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배금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금자는 대한민국의 변호사로, 1961년 경상북도 영일군에서 태어났다. 1985년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판사로 활동하다 변호사로 전업했으며, MBC-TV 《오변호사 배변호사》에 출연하여 대중적 인기를 얻었다. '군산 성매매 화재 참사' 소송 등 공익 소송에 참여하고, 1995년 종군 위안부 문제 해결에 기여하여 대한변호사협회 표창장을 받았으며, 2006년 세계 보건 기구 공로상을 수상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 및 대한변호사협회 징계위원으로도 활동했다. 저서로는 《이의 있습니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배씨 - 배정지
    배정지는 고려 시대의 무신으로, 어린 나이에 금위에 소속되어 왕을 호종하고, 합단적 격퇴에 공을 세워 칭찬을 받았으며, 제주도 반란을 진압했으나 당옥에 연루되어 유배되기도 했다.
  • 혜화여자고등학교 (부산) 동문 - 정은지
    1993년생 대한민국 가수 겸 배우 정은지는 걸그룹 에이핑크 메인 보컬 데뷔 후 드라마 '응답하라 1997'로 연기력을 인정받아 다수의 작품에 출연하며, 솔로 가수와 라디오 DJ, 예능 활동으로도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 혜화여자고등학교 (부산) 동문 - 신의진
    신의진은 대한민국의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이자 국민의힘 소속 정치인으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 소아정신과 의사로 활동하며 아동 성폭력 문제 해결에 기여했고, 제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아동 및 여성 대상 범죄에 대한 법률 제정 및 개정에 힘썼으나, 조두순 사건 피해 아동의 이름을 공개적으로 언급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 부산대학교 동문 - 허형구
    허형구는 김해 출신의 법조인으로, 검사,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검찰총장 재임 중 봉사하는 검찰상을 정립하고 선거법 위반 사범을 수사했으나 저질 연탄 사건 수사로 경질되었다.
  • 부산대학교 동문 - 박흥대
    박흥대는 1954년생으로 부산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79년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판사, 법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법무법인 대표 변호사로 활동한다.
배금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배금자
배금자
이름배금자
개인 정보
출생일1961년 2월 2일
출생지경상북도 영일군 청하면
국적대한민국
학력
경력
주요 경력제27회 사법시험 합격
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 판사
해인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
직업법조인
활동 기간1999년 ~ 현재
소속해인법률사무소

2. 생애

배금자는 1961년 2월 2일 경상북도 영일군 청하면에서 태어나 한국 전쟁 직후 아버지가 겪은 억울한 일로 인해 판사의 꿈을 키웠다. 어려운 가정 형편 속에서도 부산대학교 사학과에 장학생으로 입학했고, 법학을 부전공하며 꿈을 향해 나아갔다. '여자'라는 이유로 고시반 입소를 거부당하기도 했지만, 교수를 설득하여 고시반에 들어간 최초의 여학생이 되었다. 1983년 대학교 졸업 후 결혼하였고, 배우자의 군 복무로 육아와 생계를 책임지며 1985년 제27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1]

1988년 사법연수원 수료 후 1990년까지 부산지방법원과 부산동부지원 판사로 재직했으나, 현실과의 괴리로 1년 6개월 만에 판사직을 내려놓고 변호사의 길을 선택했다. 1994년에는 오세훈과 함께 TV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대중에게 알려졌고, 1995년에는 저서 《이의 있습니다》를 통해 사회의 모순을 비판했다. 1998년 미국 뉴욕주 변호사 시험에 합격하여 대한민국과 미국 양국 변호사가 되었다.[1]

이후 '군산 성매매 화재 참사', 김보은 김진관 사건, 서울대 신 교수 성희롱 사건 등 주요 공익 소송에 참여하며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변론 활동을 펼쳤다. 특히, 1999년부터 한국담배인삼공사를 상대로 한 폐암 환자들의 손해배상청구소송 무료 변론을 맡아 2006년 WHO 공로상을 수상했다. 2012년부터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 및 대한변호사협회 징계위원으로 활동했다.[2][3]

