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주벽 운동은 1978년 말부터 1979년 초까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일어난 민주화 운동으로, 특히 베이징의 시단 민주벽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 운동은 문화대혁명 이후 사회 분위기 속에서 표현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요구하며 시작되었으며, 대자보 게시와 비공식 간행물 발행을 통해 의견을 교환하고 토론을 벌였다. 덩샤오핑은 초기에는 이러한 움직임을 묵인했지만, 운동이 체제 개혁 요구로 확대되자 탄압으로 전환했다. 민주벽 운동은 다양한 이념과 사상을 포괄하며 관료주의 비판과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를 제기했지만, 이념적 통일성은 부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민주화 운동 - 중국 재스민 혁명
중국 재스민 혁명은 2011년 튀니지 재스민 혁명의 영향으로 중국 주요 도시에서 발생한 반정부 시위로, 중국 공산당의 장기 집권과 빈부격차 심화 속에서 온라인을 통해 조직되었으나 정부의 강력한 탄압과 정보 통제로 인해 큰 규모로 확산되지 못하고 마무리되었다. - 중국의 민주화 운동 - 중국 민주화 운동
중국 민주화 운동은 1953년 시작되어 톈안먼 사건을 거쳐 류샤오보의 노벨 평화상 수상 이후 다시 활발해졌지만, 중국 정부의 탄압과 내부 갈등으로 인해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 - 중국의 냉전사 - 중소 국경 분쟁
중소 국경 분쟁은 19세기 불평등 조약으로 시작되어 1969년 군사적 충돌로 심화되었고, 1990년대 외교적 노력을 통해 국경 문제를 해결했으며, 국제 관계 재편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냉전사 - 개혁개방
개혁개방은 1970년대 후반 덩샤오핑의 지도 하에 중국 공산당이 추진한 시장 개혁 정책으로, 농업 개혁, 외국인 투자 유치, 국영 기업 민영화 등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소득 불평등, 환경 문제, 정치 개혁 부족 등의 사회적 문제도 발생했으며, 시진핑 집권 이후 국가 통제 강화와 경제 재편이 이루어지고 있다.
민주벽 | |
---|---|
민주 벽 운동 | |
개요 | |
기간 | 1978년 11월 - 1981년 봄 |
위치 | 베이징 |
원인 | 저우언라이 사망 마오쩌둥 사후 문화대혁명 종식 |
목표 | 관료주의 반대 정치적 자유화 시민 권리 및 정치 참여 확대 정부 부패 종식 및 사회 경제 개혁 문화대혁명 피해자 복권 요구 린뱌오와 덩샤오핑의 지속적인 권위주의 통치에 대한 도전 |
결과 | 정치적 탄압 체포 4인방 몰락 |
주요 인물 | 웨이징성 (활동가, 작가) 리이저 (필명) |
관련 세력 | 중국 공산당 덩샤오핑 |
배경 | |
관련 사건 | 베이징의 봄, 개혁개방, 중국 민주화 운동 |
관련 정보 |
2. 역사적 배경
2. 1. 문화대혁명 (1966-1976)
1966년, 마오쩌둥이 문화대혁명을 시작했을 때 수백만의 중·고등학교 및 대학생들이 마오의 부름에 응답하여 "홍위병"으로 조직되어 중국 공산당 내에서 "자본주의 길을 걷는 자"들을 숙청하고 제거했다.[2][3] 그러나 1969년, 마오는 학생들을 사회 질서 회복에 이용한 후 학생 "홍위병"들을 농촌 지역으로 추방하는 "하방 운동"을 시작했다.[2][3] 이 운동으로 인해 많은 홍위병들은 마오에 의해 의도적으로 버려졌다고 느꼈다.1971년, 린뱌오의 쿠데타 시도와 죽음은 마오와 문화 대혁명의 이념에 대한 집단적 신념을 깊이 흔들었다.[2][3] 1974년 11월 19일, 광둥성의 벽에 리이저의 대자보가 나타났다. 67페이지에 달하는 이 대자보는 (1)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중국 공산당의 관료 부패로 인해 시민들에게 가해진 피해, (2) 중국에서 민주주의와 법률 시스템을 실천해야 할 필요성을 주장했다.[2][3] 이 대자보를 통해 사람들이 문화 대혁명과 중국의 정치 시스템을 재평가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었다.
