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이케 탄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이케 탄광은 1469년 석탄이 발견된 이후 1721년 상업적 채굴이 시작된 일본의 탄광이다. 미이케 번의 경영으로 시작하여, 메이지 시대에 국유화된 후 미쓰이 재벌에 인수되어 근대화 과정을 거쳤다. 1960년 미이케 쟁의, 1963년 미카와 탄진 폭발 사고 등 잦은 사고와 1970년대 석탄 수요 감소로 1997년 폐광되었다. 폐광 후 미야하라 갱 등 일부 시설은 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2015년에는 '메이지 일본의 산업 혁명 유산'의 일부로 세계 유산에 등재되었으나, 강제 징용 역사를 제대로 알리지 않아 유네스코의 시정 요구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미이케 탄광
미이케 탄광
미이케 탄광
미이케 탄광
좌표33° 00′ 49″ N 130° 27′ 22″ E
위치오무타시, 후쿠오카현
제품석탄
개장 연도알 수 없음
활동 기간알 수 없음
폐쇄 연도알 수 없음
소유주알 수 없음
공식 웹사이트알 수 없음
유네스코 세계유산
미이케 탄광 미야노하라 갱도
미이케 탄광 미야노하라 갱도
위치일본
등재 기준문화 (ii), (iv)
ID1484
등재 연도2015년

2. 역사

1469년 농부 덴지자에몬이 미이케 군 이나리(とうか) 마을(현재 오무타시 오우라 정 부근)에서 "불타는 돌"(석탄)을 발견했다고 전해지지만, 상업적 규모의 개발은 1721년 미이케 번의 가로가 광산을 열 수 있는 허가를 받으면서 시작되었다.[3][19][20][21]

1738년 구루메번의 문서에 이나리산에서의 석탄 채굴에 관한 기술이 보이지만, 미이케번의 영유였는지는 불분명하다. 1790년 미이케번은 영내에서의 채탄 및 판매에 관한 규칙인 "이시야마 하토(石山法度)"를 발포했다. 1853년 미이케번이 이쿠야마(生山)를 개광했다. 19세기 초 미이케에서 생산된 석탄은 세토 내해에서 제용 등의 연료로 사용되었다. 1857년 히라노산의 거의 남쪽에 위치한 이쿠야마와, 히라노산의 간부(갱도)가 연결되는 사건이 발생하여, 양갱(양번)의 경계 분쟁이 시작되었고, 이는 메이지 시대 초기에 미이케 탄광이 관영이 되는 원인이 되었다.

산업화 이전 일본에서 석탄의 주요 시장은 세토 내해에서의 소금 생산이었지만, 바쿠마츠 시대에 증기 기관의 연료로서 석탄의 중요성이 커졌다.[4][5] 1872년 메이지 정부는 광산을 국유화하고,[4][5] 1873년 9월 5일 광산료 미이케 지청을 설치했다.[23] 메이지 중기 무렵까지 주변 각 현 감옥의 죄수가 미이케 탄광에서 사용되었다.

1876년 미쓰이 물산 회사가 설립되어[24] 관영 미이케 탄광의 수송 · 판매를 도맡았다. 1878년 11월 21일, 오우라 갱에서 기력 인양기를 사용했다.[23] 1883년 미이케 집치감이 개청되면서 죄수 노동이 본격화되었다.

1888년 미쓰비시와 경쟁 끝에 미쓰이조(미쓰이 재벌)가 낙찰받았다.[25] 1889년부터 미쓰이조의 경영이 되었고, 단다쿠마가 최고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1899년 미쓰이 재벌은 광산의 통제권을 가져갔다.[6]

1891년 미이케 탄광 전용 철도가 개통되었고, 1892년 미쓰이 광산이 창립되어 탄광 경영의 근대화가 진행되었다.

1894년 미이케 쇼리쓰 갱의 제1 수직갱이 완성되었고,[26] 1898년 미야하라 갱에서 조업을 시작하면서 전기 뇌관을 사용했다.[26] 1908년 미이케항이 개항되었고, 1913년 미이케 가스 발전소가 운전을 개시했다.

