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리스 트라이코프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리스 트라이코프스키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출신의 마케도니아 정치인으로, 1999년부터 2004년까지 북마케도니아의 대통령을 지냈다. 그는 법학을 전공하고 신학을 공부하여 감리교 사제가 되었으며, 정치 입문 전에는 상법 및 노동법 전문가로 활동했다. 1990년대 초 마케도니아 독립 후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1999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재임 기간 중, 마케도니아 내 알바니아계와의 갈등을 중재하고, NATO의 중재를 통해 평화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 2004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열리는 회의 참석 중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마케도니아의 대통령 - 스테보 펜다로프스키
    스테보 펜다로프스키는 북마케도니아의 정치인으로, 2019년부터 2024년까지 북마케도니아의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스코페 성 키릴과 메토디우스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대통령 국가 안보 고문을 지낸 후 2019년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2024년 재선에 실패했다.
  • 북마케도니아의 대통령 - 브란코 츠르벤코프스키
    브란코 츠르벤코프스키는 북마케도니아의 정치인으로, 총리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연합을 창당하고 당 대표를 지냈다.
  • 항공 사고로 죽은 국가원수 - 레네 바리엔토스
    레네 바리엔토스 오르투뇨는 볼리비아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64년 쿠데타를 통해 대통령이 되어 반공 정책을 추진하고 체 게바라 게릴라 부대 진압, 광산 노동자 탄압 등 권위주의 통치를 펼치다 1969년 사망했다.
  • 항공 사고로 죽은 국가원수 - 압둘 살람 아리프
    압둘 살람 아리프는 이라크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58년 혁명에 참여하여 하시미트 왕조를 무너뜨리고 대통령에 취임하여 이집트와의 통합을 추진했으나 헬리콥터 사고로 사망했다.
  • 2004년 사망 - 로널드 레이건
    미국의 배우 출신으로 캘리포니아 주지사를 거쳐 제40대 대통령을 지낸 로널드 레이건은 레이거노믹스 정책으로 미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소련과의 긴장 완화로 냉전 종식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재정 적자 증가와 소득 불평등 심화, 이란-콘트라 사건 등 논란도 있었다.
  • 2004년 사망 - 박명근
    박명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공무원, 기업인으로, 서울대 정치학과 졸업 후 한국 전쟁에 참전, 공직 생활과 박정희 대통령 비서관을 거쳐 4선 국회의원 및 대한투자신탁 사장을 역임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송덕비가 건립되었다.
보리스 트라이코프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2년의 트라이코프스키
출생일1956년 6월 25일
출생지스트루미차,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사망일2004년 2월 26일 (47세)
사망지베르코비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적마케도니아인
배우자빌마 트라이코프스카 (1985년 결혼, 2004년 사별)
정당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조직-마케도니아 국가통합민주당
모교스코페 대학교
직책
임기 시작1999년 11월 19일
임기 종료2004년 2월 26일
총리류프초 게오르기예프스키
브란코 츠르벤코프스키
이전 대통령키로 글리고로프
다음 대통령브란코 츠르벤코프스키

2. 생애

1956년 북마케도니아스트루미차 근교 마을에서 태어났으며, 1980년 수도 스코페의 스코페 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받았다. 상법 및 노동법 전문가로 활동했다.

1992년 마케도니아가 유고슬라비아 연방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후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VMRO-DPMNE에 입당했다. 당 외무 위원회 위원장, 스코페 시 키셀라 보다 구청 고문을 거쳤으며, 키로 글리고로프 대통령 밑에서 외무차관을 지냈다. 1998년 11월 총선에서 VMRO-DPMNE가 여당 제1당이 된 후, 12월 21일 외무 부장관에 임명되었다.

온건 개혁파로 평가받던 트라이코프스키는 1999년 대통령 키로 글리고로프의 임기 만료에 따라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VMRO-DPMNE 후보로 출마했다. 같은 해 11월 14일 열린 결선 투표에서 사회민주동맹의 티토 페트코프스키 후보를 누르고 제2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17]

트라이코프스키의 대통령 재임 기간은 마케도니아의 다수 민족인 슬라브계 마케도니아인과 소수 민족인 알바니아인 간의 갈등이 심화된 시기였다. 특히 1999년 코소보 분쟁의 영향으로 마케도니아 내 알바니아계 무장 세력인 민족해방군(NLA)의 활동이 2001년 본격적인 내전으로 비화되었다. 당시 마케도니아에서 대통령직은 상징적인 국가 원수로서 행정적 권한이 제한적이었지만, 트라이코프스키는 NATO의 중재를 통해 평화 정착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2001년 7월 5일 휴전 합의와 8월 13일 알바니아계 주민의 권리 신장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오흐리드 협정 체결을 이끌어냈다. 이로 인해 그는 국제 사회로부터 민족 간 대화를 성공적으로 이끈 지도자로 평가받았다. 2003년 10월 7일부터 10일까지는 마케도니아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일본을 공식 방문하여 천황, 황후와 회견하고 가와구치 요리코 당시 외무대신과 회담하기도 했다.

