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셀로나 백작 인판테 후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르셀로나 백작 인판테 후안은 스페인 국왕 알폰소 13세의 셋째 아들로, 형의 사망으로 왕위 계승자가 되었으며, 1941년 바르셀로나 백작 칭호를 받았다. 스페인 내전 이후 실권을 장악한 프란시스코 프랑코는 그를 자유주의 성향으로 간주하여 귀국을 허용하지 않았으나, 그의 아들 후안 카를로스를 후계자로 지명했다. 프랑코 사후 후안 카를로스가 스페인 국왕으로 즉위하면서 왕위 요구를 포기했고, 바르셀로나 백작 칭호를 받았다. 1993년 사망 후 '후안 3세'로 추존되어 엘 에스코리알 수도원에 매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고비아도 출신 - 스페인의 마리아 루이사
스페인의 마리아 루이사는 카를로스 4세의 딸로, 에트루리아 왕비, 섭정, 루카 공작부인을 거쳐 공공 사업을 장려하다가 로마에서 사망했다. - 세고비아도 출신 - 세고비아 공작 인판테 하이메
세고비아 공작 인판테 하이메는 스페인 국왕 알폰소 13세의 아들로, 청각 장애를 겪었으며 세고비아 공작위를 받고 프랑스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기도 했으며, 1975년 사망하여 엘 에스코리알에 매장되었다. - 대십자 해군공훈십자장 수훈자 - 아돌포 수아레스
아돌포 수아레스는 스페인의 정치인으로, 프랑코 시대에 요직을 거쳐 총리로 임명되어 민주주의 전환을 주도하고 입헌 군주제를 확립했으며, 마드리드-바라하스 공항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대십자 해군공훈십자장 수훈자 - 파스쿠알 세르베라
파스쿠알 세르베라 이 토페테는 스페인의 해군 제독이자 정치인으로, 스페인-모로코 전쟁, 제3차 카를로스 전쟁에 참전하고 해군 장관을 역임했으며, 미국-스페인 전쟁 당시 쿠바 함대 사령관으로 산티아고 데 쿠바 해전에서 패배했으나 전쟁 후 양국에서 존경받았다. - 스페인의 왕족 - 포르투갈의 마리아 마누엘라
포르투갈의 마리아 마누엘라는 1527년 코임브라에서 태어나 주앙 3세의 딸로, 1543년 스페인의 펠리페 2세와 결혼하여 아들 카를로스를 낳았지만 출혈로 사망했다. - 스페인의 왕족 - 스페인 왕비 레티시아
1999년 6월 19일 펠리페 6세의 즉위로 스페인 여왕이 된 레티시아 왕비는 평민 출신으로 언론인으로 활동하다 왕세자와 결혼하여 왕실에 입성, 스페인의 위상을 높이고 사회적 약자를 위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바르셀로나 백작 인판테 후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후안 |
전체 이름 | 후안 카를로스 테레사 실베리오 알폰소 데 보르본 이 바텐베르그 |
칭호 | 바르셀로나 백작 |
다른 칭호 | 스페인 왕 후안 3세 (추존) |
출생일 | 1913년 6월 20일 |
출생지 | 스페인, 산일데폰소, 라 그랑하 궁전 |
사망일 | 1993년 4월 1일 |
사망지 | 스페인, 팜플로나 |
매장지 | 스페인, 산 로렌소 데 엘 에스코리알, 엘 에스코리알 수도원 |
배우자 | 마리아 데 라스 메르세데스 데 보르본-도스 시실리아스 (1935년 결혼) |
자녀 | 필라르 후안 카를로스 1세 마르가리타 알폰소 |
가문 | 부르봉 왕가 |
아버지 | 알폰소 13세 |
어머니 | 빅토리아 유제니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경력 | |
소속 국가 | 스페인 |
군종 | 스페인 해군 |
계급 | 해군 대장 |
왕위 계승 | |
왕가 수장 | 1941년 1월 15일 – 1977년 5월 14일 |
이전 수장 | 알폰소 13세 |
다음 수장 | 후안 카를로스 1세 |
2. 생애
알폰소 13세의 셋째 아들인 후안은 1938년 9월 6일 형 아스투리아스 공 알폰소가 사망하면서 아버지 알폰소 13세의 잠재적 계승자가 되었다.[3] 1941년 3월 8일 바르셀로나 백작 칭호를 받았다.