1923년 미이케 탄광 전용 철도의 전철화가 완성되었고, 1924년 미야하라 갱의 마필 운반을 전면 폐지했다.(1930년 말까지 전 광산에서 폐지)[26] 1925년 미야노우라 갱에서 채탄에 화약을 사용했다.[26]

1930년 갱내 도급 제도, 여성의 입갱, 죄수의 채탄 작업을 폐지했고, 1931년 미이케 집치감이 폐청되었다. 1940년 미카와 갱이 준공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이케 탄광은 포로 수용소로 사용되었으며, 약 1,735명의 연합군 포로들이 강제 노동에 동원되었다. 138명이 질병, 사고, 학대로 사망했다.[7]

1949년 5월 29일 쇼와 천황이 방문했다.[27] 1958년 닛테츠 광업의 아리아케 탄광 개발이 중단되었다. 1960년 미이케 쟁의가 발생했다. 1963년 미카와 광탄진 폭발 사고로 458명이 사망하고, 839명의 일산화 탄소 중독 환자가 발생하였다.

1967년 일산화 탄소 중독 환자 가족들이 미카와 광산 갱도 바닥에서 연좌 농성을 벌였다.[28] 1972년 미쓰이 광산이 닛테츠 광업으로부터 아리아케 탄광을 인수하고, 닛테츠 광업은 석탄 사업에서 철수했다. 1973년 미쓰이 석탄 광업이 설립되었다.

1976년 아리아케 탄광에서 영업 출탄을 시작했다. 1977년 아리아케 탄광과 미이케 탄광을 잇는 연락 갱도가 개통되어 두 탄광을 합병했다. 1978년 4월 30일 요츠야마 광산에서 탄차 폭주 사고로 1명이 사망하고 103명이 중경상을 입었다.[29] 1984년 아리아케 광 갱내 화재 사고로 83명이 사망하고, 16명의 일산화 탄소 중독 환자가 발생하였다.

1997년 3월 30일 미이케 탄광이 폐광되었다. 2005년 4월 미이케 노조가 해산되었다. 2015년 7월 미야하라 갱・만다 갱・전용 철도 부지가 "메이지 일본의 산업 혁명 유산 제철・제강, 조선, 석탄 산업"으로 세계 유산에 등록되었다.

2. 1. 에도 시대 이전

1469년 농부 덴지자에몬이 미이케 군 이나리(とうか) 마을의 이나리 산(현재 오무타시 오우라 정 부근)에서 "불타는 돌"(석탄)을 발견했다고 전해지지만, 상업적 규모의 개발은 1721년 미이케 번의 가로가 광산을 열 수 있는 허가를 받으면서 시작되었다.[3][19][20][21]

2. 2. 에도 시대

1469년 한 농부에 의해 이 지역에서 석탄이 발견되었지만, 상업적 규모의 개발은 1721년 미이케 번의 ''가로''가 광산을 열 수 있는 허가를 받으면서 시작되었다.[3]

연도사건
1721년야나가와번의 가로(家老)인 오노 하루노부가 번주로부터 토지를 하사받아, 히라노 다카토리산(고토리산)에서 석탄 채굴을 시작했다.
1738년구루메번의 문서에 이나리산에서의 석탄 채굴에 관한 기술이 보이지만, 미이케번의 영유였는지는 불분명하다.
1790년미이케번이 영내에서의 채탄 및 판매에 관한 규칙인 "이시야마 하토(石山法度)"를 발포했다.
1853년미이케번이 이쿠야마(生山)를 개광했다.
19세기 초미이케에서 생산된 석탄이 세토 내해에서 제용 등의 연료로 사용되었다.
1857년히라노산의 거의 남쪽에 위치한 이쿠야마와, 히라노산의 간부(갱도)가 연결되는 사건이 발생하여, 양갱(양번)의 경계 분쟁이 시작되었다. 이 경계 분쟁이 원인이 되어, 메이지 시대 초기에 미이케 탄광은 관영이 되었다.



