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가안보보좌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은 미국의 대통령 직속 참모로, 국가 안보 및 외교 정책에 대한 대통령의 최고 고문 역할을 수행한다. 1947년 국가안보법에 따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가 설립되면서 직책이 생겼으며, 대통령 집무실 소속으로 국무장관, 국방장관과 함께 외교안보 라인을 이끈다. 국가안보보좌관은 대통령에게 매일 조언을 제공하고, 위기 상황에서는 백악관 상황실 등에서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국가안보회의 사무국을 담당한다. 역대 국가안보보좌관으로는 헨리 키신저, 브렌트 스코크로프트, 콘돌리자 라이스 등이 있으며, 2021년 현재 제이크 설리번이 재임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 |
---|---|
기본 정보 | |
![]() | |
직책 | 국가안보 문제 담당 대통령 보좌관 |
소속 | 미국 대통령실 |
구성원 | 국가안전보장회의 국토안보위원회 |
보고 대상 | 미국 대통령 |
임명권자 | 미국 대통령 |
설치 근거 | 국가안보 대통령 각서 |
초대 | 로버트 커틀러 |
설립 | 1953년 |
부관 | 국가안보 부보좌관 |
웹사이트 | 백악관 웹사이트 |
직책 상세 | |
약칭 | NSA, APNSA, ANSA |
참고 | 국가안전보장국의 약칭과 혼동을 피하기 위해 APNSA 또는 ANSA로 사용되기도 함. |
일본어 명칭 | |
직책 | 국가안전보장문제담당대통령보좌관 |
한국어 명칭 | |
직책 | 국가안보보좌관 |
원어명 | Assistant to the President for National Security Affairs |
현직자 정보 | |
현직자 | 제이크 설리번 |
취임일 | 2021년 1월 20일 |
2. 역사
1953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초대 국가안보보좌관으로 로버트 커틀러를 임명하면서 미국의 국가안보보좌관 직책이 신설되었다. 이는 미국의 외교 정책 또는 특정 지역 정책 수립의 필요성 때문이었다고 여겨진다.[22]
전통적으로 미국 정부의 외교안보 라인은 컨트롤타워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외교 사령탑인 국무장관, 안보 사령탑인 국방장관이 이끌었다.[26] 국가안보보좌관은 대통령과 매일 접촉하며 정책을 제안하는 등 정책 결정에 큰 역할을 하는, 국무장관과 국방장관과 함께 미국 정부의 가장 중요한 직책 중 하나이다.[24]
이 때문에, 보좌관 시절 국무장관을 능가하거나, 나중에 국무장관으로 임명된 자(헨리 키신저(초기에는 보좌관 겸임), 콜린 파월, 콘돌리자 라이스) 또는 국방장관으로 임명된 자(프랭크 카루치) 등 쟁쟁한 인물들이 이 직책을 역임했다.[25]
맥조지 번디는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이후 린든 존슨 대통령이 보좌관에 대한 의존도를 높인 상황을 이용하여, 이전의 종속적인 지위에서 미국의 정책 결정 중심으로 보좌관의 지위를 높였다.
역대 국가안보보좌관은 다음과 같다.