2004년 2월 26일, 트라이코프스키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열리는 국제 투자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대통령 전용기(비치크래프트 킹에어)를 타고 모스타르로 향하던 중, 항공기가 사라예보 남쪽 80km 지점의 산악 지대에 추락하여 탑승자 9명 전원과 함께 사망했다.[18] 사고 당시 추락 지점 부근에는 폭우와 짙은 안개가 끼어 있었으며, 악천후 속 조종사의 지형 인식 실패(CFIT)가 사고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의 갑작스러운 사망 이후 치러진 대통령 보궐선거에서는 같은 해 4월 28일 결선 투표를 통해 당시 총리였던 브란코 츠르벤코프스키가 후임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2. 1. 종교 활동

트라이코프스키는 감리교 신자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1980년 스코페 성 키릴과 메토디우스 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상업 및 고용법을 전공했다. 또한 미국을 여러 차례 방문하여 신학을 공부하고 감리교 평신도 목사 자격을 얻었다.

학업을 마친 후, 그는 유고슬라비아의 공산주의 정부로부터 종교 활동을 이유로 한동안 외딴 마을에 감금되는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감금된 곳에서 그는 미국 연합 감리교회와 관련된 마케도니아 연합 감리교회의 가난한 로마인 교인들을 돌보았다.

1980년대 정치적 자유화 이후, 트라이코프스키는 스코페의 슬로보다 건설 회사에서 법무 부서를 이끌었다. 그는 12년 넘게 구 유고슬라비아에서 감리교 청소년 서기로 활동했으며, 이후 마케도니아 복음주의 감리교회 교회 평의회 회장을 역임했다. 1988년부터는 마케도니아 감리교회와 영국 버크햄스테드 및 헤멜 헴스테드 감리교 서킷 간의 청소년 교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이끌었다. 1991년에는 영국 본머스에 있는 기독교 언어 대학에서 영어를 공부했다.

3. 정치 경력

1991년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한 후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VMRO-DPMNE에 입당했다. 초기에는 당의 외교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1998년 외무부 차관을 지냈다.

1999년 대통령 선거에서 VMRO-DPMNE 후보로 출마하여, 같은 해 11월 14일 결선 투표에서 승리하며 키로 글리고로프의 뒤를 이어 제2대 마케도니아 공화국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17] 그의 임기 동안 마케도니아는 다수 민족인 마케도니아인과 소수 민족인 알바니아계 주민 간의 갈등이 심화되어 2001년 마케도니아 분쟁이 발발하는 등 큰 위기를 맞았다. 트라이코프스키는 이 분쟁 상황에서 NATO의 중재를 통해 평화 협상을 이끌었고, 오흐리드 협정 체결을 통해 내전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민족 간 대화를 강조한 온건주의자로 평가받는다.

대통령으로서 국제 외교에도 힘썼으며, 2003년에는 마케도니아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일본을 방문하기도 했다. 그러나 2004년 2월 26일, 국제 투자 회의 참석을 위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모스타르로 향하던 중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18]

3. 1. 외무차관 및 대통령 당선

1991년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독립 선언 이후 정치 활동을 시작했으며, VMRO-DPMNE에 입당했다. 그는 당과 다른 유럽 정당 간의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당의 외교 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1997년에는 스코페 시의 한 자치구인 키세라 보다 시장의 비서실장을 지냈다.

1998년 12월 21일, 키로 글리고로프 대통령 정부에서 외무부 차관으로 임명되었으나, 1년도 채 안 되어 물러났다.