산업화 이전의 일본에서 석탄의 주요 시장은 세토 내해에서의 소금 생산에 사용되는 것이었지만, 바쿠마츠 시대에 증기 기관의 연료로서 석탄의 중요성이 점점 더 분명해졌다.[4][5]

2. 3. 메이지 시대 이후

1469년 한 농부에 의해 이 지역에서 석탄이 발견되었지만, 상업적 규모의 개발은 1721년 미이케 번의 ''가로''가 광산을 열 수 있는 허가를 받으면서 시작되었다.[3] 산업화 이전의 일본에서 석탄의 주요 시장은 세토 내해에서의 소금 생산에 사용되는 것이었지만, 바쿠마츠 시대에 증기 기관의 연료로서 석탄의 중요성이 점점 더 분명해졌다.[4][5]

1872년 메이지 정부는 광산을 국유화했다.[4][5] 1873년 9월 5일에는 광산료 미이케 지청을 설치했다.[23] 또한, 미즈마현 감옥의 죄수를 사용해서 갱 밖의 석탄 운반과 갱내 업무에 종사하게 했으며, 이를 시작으로 메이지 중기 무렵까지 주변 각 현 감옥의 죄수가 미이케 탄광에서 사용되었다.

1876년 미쓰이 물산 회사가 설립되어[24], 관영 미이케 탄광의 수송 · 판매를 도맡아 처리했다. 1878년 11월 21일, 오우라 갱에서 사갱 운반에, 종래에는 인력이었던 것을 기력 인양기를 사용했다.[23] 1883년에는 미이케 집치감이 개청되면서 죄수 노동이 본격화되었다.

1888년 불하에서의 경쟁 입찰에서 미쓰비시와 격렬하게 다툰 결과, 미쓰이조(미쓰이 재벌)가 낙찰되었다.[25] 1889년부터 미쓰이조의 경영이 되었고, 최고 책임자(사무장)로 임명된 단다쿠마 (단탁마)는 미국 유학에서 광산학 · 야금학을 배운 후, 공부성 광산국의 관료로서 미이케 탄광에 부임했지만, 불하와 동시에 미쓰이로 이적했다. 1899년에 미쓰이 재벌은 광산의 통제권을 가져갔다.[6] 거의 즉시, 죄수 노동이 광산 내부와 외부에서 고용되기 시작했다.

1891년 미이케 요코하마 - 시치우라 갱에 증기 기관차에 의한 운탄 철도가 개통 (미이케 탄광 전용 철도)되었고, 1892년에는 미쓰이 광산이 창립되어 단의 지휘 아래 탄광 경영의 근대화, 합리화가 진행되었다.

1894년 미이케 쇼리쓰 갱의 제1 수직갱이 완성(약 118m. 데이비 펌프의 효과 큼)되었고,[26] 1898년에는 미야하라 갱에서 조업이 시작되면서 종래에는 도화선이었던 것을 전기 뇌관을 사용했다.[26] 1908년에는 미이케항이 개항되었고, 1913년에는 미이케 가스 발전소가 운전을 개시했다.

1923년 미이케 탄광 전용 철도의 전철화가 완성되었고, 1924년에는 미야하라 갱의 마필 운반을 전면 폐지(1930년 말까지 전 광산에서 폐지)했다.[26] 1925년에는 미야노우라 갱에서 채탄에 화약을 사용, 천공에 수동 호거를 사용했다.[26]

1930년 갱내 도급 제도 · 여성의 입갱을 폐지, 죄수의 채탄 작업을 폐지(다른 광산에서는 꽤 이전에 폐지되었다)하였고, 1931년에는 미이케 집치감이 폐청되었다. 1940년에는 미카와 갱이 준공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 탄광은 포로 수용소로 사용되었으며, 후쿠오카현오무타시에 위치한 후쿠오카 제17 포로 수용소로 불렸다. 약 1,735명의 미국 및 연합군 포로들이 노예 노동으로 석탄 채굴과 미쓰이 아연 제련소에서 일했다. 이곳은 일본 제국에서 가장 큰 포로 수용소였다. 138명의 포로가 질병, 사고, 학대로 사망했다.[7]