사진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대통령 |
---|---|---|---|---|
![]() | 로버트 커틀러 | 1953년 3월 23일 | 1955년 4월 2일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 | 딜런 앤더슨 | 1955년 4월 2일 | 1956년 9월 1일 | |
![]() | 윌리엄 하딩 잭슨[11][12][13] (임시) | 1956년 9월 1일 | 1957년 1월 7일 | |
-- | 로버트 커틀러 | 1957년 1월 7일 | 1958년 6월 24일 | |
![]() | 고든 그레이 | 1958년 6월 24일 | 1961년 1월 13일 | |
![]() | 맥조지 번디 | 1961년 1월 20일 | 1966년 2월 28일 | 존 F. 케네디 |
린든 B. 존슨 | ||||
![]() | 월트 로스토우 | 1966년 4월 1일 | 1969년 1월 20일 | |
![]() | 헨리 키신저 | 1969년 1월 20일 | 1975년 11월 3일 | 리처드 닉슨 |
제럴드 포드 | ||||
![]() | 브렌트 스코크로프트 | 1975년 11월 3일 | 1977년 1월 20일 | |
![]() | 즈비그니에프 브레진스키 | 1977년 1월 20일 | 1981년 1월 20일 | 지미 카터 |
![]() | 리처드 V. 앨런 | 1981년 1월 21일 | 1982년 1월 4일 | 로널드 레이건 |
![]() | 제임스 W. 낸스[14] (임시) | 1981년 11월 30일 | 1982년 1월 4일 | |
![]() | 윌리엄 P. 클라크 주니어 | 1982년 1월 4일 | 1983년 10월 17일 | |
![]() | 로버트 맥팔레인 | 1983년 10월 17일 | 1985년 12월 4일 | |
존 포인덱스터 | 1985년 12월 4일 | 1986년 11월 25일 | ||
![]() | 앨턴 G. 킬 주니어[15] (임시) | 1986년 11월 26일 | 1986년 12월 31일 | |
프랭크 칼루치 | 1987년 1월 1일[16] | 1987년 11월 23일 | ||
콜린 파월 | 1987년 11월 23일 | 1989년 1월 20일 | ||
![]() | 브렌트 스코크로프트 | 1989년 1월 20일 | 1993년 1월 20일 | 조지 H. W. 부시 |
![]() | 앤서니 레이크 | 1993년 1월 20일 | 1997년 3월 14일 | 빌 클린턴 |
![]() | 샌디 버거 | 1997년 3월 14일 | 2001년 1월 20일 | |
![]() | 콘돌리자 라이스 | 2001년 1월 22일 | 2005년 1월 26일 | 조지 W. 부시 |
![]() | 스티븐 해들리 | 2005년 1월 26일[17] | 2009년 1월 20일 | |
![]() | 제임스 L. 존스[18] | 2009년 1월 20일 | 2010년 10월 8일 | 버락 오바마 |
![]() | 토마스 E. 도닐론[19] | 2010년 10월 8일 | 2013년 7월 1일[20] | |
![]() | 수전 라이스[20] | 2013년 7월 1일[20] | 2017년 1월 20일 | |
![]() | 마이클 플린 | 2017년 1월 20일 | 2017년 2월 13일 | 도널드 트럼프 |
![]() | 키스 켈로그 (임시) | 2017년 2월 13일 | 2017년 2월 20일 | |
![]() | H. R. 맥마스터 | 2017년 2월 20일 | 2018년 4월 9일 | |
![]() | 존 볼턴 | 2018년 4월 9일 | 2019년 9월 10일 | |
![]() | 찰스 쿠퍼먼 (임시) | 2019년 9월 10일 | 2019년 9월 18일 | |
![]() | 로버트 C. 오브라이언 | 2019년 9월 18일 | 2021년 1월 20일 | |
![]() | 제이크 설리번[21] | 2021년 1월 20일 | 재임 중 | 조 바이든 |
2. 1. 초기 역사
1947년 국가안보법(National Security Act of 1947)에 따라 냉전(Cold War) 초기 방위, 외교, 국제 경제 정책 및 정보 활동을 조정하기 위해 국가안전보장회의(NSC)가 설립되었다. 이는 국방부(Department of Defense)와 중앙정보국(CIA)의 설립을 포함한 대규모 조직 개편의 일환이었다.[10][9] 이 법은 국가안보보좌관 직책 자체를 만든 것은 아니지만, 직원을 담당하는 행정 비서관을 만들었다. 1949년 NSC는 대통령 집무실(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의 일부가 되었다.[10]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Dwight D. Eisenhower) 행정부 시절인 1953년 로버트 컷러(Robert Cutler)가 첫 국가안보보좌관이 되었으며, 아이젠하워 행정부에서 두 번 그 직책을 맡았다. 존 F. 케네디(John F. Kennedy) 대통령 이후로 강력한 국가안보보좌관과 막강한 참모진을 두었지만 공식 NSC 회의의 중요성은 낮게 평가되었던 이후로 시스템은 대체로 변함없이 유지되어 왔다. 각 신임 대통령이 보좌관과 NSC 고위직을 교체하는 경향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연속성은 지속된다.[10]
리처드 닉슨(Richard Nixon) 대통령의 국가안보보좌관인 헨리 키신저(Henry Kissinger)는 대통령에게 정보의 흐름을 통제하고 하루에 여러 번 그와 만나는 등, 이 역할의 중요성을 높였다. 키신저는 1973년 9월 22일부터 1975년 11월 3일까지 국가안보보좌관과 국무장관을 동시에 역임한 기록도 가지고 있다.[10][9] 그는 최장 재임 기간(2,478일)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마이클 플린(Michael Flynn)은 단 24일로 최단 기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브렌트 스코크로프트(Brent Scowcroft)는 제럴드 포드(Ford) 행정부와 조지 H. W. 부시(George H. W. Bush) 대통령 행정부 등 두 번의 비연속적인 행정부에서 이 직책을 맡았다.
