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역은 재화와 용역을 교환하는 행위로, 중세 영어 단어에서 유래했다.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어 선사 시대에는 물물교환 형태로, 고대에는 흑요석, 청금석 등의 교역으로 발전했다. 고대 일본에서는 율령제 하에 교역제가 운영되었으며, 중세에는 무역 박람회와 해상 공화국의 성장을 통해 상업이 번성했다. 근대에는 대항해 시대를 거치며 향신료 무역이 중요해졌고, 자유 무역 이론이 등장했다. 현대에는 세계화와 함께 국제 무역이 확대되었으며, 인터넷 무역과 공정 무역 등 새로운 형태의 무역이 나타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역 - 구매력 평가
구매력 평가는 일물일가의 법칙에 기반하여 국가 간 물가 수준을 비교하고 환율을 계산하는 경제 이론으로, GDP 비교나 환율 예측 등에 활용되지만 여러 한계점도 존재한다. - 무역 - 세계 거버넌스
세계 거버넌스는 세계 정부 없이 지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식·비공식 제도, 메커니즘, 관계, 과정의 복합체로서, 다양한 행위자들이 상호작용하여 집단적 이익을 추구하고 권리와 의무를 확립하며 갈등을 조정하는 체계이다. - 경제학에 관한 - 노예제
노예제는 한 사람이 타인에게 소유되어 재산처럼 취급받으며 의지에 반해 노동을 강요당하고 보수 없이 사회적 이동이 제한되는 제도로, 고대부터 널리 존재했으나 18세기 이후 폐지 운동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금지되었지만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 경제학에 관한 - 민간 부문
민간 부문은 이윤 추구를 목표로 하는 경제 주체들로 이루어진 영역으로, 국가 경제 체제에 따라 비중과 역할이 다르며, 고용 창출의 원천이 되지만 여러 문제점을 야기하여 국가의 규제를 받는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무역 | |
---|---|
구글 지도 | |
기본 정보 | |
정의 | 상품과 서비스의 교환 |
유형 | |
소매업 | 노점 직접 판매 우편 주문 자동 판매기 전자 상거래 |
국제 무역 | 수출 수입 |
역사 | |
세계 무역 | 1800년부터 1938년까지 크게 성장함. |
경제학 | |
국제 무역 | 국가 간의 상품 및 서비스 교환 경제 성장에 기여 빈곤 감소에 영향 |
무역 정책 | 상업 정책의 중요한 부분 관세, 할당량, 무역 장벽 등을 포함 |
무역 관리 | |
사업 관리 | 비즈니스 관리의 핵심 요소 |
기업 | 다양한 기업 유형에서 발생 |
법률 | 상법 및 국제 무역법의 적용을 받음 |
금융 | 금융 시장 및 환율과 관련 |
참고 자료 | |
추가 자료 | 국제 무역 역사 데이터베이스 상업 정책 핸드북 |
2. 어원
"무역"이라는 단어는 중세 영어의 "trade"("길, 행동 방식")에서 유래했으며, 한자 동맹 상인들에 의해 영어로 도입되었다. 이는 중세 저지 독일어의 "trade"("궤적, 진로")에서 유래했고, 고대 작센어의 "trada"("자국, 궤적"), 원시 게르만어의 "*tradō"("궤적, 길")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대 영어의 "tredan"("밟다")과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다.
무역은 인류의 의사소통이 시작된 선사 시대부터 존재했다. 선사 시대 사람들은 물물교환 경제를 통해 재화와 용역을 교환했다. 피터 왓슨은 장거리 무역의 역사를 약 15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주장한다.[9] 지중해 지역에서는 약 3만 5천 년~3만 년 전 BP부터 주로 다뉴브 강을 이용한 현생 인류(''Homo sapiens'') 간의 문화 접촉이 가장 초기의 교류 사례로 여겨진다.[10][11][12][13]
"상업"은 "함께"를 의미하는 "cum"과 "상품"을 의미하는 "merx"로 구성된 라틴어 "commercium"에서 유래했다.[8] 한국어 단어 "무역"의 "交(교)"에는 두 가지 이상의 것이 "섞이다", "관계를 맺다", "번갈아 하다"와 같은 의미가 있으며[97], "易(역)"에는 "바꾸다"라는 의미가 있다.[98] 따라서 무역이란 "둘 이상의 당사자가 서로 교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물품을 교환하는 것"을 가리킨다.
영어 단어 trade영어는 중세 영어에서는 "길, 방향"을 의미하며, 이는 한자 동맹 상인들에 의해 유럽에서 영어로 도입된 것이다. 중세 저지 독일어 Tradends 또한 "길, 여정"의 의미이며, 더 거슬러 올라가면 고대 작센어 tradaosx는 "발자취, 오솔길", 게르만 조어 는 "오솔길, 길"이라는 의미이다.
3. 역사
석기 시대에 흑요석과 차돌 교환이 이루어졌다는 증거가 있다. 뉴기니에서는 기원전 1만 7천년 전부터 흑요석 무역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여겨진다.[15][16] 미카사 친왕 다카히토는 근동 지역에서 흑요석이 가장 먼저 사용된 시기는 하부 및 중기 구석기 시대라고 언급했다.[17] 로버트 카르 보산켓은 1901년 발굴 조사를 통해 석기 시대의 무역을 연구했다.[18][19] 제조품 무역에 대한 최초의 명확한 고고학적 증거는 서남아시아에서 발견된다.[20]
흑요석은 절단 도구나 연장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지만, 다른 더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가 있었기 때문에 "부자의 차돌"이라고 불릴 정도로 부족 내 높은 지위층에서만 사용되었다.[24] 초기 무역상들은 지중해 지역에서 900킬로미터 떨어진 곳까지 흑요석을 거래했다.[25] 유럽 신석기 시대 지중해 지역 무역에서 흑요석이 가장 중요한 물품이었다.[26][27] 기원전 1만 2천년경에 이미 무역망이 존재했다.[28] 1990년 자린스의 연구에 따르면, 아나톨리아는 레반트, 이란, 이집트와의 무역의 주요 공급원이었다.[29][30][31] 멜로스와 리파리는 지중해 지역에서 가장 광범위한 무역을 했던 지역 중 하나였다.[32] 아프가니스탄 산맥의 사리-이-상 광산은 청금석 무역의 가장 큰 공급원이었다.[33][34] 청금석은 기원전 1595년부터 시작된 바빌로니아의 카시트 시대에 가장 많이 거래되었다.[35][36]
아담 스미스는 상업의 기원을 선사 시대의 최초 거래로 거슬러 올라간다. 무역은 선사 시대 사람들에게 주요한 능력이 되었으며, 서로 가지고 있는 것을 교환하여 재화와 용역을 얻었다. 최초의 기록은 무역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기원전 1만 년경 시리아 유프라테스 상류 계곡에서 발견된 회계용 점토 토큰(점토 토큰) 체계는 최초의 기록 형태 중 하나이다. 에블라는 기원전 3천년기에 아나톨리아와 북 메소포타미아에 이르는 광범위한 무역 네트워크를 가진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다.[32][37][38][39]
기원전 3000년부터 이집트와 보석류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들이 무역되었다. 장거리 무역로는 기원전 3천년기에 처음 등장했는데, 당시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인들이 인더스 계곡의 하라파 문명과 무역을 했다.[40] 페니키아인들은 유명한 해상 무역업자였으며, 지중해를 가로질러 영국까지 청동 제작을 위한 주석을 구하러 갈 정도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그들은 그리스인들이 엠포리아라고 부르는 무역 식민지를 건설했다.[41] 기원전 175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Ea-nāṣir에게 보낸 불만 토판은 당시 구리 상인의 고초를 기록하고 있다. 고대 그리스에서 헤르메스는 무역[44][45] (상업)과 무게와 측정의 신이었다.[46] 고대 로마에서는 메르쿠리우스가 상인의 신이었으며, 그의 축제는 5번째 달 25일에 상인들에 의해 기념되었다.[47][48]
인도양 최초의 진정한 해상 무역 네트워크는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동남아시아의 섬들에서 구축한 것이었다.[52] 타이완과 필리핀의 원주민들이 시작한 해상 비취 길은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의 여러 지역을 연결하는 광범위한 무역 네트워크였다. 해상 비취 길은 서기 500년부터 1000년까지 마지막 몇 세기 동안 쇠퇴하기 시작했다. 네트워크의 전체 기간은 이 지역의 다양한 사회들에게 황금기였다.[53][54][55][56] 해상 활동을 하는 동남아시아인들은 기원전 1500년경부터 이미 남인도와 스리랑카와 무역로를 구축하여 카타마란, 아웃리거 카누등을 교류하고, 인도와 중국의 물질 문화를 연결했다. 특히 인도네시아인들은 카타마란과 아웃리거 카누를 사용하여 동아프리카와 향신료(주로 계피와 카시아)를 거래했으며, 인도양의 편서풍을 이용하여 항해했다. 이 무역 네트워크는 아프리카와 아라비아 반도에 이르기까지 확장되었다.[52][57][58][59][60]
콜럼버스 이전 멕시코와 그 인근 사회의 교역망 출현은 기원전 1500년 전후 몇 년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62] 무역망은 북쪽으로 오아시스아메리카(Oasisamerica)까지 미쳤다. 남미 북서부와 카리브해 문화권과의 확립된 해상 무역의 증거가 있다.