2. 4. 종전 후


  • 1949년 5월 29일 쇼와 천황이 방문 (쇼와 천황의 전후 순행)하였다.[27]
  • 1958년 닛테츠 광업이 다카다정에서 아리아케 탄광 개발을 시작했지만, 샘물 유입 등으로 인해 개발이 중단되었다.
  • 1960년 미이케 쟁의 석탄 산업의 쇠퇴로 인해 대량 해고 방침이 발표되어 격렬한 노동 쟁의가 발생하였다.
  • 1963년 11월 9일 미카와 광탄진 폭발 사고로 458명이 사망하고, 일산화 탄소 중독 환자 839명이 발생하였다.
  • 1967년 7월 - 일산화 탄소 중독 환자 가족회의 주부 66명이 같은 달 14일부터 20일에 걸쳐 미카와 광산 갱도 바닥에서 연좌 농성을 벌였다.[28]
  • 1972년 미쓰이 광산이 닛테츠 광업으로부터 아리아케 탄광을 인수하였다. 이 해, 닛테츠 광업은 석탄 사업에서 완전히 철수한다고 발표하였다.
  • 1973년 미쓰이 광산은 석탄 채굴 부문을 분리 독립하는 형태로 전액 출자한 미쓰이 석탄 광업을 설립하였다.
  • 1976년 개발 재개로 석탄층에 도달했던 아리아케 탄광에서 영업 출탄을 시작하였다.
  • 1977년 아리아케 탄광과 미이케 탄광을 잇는 연락 갱도가 개통되어 두 탄광을 합병하였다. 아리아케 탄광은 미이케 탄광 아리아케 광이 되었다.
  • 1978년 4월 30일 - 요츠야마 광산에서 탄차가 폭주하여 인차에 격돌, 1명이 사망하고 103명이 중경상을 입었다.[29]
  • 1984년 1월 18일 아리아케 광 갱내 화재 사고로 83명이 사망하고, 일산화 탄소 중독 환자 16명이 발생하였다.
  • 1997년 3월 30일 미이케 탄광이 폐광되었다. 미이케 탄광 전용 철도는 대부분 폐지되었지만, 2020년까지 일부는 미쓰이 화학 전용 철도로 남았다.
  • 2005년 4월 미이케 노조가 해산 (국내 마지막 탄광 노동조합).
  • 2015년 7월 미야하라 갱・만다 갱・전용 철도 부지가 "메이지 일본의 산업 혁명 유산 제철・제강, 조선, 석탄 산업"으로 세계 유산에 등록되었다.

3. 미이케 쟁의

1960년, 미이케 탄광은 일본 역사상 최대 규모의 노동 분쟁인 미이케 쟁의가 발생한 곳이다.[2] 미쓰이 기업이 탄광 노동자 1,500명 가량을 해고하려 하자, 광부 노조는 대규모 시위와 작업 중단으로 대응했고, 미쓰이는 312일 동안 광부들을 직장 폐쇄했다.[8] 그 결과 광부, 경찰, 우익 폭력배 간의 충돌로 폭력 사태가 발생했다.[9] 결국, 시위하던 광부들은 패배하여 요구를 관철하지 못한 채 직장으로 복귀했고, 이는 일본 노동 운동 전체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10]

4. 사고

1963년 11월 9일에는 미쓰이 미이케 미카와 탄광 탄진 폭발이 발생하여 전후 최악의 인명 피해를 낳았고, 같은 날 발생한 국철 도카이도 선 쓰루미 사고와 함께 "피로 물든 토요일", "마의 토요일"이라고 불린다.

1984년 1월 18일에는 아리아케 갱도 내 화재 사고 (미쓰이 아리아케 광산 화재 사고)가 발생하여 83명이 사망했다.

1981년 기타탄 유바리 신탄광 가스 돌출 사고, 1985년 미쓰비시 미나미오유바리 탄광 가스 폭발 사고 등과 같이, 일본의 탄광은 효율과 보안 설비를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사고 발생 시 많은 인명 피해와 후유증을 남겼다. 이는 안전 대책 미흡과 위험한 작업 환경을 보여준다. 특히 1980년대에도 대참사가 잇따라 발생한 것은 국내 탄광의 존재 의의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국내 석탄 산업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고로 인한 막대한 인적 보상 비용은 탄광 운영 회사의 재정난을 가중시켜 국내 석탄 산업 쇠퇴의 한 원인이 되었다.