후안은 1935년 로마에서 양시칠리아 왕가(스페인 부르봉 가문의 동족인 보르보네-시칠리아 가문) 출신인 마리아 데 라스 메르세데스(마지막 국왕 프란체스코 2세의 조카 카를로 탕크레디의 딸)와 결혼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4명의 자녀가 태어났다.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및 자녀 |
---|---|---|---|
필라르 데 보르본 이 보르본-두에 시실리아스 | 1936년 7월 30일 | 2020년 1월 8일 | 루이스 고메스-아세보 이 데 에스트라다, 토레 자작과 1967년 5월 6일 결혼, 다섯 자녀 |
후안 카를로스 1세 | 1938년 1월 5일 | 생존 |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 공주와 1962년 5월 14일 결혼, 세 자녀 |
마르가리타 데 보르본 이 보르본-두에 시실리아스 | 1939년 3월 6일 | 생존 | 돈 카를로스 수리타 이 델가도와 1972년 10월 12일 결혼, 두 자녀 |
스페인의 인판테 알폰소 | 1941년 10월 3일 | 1956년 3월 29일 | 미혼 |
스페인 내전 이후 실권을 장악한 프란시스코 프랑코 총통은 후안이 자유주의적임을 우려하여 그의 귀국을 원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장남 후안 카를로스 1세는 받아들여 정권의 후계자로서 제왕학을 배우게 했다. 프랑코는 1947년 스페인을 군주국으로 선포했지만, 후안이 입헌 군주제를 선호하여 의회 민주주의를 회복시키려 할 것을 우려했다. 결국 1969년, 프랑코는 후안의 아들인 후안 카를로스를 왕위 계승자로 지명했다.
1975년 프랑코가 사망하자, 유언에 따라 후안 카를로스는 국왕 후안 카를로스 1세로 즉위하여 스페인에 왕정이 부활했다. 후안은 1977년에 형식상의 왕위 청구권을 포기했고, 그 대가로 후안 카를로스 왕은 아버지에게 바르셀로나 백작 칭호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1993년 팜플로나에서 사망한 후안은 "'''스페인 국왕 후안 3세'''"의 칭호와 예우를 받으며 엘 에스코리알 수도원에 매장되었다.[2]
2. 1. 초기 생애
알폰소 13세의 셋째 아들로 1938년 9월 6일 형 아스투리아스 공 알폰소가 사망하면서 아버지 알폰소 13세의 잠재적 계승자가 되었다.[3] 1941년 3월 8일 바르셀로나 백작 칭호를 받았다.산일데폰소 왕궁(Palace of San Ildefonso)에서 태어났다. 1931년 4월 14일 스페인 제2 공화국이 선포되면서 아버지 알폰소 13세는 망명을 강요받았다. 1933년 형인 아스투리아스 공 알폰소(Alfonso, Prince of Asturias)와 세고비아 공작 인판테 하이메가 왕위 계승권을 포기함에 따라 인판테 후안은 폐지된 스페인 왕위 계승 서열 1위가 되었다. 그리하여 뭄바이에서 영국 해군에 복무하던 중 아스투리아스 공 칭호를 받았다.
1935년 3월, 명예 부소위로 임명되었고 포술 및 항해 시험에 합격했는데, 스페인 국적을 포기했다면 영국 해군에서 소위(lieutenant) 임관(commission) 자격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그는 이를 거부했다.[3]
후안에게는 사산한 1명을 포함하여 3명의 형이 있었다. 장형 아스투리아스 공작알폰소는 귀천상혼 때문에, 차형 세고비아 공작 하이메는 청각 장애 때문에 각각 왕위 계승권을 포기했다. 아버지 알폰소 13세는 1931년 망명했지만, 1941년 죽기 직전 명목상의 왕위를 후안에게 양도했다.
1935년 구 양시칠리아 왕가(스페인 부르봉 가문의 동족인 보르보네-시칠리아 가문) 출신인 마리아 데 라스 메르세데스(마지막 국왕 프란체스코 2세의 조카 카를로 탕크레디의 딸)와 로마에서 결혼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4명의 자녀가 태어났다.
2. 2. 결혼과 가족
후안은 1935년 10월 12일 로마에서 부르봉-시칠리아의 마리아 데 라스 메르세데스 공주(마리아 데 라스 메르세데스)와 결혼했다.[3] 그녀는 스페인에서 도냐 마리아 데 라스 메르세데스 데 보르본-도스 시칠리아스 이 올레앙으로 알려졌으며, 양시칠리아 왕가(스페인 부르봉 가문의 동족인 보르보네-시칠리아 가문) 출신으로, 마지막 국왕 프란체스코 2세의 조카 카를로 탕크레디의 딸이었다. 그는 누이(인판타 베아트리스)의 결혼식 전날 이탈리아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가 주최한 파티에서 미래의 아내를 만났다.인판테 후안 카를로스가 태어나기 직전, 바르셀로나 백작은 사냥을 가기로 결정했고, 의사는 그와 그의 아내에게 미래의 국왕이 몇 주 동안 태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가 출생 소식을 들었을 때, 그는 너무 빨리 병원으로 달려가 차축 스프링이 부러졌다.
