '십이 족장의 유언'의 아셀 5장에서도 아셀은 순수한 마음으로 공동의 선을 위해 노력하는 덕망 있는 사람의 예시로 묘사된다.

고전 랍비 문헌에 따르면, 아셀은 형 르우벤이 서모 빌하근친상간을 저지른 사실을 다른 형제들에게 알렸다.[5] 처음에 형제들은 이를 이간질로 여겨 아셀과 사이가 멀어졌으나,[31] 이후 르우벤이 죄를 고백하면서 오해가 풀리고 형제들과의 관계가 회복되었다.[5] 랍비 문헌은 아셀이 악의 없이 형제들 간의 화합을 추구했다고 묘사한다.[5][31]

아셀은 기원전 1562년(히브리력 2199년) 세바트월 20일에 태어났으며, 일부 기록에 따르면 같은 달 2일에 사망했다.

아셀은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 아내는 이쉬마엘의 증손녀인 아돈(Adon)이었고, 두 번째 아내는 에벨의 손녀이자 과부였던 하두라(Hadurah)였다. 하두라에게는 전 남편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 세라가 있었는데, 아셀은 세라를 친딸처럼 길렀다.[14] 한편, '유빌리서' 34장 20절에는 아셀의 아내 이름이 이욘(Ijon, 아마도 '비둘기'라는 뜻)으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아셀의 후손들은 여러 면에서 그 이름('아셀'은 '행복'을 의미)에 걸맞은 축복을 받았다. 아셀 지파는 특히 아들을 많이 낳는 축복을 받았고,[15] 지파의 여성들은 아름다움으로 유명하여 제사장이나 왕족들이 며느리로 삼고자 했다.[16] 아셀 지파가 소유한 땅에서는 올리브 오일이 풍부하게 생산되어 지파 전체가 매우 부유했으며, 거처를 빌릴 필요가 없을 정도였다.[17] 땅이 비옥하여, 특히 안식년 등으로 기근이 들었을 때 이스라엘 전역에 올리브 오일을 공급하기도 했다.[18] 아셀 지파 사람들은 지혜로도 명성이 높았다.[19]

4. 2. 아셀의 결혼과 후손

아셀은 두 번 결혼했다. 그의 첫 번째 아내는 이쉬마엘의 증손녀인 아돈이었고, 두 번째 아내는 에벨의 손녀이자 과부인 하두라였다. 하두라는 첫 번째 결혼에서 딸 세라를 낳았는데, 아셀은 그녀를 자신의 딸처럼 대했다.[14] 한편, 유빌리서 34장 20절에 따르면 아셀의 아내는 이욘(아마도 "비둘기"라는 의미)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아셀의 후손들은 여러 면에서 그들의 이름("아셀"은 "행복"을 의미)에 걸맞은 축복을 누렸다. 아셀 지파는 특히 남자 아이들의 축복을 많이 받았으며,[15] 지파의 여성들은 매우 아름다워 제사장이나 왕자들이 그들과 결혼하고자 했다.[16] 아셀 지파가 소유한 땅에서는 올리브 오일이 풍부하게 생산되어 지파는 매우 부유해졌고, 그들 중 누구도 거처를 빌릴 필요가 없었다고 전해진다.[17] 땅이 매우 비옥하여, 특히 안식년으로 인해 기근이 들었을 때 아셀 지파는 이스라엘 전체에 올리브 오일을 공급할 수 있었다.[18] 또한 아셀 사람들은 지혜로도 유명했다.[19]

5. 성서비평학적 관점

성서 비평적 관점에서는 아셀 지파의 기원과 정체성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제시한다. 아셀의 출신 배경[9]을 근거로, 일부 학자들은 아셀 지파가 본래 완전한 이스라엘 혈통이 아니며, 이스라엘 지파 연합에 나중에 합류한 씨족일 수 있다고 본다.[5] 또한, 토라 기록 외에 고대 이집트 기록에 등장하는 '아세루'(ꜣšr|Aseruegy)[5]바다 민족의 일파인 웨세쉬(Weshesh)[32][20]와의 연관성을 통해 아셀 지파의 외부 기원 가능성을 탐구하기도 한다.[33] 이러한 해석들은 아셀 지파가 가나안 정착 과정에서 독자적인 배경을 가졌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5. 1. 아셀 지파의 기원