민주화 운동의 핵심은 전직 홍위병들로 구성되었다.[4]
2. 2. 1976년 톈안먼 사건 (4.5 운동)
1976년 1월 8일 저우언라이 총리가 사망했다.[23] 4월 5일 청명절에 수천 명의 베이징 주민들이 톈안먼 광장에 모여 시를 쓰고 대자보를 붙여 저우언라이를 애도하고 사인방과 문화대혁명에 대한 분노를 표현했다.[23] 이에 대해 마오쩌둥은 경찰과 인민해방군에게 인민해산을 명령했고 약 4000명이 체포됐다.[23] 이 사건은 1976년 톈안먼 사건 또는 4.5 운동이라고 불린다.[23] 덩샤오핑은 이 운동의 배후로 지목되었다.[23] 4월 7일, 마오쩌둥은 중국 공산당중앙 정치국이 덩샤오핑의 공식 직책을 비난하고 화궈펑이 덩샤오핑의 국무원 총리와 CCP 부주석 직책을 맡도록 제안했고, 위원회는 두 제안 모두를 채택했다.[23]2. 3. 진리 표준 논쟁 (1978)
1976년 9월 9일 마오쩌둥이 사망한 후 화궈펑이 마오쩌둥의 후계자로 지명되었으나, 정치적으로 사인방의 위협을 느꼈다. 1977년 7월 21일 중국 공산당 10기 3중 전체회의에서 덩샤오핑은 국무원 총리와 중공 부주석직을 재개했다.[24]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시대의 몇 가지 정치적 결정을 수정하기 시작했고, 1978년 봄에는 반우파 운동 희생자들이 복권되었다. 덩샤오핑은 계속해서 화궈펑의 정당성에 도전하고 사상 분야의 지배를 위해 투쟁했다.[25]덩샤오핑의 지원 아래 후야오방은 1978년 5월 10일 "실용주의는 진실을 측정하는 유일한 표준"이라는 글을 출판했다.[26] 이 글은 광명일보, 인민일보, 인민해방군일보에 다시 실렸고 곧 중국에서 진리에 규준에 대한 토론을 일으켰다. 이 논쟁은 '실사구시'를 강조하며 마오쩌둥 시대의 교조주의를 비판하고 실용주의 노선을 옹호했으며, 개혁파 지식인들이 주도하여 '베이징의 봄'의 사상적 기반을 제공했다.
3. 민주벽 운동의 전개
공식 토론의 영향으로 일반 대중도 대자보를 붙이고 토론을 벌이기 시작했다. 1978년 6월부터 7월까지 베이징의 주요 대학에 대자보가 널리 퍼졌다. 포스터는 처음에 덩샤오핑이 정치 권력을 획득하기 위한 투쟁의 일환으로 4인방과 이전에 실패한 정부 정책을 비판하도록 장려되었다. 9월에 외국 언론인들은 중국인과의 자유로운 접촉이 허용되었다고 보도했다.
1977년 8월 18일, 중국 공산당 제11차 전국대표대회는 헌법 제45조에 "4대 자유"를 추가할 것을 권고했다. ("4대 자유" 또는 "4대"는 문화 대혁명 당시 정치적 구호로, 언론의 자유, 토론의 자유, 대자보 게시의 자유를 의미한다.)
민주벽 운동은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초기, 표현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요구하며 나타난 움직임이다. 특히, 시단 민주벽은 이 운동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민주주의, 자유, 인권에 대해 이야기하는 대자보 외에도, 문화 대혁명 동안 겪었던 고통과 박해, 그리고 지방 관료들의 부패를 자세히 적은 탄원인들의 포스터도 많았다. 그들은 같은 벽에 포스터를 붙였고, 개별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중앙 정부의 관심을 끌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포스터는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들이 썼기 때문에 비공식 저널에 재출판된 몇몇 기사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탄원인 포스터는 나중에 찢겨나갔다.
