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혁 (독립운동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재혁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1895년 부산에서 태어나 부산공립상업학교 재학 중 항일운동에 참여했다. 20세에 졸업 후 상하이로 건너가 의열단에 가입, 1920년 9월 부산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여 서장을 암살하려다 체포되었다. 사형을 선고받고 대구형무소에서 옥사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부산 동구에는 그의 생가를 기념하는 '박재혁거리'가 조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진초등학교 동문 - 허원제
허원제는 언론인 출신 정치인으로, 국제신문 기자로 시작하여 KBS, SBS 등에서 기자로 활동했으며,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을 거쳐 제18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부산진초등학교 동문 - 이준식 (공학자)
이준식은 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 출신으로 기계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서울대학교 교수,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등으로 활동한다. - 의열단 - 김시현 (1883년)
김시현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2대 및 제5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 의열단 - 신채호
신채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전개한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역사가, 문필가로, 민족주의적 역사관과 독립운동에 대한 열정으로 한국 근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부산상업고등학교 동문 - 신영복
신영복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사회운동가, 대학교수, 저술가로서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수감 생활 중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집필하여 반향을 일으켰고, 출소 후 관계론을 중심으로 사상을 발전시키며 독특한 서체로 민중과 소통했으며,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부산상업고등학교 동문 - 김지태
일제강점기부터 한국 전쟁 이후 부산에서 활동한 기업인이자 정치인인 김지태는 동양척식주식회사 근무를 시작으로 제지업과 섬유업 등으로 재산을 축적하고 부산일보 사장과 부산상공회의소 초대 회장, 제2, 3대 민의원을 지냈으나, 사사오입 개헌 반대와 부정축재 혐의, 친일 행위 논란으로 재산을 몰수당하는 등 그의 재산 형성 과정과 정치 활동, 박정희 정권과의 관계는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다.
박재혁 (독립운동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박재혁 |
한자 표기 | 朴載赫 |
출생일 | 1895년 5월 17일 |
출생지 | 조선 경상도 동래군 동면 범일동리 |
사망지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대구형무소에서 자살(옥중(獄中) 단식(斷食)으로 인한 아사) |
관련 활동 | 독립운동 |
학력 | 부산고등상업학교 |
직업 | 독립운동가 무역상 |
경력 | 의열단 하위초급행동대원 |
주요 활동 | 부산경찰서폭탄투척의거 |
2. 생애
1895년 5월 17일, 조선 경상도 동래군 동면 범일동리(현: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서 출생하였으며 지난날 한때 조선 강원도 홍천군 홍천면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1898년 부산에 귀향하여 성장한 이후 부산진공립보통학교(현 부산진초등학교)를 거쳐 부산공립상업학교(구 부산상고 전신, 현 부산 개성고등학교)에 입학하였다.
박재혁은 학생시절부터 반일운동 단체를 조직하는 등 적극적으로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부산공립상업학교 2학년 재학 중 최천택(崔天澤), 오택(吳澤) 등과 함께 일제에 의해 금지된 대한제국 보통학교의 국사교과서인 『동국역사(東國歷史)』를 비밀리에 등사하여 배포하였고, 부산진 출신 죽마고우들과 함께 비밀결사단체인 구세단(救世團)을 조직하여 독립운동에 앞장서고자 하였다.
20세 시절에 부산공립상업학교를 졸업한 박재혁은 경상북도 왜관에서 무역상으로 근무하면서 자금을 모아 상하이로 건너갔다.
국외에서 항일투쟁의 뜻을 같이 한 여러 독립운동가들과 교류하면서 의열투쟁 단체인 의열단에 가입하였다. 1919년 11월 만주 지린(吉林)에서 창단된 의열단은 국내 주요 일제 기관들을 폭파시키고자 거사를 추진하였으나, 일제에 의해 발각되고 말았다. 이에 의열단장 김원봉은 의열단 탄압에 앞장선 부산경찰서에 대한 폭탄과 군자금을 건네주며 박재혁에게 의거를 권유하였다.