일부 학자들은 아셀 지파가 바다 민족 중 하나인 웨세쉬(Weshesh)에서 기원했다고 보기도 한다.[32][20] 웨세쉬는 '우아셰쉬' 또는 '우에셰쉬'로도 표기되며, 발음 편의상 라틴 문자로는 보통 'Weshesh'로 표기된다. 이 이름은 히브리어로 '우아쉬의 사람들'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것이 '아셀'이라는 이름의 변형일 가능성이 제기된다.[21] 이 관점에서는 웨세쉬 민족이 히브리 족속에게 편입되고 기존 아셀 족속과 섞이게 된 과정이 성경에서 아셀 지파의 타락으로 묘사되었다고 해석하기도 한다.[33]

5. 2. 아세루와 아셀 지파

족장 야곱의 여덟 번째 아들이자 아셀 지파의 전통적인 조상이다. 갓의 남동생으로, 둘 다 레아의 여종인 실바의 아들이다(창세기 35:26). 성경 기록에 따르면 실바의 지위는 여종에서 야곱의 실제 아내로 바뀐다(창세기 30:9).[9] 일부 성서 학자들은 이러한 배경을 근거로 아셀 지파가 본래 완전한 이스라엘 혈통이 아닐 수 있다고 본다. 즉, 아셀은 이스라엘 지파 연합과 관련은 있었지만, 처음부터 정치 공동체의 일원은 아니었던 특정 씨족들로 구성되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5]

토라는 아셀이 가나안에서 태어나 네 아들과 딸 하나를 두었으며, 그들과 함께 이집트로 이주하여 출애굽 때까지 후손들이 그곳에 머물렀다고 기록한다(창세기 46:17).[10][11] 그러나 이는 이집트 기록과 부분적으로 상충될 수 있다. 기원전 14세기 이집트 기록에는 '아세루'(ꜣšr|Aseruegy)라는 집단이 아셀 지파의 전통적인 영토와 유사한 지역인 가나안에 살았다고 언급되는데, 이 '아세루'가 아셀이라는 이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5]

또한, 아셀 지파가 바다 민족 중 하나인 웨세쉬에서 기원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32] 이들이 히브리 민족에 편입되었고, 기존 아셀 족속과 섞이는 과정이 성경에서 아셀 족속의 타락으로 묘사되었을 수 있다는 해석이다.[33]

아셀은 가나안에 정착했으며, 그의 네 아들과 딸도 함께했다.[6] 야곱은 임종 전에 아셀을 축복하며 "아셀에게서 나는 먹을 것은 기름진 것이라 그가 왕의 수라상을 차리리로다"(창세기 49:20)라고 예언했다.[7] 모세 역시 아셀 지파를 축복하며 "아셀은 아들들 중에 더 복을 받으며 그의 형제에게 기쁨이 되며 그의 발이 기름에 잠길지로다"(신명기 33:24)라고 말했다.[8]

아셀의 딸 세라는 토라에 이름이 언급된 야곱의 유일한 손녀이다(창세기 46:17).[10] 세라의 어머니에 대해서는 성경에 기록이 없으나, 고전 랍비 문헌에 따르면 '하두라'라는 이름의 여성으로 에벨의 후손이었다고 한다. 하두라는 아셀과 재혼했으며, 세라는 하두라의 첫 번째 남편에게서 태어난 딸이라는 설명이다.[13] 또한 이 문헌에서는 아셀 역시 하두라와의 결혼이 재혼이었으며, 첫 아내는 이시마엘의 후손인 '아돈'이었다고 전한다.[5] 반면, 유빌리서는 아셀의 아내가 '이욘'(아마도 '비둘기'를 의미)이라고 기록하여 차이를 보인다.[5]

아셀의 아들들은 임나, 이수아, 이스위, 브리아였다.

'''아셀의 자녀'''
구분이름
아들임나
아들이수아
아들이스위
아들브리아
세라


6. 아셀 지파

아셀 지파는 아셀의 다섯 자녀를 조상으로 하는 임나 족, 이스비 족, 베리아 족, 헤벨 족, 말키엘 족의 다섯 씨족으로 구성되었다. 모세로부터 축복을 받은 아셀 지파는 갈릴리 산지의 서쪽 사면에서 서쪽으로 뻗어 지중해에 이르는 지역과, 남쪽으로는 카르멜 산 정상에서 북쪽으로는 두로시돈 부근에 이르는 평지를 영토로 분배받았다.