4. 1. 1963년 미카와 광산 탄진 폭발 사고

1963년 11월 9일, 미이케 탄광에서 발생한 폭발과 그로 인한 일산화 탄소 축적으로 458명이 사망했다. 사망자 중 438명은 일산화 탄소 중독으로 사망했으며, 839명은 뇌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일산화 탄소 중독의 영향으로 고통을 받았다.[4] 사고 당시 총 1,403명의 노동자 중 1,197명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었다. 미쓰이 탄광 회사는 광산 내 석탄 가루 폭발은 불가능하다고 노동자들을 교육했으며, 가스 중독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교육하지 않았다. 회사는 유독 가스를 격리하기 위한 조치를 전혀 마련하지 않았고, 폭발 당시 환풍기는 오히려 광산 전체에 가스를 퍼뜨려 더 많은 사망자를 발생시켰다.[4]

폭발을 직접 들은 노동자는 약 200명 정도였으며, 이들은 엘리베이터까지 대피했지만 상사로부터 떠나지 말라는 지시를 받고 일산화 탄소 중독으로 사망했다. 대부분의 노동자는 폭발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다. 폭발 후 전력 및 전화 통신이 끊어졌고, 회사는 광산 내부 상황이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구조 시도를 지연시켰다. 이로 인해 노동자들은 회사가 사고를 통보받은 후 3시간 동안 광산에 갇혀 있었다. 경험이 부족하고 부적절한 구조대는 일산화 탄소 중독 피해자 구조 프로토콜을 따르지 않아 사고의 심각성을 악화시켰다. 이미 중독 증세를 보이던 200명 이상의 노동자들이 다른 사람들을 구조하기 위해 광산으로 다시 보내지기도 했다.[4] 생존한 939명의 노동자 중 839명은 심각한 일산화 탄소 중독으로 영구적인 뇌 손상을 입었다.[11][4]

1967년 7월, 일산화 탄소 중독 환자 가족 협회 소속 주부 66명은 보상 제공 실패에 항의하기 위해 7월 14일부터 20일까지 미카와 광산 바닥에서 연좌 농성을 벌였다.

5. 폐광

미이케 탄광은 1997년 3월 30일에 폐쇄되었으며, 이는 지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12][1]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일본의 주요 에너지원이 석탄에서 석유로 바뀌면서, 석탄 수요는 비싼 국내산 석탄 대신 저렴한 수입 석탄으로 옮겨갔다. 환율, 광산 사고 보상금,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인해 정부 보조금 없이는 경쟁이 어려워졌고, 2001년부터 보조금 지급이 중단될 예정이었다. 이에 미쓰이(三井)는 사업을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1950년대부터 1960년대 에너지 혁명으로 주요 에너지가 석탄에서 석유로 전환되면서, 일본은 소규모 저효율 탄광을 폐쇄하고 대규모 고효율 탄광을 보호하는 "스크랩 앤 빌드 정책"을 시행했다. 이로 인해 지쿠호 탄전 등 중소 탄광에서는 1950년대 후반부터 격렬한 쟁의가 발생했고, 많은 탄광이 문을 닫게 되었다.

미이케 탄광은 전력 회사 등에 석탄을 납품하며 "빌드" 탄광으로 살아남았지만, 미이케 쟁의, 탄진 폭발 사고, 갱내 화재 사고 등이 발생했다. 또한 환율, 채굴 조건,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인해 저렴한 수입탄과의 경쟁에서 밀려났다. 일본 정부는 2001년을 마지막으로 국내산 석탄 구매 정책을 종료했고, 이러한 결정에 따라 미이케 탄광은 1997년 3월 30일 폐광되었다.

이후 이케시마 탄광(나가사키현), 태평양 탄광(홋카이도)도 각각 2001년, 2002년에 문을 닫으면서 일본의 석탄 산업은 사실상 붕괴되었다. 그러나 태평양 탄광은 "구시로 콜 마인"으로 연간 60만~70만 톤을 생산하며 채굴을 재개했고, 홋카이도에는 소규모 노천 채탄을 하는 곳도 있다. 이케시마 탄광은 석탄 채굴 기술 연수 센터로서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연수생을 받고 있다(갱도는 일부 사용하지만 채굴은 하지 않는다).

