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소 추브릴로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소 추브릴로비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에서 태어난 세르비아 역사가였다. 그는 범슬라브주의 혁명 조직인 청년 보스니아의 대원으로 활동하며 사라예보 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되었고, 미성년자였음에도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학업을 이어 베오그라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고등학교에서 역사 교사로 근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게슈타포에 체포되었으나 석방되었고, 이후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조언자 역할을 했다. 그는 유고슬라비아 정부의 각료를 역임하고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회원으로 활동했으며, 1990년 사라예보 사건 관련자 중 마지막 생존자로 사망했다. 추브릴로비치는 발칸 반도 역사, 특히 보스니아와 세르비아 역사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알바니아인 강제 추방을 주장하는 등 논란이 있는 행적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고슬라비아의 정치인 - 야네스 드르노우셰크
야네스 드르노우셰크는 유고슬라비아 집단 지도부의 슬로베니아 대표, 슬로베니아 총리, 슬로베니아 대통령을 역임하며 슬로베니아의 독립과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 정치인이다. - 유고슬라비아의 역사가 - 게오르크 오스트로고르스키
게오르크 오스트로고르스키는 러시아 제국에서 태어나 비잔티움 역사 연구에 매진하여 《비잔틴 제국사》를 저술하고, 베오그라드 대학교 교수로 활동하며 비잔틴학 연구소를 발전시킨 역사가이다.
바소 추브릴로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바소 추브릴로비치 |
원어 이름 | Васо Чубриловић / Vaso Čubrilović |
국적 | 세르비아, 유고슬라비아 |
출생일 | 1897년 1월 14일 |
출생지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 보산스카그라디슈카(현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그라디슈카) |
사망일 | 1990년 6월 11일 |
사망지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베오그라드(현재의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
직업 | 혁명가, 역사가, 정치인 |
정치 경력 | |
직책 | 유고슬라비아 농업부 장관 |
임기 시작 | 1945년 |
임기 종료 | 1950년 |
후임 | 에드바르드 카르델 |
직책2 | 임업부 장관 |
임기 시작2 | 1950년 |
임기 종료2 | 1954년 |
소속 정당 |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
임명자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임명자2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학문 활동 | |
직업 | 역사가, 학자 |
수상 | |
훈장 | 유고슬라비아 별 훈장 |
2. 생애
바소 추브릴로비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현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그라디슈카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초등 교육을 받았다. 투즐라 고등학교에 입학했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가 연주 중 기립하지 않아 퇴학당했다. 이후 사라예보의 김나지움(Gymnasium)에 입학했다.
세르비아 민족주의에 심취한 추브릴로비치는 보스니아의 범슬라브주의 혁명 조직인 청년 보스니아 대원으로 활동했다. 1914년 사라예보 사건의 공범으로 체포되어 징역 16년을 선고받았다.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제니차 감옥에서 출소한 그는 사라예보 고등학교에서 6학년 과정을 마쳤다. 자그레브 대학교 역사학과에 입학했다가 베오그라드 대학교로 옮겨 1922년 졸업했고, 1929년에는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가 침공당했을 때, 추브릴로비치는 게슈타포에 체포되어 반지차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기도 했다.[1] 석방 후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조언자 역할을 수행했으며, 1944년에는 소수 민족 문제에 대한 문서를 발표했다. 1945년부터 유고슬라비아 정부의 각료로 임명되어 농업부 장관(1946년 ~ 1947년)과 산림부 장관(1946년 ~ 1950년)을 역임했다.[1]
1959년부터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에서 통신원으로 근무했으며, 1961년에는 정회원이 되었다. 1976년 소련 과학 아카데미 명예 회원, 1987년 유고슬라비아의 별 훈장을 받았다. 1990년 사망할 때까지 사라예보 사건 관련 인사 중 마지막 생존자였다.
2. 1. 초기 생애


바소 추브릴로비치는 1897년 1월 14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현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그라디슈카에서 태어났다. 그라디슈카에서 초등 교육을 받은 후 투즐라에 있는 고등학교에 입학했으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가가 연주될 때 기립하지 않아 퇴학당했다. 이후 사라예보 김나지움(Gymnasium) 6학년에 입학했다.