로마 제국의 멸망과 그 뒤를 이은 암흑기는 서유럽에 불안정을 가져왔고 서구 세계의 무역 네트워크는 거의 붕괴되었다. 그러나 아프리카, 중동, 인도, 중국, 동남아시아 왕국들 사이에서는 무역이 계속 번창했다. 서구에서도 일부 무역이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라다나이트는 중세 길드 또는 집단으로 유럽의 기독교인과 근동의 무슬림 사이에서 무역을 한 유대인 상인들이었다.[51] 중세 시대 유럽에서는 무역 박람회를 통해 사치품을 거래하며 상업이 발전했다. 부는 동산 또는 자본으로 전환되었고, 국경을 넘나드는 계좌 이체가 가능한 은행 시스템이 발달했다. 직접 거래 시장은 도시 생활의 특징이 되었고, 도시 당국에 의해 규제되었다. 서유럽은 복잡하고 광범위한 무역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화물선이 주요 운송 수단이었다. 코그선과 헐크선이 그 예이다.[63] 많은 항구 도시들이 자체적인 광범위한 무역 네트워크를 발전시켰다. 영국의 항구 도시 브리스톨은 현대 아이슬란드, 프랑스 서해안 전역, 그리고 현재 스페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역의 사람들과 무역을 했다.[64]
중세 시대 중앙아시아는 세계 경제의 중심지였다.[65] 소그드인들은 4세기부터 8세기까지 실크로드로 알려진 동서 무역로를 지배했으며, 수야브와 타라즈가 그들의 주요 북부 중심지였다. 그들은 중앙아시아의 주요 대상 상인들이었다. 중세 시대부터 해상 공화국들, 특히 베네치아 공화국, 피사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은 지중해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1세기부터 15세기 후반까지 베네치아 공화국과 제노바 공화국은 주요 무역 중심지였다. 그들은 수세기 동안 유럽과 근동 간의 독점권을 가지고 지중해와 흑해 무역을 지배했다.[66][67] 8세기부터 11세기까지 바이킹과 바랑기인은 스칸디나비아를 오가며 무역을 했다. 바이킹은 서유럽으로, 바랑기인은 키예프 루스로 항해했다. 한자 동맹은 13세기부터 17세기까지 북유럽과 발트해 지역 대부분에 대한 무역 독점을 유지한 무역 도시들의 연합이었다.
906년에 당나라가 멸망하고 오대십국 시대를 거쳐 960년에 송나라가 중국을 통일한다. 이러한 정권 안정에 따라 중국과 조선의 민간 상인들이 활발하게 내항하여 민간 교역이 증가하자 일본에 다량의 송전이 유입되었다.[155] 이에 착안한 다이라노 기요모리는 오와다노토마리라는 항구를 정비하여 일송무역의 거점으로 삼고, 송전을 국내에 유입시킴으로써 강력한 헤이시 정권의 재정 기반을 구축하였으며, 동시에 화폐 경제를 일본에 확산시키는 계기를 만들었다.[156] 이후 일본과 여러 외국과의 교역은 화폐를 매개로 한 무역으로 전환되었다.
바스쿠 다 가마는 1498년 희망봉을 돌아 칼리컷에 도착하여 유럽의 향신료 무역을 개척했다. 이전에는 이슬람 세력이 인도-유럽 간 향신료 무역을 장악했었다. 향신료 무역은 대항해시대를 촉진할 만큼 경제적으로 중요했으며, 향신료는 때로는 금과 비견될 정도였다.[68] 1070년 이후 서아프리카 왕국들은 사하라 사막 횡단 무역을 통해 세계 무역의 중요한 구성원이 되었다.[68] 16세기부터 유럽 상인들은 삼각무역의 일환으로 금, 향신료, 직물, 목재, 노예 등을 서아프리카에서 구입했다.[68] 이는 현지 통화로 사용되는 직물, 철, 카우리 조개 등과 교환되기도 했다.[68] 1352년에 건국된 벵골 술탄국은 주요 무역 국가였으며, 유럽인들은 종종 무역할 가장 부유한 국가로 언급했다.[69]
16세기와 17세기에 포르투갈은 콩고 왕국에서 경제적 우위를 점했는데, 이는 무역 철학의 차이 때문이었다.[68] 포르투갈 상인들은 자본 축적에 집중했지만, 콩고에서는 많은 무역 대상에 영적 의미가 부여되었다. 토비 그린에 따르면, 콩고에서는 "받는 것보다 더 주는 것이 영적, 정치적 권력과 특권의 상징"이었다.[68] 16세기에 네덜란드 17개 주는 자유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환율 통제 없이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을 옹호했다. 동인도 무역은 16세기에는 포르투갈, 17세기에는 네덜란드 공화국, 18세기에는 영국이 지배했다. 스페인 제국은 대서양과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정기적인 무역 루트를 개발했다.
1776년 애덤 스미스는 "국부론"에서 중상주의를 비판하고, 경제적 특화가 국가에도 이익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노동 분업이 시장 규모에 의해 제한되므로, 더 큰 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국가가 더 생산적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스미스는 모든 수입 및 수출 통제를 특정 산업에 이익을 주는 "속임수"로 간주했다. 1799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경쟁적인 자유 무역으로 인해 파산했다.
1817년, 데이비드 리카르도, 제임스 밀, 로버트 토렌스는 비교우위 이론을 통해 자유무역이 산업적으로 강한 국가뿐만 아니라 약한 국가에도 이익이 된다는 것을 보였다. 리카르도는 『정치경제학 및 과세 원리』에서 "비효율적인 생산자가 자신이 가장 잘 생산하는 상품을 더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국가에 수출하더라도 두 국가 모두 이익을 얻는다"고 주장했다. 19세기 중반 자유무역의 부상은 국가적 이익에 기반했다. 즉, 각국의 국경을 수입에 개방하는 것이 자국 이익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계산했다.