1920년 9월 14일, 고서(古書)를 파는 중국인으로 가장한 박재혁은 부산 경찰서에서 부산경찰서 서장 하시모토 슈헤이한테 폭탄을 투척했다. 하시모토는 병원으로 이송되는 도중 사망하고 박재혁은 중상을 입었다. 대구형무소에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공훈을 기리어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으며, 2012년 7월 14일 부산광역시 동구청에서는 그의 생가가 있는 조방로 630m 구간을 ‘박재혁거리’로 명명하였다.[1][2]
2. 1. 유년 시절 및 학창 시절
1895년 5월 17일, 조선 경상도 동래군 동면 범일동리(현: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서 출생하였으며 지난날 한때 조선 강원도 홍천군 홍천면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1898년 부산에 귀향하여 성장하였다. 이후 부산진공립보통학교(현 부산진초등학교)를 거쳐 부산공립상업학교(구 부산상고 전신, 현 부산 개성고등학교)에 입학하였다.부산공립상업학교 2학년 재학 중 최천택(崔天澤), 오택(吳澤) 등과 함께 일제에 의해 금지된 대한제국 보통학교의 국사교과서인 『동국역사(東國歷史)』를 비밀리에 등사하여 배포하였고, 부산진 출신 죽마고우들과 함께 비밀결사단체인 구세단(救世團)을 조직하여 독립운동에 앞장서고자 하였다. 20세 시절에 부산공립상업학교를 졸업하였다.
2. 2. 독립운동 투신
박재혁은 학생시절부터 반일운동 단체를 조직하는 등 적극적으로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부산공립상업학교(현 부산 개성고등학교) 2학년 재학 중 최천택, 오택 등과 함께 일제에 의해 금지된 대한제국 보통학교의 국사교과서인 『동국역사』를 비밀리에 등사하여 배포하였고, 부산진 출신 죽마고우들과 함께 비밀결사단체인 구세단을 조직하여 독립운동에 앞장서고자 하였다.[1][2]20세 시절에 부산공립상업학교를 졸업한 박재혁은 경상북도 왜관에서 무역상으로 근무하면서 자금을 모아 상하이로 건너갔다.[1][2] 국외에서 항일투쟁의 뜻을 같이 한 여러 독립운동가들과 교류하면서 의열투쟁 단체인 의열단에 가입하였다.[1] 1919년 11월 만주 지린에서 창단된 의열단은 국내 주요 일제 기관들을 폭파시키고자 거사를 추진하였으나, 일제에 의해 발각되고 말았다.[1] 이에 의열단장 김원봉은 의열단 탄압에 앞장선 부산경찰서에 대한 폭탄과 군자금을 건네주며 박재혁에게 의거를 권유하였다.[1][2]
2. 3. 부산경찰서 폭탄 투척 사건 (1920년 9월 14일)
1920년 9월 14일, 의열단원 박재혁이 부산경찰서에 들어가 경찰서장 하시모토 슈헤이(橋本秀平)에게 폭탄을 던진 의거이다. 의열단에서는 1920년 초 일명 '진영사건(進永事件)' 등으로 인하여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계속 부산경찰서에 붙잡혀 고문, 투옥되자 이에 대한 부산경찰서 서장 하시모토의 암살을 계획하였다.[3][4]의열단장 김원봉은 무역상인으로서 싱가포르에 와있던 단원 박재혁을 상하이로 소환하여 하시모토를 죽일 것을 지시하였고, 박재혁은 1920년 9월 초 상하이를 떠나 나가사키로 향하였다. 상하이를 떠나기 전 부산경찰서장이 고서수집가라는 사실을 탐지, 많은 중국고서를 사들여서 고서상(古書商)으로 위장하였으며, 그 고서더미 속에 폭탄과 전단(傳單)을 감추었다. 나가사키에서 대마도를 거쳐 9월 13일 고향인 부산에 도착하여 자신의 집에서 하룻밤을 지낸 뒤, 이튿날 아침 부산경찰서를 찾아가 서장에게 면회를 요청하였다. 고서에 관심이 많은 서장은 쾌히 면회를 승낙하였다.
