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이지 않는 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이지 않는 교회는 기독교 교회론에서 보이는 교회와 대조되는 개념으로, 구원받은 신자들의 보이지 않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이 개념은 교회의 본질과 구성원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며, 초기 기독교, 종교개혁 시대, 경건주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다. 보이는 교회와 보이지 않는 교회를 별개의 집합으로 보거나, 하나의 교회의 두 측면으로 이해하는 등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가톨릭 교회는 개신교의 보이지 않는 교회 개념에 반대하며, 교회의 가시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반면, 동방 정교회는 교회를 보이지 않는 교회와 지상의 교회로 나누는 것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인다. 현대 신학에서는 이 개념을 둘러싸고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회론 - 공교회
    공교회는 '보편적인 교회'를 뜻하는 기독교의 중요 개념으로, 하나의 교회, 거룩한 교회, 보편적인 교회, 사도적인 교회의 네 가지 특징을 가지며, 동방 정교회, 천주교회, 개신교의 공교회주의로 나뉜다.
  • 교회론 - 초교파 교회
    초교파 교회는 특정 교단에 소속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교회로서, 20세기 초 미국에서 시작되어 현대적인 예배 방식으로 젊은 세대에게 인기를 얻으며 성장하여 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되는 추세이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보이지 않는 교회
신학
기독교
특징
관련 개념
성경

2. 용어의 기원과 발전

2. 1. 초기 기독교

2. 2. 종교개혁 시대

2. 3. 경건주의 시대

3. 보이는 교회와의 관계에 대한 두 가지 관점

교회론에서 보이지 않는 교회와 보이는 교회를 서로 다른 집합으로 인식하는 학자들이 있는가 하면 같은 집합으로 보는 시각이 있다.[21]

보이는 교회와 보이지 않는 교회를 구별하는 시각에서는 보이는 교회를 지상에 있는 제도적인 교회로 이해한다. 그러므로 보이지 않는 교회는 오로지 구원 받은 신자들로만 구성되어 있지만, 보이는 교회에는 구원 받지 못한 사람들도 들어와 있다고 본다. 루터교에서 발생한 경건주의(Pietism)는 '교회 안의 작은 교회'(Ecclesiolae in ecclesia, little churches within the church)로 이러한 생각이 확대되었다.

위에서 서술했듯이 보이는 교회와 보이지 않는 교회를 구별하려는 시각에서는 보이는 교회의 구성원이 누구인가를 판별하려는데 중점을 둔다. 그러나 보이는 교회와 보이지 않는 교회를 하나의 보편적 교회의 두 가지 다른 속성으로 이해하는 시각에서는 보이는 교회를, 그 구성원이 누구냐로써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교회가 이 땅에서 나타내 보이는 실증으로서 파악하려고 한다. 이에 대해 윌리암슨(G. I. Williamson)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21]

"우리가 참된 교회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은 그 구성원의 파악이 아니라 그 현존을 파악함으로써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스도의 참된 교회(택정함을 입은 사람들로 구성된 그의 몸)는 그 스스로를 나타내는데, 누가 그 택정함을 입었느냐를 알리는 방식이 아니라, 참된 신자들이 (위선자들과 섞여 있는 가운데서도) 하는 행사를 통해서이다. 그들은 참된 종교를 고백하고, 말씀에 대한 신실함을 유지하며, 성례전과 권징을 시행하는데, 이러한 것들은 참된 보이는 교회에 요구되는 일이다. 택함 받은 백성들이 행하는 이러한 일들이 나타남으로 그리스도의 몸은 명백해지는 것이다."

3. 1. 두 교회의 구별

교회론에서 보이지 않는 교회와 보이는 교회를 서로 다른 집합으로 인식하는 학자들이 있는가 하면 같은 집합으로 보는 시각이 있다.[21] 보이는 교회와 보이지 않는 교회를 구별하는 시각에서는 보이는 교회를 지상에 있는 제도적인 교회로 이해하며, 보이지 않는 교회는 오로지 구원받은 신자들로만 구성되어 있지만, 보이는 교회에는 구원 받지 못한 사람들도 들어와 있다고 본다. 보이는 교회와 보이지 않는 교회를 하나의 보편적 교회의 두 가지 다른 속성으로 이해하는 시각에서는 보이는 교회를, 그 구성원이 누구냐로써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교회가 이 땅에서 나타내 보이는 실증으로서 파악하려고 한다.[21] 윌리암슨(G. I. Williamson)은 참된 교회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은 그 구성원의 파악이 아니라 그 현존을 파악함으로써라고 말하며, 그리스도의 참된 교회는 참된 신자들이 하는 행사를 통해서 나타난다고 설명한다.[21]