국가안보보좌관은 행정부 내 국가안보 담당 직책으로 미국 국무장관(Secretary of State)과 미국 국방장관(Secretary of Defense)과 함께 미국 정부의 가장 중요한 직책 중 하나이다. 국무장관은 외교를 총괄하는 최고 각료[23]이며, 국방장관은 막대한 예산, 무장 병력, 강력한 정보기관(미국 방위정보국, 미국 국가안보국, 미국 국가정찰국)을 장악하는 중요 각료이다. 보좌관은 대통령과 매일 접촉하며 정책을 제안하는 등 정책 결정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24]
2. 2. 발전 과정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냉전 초기 1947년 국가안보법에 따라 방위, 외교, 국제 경제 정책 및 정보 활동을 조정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이는 미국 국방부와 중앙정보국(CIA)의 설립을 포함한 대규모 조직 개편의 일환이었다.[10][9] 이 법은 국가안보보좌관 직책 자체를 만든 것은 아니지만, 직원을 담당하는 행정 비서관을 만들었다. 1949년 NSC는 대통령 집무실의 일부가 되었다.[10]
로버트 컷러는 1953년 첫 국가안보보좌관이었으며,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행정부 시절 두 번 그 직책을 맡았다. 특히 존 F. 케네디 대통령 이후로 강력한 국가안보보좌관과 막강한 참모진을 두었지만 공식 NSC 회의의 중요성은 낮게 평가되었던 이후로 시스템은 대체로 변함없이 유지되어 왔다. 각 신임 대통령이 보좌관과 NSC 고위직을 교체하는 경향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연속성은 지속된다.[10]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국가안보보좌관인 헨리 키신저는 대통령에게 정보의 흐름을 통제하고 하루에 여러 번 그와 만나는 등, 이 역할의 중요성을 높였다. 키신저는 1973년 9월 22일부터 1975년 11월 3일까지 국가안보보좌관과 국무장관을 동시에 역임한 기록도 가지고 있다.[10][9] 그는 최장 재임 기간(2,478일)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마이클 플린은 단 24일로 최단 기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브렌트 스코크로프트는 제럴드 포드 행정부와 조지 H. W. 부시 대통령 행정부 등 두 번의 비연속적인 행정부에서 이 직책을 맡았다.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직책은 1953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에 의해 신설되었는데, 이는 미국의 외교 정책 또는 특정 지역 정책 수립의 필요성 때문이었다고 여겨진다.[22]
보좌관이라는 직함이지만, 행정부 내 국가안보 담당 직책으로는 각료인 미국 국무장관과 미국 국방장관과 함께 미국 정부의 가장 중요한 직책 중 하나이다. 국무장관은 외교를 총괄하는 최고 각료[23]이며, 국방장관은 막대한 예산, 무장 병력, 강력한 정보기관(미국 방위정보국, 미국 국가안보국, 미국 국가정찰국)을 장악하는 중요 각료이다. 보좌관은 대통령과 매일 접촉하며 정책을 제안하는 등 정책 결정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24]
이 때문에, 보좌관 시절 국무장관을 능가하거나, 나중에 국무장관으로 임명된 자(헨리 키신저(초기에는 보좌관 겸임), 콜린 파월, 콘돌리자 라이스) 또는 국방장관으로 임명된 자(프랭크 카루치) 등 쟁쟁한 인물들이 이 직책을 역임했다.[25] 지미 카터 행정부에서 국가안보보좌관 즈비그니에프 브레진스키는 지미 카터 대통령의 옆방에서 근무했지만, 국무장관은 백악관에서 1마일 떨어진 국무부에 집무실이 있었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다고 여겨진다.
맥조지 번디는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이후 린든 존슨 대통령이 보좌관에 대한 의존도를 높인 상황을 이용하여, 이전의 종속적인 지위에서 미국의 정책 결정 중심으로 보좌관의 지위를 높였다.