1978년 10월 1일, 중국 공산당의 "사상을 해방하고 인민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중국 공산당 당원의 의무"라는 주제의 글이 베이징 시단 벽에 게시되었다.[27] 이후 사람들은 전국 거리의 담벼락에 자신의 의견과 자유형 문학을 게시할 수 있게 되었다.[27] 11월 23일 뤼푸(吕朴)는 시단 민주벽에 마오쩌둥을 비판하고 낙후된 경제, 경직된 사고 통제, 인민의 열악한 생활 조건을 지적하는 글을 올렸다.[27] 11월 25일에는 런완팅 등 8명의 청년들이 민주주의 모임 그룹을 결성했고, 이틀 뒤 시단 민주벽에 모여 천안문 광장으로 공개 행진을 이끌었다. 10000명이 넘는 참가자들이 중국의 민주주의와 인권을 요구했다.[27]
이 시기 대자보는 주로 4인방, 마오쩌둥, 화궈펑을 비판하는 내용이었으며, 덩샤오핑은 이를 묵인했다.[19] 11월 26일, 덩샤오핑은 일본 민주사회당 대표들에게 헌법에 따라 민주주의 장벽 활동은 합법이지만, 일부 당원들은 마오쩌둥 비판을 원치 않는다고 언급했다.[19]
웨이징성은 '제5의 현대화'라는 대자보를 통해 마오쩌둥과 덩샤오핑의 비민주적인 관행을 강력하게 비판했다. 독일, 러시아, 중국의 역사는 반민주주의가 국민의 열악한 생활 조건의 원인임을 증명한다고 주장하며, 유고슬라비아의 정치 체제가 국민에게 경제적 복지를 가져다주는 좋은 모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덩샤오핑의 개혁 노선에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면서, 민주주의와 인권 문제를 제기하여, 민주벽 운동의 방향을 단순한 권력 투쟁에서 벗어나 체제 개혁 요구로 확장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민주벽 운동 시기에는 다양한 주제와 이념을 다루는 비공식 간행물(지하 잡지)들이 등장하여 토론과 논쟁을 활성화시켰다.[16] 1978년 11월 26일, 구이양에서 최초의 비공식 간행물인 ''계몽''(启蒙)이 발행되었고, 이후 1979년 1월 베이징에서 재발행되었다.[16] 1978년 12월 16일에는 ''4·5 포럼''(四五论坛)이 창간되었다.[16] 1978년 겨울부터 1981년 봄까지 베이징에서만 50개 이상의 비공식 간행물이 등장했다.[16]
이러한 간행물들은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태도에 따라 고전 마르크스주의, 절충적 마르크스주의, 반마르크스주의 급진파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16] 주요 간행물로는 ''4·5 포럼'',[16] ''베이징의 봄'',[16] ''탐색'',[16] ''오늘''[16] 등이 있었다. 주요 필진으로는 쉬원리,[16] 류칭,[16] 웨이징성,[16] 베이다오,[16] 멍커,[16] 런완딩[16] 등이 있었다.
1979년 초부터 비공식 간행물은 민주벽 운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22] 1979년 1월 15일, 6개의 주요 비공식 간행물은 언론 및 출판의 자유를 위해 싸울 것을 선언했다.[20] 민주벽의 게시물과 지하 간행물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는데, 간행물의 내용을 벽에 게시하거나 민주벽 근처에서 간행물을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22] 간행물은 발행 부수가 적었지만, 손에서 손으로 복사되어 전달되면서 중국 전역에 널리 퍼져나갔다.[22]
3. 1. 민주벽의 등장 (1978.10)
1978년 10월 1일, 중국 공산당의 "사상을 해방하고 인민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중국 공산당 당원의 의무"라는 주제의 글이 베이징 시단 벽에 게시되었다.[27] 이후 사람들은 전국 거리의 담벼락에 자신의 의견과 자유형 문학을 게시할 수 있게 되었다.[27] 11월 23일 뤼푸(吕朴)는 시단 민주벽에 마오쩌둥을 비판하고 낙후된 경제, 경직된 사고 통제, 인민의 열악한 생활 조건을 지적하는 글을 올렸다.[27] 11월 25일에는 런완팅 등 8명의 청년들이 민주주의 모임 그룹을 결성했고, 이틀 뒤 시단 민주벽에 모여 천안문 광장으로 공개 행진을 이끌었다. 10000명이 넘는 참가자들이 중국의 민주주의와 인권을 요구했다.[27]이 시기 대자보는 주로 사인방, 마오쩌둥, 화궈펑을 비판하는 내용이었으며, 덩샤오핑은 이를 묵인했다.[19] 11월 26일, 덩샤오핑은 일본 민주사회당 대표들에게 헌법에 따라 민주주의 장벽 활동은 합법이지만, 일부 당원들은 마오쩌둥 비판을 원치 않는다고 언급했다.[19]
3. 2. 제5의 현대화 (1978.12)