존 스튜어트 밀은 국제 시장에서 독점적 가격 결정력을 가진 국가가 관세를 통해 교역 조건을 조작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상호주의 무역 정책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리카르도 등도 이전에 이를 시사했다. 이는 자유무역의 보편적 교리에 대한 반증으로, '상호적인' 무역 정책을 따르는 국가가 무역으로 인한 경제적 잉여를 더 많이 얻을 것이라고 믿었다. 밀턴 프리드먼은 관세가 몇몇 상황에서 개최국에 이익이 될 수 있지만, 세계 전체에는 결코 이익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다.[70] 보호무역주의는 국가 간 무역을 제한하는 정책으로, 자유무역 정책과 대조된다. 이 정책은 종종 관세와 제한적인 할당량의 형태를 취한다. 보호무역주의 정책은 특히 대공황과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사이인 1930년대에 널리 퍼져 있었다.
대공황은 1929년부터 1930년대 후반까지 지속된 심각한 경기침체였다. 이 기간 동안 무역 및 기타 경제 지표가 크게 감소했다. 자유무역의 부재는 많은 사람들에게 침체와 인플레이션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으로 여겨졌다.[71] 미국에서 이러한 불황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해야 종식되었다. 1944년, 44개국은 브레튼우즈 협정에 서명하여 불황을 피하기 위해 국가 간 무역 장벽을 제거하려고 했다. 이 협정은 국제 정치 경제를 규제하기 위한 규칙과 제도를 마련했는데, 여기에는 국제통화기금과 국제부흥개발은행(이후 세계은행 및 국제결제은행으로 분리됨)이 포함된다. 이러한 기구들은 충분한 국가가 협정을 비준한 후인 1946년에 운영을 시작했다. 1947년에는 23개국이 자유 무역을 증진하기 위해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에 합의했다.[72] 유럽 연합은 세계 최대의 제조업 제품 및 서비스 수출국이자 약 80개국의 최대 수출 시장이 되었다.[73]
오늘날 무역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시장(개인과 다른 기업 모두 포함)에 제품과 서비스를 최저 생산비로 제공하려는 복잡한 기업 시스템의 한 부분일 뿐이다. 국제 무역 시스템은 세계 경제 발전에 기여했지만, 관세를 낮추거나 자유 무역을 달성하기 위한 양자 또는 다자간 협정과 결합되어 때로는 지역 제품의 제3세계 시장에 피해를 주기도 했다.
세계무역기구(WTO) 도하 개발 아젠다 협상은 전 세계 무역 장벽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특히 개발도상국의 공정 무역을 증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협상은 주요 선진국(G20이 대표)과 주요 개발도상국 간의 의견 차이로 교착상태에 놓였다. 농업 보조금은 합의가 가장 어려운 주요 쟁점이었다. 반면, 무역 원활화 및 역량 구축에 대해서는 상당한 합의가 이루어졌다. 도하 개발 아젠다 협상은 카타르 도하[81]에서 시작되었으며, 멕시코 칸쿤, 스위스 제네바, 프랑스 파리, 홍콩에서 계속되었다.
1978년경부터 중화인민공화국(PRC) 정부는 경제 개혁을 시도했다. 이전의 소련식 중앙 계획 경제와는 달리, 새로운 조치들은 농업, 농산물 유통, 그리고 몇 년 후에는 도시 기업과 노동에 대한 규제를 점진적으로 완화했다. 시장 중심적인 접근 방식은 비효율성을 줄이고 특히 농민들에 의한 민간 투자를 자극하여 생산성과 생산량을 증가시켰다. 한 가지 특징은 남동부 해안에 위치한 4개(이후 5개)의 특별경제구역을 설립한 것이다.[82] 개혁은 생산량, 다양성, 품질, 가격 및 수요 증가라는 측면에서 눈부신 성공을 거두었다. 실질적으로 경제 규모는 1978년부터 1986년까지 두 배로 증가했고, 1994년과 2003년에도 다시 두 배로 증가했다. 실질 1인당 기준으로는 1978년 기준으로 1987년, 1996년, 2006년에 두 배가 되었다. 2008년까지 경제 규모는 1978년 대비 16.7배, 1인당 기준으로는 12.1배가 되었다. 국제 무역은 더욱 빠르게 성장하여 평균 4.5년마다 두 배씩 증가했다. 1998년 1월의 총 교역액은 1978년 연간 교역액을 초과했고, 2009년 1분기 교역액은 1998년 연간 수준을 초과했다. 2008년 중국의 총 교역액은 2.56조달러였다.[83] 1991년 중국은 무역 촉진 포럼인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에 가입했다.[84] 2001년에는 세계무역기구에도 가입했다.[85]
특정 국가에 대한 무역 제재는 그 국가의 어떤 행동에 대한 처벌로 때때로 부과된다. 외부적으로 부과된 고립의 심각한 형태인 엠바고는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 대한 모든 무역을 차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은 60년 이상 쿠바에 대한 엠바고를 유지해 왔다.[87] 엠바고는 일반적으로 일시적인 것이다. 아르메니아는 2020년 12월 31일 터키 제품에 대한 일시적인 엠바고를 실시하고 터키산 수입품을 금지했는데, 이는 터키의 아르메니아에 대한 적대적인 태도를 고려할 때 식량 안보 우려로 인해 발생했다.[88]
3. 1. 선사 시대
무역은 인류의 의사소통이 시작된 선사 시대부터 존재했다. 선사 시대 사람들은 현대 화폐가 발명되기 이전부터 물물교환 경제를 통해 서로 재화와 용역을 교환했다. 피터 왓슨은 장거리 무역의 역사를 약 15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주장한다.[9]
지중해 지역에서는 약 3만 5천 년~3만 년 전 BP부터 주로 다뉴브 강을 이용한 현생 인류(''Homo sapiens'') 간의 문화 접촉이 가장 초기의 교류 사례로 여겨진다.[10][11][12][13]
흑요석과 차돌의 교환이 석기 시대에 이루어졌다는 증거가 있다. 뉴기니에서는 기원전 1만 7천년 전부터 흑요석 무역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여겨진다.[15][16]
미카사노미야 다카히토일본어는 근동 지역에서 흑요석이 가장 먼저 사용된 시기는 하부 및 중기 구석기 시대라고 하였다.[17]
로버트 카르 보산켓은 1901년 발굴 조사를 통해 석기 시대의 무역을 연구했다.[18][19] 제조품 무역에 대한 최초의 명확한 고고학적 증거는 서남아시아에서 발견된다.[20][21]
흑요석 사용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는 이 물질이 늦은 중석기 시대부터 신석기 시대까지 점점 더 선호되는 재료가 된 과정, 그리고 지중해 지역에서 흑요석 매장량이 드물기 때문에 교환이 필요했던 과정을 보여준다.[26][22][23]
흑요석은 절단 도구나 연장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지만, 다른 더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가 있었기 때문에 "부자의 차돌"이라고 불릴 정도로 부족 내 높은 지위층에서만 사용되었다.[24] 흑요석은 차돌에 비해 가치를 유지해왔다. 초기 무역상들은 지중해 지역에서 900킬로미터 떨어진 곳까지 흑요석을 거래했다.[25]
유럽 신석기 시대 지중해 지역 무역에서 흑요석이 가장 중요한 물품이었다.[26][27] 기원전 1만 2천년경에 이미 무역망이 존재했다.[28] 1990년 자린스의 연구에 따르면, 아나톨리아는 레반트, 이란, 이집트와의 무역의 주요 공급원이었다.[29][30][31] 고고학적으로 알려진 바에 따르면, 멜로스와 리파리는 지중해 지역에서 가장 광범위한 무역을 했던 지역 중 하나였다.[32]
아프가니스탄 산맥의 사리-이-상 광산은 청금석 무역의 가장 큰 공급원이었다.[33][34] 청금석은 기원전 1595년부터 시작된 바빌로니아의 카시트 시대에 가장 많이 거래되었다.[35][36]
아담 스미스는 상업의 기원을 선사 시대의 최초 거래로 거슬러 올라간다. 전통적인 자급자족 외에도 무역은 선사 시대 사람들에게 주요한 능력이 되었으며, 서로 가지고 있는 것을 교환하여 재화와 용역을 얻었다.
