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잉 YAL-1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잉 YAL-1은 공중에서 고출력 레이저로 탄도 미사일을 요격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된 실험적인 무기 시스템이다. 1996년 미국 공군에서 시작되어 2001년 미사일 방어청으로 이관되었으며, 보잉, 노스롭 그루먼, 록히드 마틴 등 주요 방산업체가 참여했다. YAL-1은 보잉 747-400F 기체를 개조하여 화학 산소 요오드 레이저(COIL)를 탑재했으며, 2007년 비행 중 표적 명중에 성공했으나, 기술적 한계와 운용상의 제약, 높은 비용 문제로 인해 2011년 개발이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첫 비행한 항공기 - 엠브라에르 E-Jets
    엠브라에르 E-Jets는 브라질 엠브라에르사가 제작한 지역 항공기 시리즈로, E170, E175, E190, E195 네 가지 기종과 E2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4년 상업 운항을 시작한 이후 전 세계 항공사에 1,500대 이상 인도되었고, 70석에서 146석 규모의 다양한 모델과 뛰어난 연료 효율 및 운영 편의성을 특징으로 한다.
  • 2002년 첫 비행한 항공기 - 이클립스 500
    이클립스 500은 버트 루탄의 스케일드 컴포지트가 설계하고 이클립스 항공이 개발 및 생산한 초경량 제트기이며, 프랫 & 휘트니 캐나다 PW610F 엔진을 장착했으며, 2008년 파산 후 이클립스 에어로스페이스에 자산이 매각되어 생산이 재개되었다.
  • 군용 레이저 - 전술 고에너지 레이저
    전술 고에너지 레이저(THEL)는 화학 레이저 기술을 활용한 무기 체계로, 로켓포와 포탄 요격 시험에 성공했으나 부피와 비용 문제로 개발이 중단되었다.
  • 군용 레이저 - 아이언 빔
    아이언 빔은 파이버 레이저로 공중 목표물을 파괴하는 지향성 에너지 무기로, 이스라엘 라파엘에서 개발 중이며 2025년 말 아이언 돔에 통합될 예정이다.
  • 보잉 747 - 보잉 747-8
    보잉 747-8은 보잉 747 시리즈의 최신 모델로 동체 연장, 주익 설계 변경, 최신 기술 적용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킨 항공기이며, 보잉 787 드림라이너의 기술을 적용하여 연료 효율성을 높이고 소음을 줄였으나, 여객형 모델은 시장 변화로 어려움을 겪었고 화물기 모델은 초대형 화물기 시장에서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보잉의 중요한 수익원 역할을 했지만 2023년 1월 마지막 747-8F가 인도되면서 50년 이상 지속된 747의 생산이 종료되었다.
  • 보잉 747 - 에어 포스 원
    에어 포스 원은 대통령이 탑승한 미국 공군 항공기의 호출 부호이자 대통령 전용기를 지칭하는 용어로, VC-137, VC-25 등이 이용되며 안전을 위해 위장 호출 부호를 사용하고 핵전쟁 대비 E-4B 나이트워치가 임무를 수행하며, 부통령 탑승 시에는 에어 포스 투가 사용된다.
보잉 YAL-1
개요
ABL 항공기 비행 중
ABL 항공기 비행 중
유형공중 레이저 (ABL) 대탄도 미사일 무기 시스템
제작사보잉
주요 운용국미국 공군
최초 비행2002년 7월 18일
퇴역2014년 9월 25일
상태취소됨
생산 대수1
개발 기반보잉 747-400F
군용 일련번호00-0001
운명폐기

2. 개발

ABL 프로그램은 1996년 미국 공군에 의해 시작되었고, 이후 미국 미사일 방어청(MDA)으로 이관되었다. 개발에는 보잉 방위, 우주 및 보안, 노스롭 그러먼, 록히드 마틴 등 주요 방산업체들이 참여했다. 보잉은 항공기 시스템 통합, 노스롭 그러먼은 화학 산소 요오드 레이저(COIL), 록히드 마틴은 기수 터렛 부와 화기 관제 시스템을 담당했다.[53][54][7][29]