웨이징성은 '제5의 현대화'라는 대자보를 통해 마오쩌둥과 덩샤오핑의 비민주적인 관행을 강력하게 비판했다. 독일, 러시아, 중국의 역사는 반민주주의가 국민의 열악한 생활 조건의 원인임을 증명한다고 주장하며, 유고슬라비아의 정치 체제가 국민에게 경제적 복지를 가져다주는 좋은 모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덩샤오핑의 개혁 노선에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면서, 민주주의와 인권 문제를 제기하여, 민주벽 운동의 방향을 단순한 권력 투쟁에서 벗어나 체제 개혁 요구로 확장시키는 계기가 되었다.3. 3. 비공식 간행물의 확산
민주벽 운동 시기에는 다양한 주제와 이념을 다루는 비공식 간행물(지하 잡지)들이 등장하여 토론과 논쟁을 활성화시켰다.[16] 1978년 11월 26일, 구이양에서 최초의 비공식 간행물인 ''계몽''(启蒙)이 발행되었고, 이후 1979년 1월 베이징에서 재발행되었다.[16] 1978년 12월 16일에는 ''4·5 포럼''(四五论坛)이 창간되었다.[16] 1978년 겨울부터 1981년 봄까지 베이징에서만 50개 이상의 비공식 간행물이 등장했다.[16]이러한 간행물들은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태도에 따라 고전 마르크스주의, 절충적 마르크스주의, 반마르크스주의 급진파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16] 주요 간행물로는 ''4·5 포럼'',[16] ''베이징의 봄'',[16] ''탐색'',[16] ''오늘''[16] 등이 있었다. 주요 필진으로는 쉬원리,[16] 류칭,[16] 웨이징성,[16] 베이다오,[16] 멍커,[16] 런완딩[16] 등이 있었다.
1979년 초부터 비공식 간행물은 민주벽 운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22] 1979년 1월 15일, 6개의 주요 비공식 간행물은 언론 및 출판의 자유를 위해 싸울 것을 선언했다.[20] 민주벽의 게시물과 지하 간행물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는데, 간행물의 내용을 벽에 게시하거나 민주벽 근처에서 간행물을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22] 간행물은 발행 부수가 적었지만, 손에서 손으로 복사되어 전달되면서 중국 전역에 널리 퍼져나갔다.[22]
4. 탄압과 종결
4. 1. 덩샤오핑의 입장 변화
덩샤오핑은 초기에는 민주벽 운동을 지지했다. 1978년 11월 26일, 그는 민사당 대표들에게 헌법에 따라 민주주의 장벽 활동은 합법이라고 말했다.[19] 그는 일부 당 동지들이 마오쩌둥을 비판하는 것을 원치 않았고, 그에 동의한다고 언급했다.[19] 이 시기 대자보들은 덩샤오핑을 비판하기보다는 사인방, 마오쩌둥, 화궈펑을 비판하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19] 덩샤오핑의 이러한 태도는 더 많은 사람들이 민주 벽에 모여 자신의 의견을 표명하고 덩샤오핑을 지지하는 대자보를 게시하게 만들었다.4. 2. 민주벽 폐쇄와 관련자 처벌
4. 3. 결과와 영향
5. 이념 및 사상
민주벽 운동은 핵심 문제를 관료주의와 관료 계급의 제거로 설정했다.[12] 그러나 이 운동은 이념적 통일성이 부족했다.[9] 다양한 정치적 견해와 관심사를 가진 많은 개인과 소규모 단체가 참여했으며,[10] 이념적 견해는 종종 날카롭게 대립했다.[11] 민주 벽 참여자들은 "민주주의"가 관료 계급과 인민 사이의 갈등을 해결하는 수단이라는 데 동의했지만, 제안된 민주적 제도의 본질은 주요 이견의 원인이었다.[12]
운동 참가자 대다수는 이 운동을 마르크스주의의 옳고 그름에 대한 투쟁의 일부로 보았다.[13] 많은 참가자들은 파리 코뮌에서 영감을 얻은 고전 마르크스주의적 견해를 옹호했다.[14] 민주 벽 운동에는 비마르크스주의자와 반마르크스주의자도 포함되었지만, 이들은 소수였다.[15]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가 빈번했지만 합의된 의미는 없었다.[10] 운동 참여자들은 민주주의의 개념을 사회주의, 공산주의, 자유 민주주의, 자본주의, 기독교와 다양하게 연관시켰다.[10] 그들은 "고전 마르크스주의 및 사회주의 전통에서부터 계몽주의 철학자, 유고슬라비아의 [사회주의] 실험, 서구 자유 민주주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적 자원을 활용했다.[11]
활동가들이 발행한 비공식 "인민 저널"은 이 운동의 이념적 핵심이었다.[16] 이 저널은 사회주의, 민주주의, 마르크스주의, 시민권, 도덕성, 사회 경제적 조건(임금 개혁, 불평등, 소비 및 주택 부족 포함)뿐만 아니라 예술 및 문학 문제에 대한 논평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주제와 이념적 입장을 논의했다.[16]
마오쩌둥과 문화 대혁명에 대한 비판은 운동 참여자들의 가장 흔한 불만 사항이었다.[10] 그러나 일부 참여자들은 문화 대혁명 시대의 "극좌" 논쟁을 부활시켜 중국의 "관료 계급"에 맞섰다.[17]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The Chinese democracy movement of 1978-1981
https://pekinger-fru[...]