두 사람 사이에는 네 명의 자녀가 태어났다.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및 자녀 |
---|---|---|---|
필라르 데 보르본 이 보르본-두에 시실리아스 | 1936년 7월 30일 | 2020년 1월 8일 | 루이스 고메스-아세보 이 데 에스트라다, 토레 자작과 1967년 5월 6일 결혼, 다섯 자녀 |
후안 카를로스 1세 | 1938년 1월 5일 | 생존 |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 공주와 1962년 5월 14일 결혼, 세 자녀 |
마르가리타 데 보르본 이 보르본-두에 시실리아스 | 1939년 3월 6일 | 생존 | 돈 카를로스 수리타 이 델가도와 1972년 10월 12일 결혼, 두 자녀 |
스페인의 인판테 알폰소 | 1941년 10월 3일 | 1956년 3월 29일 | 미혼 |
2. 3. 스페인 왕위 계승 분쟁
알폰소 13세의 셋째 아들 후안은 1938년 형 아스투리아스 공 알폰소의 사망으로 잠재적 왕위 계승자가 되었고, 1941년에는 바르셀로나 백작 칭호를 받았다.[4]프란시스코 프랑코 총통은 스페인 왕정 복고 계획을 세웠으나, 자유주의 성향의 후안 대신 그의 아들 후안 카를로스 1세를 왕위 계승자로 지명했다. 후안이 입헌 군주제를 선호하여 의회 민주주의를 회복시키려 했기 때문에 프랑코는 그를 스페인 국가를 되돌릴 인물로 여겼기 때문이다.[4]
1945년 3월 19일, 후안은 로잔에서 프랑코를 교체할 것을 요구하는 선언문을 발표했다. 그는 선언문에서 "오직 전통적인 군주제만이 스페인 사람들을 화해시키기 위한 평화와 화합의 도구가 될 수 있으며, 효과적인 법치주의를 통해 외국으로부터 존경을 받고 국가의 기독교적 개념에 기초한 질서와 자유의 조화로운 합성을 실현할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4]
1975년 프랑코 사후 후안 카를로스 1세가 즉위하면서 후안은 명목상의 스페인 국왕 자리를 포기했다. 1977년 후안은 형식상의 왕위 청구권을 포기했고, 그 대가로 후안 카를로스 1세는 아버지에게 바르셀로나 백작 칭호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1993년 후안은 사망 후 '후안 3세'로 추존되어 엘 에스코리알에 묻혔다.[2]
2. 4. 왕정 복고와 말년
프란시스코 프랑코는 자신이 사망한 이후 스페인의 왕정을 부활시키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프랑코는 자유주의 성향이 강했던 후안을 배제하고, 그의 아들 후안 카를로스 1세를 스페인의 왕위 계승자로 지목했다.[2]1945년 3월 19일, 후안은 로잔에서 프란시스코 프랑코를 교체할 것을 요구하는 선언문을 발표했다. 이 선언문에서 후안은 내전이 끝난 지 6년이 지났지만 프랑코 정권은 전체주의적이며, 세계 정세와 양립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또한, 현재 정권은 국가의 미래를 위협하며, 스페인이 새로운 분쟁에 휩쓸리고 고립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후안은 오직 전통적인 군주제만이 스페인 국민을 화해시키고, 법치주의를 통해 국가 질서와 자유를 조화롭게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다.[4]
프랑코는 1947년 스페인을 군주국으로 선포했지만, 후안이 입헌 군주제를 선호하여 의회 민주주의를 회복시키려 할 것을 우려했다. 결국 1969년, 프랑코는 후안의 아들인 후안 카를로스를 왕위 계승자로 지명했다. 후안 카를로스는 프랑코 사후 스페인의 민주주의로의 전환을 지지하여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후안과 프랑코의 관계는 좋지 않았으며, 후안은 프랑코에게 군주제 복귀를 끊임없이 요구했고, 프랑코를 "불법적인 찬탈자"라고 부르면서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2]
1975년 프랑코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인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이 즉위하면서 후안은 명목상의 스페인 국왕 자리를 포기했다. 1977년, 후안은 스페인 왕위에 대한 권리를 공식적으로 포기했고, 그 대가로 그의 아들은 그에게 오랫동안 주장해 온 바르셀로나 백작이라는 칭호를 공식적으로 수여했다.[2]
1993년에 사망하면서 '''후안 3세'''(Juan III)로 추존되어 엘 에스코리알의 산 로렌소 수도원 왕실 묘지에 왕의 예우를 갖춰 묻혔다.[2] 그는 바다를 좋아했으며, 산 페르난도, 카디스에 있는 해군 학교에 입학했고, 영국 해군에서 복무하면서 해양 테마의 문신을 새겼다. 1987년 7월 31일 영국 해군 명예 제독으로 임명되었고,[5] 1988년에는 스페인 해군 대장으로 서임되었다.