2001년 퇴역한 에어 인디아 소속 보잉 747-200 항공기를 이용, 모하비 공항에서 에드워드 공군 기지로 옮겨 시스템 통합 연구실(SIL)에서 레이저 발사 시험을 진행했다. SIL 시험 결과, 실전 운용에 필요한 성능을 달성하여 실기 탑재 인증을 받았다.[8][9]

2002년 보잉 747-400F를 개조하여 7월 18일 첫 비행을 했고, 2004년 COIL 지상 발사 시험에 성공했다. 2007년 3월 15일 비행 중 레이저로 표적 명중 시험에 성공, 대기 보정 능력을 입증했다.[55][56] 2007년 말 6개 COIL 모듈이 YAL-1A에 탑재, 2008년 5월 28일 지상 발사 실험에 성공했다.

2. 1. 초기 개발

1980년대에 보잉 NKC-135A를 이용한 초기 비행 실험에서 여러 미사일 격추에 성공했다.[5]

2004년 11월, 에드워드 공군기지에서 개조작업 중인 YAL-1


오른쪽


1996년 미국 공군이 보잉 ABL 팀에 제품 정의 위험 감소 계약을 체결하면서 공중 레이저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6][7] 2001년 이 프로그램은 미국 미사일 방어청(MDA)으로 이관되어 획득 프로그램으로 전환되었다.[7] 시스템 개발은 보잉 방위, 우주 및 보안, 노스롭 그러먼, 록히드 마틴 등으로 구성된 계약팀에 의해 수행되었다. 보잉은 항공기, 관리 팀 및 시스템 통합을 담당하고, 노스롭 그러먼은 COIL, 록히드 마틴은 노즈 터렛과 화력 통제 시스템을 공급했다.[7][29]

2001년 미국 공군에어 인디아의 중고 보잉 747-200을 입수하여, 날개 없는 기체를 모하비 공항에서 에드워드 공군 기지의 비루쿠 비행 시험 센터(Birk Flight Test Center)에 있는 시스템 통합 연구실(SIL)로 옮겼다.[8][9] SIL에서는 실제 사용 환경을 모방한 조건에서 50회 이상 레이저 시험 발사가 이루어졌고, 실전 운용에 필요한 지속 시간을 달성했다. 이 시험을 통해 시스템은 실기 탑재 인증을 받았으며, 이후 연구팀은 해산되고 보잉 747-200 기체는 퇴역 후 철거되었다.[9]

2. 2. 체계 개발

1996년 미국 공군은 보잉 ABL 팀에 제품 규정 위험 최소화 계약을 체결하면서 공중 레이저 프로그램을 시작했다.[6][7] 2001년 이 프로그램은 미국 미사일 방어청(MDA)으로 이관되어 획득 프로그램으로 전환되었다.[7]

시스템 개발은 계약자 팀에 의해 수행되었다. 보잉 방위, 우주 및 보안은 항공기, 관리 팀 및 시스템 통합 프로세스를 제공하고, 노스롭 그러먼은 화학 산소 요오드 레이저(COIL)를, 록히드 마틴은 노즈 터렛과 화력 통제 시스템을 공급했다.[7][29]

2001년 에어 인디아의 퇴역 보잉 747-200을 공군이 인수하여 날개 없이 모하비 공항에서 에드워드 공군 기지로 트럭 운송했다. 이 동체는 에드워드의 Birk 비행 시험 센터에 있는 시스템 통합 연구소(SIL) 건물에 통합되어 구성 요소를 장착하고 테스트했다.[8][9] SIL은 시뮬레이션된 작동 고도에서 COIL을 테스트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50회 이상 작동되어 실제 작동 상황을 대표하는 레이저 발사 지속 시간을 달성했다. 테스트를 통해 시스템이 자격을 갖추게 되어 실제 항공기에 통합할 수 있었다. 테스트 완료 후 연구소는 해체되었고, 보잉 747-200 동체는 제거되었다.[9]

보잉 에버렛 공장에서 747-400F 화물기로 제작된 이 항공기는 제조업체 일련 번호는 30201이고 동체 라인 번호는 1238이었다. 2000년 1월 6일 첫 비행을 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군사용 초기 개조를 위해 캔자스 주 위치타에 있는 보잉 방위, 우주 및 보안으로 인도되었다. 2002년 7월 18일 다시 비행했고, 2004년 화학 산소 요오드 레이저(COIL) 지상 테스트 결과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YAL-1은 에드워드 공군 기지의 제417 비행 시험 비행대 공중 레이저 합동 시험 부대에 배정되었다.

