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촌은 조선 시대 성균관 주변에 형성된 마을로, 성균관의 부속 시설, 유생들의 거주지, 그리고 독특한 사회적 지위를 가진 주민들이 거주하는 공간이었다. 반촌은 성균관 노비의 후손으로 여겨지는 반민들이 거주하며, 성균관 유생들의 하숙과 사교 활동의 장소로 활용되었다. 반민들은 성균관의 잡역을 담당하고, 소 도살을 독점하는 등 독특한 사회적 지위를 누렸으며, 치외법권적인 특권을 누리기도 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성균관 해체와 함께 반촌도 사라졌지만, 반민들은 도살업에 종사하며 자녀 교육을 위한 학교를 설립하는 등 독자적인 사회 문화를 유지했다.
조선은 명나라와 청나라의 제후국이었으므로 조선의 최고 교육기관인 성균관을 반궁(泮宮)이라 불렀다. 반촌은 성균관 주위에 있는 마을을 가리키며, 반촌에 사는 사람은 반민 또는 반인(泮人)이라 불렀다.[1]
반촌은 기본적으로 반민들이 사는 마을이다. 반민이 모두 안향이 희사한 노비의 후손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조선 말까지 그들은 물론 다른 사람도 그렇게 믿었다고 한다.
2. 유래
반촌이라는 말이 언제 생겼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고려사》에는 나오지 않고, 《선조실록》 39년(1606년) 6월 15일 기사에서 처음 나타난다.[1]
2. 1. 이름의 유래
조선은 형식상 명나라와 청나라의 제후국이었으므로 조선의 최고 교육기관인 성균관을 반궁(泮宮)이라 불렀다. 반촌은 성균관 주위에 있는 마을을 가리키며, 반촌에 사는 사람은 반민 또는 반인(泮人)이라 불렀다.[1]
반촌이라는 말이 언제 생겼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고려사》에는 나오지 않고, 《선조실록》 39년(1606년) 6월 15일 기사에서 처음 나타난다.[1]
2. 2. 반민의 유래
고려 말 문성공(文成公) 안유가 자기 집안의 노비 1백여 명을 희사하여 학교[1]를 부흥하는 것을 도운 데서 반민이 유래하였다. 조선 시대에 한양으로 천도하여 국학(國學)[2]을 옮기자, 노비 자손이 수천 명이 되어 반수를 둘러싸고 집을 짓고 살아 동리를 이루었다. 이 때문에 사람들이 그곳을 반촌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그곳 사람들은 반민 또는 반인이라 부르게 되었다.
그 뒤 반민은 스스로를 안향이 희사한 노비의 후손이라고 믿었다고 한다.
3. 반촌의 성격
반촌은 성균관 유생들의 하숙촌이자, 성균관에서 다룰 수 없었던 천주교 경전 등을 토론하는 일종의 서클 활동 장소였다.
3. 1. 유생 숙식 및 교육 공간
반촌은 성균관 유생들의 하숙촌 역할을 했다. 성균관 유생은 원칙적으로 성균관에 딸린 재([3])에서 기숙해야 했다. 그러나 성균관의 숙식 공간이 부족하거나, 엄격한 규칙을 피하고 싶은 유생들은 성균관 밖 반촌에서 숙식을 해결했다. 과거 시험을 위해 지방에서 올라온 유생들이 반촌에 머무르기도 했다.
또한 반촌은 성균관에서 금지된 천주교 경전 등 유학 경전 이외의 내용을 토론하는 일종의 서클 활동 장소로 활용되었다. 정약용의 천주교 학습 사건이 반촌과 관련된 대표적인 사건이다.
3. 2. 도살권 독점 지역
반촌에서 반민이 소를 도살하게 된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 《중종실록》 7년 10월 30일 기사에서 성균관 유생에게 쇠고기를 반찬으로 제공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17세기 말 《숙종실록》 24년 1월 24일 기사에서 반인의 도살을 금지할 것을 청하는 내용이 나온다. 이처럼 오래전부터 성균관 유생에게 쇠고기를 반찬으로 내는 관습이 있었고, 그에 따라 반촌민에게, 그들이 백정이 아님에도, 소의 도살을 허락했으리라 추측하고 있다. 또한 조선 후기로 가면서 한양의 도살업을 반촌에서 독점하게 되었으리라 여겨진다.
한편 반촌은 그들만의 별천지였다. 《매일신보》 1916년 3월 11일부터 3월 26일까지 연재한 〈경성행각〉이라는 기사에 따르면, 반인은 “소의 도살을 생업으로 삼는 자를 칭하는 일종의 대명사”라고 하였다. 또한 “옛날에는 다른 동 사람으로서 이 동에 들어올 수도 없었으며, 이 동 사람이 다른 동으로 이사 가서 사는 일도 없어서, 일개 별천지를 형성하였다.”라고 하였다. 이에 대해 《영조실록》 19년 11월 6일 기사에서는 외인의 입주가 불허된 반촌을 재상의 아들이 점거하여 물의를 일으키기도 했음이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반촌에는 조선 시대에 금했던 여러 일, 곧 금란(禁亂)을 범하더라도 반촌에 들어가 조사할 수 없었다. 금란이란 조선 왕조 시대에 단속 대상으로 삼았던 소나무 벌채 금지[4], 임의 도살 금지[5], 양조 금지[6]인데, 이것을 범한 범인이 반촌에 숨어 버리면 추적이 불가능했다.
