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리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리샹은 포르투갈어에서 유래된 새우 페이스트의 일종으로, 마카오의 전통적인 조미료이다. 말레이어 '블라찬'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광둥어로는 "함하장"이라고 불리며, 크릴새우를 아구아르덴트, 정향, 월계수 잎, 레몬, 후추, 고추, 소금 등과 함께 발효시켜 만든다. 특유의 냄새를 가지고 있으며, 마카오 문화의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카오 토생 포요리 - 소파 드 라카사
소파 드 라카사는 스페인 내전 당시 기근에 시달리던 바스크 지방 마을 사람들이 크리스마스 이브에 남은 식재료를 모아 만든 수프에서 유래되었으며, 마을 사람들의 연대와 끈기를 상징하며 현재는 스페인과 그 영향을 받은 지역에서 크리스마스 이브에 즐겨 먹는 음식이 되었다. - 마카오 토생 포요리 - 타추
타추는 포르투갈 코지두에서 유래되었지만 광둥 요리의 영향을 받아 중국 소시지, 무 등 재료가 대체되어 만들어진 고기와 채소로 끓인 겨울 요리이며, 과거 부유층의 음식으로 명절에 가족 화합을 상징하는 음식이었다. - 어장 - 가룸
가룸은 고대 로마 시대에 생선 내장과 소금을 발효시켜 만든 생선 소스로, 로마 요리의 필수 조미료였으며 다양한 등급으로 생산되어 멸망 이후 제조법이 단절되었으나 오늘날 여러 음식에 영향을 미쳤다. - 어장 - 우스터셔 소스
우스터셔 소스는 19세기 영국에서 개발되어 상업화된 소스로, 몰트 식초, 주정 식초, 당밀, 설탕, 소금, 멸치, 타마린드 등을 주재료로 하여 독특한 풍미를 내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고 일본에서는 독자적인 소스 문화가 발달했다. - 새우 요리 - 새우깡
농심에서 1971년 출시된 새우깡은 대한민국 최초의 스낵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손이 가요 손이 가" CM송으로 유명하고, 논란에도 불구하고 농심의 대표적인 장수 제품이다. - 새우 요리 - 하가우
하가우는 투명하고 부드러운 피에 새우 속을 넣어 찐 광둥식 딤섬 만두로, 주름진 모양 때문에 영어권에서 '새우 보닛'이라고도 불리며, 광둥 요리에서는 샤오마이와 함께 제공되고 차슈바오, 에그타르트와 함께 광둥식 딤섬 요리의 "사대천왕"으로 꼽힌다.
발리샹 - [음식]에 관한 문서 | |
---|---|
발리샹 정보 | |
다른 이름 | 함하정, 하정 |
국가 | 마카오 |
국가별 요리 | 마카오 토생 포요리 |
종류 | 새우장 |
주 재료 | 크릴새우, 아구아르덴트, 정향, 월계수 잎, 레몬, 후추, 고추, 소금 |
포르투갈어 | balichão |
광둥어 | yue: 鹹蝦醬 j: haam4 haa1 zoeng3 yue: 蝦醬 j: haa1 zoeng3 |
구별 | 발샹 |
2. 어원
포르투갈어·마카오어 이름인 "발리샹(balichão|발리샹pt)"의 유래는 명확하지 않으나, "새우장"을 뜻하는 말레이어 "블라찬(belacan)"에서 유래했다는 설과[7] 새우 페이스트를 뜻하는 여러 말레이어 단어 중 하나인 'belachang'의 변형이라는 설이 있다.[8]
'발리샹'이라는 단어의 기원에 대해서는 적어도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이 단어가 포르투갈어로 고래(baleia)를 뜻하는 말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7] 다른 하나는 이 단어가 새우 페이스트를 뜻하는 여러 말레이어 단어 중 하나인 'belachang'의 변형이라는 것이다.[8]
발리샹은 새우젓으로 흔히 묘사되지만, 일부 자료에 따르면 실제로 크릴새우로 만들어진다.[1][2] 어떤 이들은 발리샹을 어장의 일종으로 묘사하기도 한다.[3]
광둥어 이름인 "함하정(鹹蝦醬|함하정yue)"은 "소금, 짠맛"을 뜻하는 "함(鹹|함yue)", "새우"를 뜻하는 "하(蝦|하yue)", "장, 소스"를 뜻하는 "정(醬|정yue)"으로 이루어진 말이다. 표준 중국어로 읽으면 "셴샤장(咸虾酱|셴샤장중국어)"이며, 한국 한자음은 "함하장"이다.
3. 역사
발리샹은 포르투갈 선원들이 마카오로 항해하면서 발견하여 가져온 새우 페이스트에서 유래되었으며, 이후 현지인들이 특별한 변종으로 개발했다고 알려져 있다.[8]
발리샹은 전통적으로 수제 방식으로 만들어지며, 숙성하는 데 최대 한 달이 걸릴 수 있다.[9]
2009년에는 발리샹이 거의 사라진 조미료로 묘사되었으며, 사람들은 더 쉽게 구할 수 있는 다른 재료들로 대체품을 찾고 있다.[3]
4. 특징
발리샹은 일부 사람들에게는 불쾌할 수 있는 특유의 냄새로 유명하다.[4][5]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발리샹의 냄새와 맛이 동남아시아산 새우젓보다 더 순하고 부드럽다고 생각한다.[6]
4. 1. 제조 과정
크릴새우를 아구아르덴트, 정향, 월계수 잎, 레몬, 후추, 고추, 소금과 발효시켜 만든다.
4. 2. 재료
크릴새우를 아구아르덴트, 정향, 월계수 잎, 레몬, 후추, 고추, 소금과 발효시켜 만든다. 발리샹은 새우젓으로 흔히 묘사되지만, 일부 자료에 따르면 실제로 크릴새우로 만들어진다.[1][2] 일부에서는 어장의 일종으로 묘사하기도 한다.[3]
발리샹에는 크릴 외에도 월계수 잎, 고추, 정향, 라임, 후추, 강화 와인이 들어간다.[2]
5. 문화적 의의
발리샹은 마카오 문화의 중심적인 요소로 여겨져, 마카오 사람들은 자신들을 애정 어린 지명으로 "발리충"이라고 부른다.[2] 또한, 마카오에는 발리샹의 이름을 딴 "발리샹 골목" (鹹蝦巷|함하항중국어) 이라는 거리가 있다.[10]
참조
[1]
웹사이트
The Adventures of Fat Rice
http://www.cookeryby[...]
2018-03-16
[2]
웹사이트
About Macanese Cuisine
http://www.macanesel[...]
2018-03-15
[3]
웹사이트
Encontro da Comunidade Juvenil Macaense
http://www.casademac[...]
2018-03-16
[4]
서적
Feeding the Dragon: A Culinary Travelogue Through China with Recipes
https://books.google[...]
Andrews McMeel Publishing
2018-03-15
[5]
서적
The Bath Fugues
https://books.google[...]
Giramondo Publishing
2018-03-15
[6]
웹사이트
Rosa's Balichão
https://www.saveur.c[...]
2018-03-15
[7]
웹사이트
Culture: Macanese Food and the Cha Gordo Feast
http://chickenscrawl[...]
2018-03-15
[8]
간행물
Macanese Cuisine
http://ilcm.org.mo/w[...]
International Ladies' Club of Macau
2018-03-16
[9]
웹사이트
Macao Pork in Dried Shrimp and Tamarind Sauce Recipe
https://www.macanese[...]
2018-03-15
[10]
웹사이트
Way: 鹹蝦巷 Travessa do Balichão (307356185)
https://www.openstre[...]
2018-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