시스템에는 COIL과 함께 목표 추적을 위한 2 kW 급 표적 조사 레이저가 포함된다. 2007년 3월 15일 YAL-1 비행 중 레이저 조사로 표적 명중에 성공했다. 동체에 전광판 표적이 설치된 시험기 보잉 NC-135E 빅크로우(Big Crow)가 표적이었다. 이 시험 결과로 시스템이 대기 요동을 측정, 보정하여 정확하게 공격 목표를 포착하는 것이 입증되었다.[55][56]

2007년 말 6개의 COIL이 YAL-1A에 탑재되어 2008년 5월 28일 지상 발사 실험에 성공했으며, 이후 실제 비행 중 COIL에 의한 요격 시험이 실시되었다.

2. 3. 시험 및 평가

2002년 보잉 747-400F의 최초 개조를 마치고 2002년 7월 18일 보잉 캔자스 위치타 시설에서 첫 비행을 실시했다. 2004년 COIL 지상 발사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YAL-1은 에드워즈의 제417시험 비행 중대 ABL 합동 시험 부대에 넘겨졌다.[53][54]

시스템은 COIL과 함께 목표 추적을 위한 2 kW 급의 표적 조사 레이저가 포함되었다. 2007년 3월 15일 YAL-1 비행 중 레이저 조사에 의한 표적 명중에 성공했다. 동체에 전광판 표적이 설치된 시험기 보잉 NC-135E 빅크로우(Big Crow)가 표적이었다. 이 시험 결과에 따라 시스템이 대기의 요동을 측정 보정하여 정확하게 공격 목표를 포착하는 것이 입증되었다.[55][56][29]

2007년 말에 6개의 COIL이 YAL-1A에 탑재되어 2008년 5월 28일 지상 발사 실험에 성공했으며, 이후 실제 비행 중의 COIL에 의한 요격 시험이 실시되었다. COIL 외에도, 이 시스템은 표적 추적을 위한 2킬로와트급 표적 조명 레이저 2기를 포함했다.

시험 프로그램의 다음 단계는 COIL의 대용품인 "대체 고에너지 레이저"(SHEL)를 포함했으며, 표적 조명에서 모의 무기 발사로의 전환을 시연했다. COIL 시스템은 항공기에 설치되었고 2008년 7월까지 지상 시험을 진행했다.[10]

2009년 4월 6일 기자 회견에서 국방부 장관 로버트 게이츠는 계획된 두 번째 ABL 항공기의 취소를 권고하고 프로그램이 연구 개발 노력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게이츠는 이 권고를 하면서 "ABL 프로그램은 상당한 경제성과 기술적 문제를 안고 있으며, 프로그램의 제안된 작전 역할은 매우 의문스럽다"고 말했다.[11]

2009년 6월 6일 캘리포니아 해안에서 시험 발사가 있었다.[12] 당시 새로운 공중 레이저 항공기가 성공적인 시험을 거쳐 2013년까지 작전에 투입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2009년 8월 13일, YAL-1의 첫 번째 비행 시험은 계측된 시험 미사일에 대한 SHEL의 성공적인 발사로 절정에 달했다.[13]

2009년 8월 18일, 항공기에 탑재된 고에너지 레이저가 비행 중 처음으로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YAL-1은 에드워드 공군기지에서 이륙하여 캘리포니아 하이 데저트 상공을 비행하면서 고에너지 레이저를 발사했다. 레이저는 빔을 포착하고 그 출력을 측정한 기내 열량계로 발사되었다.[14]