소의 도살에 종사했고, 다른 곳의 사람이 들어가지 못하며, 치외법권이나 다름없는 곳이었던 반촌은 그들만의 독특한 풍속을 유지하며 살게 된다. 또한 윤기(尹愭)의 〈반궁잡영〉(泮宮雜詠)이라는 한시에서 말씨가 서울 사람과 다르고, 사물에 붙이는 이름이 또한 서울 사람과 달랐다고 밝히고 있다.
4. 반민의 사회적 지위
반민은 기본적으로 안향이 희사한 노비가 하던 역할, 곧 성균관에서 잡역을 맡는 역할을 하였다. 반촌 남자가 성균관 소속 계집종과 관계하여 낳은 아들은 성균관의 직동, 즉 재지기가 되었다. 재지기는 재의 각 방에 딸린 심부름꾼 사내아이를 가리킨다. 재지기가 크면 수복(守僕)이 되어 성균관 내 제향과 관련한 육체 노동을 맡는다. 반촌 남자가 성균관 밖의 계집종과 관계하여 낳은 아들은 성균관 서리가 되었다. 이처럼 반민의 사회적 지위는 대단히 낮았다.
5. 반촌의 특권
반촌은 조선 시대에 금지되었던 여러 행위, 즉 금란(禁亂)을 범하더라도 함부로 들어가 조사할 수 없는 특권을 누렸다. 금란이란 소나무 벌채, 임의 도살, 양조 등을 금지하는 것[4][5][6]인데, 이를 어긴 범인이 반촌으로 숨으면 추적이 불가능했다. 이러한 치외법권적 특권으로 인해 반촌은 독자적인 풍속을 유지할 수 있었으며, 윤기(尹愭)의 〈반궁잡영〉(泮宮雜詠)에는 반촌 사람들의 말투와 사물에 붙이는 이름이 서울 사람들과 달랐다는 기록이 있다.
5. 1. 도살권 독점
반민이 소를 도살하게 된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 중종실록 7년 10월 30일 기사에서 성균관 유생에게 쇠고기를 반찬으로 제공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17세기 말 숙종실록 24년 1월 24일 기사에서 반인의 도살을 금지할 것을 청하는 내용이 나온다. 이처럼 오래전부터 성균관 유생에게 쇠고기를 반찬으로 내는 관습이 있었고, 그에 따라 반촌민에게, 그들이 백정이 아님에도, 소의 도살을 허락했으리라 추측하고 있다. 또한 조선 후기로 가면서 한양의 도살업을 반촌에서 독점하게 되었으리라 여겨진다.매일신보 1916년 3월 11일부터 3월 26일까지 연재한 〈경성행각〉이라는 기사에 따르면, 반인은 “소의 도살을 생업으로 삼는 자를 칭하는 일종의 대명사”라고 하였다. 또한 “옛날에는 다른 동 사람으로서 이 동에 들어올 수도 없었으며, 이 동 사람이 다른 동으로 이사 가서 사는 일도 없어서, 일개 별천지를 형성하였다.”라고 하였다.
5. 2. 치외법권적 지위
반촌은 그들만의 별천지였다. 매일신보 1916년 3월 11일부터 3월 26일까지 연재한 〈경성행각〉이라는 기사에 따르면, 반인은 “소의 도살을 생업으로 삼는 자를 칭하는 일종의 대명사”였다. 또한 “옛날에는 다른 동 사람으로서 이 동에 들어올 수도 없었으며, 이 동 사람이 다른 동으로 이사 가서 사는 일도 없어서, 일개 별천지를 형성하였다.”라고 하였다. 영조실록 19년 11월 6일 기사에서는 외인의 입주가 불허된 반촌을 재상의 아들이 점거하여 물의를 일으키기도 했음이 기록되어 있다.이러한 반촌에는 조선 시대에 금했던 여러 일, 곧 금란(禁亂)을 범하더라도 반촌에 들어가 조사할 수 없었다. 금란이란 조선 왕조 시대에 단속 대상으로 삼았던 소나무 벌채 금지[4], 임의 도살 금지[5], 양조 금지[6]인데, 이것을 범한 범인이 반촌에 숨어 버리면 추적이 불가능했다.
소 도살에 종사했고, 다른 곳의 사람이 들어가지 못하며, 치외법권이나 다름없는 곳이었던 반촌은 그들만의 독특한 풍속을 유지하며 살게 된다. 또한 윤기(尹愭)의 〈반궁잡영〉(泮宮雜詠)이라는 한시에서 말씨가 서울 사람과 다르고, 사물에 붙이는 이름 또한 서울 사람과 달랐다고 밝히고 있다.
6. 일제 강점기의 반촌
성균관이 무너지자 반촌도 해체되었으나 반인들은 예전처럼 도살업에 종사하였다. 그들이 자녀 교육을 위해 세운 학교가 사립 숭정학교였으며, 쇠고기 판매 금액 일부를 학교 운영비로 내놓았으며, 지방에 이주하여 살더라도 학교 재정을 위한 헌금을 우편으로 부쳤다고 한다.
참조
[1]
문서
여기서는 개성 성균관
[2]
문서
성균관
[3]
문서
동재와 서재. 요즘 말로 하면 학교 기숙사
[4]
문서
금송(禁松)
[5]
문서
금도(禁屠)
[6]
문서
금주(禁酒)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