2. 1.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1961년 2월 2일 경상북도 영일군 청하면에서 태어났다. 한국 전쟁 직후 아버지가 북한군에 부역했다는 누명을 쓰고 모든 재산을 압수당했다는 사실을 알고 난 후부터 판사의 꿈을 키웠다. 가정형편이 어려워 고학으로 고등학교 생활을 했고 부산대학교 사학과에 장학생으로 합격했다. 사학과 재학 중 법학을 부전공으로 선택해 판사의 꿈을 이어갔다. 당시 전국 몇몇 대학에서 부전공제를 시범 실시하고 있었는데, 배금자는 2학년 때 법학을 부전공으로 선택했다. 대학교 고시반에 들어가려 했으나 '여자'라는 이유로 거부당했지만, 교수를 설득해 고시반에 들어간 최초의 여자 대학생이 되었다. 1983년 부산대학교를 졸업하고 결혼했다.[1]

2. 2. 판사 시절

1961년 2월 2일 경상북도 영일군 청하면에서 태어났다. 한국 전쟁 직후 아버지가 북한군에 부역했다는 누명을 쓰고 모든 재산을 압수당했다는 사실을 알고 난 후부터 판사의 꿈을 키웠다. 가정형편이 어려워 고학으로 고등학교 생활을 했고 부산대학교 사학과에 장학생으로 합격했다. 사학과를 다니면서 법학을 부전공으로 선택해 판사의 꿈을 이어갔다. 학교에 있는 고시반에 들어갈 때 '여자'라는 이유로 입소를 거부당했지만, 교수를 설득해 고시반에 들어간 최초의 여자 대학생이 되기도 했다. 1983년 부산대학교를 졸업하였고 이후 결혼을 했다.[1]

배우자가 군 복무 중이어서 육아와 생계 유지를 모두 맡으며 수험생활을 했고, 몇 번의 낙방 끝에 1985년 제27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1988년 사법연수원을 수료하고 같은 해부터 1990년까지 부산지법과 부산동부지원 판사로 활동했다. 자신이 생각했던 판사의 모습과 너무나 달라 충격을 받아 1년 6개월 만에 판사직을 그만두고 변호사 생활을 시작하였다.[1]

2. 3. 변호사 시절

1988년 사법연수원을 수료하고 1990년까지 부산지방법원과 부산동부지원 판사로 활동했다. 자신이 생각했던 판사의 모습과 너무나 달라 충격을 받아 1년 6개월 만에 판사직을 그만두고 변호사 생활을 시작하였다.[1] 1994년 MBC-TV 생방송 《오변호사 배변호사》에 제33·34대 서울특별시오세훈과 함께 출연해 큰 인기를 끌었다. 1년 후 저서 《이의 있습니다》(1995년)를 펴내 대한민국 사회의 모순을 날카롭게 지적했다. 1998년 미국 뉴욕주 변호사 시험에 합격하면서 대한민국과 미국 변호사가 되었다.[1]

'군산 성매매 화재 참사' 소송에서 국가 배상을 이끌어냈고, 김보은 김진관 사건, 서울대 신 교수 성희롱 사건 등 주요 공익 소송에 참여했으며, 1995년 종군위안부 문제로 대한변호사협회 표창장을 받았다. 1999년 12월 폐암 환자와 가족 등 36명이 한국담배인삼공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했고 배금자는 이 소송의 무료 변론을 맡았는데, 이를 높이 평가받아 2006년 WHO 공로상을 수상했다.[2][3]

2012년부터 대통령직속기구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대한변호사협회 징계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2]

2. 4. 사회 활동

1994년 MBC-TV 생방송 《오변호사 배변호사》에 오세훈과 함께 출연해 큰 인기를 끌었다. 1년 후 저서 《이의 있습니다》(1995년)를 펴내 대한민국 사회의 모순을 날카롭게 지적했다. 1998년 미국 뉴욕주 변호사 시험에 합격하면서 대한민국과 미국 변호사가 되었다.[1]