3. 2. 고대
무역은 인류의 의사소통이 시작된 선사 시대부터 존재했다. 선사 시대 사람들은 물물교환 경제를 통해 재화와 용역을 교환했다. 피터 왓슨은 장거리 무역의 역사를 약 15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주장한다.[9] 지중해 지역에서는 약 3만 5천 년~3만 년 전 BP부터 주로 다뉴브 강을 이용한 현생 인류 (''Homo sapiens'') 간의 문화 접촉이 가장 초기의 교류 사례로 여겨진다.[10][11][12][13]
흑요석과 차돌의 교환이 석기 시대에 이루어졌다는 증거가 있다. 뉴기니에서는 기원전 1만 7천년 전부터 흑요석 무역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여겨진다.[15][16] 미카사 친왕 다카히토는 근동 지역에서 흑요석이 가장 먼저 사용된 시기는 하부 및 중기 구석기 시대라고 언급했다.[17] 로버트 카르 보산켓은 1901년 발굴 조사를 통해 석기 시대의 무역을 연구했다.[18][19] 제조품 무역에 대한 최초의 명확한 고고학적 증거는 서남아시아에서 발견된다.[20]
흑요석은 절단 도구나 연장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지만, 다른 더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가 있었기 때문에 "부자의 차돌"이라고 불릴 정도로 부족 내 높은 지위층에서만 사용되었다.[24] 초기 무역상들은 지중해 지역에서 900킬로미터 떨어진 곳까지 흑요석을 거래했다.[25] 유럽 신석기 시대 지중해 지역 무역에서 흑요석이 가장 중요한 물품이었다.[26][27] 기원전 1만 2천년경에 이미 무역망이 존재했다.[28] 1990년 자린스의 연구에 따르면, 아나톨리아는 레반트, 이란, 이집트와의 무역의 주요 공급원이었다.[29][30][31] 멜로스와 리파리는 지중해 지역에서 가장 광범위한 무역을 했던 지역 중 하나였다.[32]
아프가니스탄 산맥의 사리-이-상 광산은 청금석 무역의 가장 큰 공급원이었다.[33][34] 청금석은 기원전 1595년부터 시작된 바빌로니아의 카시트 시대에 가장 많이 거래되었다.[35][36]
아담 스미스는 상업의 기원을 선사 시대의 최초 거래로 거슬러 올라간다. 무역은 선사 시대 사람들에게 주요한 능력이 되었으며, 서로 가지고 있는 것을 교환하여 재화와 용역을 얻었다. 최초의 기록은 무역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기원전 1만 년경 시리아 유프라테스 상류 계곡에서 발견된 회계용 점토 토큰(점토 토큰) 체계는 최초의 기록 형태 중 하나이다.
에블라는 기원전 3천년기에 아나톨리아와 북 메소포타미아에 이르는 광범위한 무역 네트워크를 가진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다.[32][37][38][39]
기원전 3000년부터 이집트와 보석류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들이 무역되었다. 장거리 무역로는 기원전 3천년기에 처음 등장했는데, 당시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인들이 인더스 계곡의 하라파 문명과 무역을 했다.[40] 페니키아인들은 유명한 해상 무역업자였으며, 지중해를 가로질러 영국까지 청동 제작을 위한 주석을 구하러 갈 정도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그들은 그리스인들이 엠포리아라고 부르는 무역 식민지를 건설했다.[41]
기원전 175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Ea-nāṣir에게 보낸 불만 토판은 당시 구리 상인의 고초를 기록하고 있다.
고대 그리스에서 헤르메스는 무역[44][45] (상업)과 무게와 측정의 신이었다.[46] 고대 로마에서는 메르쿠리우스가 상인의 신이었으며, 그의 축제는 5번째 달 25일에 상인들에 의해 기념되었다.[47][48]
인도양 최초의 진정한 해상 무역 네트워크는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동남아시아의 섬들에서 구축한 것이었다.[52] 타이완과 필리핀의 원주민들이 시작한 해상 비취 길은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의 여러 지역을 연결하는 광범위한 무역 네트워크였다. 주요 상품은 타이완 원주민들이 채굴한 비취였으며, 이는 최소 3,000년 동안 존재했으며, 기원전 2000년부터 서기 500년까지 생산량이 최고조에 달했는데, 이는 유라시아 대륙의 실크로드와 후대의 해상 실크로드보다 오래되었다. 해상 비취 길은 서기 500년부터 1000년까지 마지막 몇 세기 동안 쇠퇴하기 시작했다. 네트워크의 전체 기간은 이 지역의 다양한 사회들에게 황금기였다.[53][54][55][56]
해상 활동을 하는 동남아시아인들은 기원전 1500년경부터 이미 남인도와 스리랑카와 무역로를 구축하여 카타마란, 아웃리거 카누등을 교류하고, 인도와 중국의 물질 문화를 연결했다. 특히 인도네시아인들은 카타마란과 아웃리거 카누를 사용하여 동아프리카와 향신료(주로 계피와 카시아)를 거래했으며, 인도양의 편서풍을 이용하여 항해했다. 이 무역 네트워크는 아프리카와 아라비아 반도에 이르기까지 확장되었다. 이것은 역사 시대까지 계속되었고, 나중에 해상 실크로드가 되었다.[52][57][58][59][60]
콜럼버스 이전 멕시코와 그 인근 사회의 교역망 출현은 기원전 1500년 전후 몇 년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62]
무역망은 북쪽으로 오아시스아메리카(Oasisamerica)까지 미쳤다. 남미 북서부와 카리브해 문화권과의 확립된 해상 무역의 증거가 있다.
3. 3. 중세
에블라는 기원전 3천년기에 아나톨리아와 북 메소포타미아에 이르는 광범위한 무역 네트워크를 가진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다.[32][37][38][39]
기원전 3000년부터 이집트와 보석류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들이 무역되었다. 기원전 3천년기에 장거리 무역로가 처음 등장했는데, 당시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인들이 인더스 계곡의 하라파 문명과 무역을 했다.[40] 페니키아인들은 유명한 해상 무역업자였으며, 지중해를 가로질러 영국까지 청동 제작을 위한 주석을 구하러 갈 정도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그들은 그리스인들이 엠포리아라고 부르는 무역 식민지를 건설했다.[41] 지중해 연안에서는 연안 지역의 연결성이 좋을수록 철기 시대 유적지가 많다는 긍정적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 이는 지역의 무역 잠재력이 인간 정착의 중요한 결정 요인이었음을 시사한다.[42]
그리스 문명의 시작부터 5세기에 로마 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수익성이 좋은 무역이 인도와 중국을 포함한 극동에서 유럽으로 귀중한 향신료를 가져왔다. 로마의 상업은 제국의 번영과 지속을 가능하게 했다. 후기 로마 공화국과 로마 제국의 팍스 로마나는 안정적이고 안전한 운송망을 만들어 로마가 이집트와 근동 정복으로 지중해에서 유일한 효과적인 해상 강국이 된 이후, 상당한 해적행위의 위험 없이 무역품을 운송할 수 있게 했다.[43]
고대 그리스에서 헤르메스는 무역[44][45] (상업)과 무게와 측정의 신이었다.[46] 고대 로마에서는 ''메르쿠리우스''가 상인의 신이었으며, 그의 축제는 5번째 달 25일에 상인들에 의해 기념되었다.[47][48] 자유 무역의 개념은 고대 그리스 국가의 군주들의 의지와 경제적 방향과는 정반대였다. 국가 간 자유 무역은 군주의 재무부 내 안보를 유지하기 위한 엄격한 내부 통제(세금을 통해)의 필요성에 의해 억제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능적인 공동체 생활 구조 내에서 ''약간의'' 질서를 유지할 수 있게 했다.[49][50]
로마 제국의 멸망과 그 뒤를 이은 암흑기는 서유럽에 불안정을 가져왔고 서구 세계의 무역 네트워크는 거의 붕괴되었다. 그러나 아프리카, 중동, 인도, 중국, 동남아시아 왕국들 사이에서는 무역이 계속 번창했다. 서구에서도 일부 무역이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라다나이트는 중세 길드 또는 집단(단어의 정확한 의미는 역사에 묻혀 있다)으로 유럽의 기독교인과 근동의 무슬림 사이에서 무역을 한 유대인 상인들이었다.[51] 중세 시대 유럽에서는 무역 박람회를 통해 사치품을 거래하며 상업이 발전했다. 부는 동산 또는 자본으로 전환되었고, 국경을 넘나드는 계좌 이체가 가능한 은행 시스템이 발달했다. 직접 거래 시장은 도시 생활의 특징이 되었고, 도시 당국에 의해 규제되었다.