세르비아 민족주의에 심취한 추브릴로비치는 보스니아의 범슬라브주의 혁명 조직인 청년 보스니아 대원으로 활동했다. 1914년 사라예보 사건의 공범으로 체포되었고, 당시 미성년자였기 때문에 징역 16년을 선고받았다. 그의 형인 벨코 추브릴로비치는 사라예보 사건의 공범으로 붙잡혀 1915년에 처형되었다.
2. 2. 사라예보 사건 가담 및 체포
1914년 가브릴로 프린치프, 네델코 차브리노비치 등과 함께 사라예보 사건의 공범으로 지목되어 반역 혐의로 체포되었다. 당시 미성년자였기 때문에 징역 16년 형을 선고받았다. (가브릴로 프린치프와 네델코 차브리노비치는 징역 20년형) 그의 형 벨코 추브릴로비치는 사라예보 사건의 공범으로 사형당했다. 가브릴로 프린치프와 네델코 차브리노비치는 옥중에서 결핵으로 사망했지만, 바소 추브릴로비치는 제1차 세계 대전 종전과 함께 제니차 감옥에서 출소했다.2. 3.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의 학업 및 교육 활동
1919년 사라예보 고등학교에서 6학년 과정을 마쳤다. 처음에는 자그레브 대학교 역사학과에 입학했지만, 이후 베오그라드 대학교로 전학하여 1922년 역사 학사 학위를 받았다. 1929년에는 《1875년부터 1878년까지 일어난 보스니아 봉기》라는 논문으로 베오그라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스렘스카미트로비차, 자그레브, 베오그라드 등지의 고등학교에서 역사 교사로 근무했다. 1934년 베오그라드 대학교 강사가 되었고, 1939년에는 교수가 되었다.2. 4. 제2차 세계 대전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기
1941년 4월, 추축국의 유고슬라비아 침공 당시 추브릴로비치는 게슈타포에 체포되어 베오그라드 교외의 반지차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1] 독일군이 세르비아에서 축출된 후,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고문이 되었다.제2차 세계 대전 중, 특히 알바니아인들이 주도한 반 세르비아인 학살로 인해 추브릴로비치는 유고슬라비아 내 소수 민족 문제에 다시 관심을 갖게 되었다. 1944년 11월 17일, 베오그라드에서 추브릴로비치는 공산주의 당국에 "새 유고슬라비아의 소수 민족 문제"(Manjinski problem u novoj Jugoslaviji|새 유고슬라비아의 소수 민족 문제sh)라는 제목의 각서를 제출했다. 이 문서에서 그는 티토 정부에 유고슬라비아 내 독일인, 헝가리인, 이탈리아인, 루마니아인, 알바니아인을 추방할 것을 제안했다. 실제로 유고슬라비아에 거주하던 대부분의 독일계 주민이 강제 추방되었고, 많은 헝가리인과 루마니아인도 추방되었다. 추브릴로비치는 "소수 민족 문제는 지금 해결하지 않으면, 영원히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당시 이러한 제안은 중부 및 동유럽 다른 지역에서 진행된 독일인 대량 추방과 유사하여 급진적인 것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1945년 초, 추브릴로비치는 티토 정부의 농업부 장관으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 8월 유고슬라비아 농업 부문 재건 및 강화를 위한 경제적 조치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주 농업 농장법 시행을 추진했다. 이후 추브릴로비치는 임업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1]
2. 5. 학술 활동 및 사망
1959년부터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에서 통신원으로 근무했으며 1961년에 정회원이 되었다. 1976년에는 소련 과학 아카데미 명예 회원이 되었고 1987년에는 유고슬라비아 정부로부터 유고슬라비아의 별 훈장을 받았다. 1990년 6월 11일에 베오그라드에서 사망했는데, 사라예보 사건 관련 인사 중에서 마지막 생존자였다.3. 소수 민족 문제에 대한 관점
추브릴로비치는 유고슬라비아 내 소수 민족, 특히 알바니아인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1937년 세르비아 문화 클럽 강연에서 알바니아인 강제 추방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조직화된 국가 폭력"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주장했다.
이후 수십 년 동안 알바니아 역사학자들은 이 강연 내용을 코소보의 알바니아 인구를 몰아내려는 음모의 증거로 언급했다.