2023-08-09
[2]
웹사이트
Advance Through Retreat: The Li Yi Zhe Manifesto
http://u.osu.edu/mcl[...]
2015-02-13
[3]
서적
Unofficial Documents of the Democracy Movement in Communist China 1978-1981
East Asian Collection, Hoover Institution
[4]
간행물
The Democracy Wall Movement, Marxist Revisionism, and the Variations on Socialist Democracy
http://www.tandfonli[...]
2007
[5]
서적
Unofficial Documents of the Democracy Movement in Communist China 1978-1981
East Asian Collection, Hoover Institution
[6]
웹사이트
"民主墙运动\"及其历史地位"
http://www.modernchi[...]
2016-06-12
[7]
웹사이트
The "Two-Whatever" Policy Does Not Accord With Marxism -- Beijing Review
http://www.bjreview.[...]
2016-06-12
[8]
웹사이트
实践是检验真理的唯一标准 --中国共产党新闻--中国共产党新闻网
http://cpc.people.co[...]
2016-06-12
[9]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t the margins : Chinese socialism in crisis
https://www.worldcat[...]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10]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t the margins : Chinese socialism in crisis
https://www.worldcat[...]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11]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t the margins : Chinese socialism in crisis
https://www.worldcat[...]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12]
간행물
The Democracy Wall Movement, Marxist Revisionism, and the Variations on Socialist Democracy
http://dx.doi.org/10[...]
2007
[13]
간행물
The Democracy Wall Movement, Marxist Revisionism, and the Variations on Socialist Democracy
http://www.tandfonli[...]
2007
[14]
간행물
The Democracy Wall Movement, Marxist Revisionism, and the Variations on Socialist Democracy
http://www.tandfonli[...]
2007
[15]
간행물
The Democracy Wall Movement, Marxist Revisionism, and the Variations on Socialist Democracy
http://www.tandfonli[...]
2007
[16]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t the margins : Chinese socialism in crisis
https://www.worldcat[...]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17]
서적
Mao's China and after : a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https://www.worldcat[...]
1999
[18]
서적
Unofficial Documents of the Democracy Movement in Communist China 1978-1981
East Asian Collection, Hoover Institution
[19]
간행물
The 1978-1981 Democracy Wall Movement and the Reformists in the Communist Party Leadership after Mao's Death
https://journals.uni[...]
2021-12-30
[20]
서적
Unofficial Documents of the Democracy Movement in Communist China 1978-1981
East Asian Collection, Hoover Institution
[21]
서적
Sources of Chinese Tradition: From 1600 Through the Twentieth Century (Vol 2)
Columbia University Press
[22]
서적
In the Vanguard of History
Turun Yliopisto
[23]
서적
Unofficial Documents of the Democracy Movement in Communist China 1978-1981
[24]
서적
Unofficial Documents of the Democracy Movement in Communist China 178-1981
[25]
웹인용
"民主墙运动\"及其历史地位"
http://www.modernchi[...]
2016-06-12
[26]
웹인용
实践是检验真理的唯一标准 --中国共产党新闻--中国共产党新闻网
http://cpc.people.co[...]
2016-06-12
[27]
서적
Unofficial Documents of the Democracy Movement in Communist China 1978-1981
[28]
서적
Unofficial Documents of the Democracy Movement in Communist China 1978-1981
[29]
서적
Sources of Chinese Tradition: From 1600 Through the Twentieth Century (Vol 2)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