서유럽은 복잡하고 광범위한 무역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화물선이 주요 운송 수단이었다. 코그선과 헐크선이 그 예이다.[63] 많은 항구 도시들이 자체적인 광범위한 무역 네트워크를 발전시켰다. 영국의 항구 도시 브리스톨은 현대 아이슬란드, 프랑스 서해안 전역, 그리고 현재 스페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역의 사람들과 무역을 했다.[64]
중세 시대 중앙아시아는 세계 경제의 중심지였다.[65] 소그드인들은 4세기부터 8세기까지 실크로드로 알려진 동서 무역로를 지배했으며, 수야브와 타라즈가 그들의 주요 북부 중심지였다. 그들은 중앙아시아의 주요 대상 상인들이었다.
중세 시대부터 해상 공화국들, 특히 베네치아 공화국, 피사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은 지중해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1세기부터 15세기 후반까지 베네치아 공화국과 제노바 공화국은 주요 무역 중심지였다. 그들은 수세기 동안 유럽과 근동 간의 독점권을 가지고 지중해와 흑해 무역을 지배했다.[66][67]
8세기부터 11세기까지 바이킹과 바랑기인은 스칸디나비아를 오가며 무역을 했다. 바이킹은 서유럽으로, 바랑기인은 키예프 루스로 항해했다. 한자 동맹은 13세기부터 17세기까지 북유럽과 발트해 지역 대부분에 대한 무역 독점을 유지한 무역 도시들의 연합이었다.
906년에 당나라가 멸망하고 오대십국 시대를 거쳐 960년에 송나라가 중국을 통일한다. 이러한 정권 안정에 따라 중국과 조선의 민간 상인들이 활발하게 내항하여 민간 교역이 증가하자 일본에 다량의 송전이 유입되었다.[155] 이에 착안한 다이라노 기요모리는 오와다노토마리라는 항구를 정비하여 일송무역의 거점으로 삼고, 송전을 국내에 유입시킴으로써 강력한 헤이시 정권의 재정 기반을 구축하였으며, 동시에 화폐 경제를 일본에 확산시키는 계기를 만들었다.[156] 이후 일본과 여러 외국과의 교역은 화폐를 매개로 한 무역으로 전환되었다.
3. 4. 근대
바스쿠 다 가마는 1498년 희망봉을 돌아 칼리컷에 도착하여 유럽의 향신료 무역을 개척했다. 이전에는 이슬람 세력이 인도-유럽 간 향신료 무역을 장악했었다. 향신료 무역은 대항해시대를 촉진할 만큼 경제적으로 중요했으며, 향신료는 때로는 금과 비견될 정도였다.[68]
1070년 이후 서아프리카 왕국들은 사하라 사막 횡단 무역을 통해 세계 무역의 중요한 구성원이 되었다.[68] 16세기부터 유럽 상인들은 삼각무역의 일환으로 금, 향신료, 직물, 목재, 노예 등을 서아프리카에서 구입했다.[68] 이는 현지 통화로 사용되는 직물, 철, 카우리 조개 등과 교환되기도 했다.[68]
1352년에 건국된 벵골 술탄국은 주요 무역 국가였으며, 유럽인들은 종종 무역할 가장 부유한 국가로 언급했다.[69]
16세기와 17세기에 포르투갈은 콩고 왕국에서 경제적 우위를 점했는데, 이는 무역 철학의 차이 때문이었다.[68] 포르투갈 상인들은 자본 축적에 집중했지만, 콩고에서는 많은 무역 대상에 영적 의미가 부여되었다. 토비 그린에 따르면, 콩고에서는 "받는 것보다 더 주는 것이 영적, 정치적 권력과 특권의 상징"이었다.[68]
16세기에 네덜란드 17개 주는 자유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환율 통제 없이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을 옹호했다. 동인도 무역은 16세기에는 포르투갈, 17세기에는 네덜란드 공화국, 18세기에는 영국이 지배했다. 스페인 제국은 대서양과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정기적인 무역 루트를 개발했다.
1776년 애덤 스미스는 "국부론"에서 중상주의를 비판하고, 경제적 특화가 국가에도 이익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노동 분업이 시장 규모에 의해 제한되므로, 더 큰 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국가가 더 생산적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스미스는 모든 수입 및 수출 통제를 특정 산업에 이익을 주는 "속임수"로 간주했다.
1799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경쟁적인 자유 무역으로 인해 파산했다.
1817년, 데이비드 리카르도, 제임스 밀, 로버트 토렌스는 비교우위 이론을 통해 자유무역이 산업적으로 강한 국가뿐만 아니라 약한 국가에도 이익이 된다는 것을 보였다. 리카르도는 『정치경제학 및 과세 원리』에서 "비효율적인 생산자가 자신이 가장 잘 생산하는 상품을 더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국가에 수출하더라도 두 국가 모두 이익을 얻는다"고 주장했다.
19세기 중반 자유무역의 부상은 국가적 이익에 기반했다. 즉, 각국의 국경을 수입에 개방하는 것이 자국 이익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계산했다.
존 스튜어트 밀은 국제 시장에서 독점적 가격 결정력을 가진 국가가 관세를 통해 교역 조건을 조작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상호주의 무역 정책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리카르도 등도 이전에 이를 시사했다. 이는 자유무역의 보편적 교리에 대한 반증으로, '상호적인' 무역 정책을 따르는 국가가 무역으로 인한 경제적 잉여를 더 많이 얻을 것이라고 믿었다. 밀턴 프리드먼은 관세가 몇몇 상황에서 개최국에 이익이 될 수 있지만, 세계 전체에는 결코 이익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다.[70]
보호무역주의는 국가 간 무역을 제한하는 정책으로, 자유무역 정책과 대조된다. 이 정책은 종종 관세와 제한적인 할당량의 형태를 취한다. 보호무역주의 정책은 특히 대공황과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사이인 1930년대에 널리 퍼져 있었다.
3. 5. 현대
대공황은 1929년부터 1930년대 후반까지 지속된 심각한 경기침체였다. 이 기간 동안 무역 및 기타 경제 지표가 크게 감소했다.