김보은 김진관 사건, 서울대 신 교수 성희롱 사건 등 주요 공익 소송에 참여했으며, '군산 성매매 화재 참사' 소송에서는 국가 배상을 이끌어냈다. 1995년 종군위안부 문제로 대한변호사협회 표창장을 받았다. 1999년 12월 폐암 환자와 가족 등 36명이 한국담배인삼공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했고, 배금자는 이 소송의 무료 변론을 맡았다. 이를 높이 평가받아 2006년 WHO 공로상을 수상했다.[2][3]

2012년부터 대통령직속기구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대한변호사협회 징계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2]

3. 학력

4. 경력

배금자 변호사는 1985년 제27회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1988년 사법연수원을 17기로 수료하였다. 1988년부터 1990년까지 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 판사로 재직하였다. 이후 변호사로 활동하며 법조계, 방송계, 학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다.

4. 1. 법조 경력

연도경력
1985년제27회 사법시험 합격
1988년제17기 사법연수원 수료
1988년 ~ 1990년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 판사
1990년 ~ 1991년동서로펌 변호사
1991년 ~ 1995년배금자법률사무소 변호사
1994년MBC 《생방송 오변호사 배변호사》
1998년미국 뉴욕주 변호사
1999년 ~해인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
2000년 ~ 2004년KBS 객원해설위원
2002년 ~ 2003년방송위원회 고문변호사
2002년 ~ 2010년전자거래분쟁조정위원회 위원
2003년 ~ 2005년한국저작권위원회 위원
2004년동아일보 객원논설위원
2004년 ~ 2006년대한변호사협회 신문편집위원
2005년 ~ 2006년대한변호사협회 인권위원회 위원,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위원
2007년 ~ 2012년대한상사중재원 위원
2008년 ~ 2011년한국저작권위원회 위원
2008년 ~ 2010년서울특별시 고문변호사
2008년 ~ 2010년소비자자율분쟁조정위원회 위원장
2009년 ~ 2010년국제엠네스티 한국지부 법률가위원회 위원장
2009년 ~ 2010년법제처 법령해석위원
2009년 ~ 2011년DMZ다큐멘터리영화제 조직위원회 위원
2011년 ~ 2012년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 위원
2011년한양대학교 로스쿨 리걸클리닉 겸임교수
2012년대한변호사협회 징계위원,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


4. 2. 기타 경력

연도경력
1994년MBC 《생방송 오변호사 배변호사》
1998년미국 뉴욕주 변호사
2000년 ~ 2004년KBS 객원해설위원
2002년 ~ 2003년방송위원회 고문변호사
2002년 ~ 2010년전자거래분쟁조정위원회 위원
2003년 ~ 2005년한국저작권위원회 위원
2004년동아일보 객원논설위원
2004년 ~ 2006년대한변호사협회 신문편집위원
2005년 ~ 2006년대한변호사협회 인권위원회 위원,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위원
2007년 ~ 2012년대한상사중재원 위원
2008년 ~ 2011년한국저작권위원회 위원
2008년 ~ 2010년서울특별시 고문변호사, 소비자자율분쟁조정위원회 위원장
2009년 ~ 2010년국제엠네스티 한국지부 법률가위원회 위원장, 법제처 법령해석위원
2009년 ~ 2011년DMZ다큐멘터리영화제 조직위원회 위원
2011년 ~ 2012년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 위원
2011년한양대학교 로스쿨 리걸클리닉 겸임교수
2012년대한변호사협회 징계위원,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


5. 저서


  • 《이의 있습니다》. 문예당. 1995년.
  • 《인간을 위한 법정》. 책. 1999년.
  • 《법보다 사람이 먼저다》. 더북컴퍼니. 2005년.

6. 상훈

연도수상 내역
1995년대한변호사협회 표창장
2004년올해의 여성권익 디딤돌상, 서울지방변호사회 공익봉사상
2006년세계보건기구 공로상


참조

[1] 뉴스 국내 첫 담배소송 맡은 배금자 변호사의 또 다른 도전 http://news.naver.co[...] 레이디경향 2007-03-09
[2] 뉴스 배금자 변호사 해인법률사무소 대표 http://www.cstimes.c[...] 컨슈머타임스 2015-03-02
[3] 뉴스 배금자씨에 금연유공훈장 http://news.naver.co[...] 문화일보 2006-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