2. 3. 역대 국가안보보좌관
사진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재임 기간 | 대통령 |
---|---|---|---|---|---|
로버트 커틀러 | 1953년 3월 23일 | 1955년 4월 2일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
딜런 앤더슨 | 1955년 4월 2일 | 1956년 9월 1일 | |||
윌리엄 하딩 잭슨[11][12][13] (임시) | 1956년 9월 1일 | 1957년 1월 7일 | |||
-- | 로버트 커틀러 | 1957년 1월 7일 | 1958년 6월 24일 | ||
고든 그레이 | 1958년 6월 24일 | 1961년 1월 13일 | |||
맥조지 번디 | 1961년 1월 20일 | 1966년 2월 28일 | rowspan=2 | | 존 F. 케네디 | |
린든 B. 존슨 | |||||
월트 로스토우 | 1966년 4월 1일 | 1969년 1월 20일 | |||
헨리 키신저 | 1969년 1월 20일 | 1975년 11월 3일 | rowspan=2 | | 리처드 닉슨 | |
제럴드 포드 | |||||
브렌트 스코크로프트 | 1975년 11월 3일 | 1977년 1월 20일 | |||
즈비그니에프 브레진스키 | 1977년 1월 20일 | 1981년 1월 20일 | 지미 카터 | ||
리처드 V. 앨런 | 1981년 1월 21일 | 1982년 1월 4일 | 로널드 레이건 | ||
제임스 W. 낸스[14] (임시) | 1981년 11월 30일 | 1982년 1월 4일 | |||
윌리엄 P. 클라크 주니어 | 1982년 1월 4일 | 1983년 10월 17일 | |||
로버트 맥팔레인 | 1983년 10월 17일 | 1985년 12월 4일 | |||
존 포인덱스터 | 1985년 12월 4일 | 1986년 11월 25일 | |||
앨턴 G. 킬 주니어[15] (임시) | 1986년 11월 26일 | 1986년 12월 31일 | |||
프랭크 칼루치 | 1987년 1월 1일[16] | 1987년 11월 23일 | |||
콜린 파월 | 1987년 11월 23일 | 1989년 1월 20일 | |||
브렌트 스코크로프트 | 1989년 1월 20일 | 1993년 1월 20일 | 조지 H. W. 부시 | ||
앤서니 레이크 | 1993년 1월 20일 | 1997년 3월 14일 | 빌 클린턴 | ||
샌디 버거 | 1997년 3월 14일 | 2001년 1월 20일 | |||
콘돌리자 라이스 | 1997년 3월 14일 | 2001년 1월 20일 | 조지 W. 부시 | ||
스티븐 해들리 | 2005년 1월 26일[17] | 2009년 1월 20일 | |||
제임스 L. 존스[18] | 2009년 1월 20일 | 2010년 10월 8일 | 버락 오바마 | ||
토마스 E. 도닐론[19] | 2010년 10월 8일 | 2013년 7월 1일[20] | |||
수전 라이스[20] | 2013년 7월 1일[20] | 2017년 1월 20일 | |||
마이클 플린 | 2017년 1월 20일 | 2017년 2월 13일 | 도널드 트럼프 | ||
키스 켈로그 (임시) | 2017년 2월 13일 | 2017년 2월 20일 | |||
H. R. 맥마스터 | 2017년 2월 20일 | 2018년 4월 9일 | |||
존 볼턴 | 2018년 4월 9일 | 2019년 9월 10일 | |||
찰스 쿠퍼먼 (임시) | 2019년 9월 10일 | 2019년 9월 18일 | |||
로버트 C. 오브라이언 | 2019년 9월 18일 | 2021년 1월 20일 | |||
제이크 설리번[21] | 2021년 1월 20일 | 재임 중 | 조 바이든 |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은 행정부 내에서 미국 국무장관, 미국 국방장관과 함께 미국 정부의 가장 중요한 직책 중 하나로 꼽힌다.[24] 국무장관은 외교를 총괄하고,[23] 국방장관은 막대한 예산, 무장 병력, 미국 방위정보국, 미국 국가안보국, 미국 국가정찰국 등 강력한 정보기관을 지휘한다. 국가안보보좌관은 대통령과 매일 만나 정책을 제안하는 등 정책 결정에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24]
3. 역할과 영향력
이러한 이유로 헨리 키신저(초기에는 보좌관 겸임), 콜린 파월, 콘돌리자 라이스처럼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낸 후 국무장관으로 임명되거나, 프랭크 카루치와 같이 국방장관으로 임명된 인물도 있다.[25] 즈비그니에프 브레진스키처럼 국무장관과 정책적으로 대립한 경우도 있었다.[25] 지미 카터 행정부 시절, 브레진스키는 대통령 집무실 옆방에서 근무했지만, 국무장관은 백악관에서 1마일 떨어진 국무부에 집무실이 있어 영향력에 차이가 있었다고 평가받는다.