자유무역의 부재는 많은 사람들에게 침체와 인플레이션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으로 여겨졌다.[71] 미국에서 이러한 불황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해야 종식되었다. 1944년, 44개국은 브레튼우즈 협정에 서명하여 불황을 피하기 위해 국가 간 무역 장벽을 제거하려고 했다. 이 협정은 국제 정치 경제를 규제하기 위한 규칙과 제도를 마련했는데, 여기에는 국제통화기금과 국제부흥개발은행(이후 세계은행 및 국제결제은행으로 분리됨)이 포함된다. 이러한 기구들은 충분한 국가가 협정을 비준한 후인 1946년에 운영을 시작했다. 1947년에는 23개국이 자유 무역을 증진하기 위해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에 합의했다.[72]
유럽 연합은 세계 최대의 제조업 제품 및 서비스 수출국이자 약 80개국의 최대 수출 시장이 되었다.[73]
오늘날 무역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시장(개인과 다른 기업 모두 포함)에 제품과 서비스를 최저 생산비로 제공하려는 복잡한 기업 시스템의 한 부분일 뿐이다. 국제 무역 시스템은 세계 경제 발전에 기여했지만, 관세를 낮추거나 자유 무역을 달성하기 위한 양자 또는 다자간 협정과 결합되어 때로는 지역 제품의 제3세계 시장에 피해를 주기도 했다.
세계무역기구(WTO) 도하 개발 아젠다 협상은 전 세계 무역 장벽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특히 개발도상국의 공정 무역을 증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협상은 주요 선진국(G20이 대표)과 주요 개발도상국 간의 의견 차이로 교착상태에 놓였다. 농업 보조금은 합의가 가장 어려운 주요 쟁점이었다. 반면, 무역 원활화 및 역량 구축에 대해서는 상당한 합의가 이루어졌다. 도하 개발 아젠다 협상은 카타르 도하[81]에서 시작되었으며, 멕시코 칸쿤, 스위스 제네바, 프랑스 파리, 홍콩에서 계속되었다.
1978년경부터 중화인민공화국(PRC) 정부는 경제 개혁을 시도했다. 이전의 소련식 중앙 계획 경제와는 달리, 새로운 조치들은 농업, 농산물 유통, 그리고 몇 년 후에는 도시 기업과 노동에 대한 규제를 점진적으로 완화했다. 시장 중심적인 접근 방식은 비효율성을 줄이고 특히 농민들에 의한 민간 투자를 자극하여 생산성과 생산량을 증가시켰다. 한 가지 특징은 남동부 해안에 위치한 4개(이후 5개)의 특별경제구역을 설립한 것이다.[82]
개혁은 생산량, 다양성, 품질, 가격 및 수요 증가라는 측면에서 눈부신 성공을 거두었다. 실질적으로 경제 규모는 1978년부터 1986년까지 두 배로 증가했고, 1994년과 2003년에도 다시 두 배로 증가했다. 실질 1인당 기준으로는 1978년 기준으로 1987년, 1996년, 2006년에 두 배가 되었다. 2008년까지 경제 규모는 1978년 대비 16.7배, 1인당 기준으로는 12.1배가 되었다. 국제 무역은 더욱 빠르게 성장하여 평균 4.5년마다 두 배씩 증가했다. 1998년 1월의 총 교역액은 1978년 연간 교역액을 초과했고, 2009년 1분기 교역액은 1998년 연간 수준을 초과했다. 2008년 중국의 총 교역액은 2.56조달러였다.[83]
1991년 중국은 무역 촉진 포럼인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에 가입했다.[84] 2001년에는 세계무역기구에도 가입했다.[85]
특정 국가에 대한 무역 제재는 그 국가의 어떤 행동에 대한 처벌로 때때로 부과된다. 외부적으로 부과된 고립의 심각한 형태인 엠바고는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 대한 모든 무역을 차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은 60년 이상 쿠바에 대한 엠바고를 유지해 왔다.[87] 엠바고는 일반적으로 일시적인 것이다. 아르메니아는 2020년 12월 31일 터키 제품에 대한 일시적인 엠바고를 실시하고 터키산 수입품을 금지했는데, 이는 터키의 아르메니아에 대한 적대적인 태도를 고려할 때 식량 안보 우려로 인해 발생했다.[88]
4. 현대의 무역
현대의 무역은 이윤 극대화를 위한 복잡한 기업 시스템의 일부이며, 국제 무역 시스템은 세계 경제 발전에 기여했지만, 때로는 제3세계 시장에 피해를 주기도 했다.[74] 자유 무역은 20세기 후반과 2000년대 초에 더욱 발전했다.
- 1992년 유럽 연합은 재화와 노동에 대한 내부 무역 장벽을 해제했다.
- 1994년 1월 1일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이 발효되었다.
- 1994년 GATT 마라케시 협정은 WTO의 설립을 명시했다.
- 1995년 1월 1일 모든 서명국 간의 상호 최혜국 대우를 의무화함으로써 자유무역을 촉진하기 위해 세계무역기구가 설립되었다.
- EC는 유럽 연합으로 전환되었고, 2002년 유로를 도입하고 2007년 1월 1일 기준 13개 회원국 간의 실질적인 단일 시장을 만드는 경제통화연합(EMU)을 달성했다.
- 2005년에는 미국과 도미니카 공화국을 포함하는 중앙아메리카자유무역협정이 체결되었다.
국제 무역은 국가 간의 상품 및 서비스 교환을 의미하며, 대부분의 국가에서 국내총생산(GDP)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산업화, 발전된 교통, 세계화, 다국적 기업, 아웃소싱으로 인해 최근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중요성이 증가했다. 무역 성공의 예로는 수출 지향적 산업화 정책을 채택한 대한민국을 들 수 있는데, 대한민국은 지난 50년간 경제적 기준으로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86]
4. 1. 세계 무역 현황
세계의 무역 규모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1986년에서 1988년 사이 3년간 상품 수출액은 21260.43억달러에서 28122억달러로 32.2% 증가했다. 그러나 세계를 몇 개의 권역으로 구분하면 그 증감 추세는 차이가 있다.우선 미국, 일본, 유럽(EC, EFTA)을 주축으로 하는 선진 자유 제국과 아시아(NICS 포함), 아프리카, 사회주의 국가를 주축으로 하는 개발도상국으로 구분하면, NICS의 고도 성장률도 주목할 만하지만 선진 자유 제국의 신장률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 기간 중 선진 자유 제국의 신장률은 34%였던 데 비해 개발도상국은 32%, 사회주의 국가군의 신장률은 20.7%에 그치고 있다. 국가별로 볼 때 EC를 주축으로 하는 서구 제국의 신장률이 두드러졌으며 일본은 26.6% 증가한 데 비해, 미국은 마이너스 성장을 보임으로써 무역 역조 현상이 급속히 심화되고 있다.
상품 수입액에 있어서는 선진 자유 제국이 같은 기간 중 34% 증가, 개발도상국이 31% 증가로 나타났는데, 일본은 선진국의 무역 역조 시정 요구의 영향으로 48.3%의 높은 증가 추세를 보였다.
선진 자본주의 제국의 무역액은 다른 지역에 비해서 월등히 많았다. 각 권역의 수출액을 세계 수출 총액에 비교해 보면 선진 자유 제국이 70.5%, 개발도상국이 19.7%, 산유국 및 저개발국이 4.5%이고, 나머지가 사회주의 제국인데 그 규모의 계산은 다소 유동적이다. 무역 의존도가 특히 높은 나라는 벨기에, 영국, 네덜란드, 일본인데 북유럽 제국과 캐나다, 독일 등도 높다. 무역 의존도가 낮은 나라는 사회주의 제국과 저개발국들이다.
오늘날 무역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시장(개인과 다른 기업 모두 포함)에 제품과 서비스를 최저 생산비로 제공하려는 복잡한 기업 시스템의 한 부분일 뿐이다. 국제 무역 시스템은 세계 경제 발전에 기여했지만, 관세를 낮추거나 자유 무역을 달성하기 위한 양자 또는 다자간 협정과 결합되어 때로는 지역 제품의 제3세계 시장에 피해를 주기도 했다.