아셀 지파의 영토는 동쪽으로 스불론 지파와 납달리 지파의 땅과 접했고, 남쪽으로는 므낫세 지파의 땅과 경계를 이루었다. 그러나 아셀 지파는 가나안 정복 과정에서 지중해 연안의 여러 도시에 거주하던 이민족들을 완전히 몰아내지는 못했다.

판관 시대에 아셀 지파는 드보라의 전쟁 소집에는 응하지 않았으나, 이후 기드온의 군대에는 합류했다. 통일 왕국 시대에는 다윗 왕에게 병력을 지원했으며, 솔로몬 시대에는 이스라엘의 12행정 구역 중 하나를 담당했다. 왕국이 분열될 때에는 북이스라엘 왕국을 세운 여로보암 1세를 지지했다.

기원전 722년 북이스라엘 왕국이 멸망한 후, 남유다 히스기야 왕 시대에 예루살렘 성전에서 열린 유월절 축제에는 아셀 지파의 대표들이 참여하기도 했다.

신약 시대에는 아셀 지파 출신의 여예언자 안나가 성전에서 어린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보고 기뻐했다는 기록이 있다.

7. 아셀의 무덤

19세기 말에 기록된 사마리아인의 전통에 따르면, 투바스 근처의 네비 토바가 아셀의 매장지라고 여겨졌다.[22]

8. 가계도

야곱의 여덟 번째 아들이자 레아의 시녀인 실바의 둘째 아들이다. 친형으로는 이 있다. 아브라함의 증손자이며, 이삭의 손자이다.

야곱에게는 네 명의 아내/시녀(레아, 라헬, 빌하, 실바)가 있었으며, 이들을 통해 총 열두 명의 아들과 딸 하나(디나)를 두었다. 이 열두 아들은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의 시조가 되었다. 아셀과 그의 형제들은 다음과 같다.

어머니아들비고
레아르우벤, 시므온, 레위, 유다, 잇사갈, 스불론디나(딸)
라헬요셉, 베냐민
빌하 (라헬의 시녀), 납달리
실바 (레아의 시녀), 아셀


참조

[1] 성경 Genesis 46:17
[2] 서적 Who wrote the Bible?
[3] 성경 Genesis 30:13
[4]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Bibl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 간행물 Jewish Encyclopedia
[6]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Bibl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 성경 Genesis 49:20
[8] 성경 Deuteronomy 33:24
[9] 성경 Genesis 30:9
[10] 성경 Genesis 46:17
[11] 서적 Book of Exodus
[12] 간행물 Jewish Encyclopedia, "Israel, People of." https://books.google[...]
[13] 서적 Sefer haYashar (midrash)
[14] 문서 Sefer ha-Yashar, Wayesheb
[15] 문서 Sifre, l.c.
[16] 문서 Genesis Rabba 71
[17] 문서 Genesis Rabba
[18] 문서 Sifre, l.c.; Menachot (Babylonian Talmud) 85b; Targum Yerushalmi (Talmud Pseudo-Jonathan) on Deuteronomy 33:24
[19] 문서 Babylonian Talmud, Menachot 85b
[20] 서적 The Sea Peoples. Warriors of the ancient Mediterranean, 1250-1150 BC Thames & Hudson
[21] 서적 The Sea Peoples
[22] 문서 Conder and Kitchener, 1882, SWP II, p. 219 https://archive.org/[...]
[23] 성경 創世記 49章20節
[24] 서적 Who wrote the Bible?
[25]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he Bibl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6] 간행물 Jewish Encyclopedia
[27] 성경 Genesis 49:20
[28] 성경 Genesis 46:17
[29] 서적 Book of Exodus
[30] 문서 Sifre, Deut. 355
[31] 간행물 Jewish Encyclopedia
[32] 서적 The Sea Peoples. Warriors of the ancient Mediterranean, 1250-1150 BC Thames & Hudson
[33] 서적 The Sea Peoples
[34] 성경 창세기 20장 12절. 사라는 아브라함의 이복동생이다.
[35] 성경 창세기 22장 21~22절. 우스, 부즈, 부스, 그므엘, 게셋, 하소, 빌다스, 이들랍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