맥조지 번디는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이후 린든 존슨 대통령이 국가안보보좌관에 대한 의존도를 높인 상황을 이용하여, 이전의 종속적인 지위에서 미국의 정책 결정 중심으로 부상했다.
3. 1. 직무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의 영향력과 역할은 행정부마다 다르며, 임명된 사람의 자질뿐만 아니라 현직 대통령의 스타일과 경영 철학에도 달려 있다.[5] 이상적으로 국가안보보좌관은 자신의 정책 목표를 옹호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 안보 분야에서 대통령에게 정책 옵션을 공정하게 중재하는 역할을 한다.[6]
국가안보보좌관은 대통령 집무실의 참모직이며, 상원의 인준을 받고 부서에 대한 법적 권한을 가진 국무장관과 국방장관과는 달리 미국 국무부 또는 미국 국방부에 대한 직권이나 예산 권한이 없다.[7] 국가안보보좌관은 (근접성 때문에) 대통령에게 매일 조언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대규모 관료 조직 및 해당 부처의 이해관계자의 기득권과는 독립적이다.[5]
위기 상황에서는 국가안보보좌관이 백악관 상황실이나 대통령 비상 운영 센터에서 활동할 가능성이 높다 (9.11 테러 당시와 같이).[8] 위기 상황에서 최신 사건에 대해 대통령에게 보고한다.
국가안보보좌관의 직무는 다음과 같다.
4. 한국의 국가안보실
대한민국은 국가안보실장이 NSC 회의를 주관한다.[26]
참조
[1]
웹사이트
National Security Presidential Memorandum–4 of April 4, 2017
https://www.gpo.gov/[...]
[2]
문서
The National Security Advisor and Staff
[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1947-1997
https://georgewbush-[...]
1997-08-00
[4]
뉴스
McMaster will need Senate confirmation to serve as national security adviser
http://www.cbsnews.c[...]
CBS News
2017-02-21
[5]
문서
The National Security Advisor and Staff
[6]
문서
The National Security Advisor and Staff
[7]
법률
[8]
서적
Against All Enemies
https://archive.org/[...]
Free Press
[9]
서적
Brent Scowcroft: Internationalism and Post-Vietnam War American Foreign Policy
Rowman & Littlefield
[10]
서적
The National Security Enterprise: Navigating the Labyrinth
Georgetown University Press
[11]
서적
Honest Broker?: The National Security Advisor and Presidential Decision Making
Texas A&M University Press
2009-00-00
[12]
웹사이트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5–1957, National Security Policy, Volume XIX
https://history.stat[...]
Department of State, Office of the Historian
[13]
서적
Organizational history of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during the Truman and Eisenhower administrations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960-00-00
[14]
뉴스
Reagan Replacing Security Advisor, Officials Report
https://www.nytimes.[...]
1982-01-02
[15]
웹사이트
Nomination of Alton G. Keel, Jr., to be the Permanent United States Representative on the Council of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 the American Presidency Project
https://www.presiden[...]
[16]
웹사이트
Newly appointed national security adviser Frank Carlucci is planning... - UPI Archives
https://www.upi.com/[...]
[17]
문서
The National Security Advisor and Staff
[18]
보도자료
Key Members of Obama-Biden National Security Team Announced
https://web.archive.[...]
The Office of the President-Elect
2008-12-01
[19]
웹사이트
Donilon to Replace Jones as National Security Adviser
http://www.cnn.com/2[...]
CNN
2010-10-00
[20]
뉴스
National Security Team Shuffle May Signal More Activist Stance at White House
https://www.washingt[...]
2013-06-05
[21]
뉴스
Biden to Appoint Jake Sullivan as National Security Adviser
https://www.cbsnews.[...]
CBS News
2020-11-23
[22]
웹사이트
The Role of the National Security Advisor
https://2009-2017-fp[...]
미국국무성
2009-05-16
[23]
문서
[24]
웹사이트
THE NATIONAL SECURITY ADVISOR AND STAFF
http://whitehousetra[...]
Whitehouse Transition Project
2017-00-00
[25]
웹사이트
Cyrus Vance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02-01-12
[26]
뉴스
[새 연재] 트럼프 시대 개막 1] 외교안보 지축이 흔들린다
주간동아
2017-0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