4. 2. 인터넷 무역
인터넷을 이용한 무역이 활기를 띠고 있다. 특히 해외 지사나 영업망을 갖추지 못한 중소기업들이 인터넷에 상품 소개 정보를 게시하고, 이를 본 바이어와 상담하는 방식으로 무역이 이루어진다. 한국의 대표적 인터넷 무역 사이트인 KOTRA가 운영하는 사이트에서는 한국 업체 상품 정보를 컬러 사진, 동영상, 음성,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한다.[1] 해외 바이어들은 이 상품들을 인터넷으로 확인한 뒤 전자 우편으로 상담을 주고받다가 조건이 맞으면 직접 만나 계약을 맺는다.[1] 하지만 인터넷 상에는 자신의 능력을 과장하거나 심지어 물건을 받은 뒤 대금을 떼먹는 바이어들도 많으므로, 계약 전 현지 무역관 등을 통해 바이어의 실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1]4. 3. 공정 무역
공정무역 운동은 '무역 정의' 운동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특히 제3세계와 제2세계에서 선진국으로 수출되는 상품 생산에 대한 노동, 환경, 사회적 문제 표준의 사용을 장려한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무역 자체가 인권으로 성문화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89]수입업체는 자발적으로 공정무역 기준을 준수하거나 정부가 고용법과 상법을 결합하여 이를 시행할 수 있다. 제안되고 실시되는 공정무역 정책은 다양하며, 노예 노동을 사용하여 만든 재화의 일반적인 금지에서 1980년대 커피와 같은 최저 가격 지지 제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비정부기구는 라벨링 요건 준수에 대한 독립적인 모니터 역할을 함으로써 공정무역 기준을 홍보하는 데에도 역할을 한다.[90][91] 따라서 이는 일종의 보호무역주의이다.
참조
[1]
논문
The Gains from International Trade
1939
[2]
논문
Trade, Growth, and Poverty
http://econ.worldban[...]
2017-10-26
[3]
서적
Marketing principles and best practices
https://www.shantraa[...]
Thomson/South-Western
2018-05-03
[4]
웹사이트
Distribution Services
http://www.fas.usda.[...]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2006-04-04
[5]
논문
World Trade, 1800-1938: A New Synthesis
2019
[6]
웹사이트
The World Trade Historical Database
https://voxeu.org/ar[...]
2019-10-07
[7]
서적
The Empirical Landscape of Trade Policy
http://www.econ.cam.[...]
North-Holland
2019-10-07
[8]
백과사전
[9]
문서
Watson (2005), Introduction.
[10]
서적
The Mediterranean in History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19-09-07
[11]
서적
Nature and Wealth: Overcoming Environmental Scarcity and Inequalit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09-07
[12]
서적
Great Adventures and Explorations: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As Told by the Explorers Themselves
https://books.google[...]
Literary Licensing
2020-01-23
[13]
간행물
Sea History, Issues 13–25
https://www.google.c[...]
National Maritime Historical Society
2012-06-26
[14]
서적
Dictionary of Symbolism Cultural Icons and the Meanings behind Them
[15]
서적
Studies in volcanic petrology: I. Talasea, New Guinea. II. Southwest Utah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1970
[16]
서적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9-07
[17]
서적
Essays on Anatolian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12-06-16
[18]
서적
The Athenaeum
https://books.google[...]
J. Francis
2016-10-26
[19]
서적
Myths of Crete and Pre-Hellenic Europe
http://www.sacred-te[...]
2012-06-09
[20]
서적
Premodern Trade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2-06-15
[21]
서적
Neolithic cultures of western Asia
https://books.google[...]
Seminar Press
1974-08-20
[22]
서적
Earth Sciences and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06-28
[23]
서적
Archaeology And History In Sardinia From The Stone Age To The Middle Ages: Shepherds, Sailors, & Conqueror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 Museum of Archaeology
2012-06-28
[24]
서적
Premodern Trade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9-07
[25]
논문
Obsidian in the Mediterranean and the Near East: A Provenancing Success Story
[26]
서적
The Early Mediterranean Village: Agency, Material Culture, and Social Change in Neolithic Ital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6-11
[27]
웹사이트
etymology online
http://www.etymonlin[...]
2012-06-09
[28]
서적
World History Encyclopedia, Volume 2
https://books.google[...]
ABC-CLIO
2012-06-11
[29]
서적
Early Dynastic Egypt: Strategies, Society and Security
https://www.amazon.i[...]
[30]
웹사이트
https://books.google[...]
[31]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Pliny
https://books.google[...]
H. G. Bohn
2012-06-11
[32]
서적
The Archaeology Of Mediterranean Prehisto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2-06-22
[33]
서적
Early Dynastic Egypt: Strategies, Society and Secur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07-03
[34]
서적
Near Eastern Seal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2-07-03
[35]
서적
The Babylonian world
Routledge
2012-07-03
[36]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Mesopotam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37]
서적
Syria, Lebanon, and Jordan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2011
[38]
서적
Citie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7
[39]
웹사이트
[40]
서적
The ancient Indus valley: new perspectives
ABC-CLIO
2008
[41]
학술지
Bulgarian Archaeologists To Start Excavations of Ancient Greek Emporium in Thracians' the Odrysian Kingdom
http://archaeologyin[...]
2015-07-12
[42]
학술지
Of Mice and Merchants: Connectedness and the Location of Economic Activity in the Iron Age
2021
[43]
문서
Pax Romana
[44]
서적
Cross-Cultural Trade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45]
서적
Hermes the Thief: The Evolution of a Myth
https://books.google[...]
SteinerBooks
1990
[46]
서적
A Dictionary of the Ancient Greek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47]
서적
Manual of Mythology
https://books.google[...]
Wildside Press LLC
2008
[48]
서적
Filled With the Spirit
https://books.google[...]
Sword of the Lord Publishers
2000
[49]
서적
Trade and Politics in Ancient Greece
https://books.google[...]
Biblo & Tannen Publishers
1933
[50]
웹사이트
Cambridge dictionaries online
[51]
학술지
The Rādhānite Merchants and the Land of Rādhān
[52]
서적
Early Exchange between Africa and the Wider Indian Ocean World
Palgrave Macmillan
2016
[53]
학술지
Recent advances in the Iron Age archaeology of Taiwan
2000
[54]
뉴스
Notes from central Taiwan: Our brother to the south. Taiwan's relations with the Philippines date back millennia, so it's a mystery that it's not the jewel in the crown of the New Southbound Policy
Taiwan Times
2021
[55]
뉴스
Birthplace of Austronesians is Taiwan, capital was Taitung: Scholar
Taiwan News
2017
[56]
웹사이트
Taiwan Jade in the Philippines: 3,000 Years of Trade and Long-distance Interaction
2011
[57]
학술지
Outrigger Ages
http://www.jps.auckl[...]
1974
[58]
서적
Archaeology and Language III: Artefacts languages, and texts
Routledge
1999
[59]
서적
Wangka: Austronesian Canoe Origins
Texas A&M University Press
1981
[60]
학술지
Fruits and arboriculture in the Indo-Pacific region
https://journals.lib[...]
2004
[61]
웹사이트
Aztec Hoe Money
http://americanhisto[...]
[62]
학술지
American Antiquity Vol. 43, No. 1
https://www.jstor.or[...]
1978
[63]
서적
Boats of the World : From the Stone Age to Medieval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64]
서적
Medieval England
Clarendon Press
1958
[65]
문서
Beckwith (2011)
[66]
웹사이트
Italian Trade Cities
https://courses.lume[...]