교회사에서 가시적 교회와 보이지 않는 교회에 대한 관점을 처음으로 소개하고 기록한 인물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이다.[2][3] 일부에서는 요비니아누스와 비길란티우스도 보이지 않는 교회 관점을 지지했다고 주장한다.[4][5][6][7]

이 개념은 성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가 도나투스주의 종파를 반박하는 과정에서 옹호되었는데, 그는 이전의 다른 교부들과 마찬가지로 보이지 않는 교회와 가시적 교회를 동일한 것으로 보았다.[8] 이는 참된 교회로 가톨릭 교회를 여기지 않았던 후대의 개신교 개혁가들과는 달랐다.[8] 그는 진정한 현실은 보이지 않으며, 가시적인 것이 보이지 않는 것을 반영한다면 부분적이고 불완전하게 반영한다는 플라톤주의 신념에 큰 영향을 받았다(이데아론 참조).[9]

이 개념은 개신교 종교 개혁 기간 동안, 개혁가들이 부패했다고 여긴 "가시적인" 로마 가톨릭 교회와 그 안에 속한 진실한 신자들, 그리고 자신들의 교파 내의 진실한 신자들을 구별하는 방식으로 주장되었다. 존 칼빈은 보이지 않는 교회를 "실제로 하나님의 임재 안에 있는 곳"으로 묘사했다.[11] 리처드 후커는 "신비한 교회와 가시적인 교회"를 구별했는데, 전자는 "오직 하나님만 아시는 것"이다.[11]

존 위클리프는 예정된 선택된 자들로 구성된 보이지 않는 교회를 믿었다.[12] 개혁의 또 다른 선구자인 요한 루흐라트 폰 베젤은 가시적 교회와 보이지 않는 교회를 구별하는 것을 믿었다.[13] 경건주의는 ''ecclesiolae in ecclesia'' ("교회 안의 작은 교회들")를 정립하였다.

3. 2. 두 교회의 비구별 (통합적 이해)

보이는 교회와 보이지 않는 교회를 서로 다른 집합으로 인식하는 학자들도 있지만, 같은 집합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21]

보이는 교회와 보이지 않는 교회를 구별하는 시각에서는 보이는 교회를 지상에 있는 제도적인 교회로 이해하며, 구원받지 못한 사람들도 포함되어 있다고 본다. 반면 보이지 않는 교회는 오로지 구원받은 신자들로만 구성되어 있다고 본다. 루터교의 피에티즘(Pietism)은 '교회 안의 작은 교회'(Ecclesiolae in ecclesia)라는 개념으로 이러한 생각을 확장시켰다.

그러나 보이는 교회와 보이지 않는 교회를 하나의 보편적 교회의 두 가지 다른 속성으로 이해하는 시각도 있다. 이들은 보이는 교회를, 구성원이 누구냐로써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교회가 이 땅에서 나타내 보이는 실증으로서 파악하려고 한다. 윌리암슨(G. I. Williamson)은 참된 교회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은 구성원 파악이 아니라 현존을 파악함으로써라고 말한다. 그리스도의 참된 교회는 참된 신자들이 하는 행사를 통해 나타나며, 참된 종교 고백, 말씀에 대한 신실함, 성례전과 권징 시행 등이 참된 보이는 교회에 요구되는 일이라고 설명한다.[21]

가톨릭 교회 신학은 개신교의 보이지 않는 교회 개념에 반발하여 그리스도가 세운 교회의 가시적인 측면을 강조했다. 교황 비오 12세는 회칙 ''그리스도의 신비체''에서 교회를 그리스도의 신비체와 동일시했다.[14] 가톨릭 교리에서, 유일하고 참된 교회는 교황의 전 세계 관할권 아래 있는 가톨릭교회이다.