박재혁은 서장과 단독으로 탁자 하나를 사이에 두고 대좌하여 고서를 차례로 보여주는 척하다가 폭탄과 전단을 꺼내어 전단을 서장 앞에 뿌리면서 '나는 상해에서 온 의열단원이다. 네가 우리들에게 몹쓸 짓을 한 것은 다 알고 왔다!'라 말하고 계속하여 서장의 죄를 일일이 열거한 다음, 폭탄을 서장 앞에 던졌다. 폭탄이 터지자 두 사람은 모두 중상을 입고 쓰러졌다.
박재혁은 현장에서 체포되어 1921년 3월, 경성고등법원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대구형무소에 수감되어 혹독한 고문과 폭탄의 상처로 고통을 겪다가 '왜놈의 손에서 욕보지 말고 차라리 내손으로 죽겠다'고 결심한 뒤 단식을 시작하여 형 집행 전에 옥사하여 순국하였다. 한편, 중상을 입은 경찰서장 하시모토도 사망하였다.[5]
2. 4. 체포, 재판 및 순국
박재혁은 1920년 9월 14일, 고서(古書)를 파는 중국인으로 가장하여 부산경찰서 서장 하시모토 슈헤이에게 폭탄을 투척하였고, 하시모토는 병원으로 이송되던 도중 사망하였다.[1][2] 이 사건으로 박재혁은 중상을 입고 체포되었다. 이후 경성고등법원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대구형무소에 수감되었다. 그는 혹독한 고문과 폭탄 상처로 고통받다가 단식 끝에 옥사하였다.3. 부산경찰서 폭탄 투척 사건의 배경 및 전개
1920년 9월 14일, 의열단원 박재혁이 부산경찰서에 들어가 경찰서장 하시모토 슈헤이(橋本秀平)에게 폭탄을 던진 의거이다. 의열단에서는 1920년 초 일명 '진영사건(進永事件)' 등으로 인하여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계속 부산경찰서에 붙잡혀 고문, 투옥되자 이에 대한 부산경찰서 서장 하시모토의 암살을 계획하였다.
의열단장 김원봉은 무역상인으로서 싱가포르에 와있던 단원 박재혁을 상하이로 소환하여 부산경찰서 서장 하시모토를 죽일 것을 지시하였고, 박재혁은 1920년 9월 초 상하이를 떠나 나가사키로 향하였다. 상하이를 떠나기 전 부산경찰서장이 고서수집가라는 사실을 탐지, 많은 중국고서를 사들여서 고서상(古書商)으로 위장하였으며, 그 고서더미 속에 폭탄과 전단(傳單)을 감추었다.
나가사키에서 대마도를 거쳐 9월 13일 고향인 부산에 도착하여 자신의 집에서 하룻밤을 지낸 뒤, 이튿날 아침 부산경찰서를 찾아가 서장에게 면회를 요청하였다. 고서에 관심이 많은 서장은 쾌히 면회를 승낙하였다.
박재혁은 서장과 단독으로 탁자 하나를 사이에 두고 대좌하여 고서를 차례로 보여주는 척하다가 폭탄과 전단을 꺼내어 전단을 서장 앞에 뿌리면서 '나는 상해에서 온 의열단원이다. 네가 우리들에게 몹쓸 짓을 한 것은 다 알고 왔다!'라 말하고 계속하여 서장의 죄를 일일이 열거한 다음, 폭탄을 서장 앞에 던졌다. 폭탄이 터지자 두 사람은 모두 중상을 입고 쓰러졌다.