6. 폐광 후

미이케 탄광은 1997년 3월 30일에 폐쇄되었는데,[12] 이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일본의 주요 에너지원이 석탄에서 석유로 전환되면서 석탄 수요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또한 환율, 광산 사고 보상 청구,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인해 경쟁이 어려워져 2001년부터 정부 보조금 지급이 중단될 예정이었고, 이에 미쓰이(三井)는 사업을 종료하기로 결정했다.[1]

폐광 이후, 탄광 시설 일부는 근대화 유산 및 산업 유산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미야하라 갱 터와 만다 갱 터는 중요문화재 및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미야우라 갱 터의 굴뚝과 옛 미카와 전기 철도 변전소는 등록 유형 문화재로 등록되었다.

메이지 일본 산업 혁명 유산에 포함된 미이케 탄광의 구성 자산


미이케 항(1908년 개항), 미이케 항 클럽, 미이케 탄광 전용 철도 터 등 탄광 관련 시설들도 종합적인 석탄 산업의 흔적으로 남아있다.

하지만 소유자에 의한 시설 해체 및 철거도 진행되어, 탄광 주택 터, 미카와 갱 시설, 미이케 탄광 전용 철도 궤도, 석탄 적재 로더 등이 사라지고 그 자리에 대형 쇼핑몰 등이 들어섰다. 미쓰이 광산은 미이케 탄광 전용 철도 부지 터와 인공섬을 오무타시에 무상 양도하려 했으나, 관리 비용 문제로 무산되었다. 2009년, 미쓰이 광산 주식회사는 일본 코크스 공업 주식회사로 개명하여, 미이케 탄광 관련 사업부에서 "미쓰이"라는 명칭이 사라졌다.

미이케 탄광 관련 유산은 "규슈·야마구치의 근대화 산업 유산군"의 일부로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되었고, 2015년에는 정식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최근에는 미이케 탄광 관련 역사를 후세에 전하기 위한 영화 제작, 보도, 시민 단체의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구마가이 히로코(熊谷博子) 감독의 일본 다큐멘터리 영화 ''미이케 탄광의 메아리''(2006)는 미이케 탄광을 소재로 하였다.[16]

6. 1. 문화재 지정

미이케 탄광은 1997년 3월 30일에 폐쇄되었으며,[12] 광산 폐쇄 후, 미야하라 갱구 유적과 만다 갱구는 1998년에 중요문화재로, 2000년에는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13] 미야우라 갱구 유적의 굴뚝과 옛 미카와 전기 철도 변전소는 2000년에 국가 등록 유형문화재로 등록되었다.[14][15]

종류세부 목록
중요 문화재
사적
등록 유형 문화재 (건조물)
후쿠오카현 지정 유형 문화재 (건조물)
오무타시 지정 유형 문화재


6. 2. 세계유산 등재와 논란

2015년, 미이케 탄광, 미이케 탄광 철도(일부 구간은 현재 미쓰이 화학 철도로 사용됨) 및 미이케 항(1908년 개항, 갑문 시설, 다이콩고마루, 항만 건설에 사용된 증기 구동 크레인 선박, 구 나가사키 세관 미이케 지점)이 유네스코 세계 산업 유산인 메이지 일본의 산업 혁명 유산의 일부로 지정되었다.[17] 이는 일본이 한국인, 중국인, 죄수 및 전쟁 포로에 대한 강제 노동의 역사를 포함한 이 유적의 "전체 역사"를 알리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2021년 7월 22일, 유네스코 세계 유산 위원회는 일본이 약속을 이행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2021년 12월까지 새로운 계획을 수립하도록 요청했다.[18]

6. 2. 1. 강제 징용 문제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 탄광은 포로 수용소로 사용되었으며, 후쿠오카현 오무타시에 위치한 후쿠오카 제17 포로 수용소로 불렸다. 약 1,735명의 미국 및 연합군 포로들이 이곳에서 석탄 채굴과 미쓰이 아연 제련소 작업에 동원되었다. 이곳은 일본 제국에서 가장 큰 포로 수용소였으며, 138명의 포로가 질병, 사고, 학대로 사망했다.[7]