온건한 개혁주의자로서 명성을 얻은 트라이코프스키는 1999년 대통령 선거에서 VMRO-DPMNE의 후보로 선출되었다. 이는 퇴임하는 키로 글리고로프 대통령의 후임을 뽑는 선거였다. 1999년 11월 14일에 치러진 대통령 선거 결선 투표에서 트라이코프스키는 사회민주동맹의 티토 페트코프스키를 52% 대 45%로 꺾고 당선되었다.[17] 그는 본래 11월 19일에 취임할 예정이었으나, 선거 결과에 대한 이의 제기로 인해 사보 클리모프스키 국회의장이 임시로 대통령 권한 대행을 맡게 되었다. 페트코프스키 지지자들이 제기한 마지막 항소가 한 달 뒤 기각되면서 트라이코프스키는 정식으로 대통령직에 오를 수 있었다.

3. 2. 마케도니아 분쟁 중재

트라이코프스키의 대통령 임기는 마케도니아의 다수 민족인 슬라브계 마케도니아인과 소수 민족인 알바니아인 사이의 긴장과 격렬한 대립이 특징이었던 시기였다. 특히 1999년 코소보 전쟁의 여파로 코소보의 알바니아계 주민 자치권이 확대되자, 이에 영향을 받은 마케도니아 내 알바니아계 무장 세력인 민족해방군(NLA)이 봉기했다. 이들은 합법적인 소수 민족으로서의 지위 개선과 전반적인 경제적, 행정적, 법적 조건의 향상을 추구했다.

2001년에는 이 봉기가 마케도니아 보안군과 민족해방군 간의 본격적인 무력 충돌, 즉 마케도니아 분쟁으로 발전했다. 분쟁이 격화되던 중, 아라치노보 위기 당시 마케도니아군의 아라치노보 공격이 중단되고 약 500명의 민족해방군 반군이 국제 사회의 개입 하에 대피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반발한 일부 마케도니아인들은 시위를 벌이며 국회의사당에 난입하여 트라이코프스키 대통령의 사퇴를 요구하기도 했다.

마케도니아 공화국에서 대통령직은 주로 형식적인 국가 원수의 역할에 그치고 행정상의 권한은 제한적이었지만, 트라이코프스키는 분쟁 해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민족 간 대화에서 온건한 입장을 견지하며 알바니아계 민족의 더 큰 포용을 주장했다. 또한 NATO의 중재 하에 평화 협상을 적극적으로 이끌어, 2001년 7월 5일 휴전 합의와 8월 13일 알바니아계의 지위 및 권리 향상에 관한 내용을 담은 오흐리드 협정 체결을 주재했다.

이러한 트라이코프스키의 노력 덕분에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전면적인 내전을 피하고 폭력을 종식시킬 수 있었다. 그는 분쟁 해결의 핵심 인물이자 민족 간 대화를 성공적으로 추진한 지도자로 평가받으며 국제 사회로부터 긍정적인 인정을 받았다. 그의 친구이자 고문이었던 조란 요레브스키 비서실장은 이후 미국 주재 마케도니아 대사 및 마케도니아 명칭 분쟁 협상가로 활동했다.

3. 3. 국제 외교 활동

1991년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후 정치 활동을 시작했으며, VMRO-DPMNE에 입당했다. 그는 당과 다른 유럽 정당 간의 관계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당 외교 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1998년 12월 21일 외무부 차관으로 임명되었으나, 1년이 채 되지 않아 물러났다.

1999년 대통령 선거에서 VMRO-DPMNE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의 임기는 마케도니아인과 알바니아계 소수 민족 간의 긴장과 갈등으로 점철되었다. 특히 1999년 코소보 전쟁의 여파로 마케도니아 내 알바니아계 민족 해방군(NLA)의 봉기가 발생하여 정부군과 격렬한 무력 충돌로 이어졌다. 대통령으로서 행정 권한은 제한적이었지만, 트라이코프스키는 NATO의 중재를 통해 평화 협상을 주도했다. 그는 2001년 7월 5일 휴전 합의와 8월 13일 알바니아계 주민의 지위 향상 및 권리 확대 내용을 담은 오흐리드 협정 체결을 이끌어내며 내전을 막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국제 사회로부터 민족 간 대화와 화합을 이끈 온건주의자로 평가받았다. 그의 친구이자 고문이었던 조란 요레브스키는 당시 미국 주재 마케도니아 대사이자 마케도니아 명칭 분쟁 협상가였다.

2002년에는 평화와 정치 안정에 기여한 공로로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으로부터 성 미카엘 및 성 조지 훈장 명예 대십자 기사 작위를 받았고, 세계 감리교 협의회로부터 세계 감리교 평화상을 수상했다. 2003년 10월 7일부터 10일까지 마케도니아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일본을 공식 방문하여 천황 내외와 회견하고 가와구치 요리코 당시 외무대신과 회담하는 등 정상 외교 활동을 펼쳤다.