3. 칭호 및 영예
후안은 1938년 9월 6일 형 아스투리아스 공 알폰소가 사망하면서 아버지 알폰소 13세의 잠재적 계승자가 되었고, 1941년 3월 8일 바르셀로나 백작 칭호를 받았다.[1] 1993년에 사망하면서 '''후안 3세'''(Juan III)로 추존되었다.[1]
그는 생전에 여러 훈장을 받았다.[6][7][8][9][10][11][12][13]
3. 1. 칭호
1938년 9월 6일 형 아스투리아스 공 알폰소가 사망하면서 아버지 알폰소 13세의 잠재적 계승자가 되었다.[1] 1941년 3월 8일 바르셀로나 백작 칭호를 받았다.[1] 1993년에 사망하면서 '''후안 3세'''(Juan III)로 추존되었다.[1]3. 2. 영예
국가 | 훈장 |
---|---|
스페인 | 금모양 양털 기사 (1927년 5월 16일)[6] |
스페인 | 해군 공로 십자 대십자장 (백색 장식, 1978년 7월 17일)[7] |
스페인 | 군사 공로 십자 대십자장 (백색 장식, 1993년 2월 5일)[8] |
스페인 | 항공 공로 십자 대십자장 (백색 장식, 1993년 2월 5일)[9] |
그리스 왕가 | 구세주 대십자장 (1962년 5월 13일) |
그리스 왕가 | 성 게오르기우스와 성 콘스탄티누스 대십자장 (1962년 5월 13일) |
포르투갈 포르투갈 왕가 | 빌라 비소스 무염시태 대십자장 (1983년 12월 8일) |
포르투갈 포르투갈 공화국 | 그리스도 훈장 대십자장 (1986년 1월 31일)[10] |
이탈리아 왕가 | 수태 고지 기사 (1946년 11월 24일)[11] |
이탈리아 왕가 | 성 마우리치오와 라자로 대십자장 (1946년 11월 24일) |
이탈리아 왕가 | 이탈리아 왕관 대십자장 (1946년 11월 24일) |
양시칠리아 왕가 | 콘스탄티누스 훈장 대십자장 (1960년 3월 12일)[12] |
모나코 | 성 샤를 대십자장 (1962년 5월 11일)[13] |
4. 가계
조상 | |
---|---|
1대 | 바르셀로나 백작 인판테 후안 |
2대 | 알폰소 13세, 바텐베르크의 빅토리아 유지니 공주 |
3대 | 알폰소 12세,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크리스티나 대공녀, 바텐베르크의 헨리 공, 영국의 베아트리스 공주 |
4대 | 스페인의 프란시스코 데 아시스 인판테, 이사벨 2세, 오스트리아의 카를 페르디난트 대공, 오스트리아의 엘리자베트 프란치스카 대공녀, 헤센-다름슈타트의 알렉산더 공자, 율리아 하우케 백작부인,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앨버트 공,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 |
참조
[1]
간행물
Boletín Oficial del Estado
http://www.boe.es/da[...]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Spanish Civil War
https://books.google[...]
The Scarecrow Press
[3]
뉴스
London Gazette
1935-04-16
[4]
PDF
http://etheses.lse.a[...]
2022-03
[5]
뉴스
London Gazette
1987-08-03
[6]
학술지
Real decreto nombrando Caballero de la Insigne Orden del Toisón de Oro a su Alteza Real el Srmo. Sr. Infante de España D. Juan Carlos Teresa Silverio Alfonso de Borbón.
https://www.boe.es/d[...]
1927-05-19
[7]
간행물
Boletín Oficial del Estado
http://www.boe.es/bo[...]
[8]
간행물
Boletín Oficial del Estado
http://boe.es/boe/di[...]
[9]
간행물
Boletín Oficial del Estado
http://boe.es/boe/di[...]
[10]
웹사이트
República Portuguesa
http://www.ordens.pr[...]
[11]
웹사이트
Elenco dei Cavalieri dell'Ordine supremo della Santissima Annunziata
https://www.ordinidi[...]
[12]
웹사이트
Sagrada Orden Constantiniana de San Jorge
https://web.archive.[...]
[13]
웹사이트
Sovereign Ordonnance n° 2.829 of 11 May 1962
https://journaldemon[...]
[14]
서적
Introducción a la heráldica y manual de heráldica militar española
Ministerio de Defensa
[15]
웹사이트
Coat of arms of Juan de Bourbon after his renounce at the emblem of the Frigate "Juan de Borbón"
http://www.armada.md[...]
Spanish Navy
2013-03-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