2015년, 미이케 탄광, 미이케 탄광 철도(일부 구간은 현재 미쓰이 화학 철도로 사용됨) 및 미이케 항(1908년 개항, 갑문 시설, 다이콩고마루, 항만 건설에 사용된 증기 구동 크레인 선박, 구 나가사키 세관 미이케 지점)이 유네스코 세계 산업 유산인 "메이지 일본의 산업 혁명 유산: 제철, 조선, 석탄 채굴"의 일부로 지정되었다.[17] 이 지정은 일본이 한국인, 중국인, 죄수 및 전쟁 포로에 대한 강제 노동의 역사를 포함한 이 유적의 "전체 역사"를 알리겠다는 약속에 따른 것이었다. 그러나 2021년 7월 22일, 유네스코 세계 유산 위원회는 일본이 약속을 이행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2021년 12월까지 새로운 계획을 수립하도록 요청했다.[18]

참조

[1] 서적 The Japanese c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2-01-01
[2]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3] 서적 Japan's emergence as a modern state: political and economic problems of the Meiji period https://books.google[...] UBC Press 2012-01-01
[4] 웹사이트 Industrial pollution in Japan http://www.unu.edu/u[...] 2010-12-02
[5] 서적 https://books.google[...]
[6] 서적 The Japanese c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2-01-01
[7] PDF http://www.powresear[...] 2022-03-01
[8]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9]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1] 뉴스 Film mines rich seams of history 2011-08-14
[12] 뉴스 Workers get the shaft in Mitsui coal mine closure http://www.hartford-[...] Asahi Shimbun 1997-02-18
[13] 웹사이트 三井三池炭鉱跡-宮原坑跡, 万田坑跡, 専用鉄道敷跡, 旧長崎税関三池税関支署 https://kunishitei.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023-12-20
[14] 웹사이트 旧三池炭鉱三川電鉄変電所(信号電材株式会社本社) https://kunishitei.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023-12-20
[15] 웹사이트 旧三池炭鉱宮浦坑煙突 https://kunishitei.b[...]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023-12-20
[16] 간행물 Nihon no tankō eigashi to Miike http://www.ritsumei.[...] 2010-11-01
[17] 웹사이트 Japan's Meiji Industrial Revolution: Iron and Steel, Shipbuilding and Coal Mining https://whc.unesco.o[...]
[18] PDF http://whc.unesco.or[...] 2022-03-01
[19] 간행물 三池炭鉱-技術の足跡 日本エネルギー学会 1997-01-01
[20] 서적 三池炭鉱世界遺産 万田港と宮原坑 弦書房 2010-04-20
[21] 웹사이트 大牟田市史 上巻 書誌情報 : 著者 大牟田市史編集委員会 編 出版者 大牟田市 出版年月日 1965 https://dl.ndl.go.jp[...] 2024-07-14
[22] 간행물 三池炭鉱-技術の足跡 日本エネルギー学会 1997-01-01
[23] 문서 明治前期財政経済史料集成17 工部省沿革報告 大蔵省編
[24] 서적 九州文化論集〈4〉日本近代化と九州 平凡社 1972-07-27
[25] 웹사이트 三井が三菱に一矢報いた「ディズニー誘致合戦」の大逆転劇 https://www.moneypos[...] マネーポスト・週刊ポスト(2020年1月4日作成) 2020-01-04
[26] 문서 日本鉱業発達史 鉱山懇話会編
[27] 서적 昭和天皇御召列車全記録 新潮社
[28] 뉴스 「母さんが出てきた 坑口、一瞬声のうず」 朝日新聞 1967-07-21
[29] 뉴스 炭車暴走、人車に激突。1人死に103人けが 朝日新聞 1978-05-01
[30] 문서 平成12年1月19日文部省告示第3号
[31] 문서 平成25年3月27日文部科学省告示第45号
[32] 문서 平成28年10月3日文部科学省告示第144号
[33] 뉴스 日세계유산 탄광 강제징용 조선인 추도비에 '낙서 테러' http://news.naver.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