3. 1. 알바니아인 추방 주장 (1937)
1937년, 추브릴로비치는 세르비아 문화 클럽에서 알바니아인을 코소보에서 추방해야 한다는 내용의 강연을 했다. 그는 유고슬라비아 정부가 코소보 일부 지역을 식민화하려는 시도가 효과가 없다고 비판했다.[1] 그는 알바니아인들을 "처리"하는 유일한 방법은 "조직화된 국가의 폭력"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만약 우리가 그들과 계산하지 않는다면, 20~30년 안에 우리는 끔찍한 불가능주의에 대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브릴로비치는 1918-21년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의 봉기로 인해 그들을 이 지역에서 몰아낼 기회를 잡지 못한 정부를 비판하면서, 알바니아인 강제 추방이 "유고슬라비아 안보에 대한 위협을 제거할 것"이라고 주장했다.이 강연 내용은 글로 보존되었고, 유고슬라비아 군사 정보부에 들어가 베오그라드의 군사 기록 보관소에 보존되었다.

4. 저서 목록
- 《1788~1791년 오스트리아-투르크 전쟁의 보스니아 프라이코리》 (베오그라드, 1933)
- 《발칸 반도의 정치적 이주 원인》 (베오그라드, 1930)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무슬림 귀족의 기원》 (베오그라드, 1935)
- 《중세 봉건주의 연구에 관하여: 게오르기 오스트로고르스키의 작품에 관하여》 (1952)
- 《몬테네그로의 부족 사회 용어》 (베오그라드, 1959)
-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투르크 치하의 세르비아 정교회》 (베오그라드, 1960)
- 《쿠차 부족의 기원》 (베오그라드, 1963)
- 《몬테네그로의 말론시치 부족》 (베오그라드, 1964)
- 《보스니아 포드리제와 제1차 세르비아 봉기》 (필리프 비쉬니치와 서사시를 기리는 작품집, 베오그라드, 1936)
- 《비쉬니치의 시 '미샤르 전투'의 역사적 근거》 (베오그라드, 1938)
- 《제1차 세르비아 봉기와 보스니아 세르비아인》 (베오그라드, 1939)
- 《제1차 세르비아 봉기》 (베오그라드, 1954)
- 《제1차 세르비아 봉기 1804년의 본질과 역사적, 문화적 역할은 무엇인가》 (베오그라드, 1963)
- 《세르비아 혁명에서 민중과 개인의 역할》 (베오그라드, 1983)
- 《하이지크 벨코 - 민족 시의 영웅》
- 《보스니아 봉기 1875~1878》
- 《세르비아 1858–1903》 (블라디미르 코로비치와 함께, 베오그라드, 1938)
- 《19세기 세르비아의 정치 사상사》 (베오그라드, 1958)
- 《1918년 유고슬라비아 탄생의 역사적 근거》 (자그레브, 1969)
- 《19세기 세르비아와 오스트리아의 관계. 열강과 제1차 세계 대전 전의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1976)
- 《1875~1878년 동방 위기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국제 관계에서의 그 중요성》 (사라예보, 1977)
- 《현대 역사 과학의 관점에서 본 베를린 회의》 (폴리티카, 베오그라드, 1978)
- 《20세기 유고슬라비아의 창조와 발전에 있어서의 외부적, 내부적 요인》 (베오그라드, 1989)
- 《크로아티아인의 정치적 과거》 (베오그라드, 1939)
- 《바사 펠라기치》 (사라예보, 1924)
- 《새로운 유고슬라비아의 소수 민족 문제》 (베오그라드, 1944)
- 《왜 나는 반대하는가 - 학자 바사 추브릴로비치가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SANU) 메모에 대해》 (NIN에 게재된 인터뷰, 베오그라드, 1986)
- 《선별된 역사 연구》 (베오그라드, 1983)
- 《베오그라드의 역사》 (3권으로 된 베오그라드의 역사, 공동 저자 중 한 명, 1974)
- 《요반 츠비이치와 유고슬라비아 창조》 (연구)
- 《요반 츠비이치의 생애와 업적》 (전기 요반 츠비이치,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