[67]
웹사이트
History of Genoa, Rival to Venice
https://www.odysseyt[...]
[68]
서적
A Fistful of Shells: West Africa from the Rise of the Slave Trade to the Age of Revolu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9
[69]
서적
Bengal: the unique state
https://books.google[...]
Concept Publishing Company
2005
[70]
서적
Price Theory
Transaction Publishers
1970
[71]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bbc.co.u[...]
2019-12-24
[72]
서적
China Hidden Cloak and Dagger History of MI5
https://books.google[...]
V. Gollancz
2015-09-05
[73]
웹사이트
EU position in world trade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16-03-07
[74]
웹사이트
Free-trade zone | international trad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12-01
[75]
문서
Nomani & Rahnema (1994)
[76]
성경
[77]
성경
[78]
성경
[79]
웹사이트
Is There Slavery In Your Chocolate?
https://web.archive.[...]
2005-11-24
[80]
문서
Davies (2002)
[81]
웹사이트
WTO The Doha Round
https://www.wto.org/[...]
2024-07-19
[82]
웹사이트
Documents & Reports – The World Bank
http://documents.wor[...]
2020-05-26
[83]
웹사이트
Foreign Trade: Data
https://www.census.g[...]
2017-05-07
[84]
웹사이트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https://www.apec.org[...]
2018-01-22
[85]
웹사이트
China and the WTO
https://www.wto.org/[...]
2018-01-22
[86]
논문
Globalization, localization and trade.
2000
[87]
뉴스
U.S.–Cuba Relations
https://web.archive.[...]
2017-05-07
[88]
웹사이트
On temporary ban on imports of goods having Turkish origin
https://www.gov.am/e[...]
2021-05-01
[89]
웹사이트
Should trade be considered a human right?
https://web.archive.[...]
COPLA
2008-12-09
[90]
웹사이트
FAIRTRADE Certification Mark. Guidelines Issue 1 – Autumn 2011
https://fairtrade.es[...]
Fairtrade Labelling Organizations International e.V.
2011
[91]
논문
The labour behind the (Fair Trade) label
2012-01-01
[92]
웹사이트
交易
https://kotobank.jp/[...]
[93]
웹사이트
取引/交易/貿易/輸出入/通商 の使い分け
https://dictionary.g[...]
[94]
웹사이트
交易
https://kotobank.jp/[...]
[95]
웹사이트
交易
https://kotobank.jp/[...]
[96]
논문
Trade, Growth, and Poverty
https://web.archive.[...]
2004
[97]
웹사이트
交
https://dictionary.g[...]
[98]
웹사이트
易
https://dictionary.g[...]
[99]
문서
Watson (2005)
[100]
서적
The Mediterranean in History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08-07-31
[101]
서적
Nature and Wealth: Overcoming Environmental Scarcity and Inequalit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
[102]
서적
Great Adventures and Explorations: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As Told by the Explorers Themselves
https://web.archive.[...]
Literary Licensing
[103]
간행물
Sea History, Issues 13-25
https://www.google.c[...]
National Maritime Historical Society
2018-09-15
[104]
서적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05]
서적
Studies in volcanic petrology: I. Talasea, New Guinea. II. Southwest Utah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1970
[106]
서적
Essays on Anatolian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1993
[107]
서적
The Athenaeum
https://books.google[...]
J. Francis
2016-10-26
[108]
서적
Myths of Crete and Pre-Hellenic Europe
https://archive.org/[...]
sacred-texts.com
1917
[109]
서적
Premodern Trade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8-07-31
[110]
서적
Neolithic cultures of western Asia
https://books.google[...]
Seminar Press
1974-08-20
[111]
서적
Earth Sciences and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1
[112]
서적
Archaeology And History In Sardinia From The Stone Age To The Middle Ages: Shepherds, Sailors, & Conqueror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 Museum of Archaeology
2007
[113]
서적
Premodern Trade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
[114]
학술지
Obsidian in the Mediterranean and the Near East: A Provenancing Success Story
1995
[115]
서적
The Early Mediterranean Village: Agency, Material Culture, and Social Change in Neolithic Ital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07-23
[116]
웹사이트
etymology online
http://www.etymonlin[...]
[117]
서적
World History Encyclopedia, Volume 2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03-23
[118]
서적
Early Dynastic Egypt: Strategies, Society and Security
https://books.google[...]
December 2016 #Dead Link
[119]
웹사이트
secondary sources
https://docs.google.[...]
[120]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Pliny, Volume 6
https://books.google[...]
H G Bohn
1857
[121]
서적
The Archaeology Of Mediterranean Prehisto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8-04-15
[122]
서적
Early Dynastic Egypt: Strategies, Society and Secur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1-08-08
[123]
서적
Near Eastern Seal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4]
서적
The Babylonian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5]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Mesopotam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07-07
[126]
서적
Syria, Lebanon, and Jordan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2011
[127]
서적
Citie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7
[128]
웹사이트
History World .net
[129]
학술지
Bulgarian Archaeologists To Start Excavations of Ancient Greek Emporium in Thracians' the Odrysian Kingdom
https://web.archive.[...]
2015-07-12
[130]
학술지
Of Mice and Merchants: Connectedness and the Location of Economic Activity in the Iron Age.
2021
[131]
문서
Pax Romana
[132]
서적
Cross-Cultural Trade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05-25
[133]
서적
Hermes the Thief: The Evolution of a Myth
https://books.google[...]
SteinerBooks
1990-03-01
[134]
서적
A Dictionary of the Ancient Greek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7-02-06
[135]
서적
Manual of Mythology
https://books.google[...]
Wildside Press LLC
2008-05-30
[136]
서적
Filled With the Spirit
https://books.google[...]
Sword of the Lord Publishers
2000-08-01
[137]
서적
Trade and Politics in Ancient Greece
Biblo & Tannen Publishers
1933-03-01
[141]
뉴스
Austronesians were first to sail the seas
https://www.smh.com.[...]
2008-12-11
[142]
논문
Recent advances in the Iron Age archaeology of Taiwan
2000
[143]
간행물
Notes from central Taiwan: Our brother to the south. Taiwan’s relations with the Philippines date back millenia, so it’s a mystery that it’s not the jewel in the crown of the New Southbound Policy.
2021
[144]
간행물
Birthplace of Austronesians is Taiwan, capital was Taitung: Scholar
2017
[145]
논문
Taiwan Jade in the Philippines: 3,000 Years of Trade and Long-distance Interaction
2011
[146]
학술지
Outrigger Ages
http://www.jps.auckl[...]
1974
[147]
서적
Archaeology and Language III: Artefacts languages, and texts
Routledge
[148]
서적
Wangka: Austronesian Canoe Origins
Texas A&M University Press
1981
[149]
학술지
Fruits and arboriculture in the Indo-Pacific region
https://journals.lib[...]
2004
[150]
웹사이트
金印
http://museum.city.f[...]
2022-08-26
[151]
웹사이트
親魏倭王
https://kotobank.jp/[...]
2022-08-26
[152]
웹사이트
【日本史講師対象】日本は何故中国に遣唐使を送ったのか?~遣唐使の奥にある国際情勢~
https://www.juku.st/[...]
2015-04-15
[153]
웹사이트
律令/律令制度
http://www.y-history[...]
2022-08-26
[154]
웹사이트
正倉院|宝物について
https://shosoin.kuna[...]
2022-08-26
[155]
웹사이트
日宋貿易
http://www.y-history[...]
2022-08-26
[156]
웹사이트
【中学歴史】平氏政権の特徴をわかりやすくまとめてみました
https://shakai-chire[...]
2022-08-26
[157]
서적
内蔵寮の収納機能
塙書房
2006
[158]
서적
交易制
吉川弘文館
198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