이 회칙은 교회를 단순히 인간 조직으로 이해하는 합리주의적, 사회학적 이해와 교회를 순전히 신비주의적으로 이해하는 것, 두 가지 극단적인 견해를 모두 거부했다.[15] 교회는 성령의 인도를 받는 초자연적인 존재이며,[16] 신비주의적 "우리 안의 그리스도" 연합은 구성원들을 신격화하지 않고, 그리스도와 교회의 연합, 그리고 그 안에서 그와 그의 구성원들의 연합을 의미하는 ''우나 미스티카 페르소나''(하나의 신비로운 인격) 개념으로 설명된다.[17]

동방 정교회 신학자 블라디미르 로스키는 교회를 "네스토리우스주의 교회론"으로 특징짓는 것에 대해 비판했다. 그는 "교회를 서로 다른 존재, 즉 천국적이고 보이지 않는 교회와 불완전하고 상대적인 지상의 교회로 나누는 것"을 문제 삼았다.[18]

4. 가톨릭교회와 개신교의 입장 차이

4. 1.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 신학은 개신교의 보이지 않는 교회 개념에 반발하여 그리스도가 세운 교회의 가시적인 측면을 강조했지만, 20세기에는 교회의 초자연적 유기체로서의 내면적 삶에 더 큰 비중을 두었다. 교회는 교황 비오 12세의 회칙 ''그리스도의 신비체''에서와 같이 그리스도의 신비체와 동일시되었다.[14] 가톨릭 교리에서, 유일하고 참된 교회는 그리스도가 세운 가시적 사회, 즉 교황의 전 세계 관할권 아래 있는 가톨릭교회이다.

이 회칙은 교회의 두 가지 극단적인 견해를 거부했다.[15] 교회를 단순히 구조와 활동을 가진 인간 조직으로 이해하는 합리주의적 또는 순전히 사회학적 이해는 잘못된 것이다. 가시적인 교회와 그 구조는 존재하지만, 교회는 성령의 인도를 받기 때문에 그 이상이다.[16] 또한 교회를 순전히 신비주의적으로 이해하는 것 역시 잘못된 것으로 보았다. 왜냐하면 신비주의적 "우리 안의 그리스도"의 연합은 그 구성원들을 신격화하고 그리스도인의 행위가 동시에 그리스도의 행위임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신학적 개념 ''우나 미스티카 페르소나''(하나의 신비로운 인격)는 개인적 관계가 아니라 그리스도와 교회의 연합, 그리고 그 안에서 그와 그의 구성원들의 연합을 의미한다.[17]

동방 정교회 신학자 블라디미르 로스키 역시 교회를 "네스토리우스주의 교회론"으로 특징짓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관점을 보였다. 그는 "교회를 서로 다른 존재로 나누는 것, 즉 한편으로는 천국적이고 보이지 않는 교회, 유일하게 진리이고 절대적인 교회, 다른 한편으로는 불완전하고 상대적인 지상의 교회(또는 '교회들')"로 나누는 것을 비판했다.[18]

4. 2. 개신교

5. 현대 신학의 논의

5. 1. 동방 정교회

5. 2. 기타 논의

참조

[1] 서적 Christian Theology: A Concise and Practical View of the Cardinal Doctrines and Institutions of Christianity United Brethren Publishing House 1900
[2]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African The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5-25
[3] 서적 Meta-Ecclesiology: Chronicles on Church Awarenes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08-18
[4] 서적 General History of the Christian Religion and Church https://books.google[...] Crocker & Brewster 1849
[5] 서적 A System of Christian Doctrine https://books.google[...] T. & T. Clark 1890
[6] 서적 Cyclopaedia of Biblical, Theological, and Ecclesiastical Literature: Volume II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2020-04-17
[7] 서적 The Spiritual Journals of Warren Felt Evans: From Methodism to Mind Cur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6-12-19
[8]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Volume 2 (From Augustine to the eve of the Reformation) Abingdon Press 1970–1975
[9] 서적 The Church of the Living God: A Reformed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2
[10] 간행물 The Non-Orthodox: The Orthodox Teaching on Christians Outside of the Church http://www.orthodoxi[...]
[11] 서적 Anglicanism and the Christian Church: Theological Resources in Historical Perspective A&C Black 2002-08-15
[12] 웹사이트 John Wycliffe {{!}} Biography, Bible, Beliefs, Reformation, Legacy, Death, & Facts https://www.britanni[...] 2021-10-30
[13] 웹사이트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VI: The Middle Ages. A.D. 1294-1517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ccel.org/cce[...] 2021-11-14
[14] 서적 Catholic Dictionary: An Abridged and Updated Edition of Modern Catholic Dictionary https://books.google[...] Image 2013
[15] 문서 Una Mystica Persona München 1967
[16] 문서 Mystici corporis Christi
[17] 간행물 Caput influit sensum et motum Gregorianum 1958
[18] 서적 The Mystical Theology of the Eastern Church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1976
[19] 문서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Volume 2 (From Augustine to the eve of the Reformation) Abingdon Press 1970-1975
[20] 문서 영어위키: 보이지 않는 교회 문서
[21] 문서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for Study Classes Philadelphia 196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