4. 사망

2004년 2월 26일, 트라이코프스키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모스타르에서 열리는 국제투자회의(경제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비행기로 이동하던 중 항공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11][18] 그는 재임 중 사망한 북마케도니아의 유일한 대통령이다.

사고 항공기는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정부 소속의 비치크래프트 슈퍼 킹 에어 200(꼬리 번호 Z3–BAB) 기종이었다. 항공기는 모스타르에서 남남동쪽으로 15km 떨어진 포플라트와 브르스니크 마을 근처 헤르체고비나 남동부의 산비탈에서 짙은 안개와 폭우 속에서 추락했다. 사고 원인으로는 악천후CFIT(지형 유도 비행)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당시 모스타르 공항 활주로에는 정밀 착륙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아 악천후 속 착륙은 특히 위험한 상황이었다.

이 사고로 트라이코프스키를 포함한 승객 7명과 승무원 2명 등 탑승자 9명 전원이 사망했으며 생존자는 없었다. 충돌로 인해 항공기는 세 조각으로 부서졌다. 사고 현장은 1990년대 보스니아 전쟁 당시 지뢰가 많이 매설된 지역이어서 구조 및 인양 작업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4. 1. 장례식 및 추모

트라이코프스키는 2004년 2월 26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모스타르로 향하던 중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11] 그의 사망 후, 국장 장례식이 거행되었다. 스트루미차에 있는 그의 묘비에는 성경의 마태오 복음 5장 9절("온유한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받을 것임이요")이 새겨져 있다.[12] 그의 가족은 보리스 트라이코프스키 재단을 통해 그의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

5. 수상 및 영예


  • 헝가리 공화국 공로 훈장 약장
    헝가리 공화국 공로 훈장 사슬 대십자장[13]
  • -- 폴란드 공화국 공로 훈장 대십자장[14]
  • 성 미카엘 및 성 조지 훈장 약장
    성 미카엘 및 성 조지 훈장 명예 기사단 대십자장[15]
  • 세계 감리교 협의회 평화상 (2002년)[16]

참조

[1] 서적 The United Nations & Regional Security: Europe and Beyond https://books.google[...] Lynne Rienner Publishers 2003
[2] 서적 Coping with Terrorism: Origins, Escalation, Counterstrategies, and Response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0-11-05
[3] 웹사이트 Macedonia - defense: Buckovski: "Let tragedy be the beginning of the end of the war" https://reliefweb.in[...] 2001-08-10
[4] 웹사이트 Rebels kill three policemen in Macedonia https://www.theguard[...] 2022-07-03
[5] 뉴스 Macedonia timeline https://www.theguard[...] 2021-07-01
[6] 뉴스 BBC News – EUROPE – Who are the rebels? http://news.bbc.co.u[...] 2001-03-20
[7] 뉴스 Macedonia: Uneasy Calm Follows Late-Night Protests https://www.rferl.or[...] 2001-06-26
[8] 뉴스 Macedonia president flees protesters https://edition.cnn.[...] 2001-06-25
[9] 뉴스 "Полицајци и граѓани гневни од "предавството во Арачиново" протестираа пред Парламентот" http://star.dnevnik.[...] Дневник
[10] 뉴스 Boris Trajkovski https://www.telegrap[...] 2004-02-27
[11] 웹사이트 Macedonian president killed in plane crash https://www.theguard[...] 2004-02-26
[12] 문서 A Peacemaker President https://www.eastwest[...] 2004
[13] 웹사이트 Утрински Весник http://star.utrinski[...] 2017-02-25
[14] 웹사이트 VEST - Macedonian daily newspaper http://star.vest.com[...] 2017-02-25
[15] 웹사이트 I declare open the Commemorative Session on the occasion of the death of Mr. Boris Trajkovski, President of the Republic North of Macedonia, who lost his life while performing his duty in an airplane accident near Mostar, together with his closest associates and the crew of the airplane. http://www.sobranie.[...] 2017-02-25
[16] 웹사이트 Утрински Весник http://star.utrinski[...] 2017-02-25
[17] 웹인용 마케도니아 대선 트라이코프스키 당선 https://news.naver.c[...] 1999-11-15
[18] 웹인용 마케도니아 대통령 비행기 추락사고로 사망 https://news.naver.c[...] 2004-0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