박재혁은 현장에서 체포되어 1921년 3월, 경성고등법원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대구형무소에 수감되어 혹독한 고문과 폭탄의 상처로 고통을 겪다가 '왜놈의 손에서 욕보지 말고 차라리 내손으로 죽겠다'고 결심한 뒤 단식을 시작하여 형 집행 전에 옥사하여 순국하였다.[3][4] 한편, 중상을 입은 경찰서장 하시모토도 사망하였다.[5]
3. 1. 사건의 배경
1920년대 초, 일제의 독립운동 탄압이 심화되면서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부산경찰서에 체포되어 고문을 당했다. 특히 '진영사건' 등으로 인해 독립운동가들의 피해가 커지자, 의열단은 국내 주요 일제 기관 폭파를 계획하고 부산경찰서장 하시모토 슈헤이(橋本秀平)를 암살하기로 결정했다.[3][4][5]3. 2. 준비 과정
의열단장 김원봉은 무역상인으로서 싱가포르에 있던 단원 박재혁을 상하이로 소환하여 부산경찰서 서장 하시모토를 죽일 것을 지시하였다.[3][4] 박재혁은 1920년 9월 초 상하이를 떠나 나가사키로 향하였다. 상하이를 떠나기 전 부산경찰서장이 고서수집가라는 사실을 탐지, 많은 중국고서를 사들여서 고서상(古書商)으로 위장하였으며, 그 고서더미 속에 폭탄과 전단(傳單)을 감추었다.[3]나가사키에서 대마도를 거쳐 9월 13일 고향인 부산에 도착하여 자신의 집에서 하룻밤을 지냈다.[3]
3. 3. 실행 과정
1920년 9월 14일, 의열단원 박재혁은 부산경찰서에 들어가 경찰서장 하시모토 슈헤이(橋本秀平)에게 폭탄을 던졌다.[3][4][5] 의열단은 '진영사건(進永事件)' 등으로 독립운동가들이 부산경찰서에 붙잡혀 고문, 투옥되자 부산경찰서장 하시모토 암살을 계획하였다.[3][4]의열단장 김원봉은 싱가포르에 있던 박재혁을 상하이로 불러 하시모토를 죽일 것을 지시했고, 박재혁은 1920년 9월 초 상하이를 떠나 나가사키로 향했다. 상하이를 떠나기 전 부산경찰서장이 고서수집가라는 사실을 알고 고서상(古書商)으로 위장, 고서더미 속에 폭탄과 전단(傳單)을 숨겼다.[3][4]
나가사키에서 대마도를 거쳐 9월 13일 부산에 도착하여, 다음날 부산경찰서를 찾아가 서장에게 면회를 요청하였다. 고서에 관심이 많았던 하시모토는 면회를 승낙하였다.[3][4]
박재혁은 하시모토와 마주 앉아 고서를 보여주는 척하다가 폭탄과 전단을 꺼내어 "나는 상해에서 온 의열단원이다. 네가 우리들에게 몹쓸 짓을 한 것은 다 알고 왔다!"라 말하고 하시모토의 죄를 열거한 뒤, 폭탄을 던졌다.[3][4] 폭탄이 터져 두 사람은 모두 중상을 입고 쓰러졌다. 현장에서 체포된 박재혁은 사형을 선고받았다.[3][4] 하시모토도 중상으로 사망하였다.[5]
3. 4. 사건의 결과
부산경찰서 폭탄투척 사건으로 인해 경찰서장 하시모토는 중상을 입고 사망하였다.[5] 박재혁은 현장에서 체포되어 1921년 3월, 경성고등법원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3][4] 대구형무소에 수감되어 혹독한 고문과 폭탄의 상처로 고통을 겪다가 '왜놈의 손에서 욕보지 말고 차라리 내손으로 죽겠다'고 결심한 뒤 단식을 시작하여 형 집행 전에 옥사하여 순국하였다.[3][4] 이 사건은 의열단 활동의 상징적인 사건으로 기록된다.4. 평가 및 영향
4. 1. 당대 평가
4. 2. 현대의 평가
5. 박재혁을 기리는 것들
참조
[1]
뉴스
http://www.segye.com[...]
[2]
뉴스
http://article.joins[...]
[3]
뉴스인용
박재혁 의사 상, 2월 현충시설 선정
http://www.i-morning[...]
아침신문
2009-02-02
[4]
뉴스인용
(부산)20세기 부산을 빛낸 36인의 인물 '독립유공자'
http://www.mpva.go.k[...]
디지털 보훈신문
2004-01-05
[5]
웹사이트
박재혁의 중부경찰서 투척사건
http://www.mpva.go.k[...]
2016-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