2010년 1월, 고에너지 레이저는 비행 중 시험 ''미사일 대체 사거리 표적 장비''(MARTI)를 요격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파괴하지는 못했다.[15] 2010년 2월 11일, 캘리포니아 중부 해안의 Point Mugu 해군 항공전 센터-무기 부서 해상 사거리에서 실시된 시험에서 이 시스템은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탄도 미사일을 성공적으로 파괴했다. 첫 번째 미사일이 파괴된 지 한 시간도 채 안 되어 두 번째 미사일인 고체 연료 설계 미사일이 MDA가 발표한 대로 "성공적으로 교전"했지만 파괴되지 않았고, 모든 시험 기준이 충족되었다. MDA 발표는 또한 ABL이 8일 전에 비행 중 동일한 고체 연료 미사일을 파괴했다고 언급했다.[16] 이 시험은 지향성 에너지 시스템이 비행 중 탄도 미사일을 파괴한 최초의 사례였다. 나중에 보도된 바에 따르면 2월 11일의 첫 번째 교전은 미사일을 파괴하는 데 예상보다 50% 적은 시간만 필요했으며, 한 시간도 채 안 되어 이루어진 고체 연료 미사일에 대한 두 번째 교전은 "빔 정렬 불량" 문제로 인해 파괴하기 전에 중단해야 했다.[17][18]

2. 4. 개발 중단 및 기술적 한계

2009년 4월 6일,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은 ABL 프로그램에 상당한 경제적, 기술적 문제가 있으며, 제안된 작전 역할에 의문이 있다고 발표했다.[11] 그는 계획된 두 번째 ABL 항공기 제작을 취소하고,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 단계로 전환할 것을 권고했다.

엔진이 제거된 상태로 보관 중. 결국 2014년 9월 25일에 해체되었다.


게이츠 장관은 이 프로그램의 실용성에 대해 우려하며, "현재 ABL이 미사일을 요격하려면 이란 국경 내에서 궤도를 돌아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실제 운용하려면 15억달러짜리 747기 10~20대가 필요하며, 연간 1억달러의 운용 비용이 발생한다"라고 덧붙였다.[19]

2011년 12월 12일, 미국 국방부는 16년간의 개발과 50억달러 이상의 비용을 들인 AL-1을 모스볼 보존하기로 결정했다.[36][22][23] 2012년 2월 12일, YAL-1은 마지막 비행을 마치고 애리조나주 데이비스-몬탄 공군기지에 착륙하여 보관되었으며, 2014년 9월에 최종 해체되었다.[24][25]

미국 물리학회의 2003년 보고서[37]에 따르면, ABL은 액체 연료 ICBM에 대해서는 최대 600km의 요격 거리를 가질 수 있지만, 고체 연료 ICBM에 대해서는 300km 이하로 제한되어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2016년 2월, AL-1은 해체되었다.

3. 작동 원리

ABL은 적외선 센서로 미사일을 탐지하고, 저출력 레이저로 목표를 추적하며, 고출력 COIL 레이저를 발사해 미사일을 파괴한다. 이 모든 과정은 약 8~12초 안에 이루어진다.[31]

ABL이 설계 목표를 달성했다면, 최대 600km 떨어진 액체 연료 ICBM을 파괴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미국 물리학회국가 미사일 방어에 대한 2003년 보고서에 따르면, 더 견고한 고체 연료 ICBM의 파괴 범위는 300km로 제한되었을 것으로 보인다.[30]

3. 1. 미사일 탐지 및 추적

두 대의 YAL-1A가 탄도 미사일을 격추하는 모습의 예술적 묘사. 레이저 빔은 시인성을 위해 빨간색으로 강조되었지만, 실제로는 육안으로 볼 수 없다.


ABL 시스템은 미사일 탐지를 위해 6개의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여 360도 전방위를 수색 및 감시한다.[31] 적 미사일 로켓 엔진에서 방출되는 부스트의 적외선을 발견하면, 저출력 파장 10.6μm의 탄산 가스 레이저인 거리 측정 레이저(ARS)로 거리를 측정하면서 적외선 센서와 함께 목표 미사일의 3차원 위치를 특정한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파장 1.03μm의 킬로와트급 YAG 레이저인 2기의 추적 조사 레이저(TILL)가 목표를 추적한다. 첫 번째 TILL은 목표 미사일의 선단부를 계속 추적하고, 두 번째 TILL은 목표 미사일의 중앙 연료 탱크 부근을 추적한다.[31]

대기 난류는 파장 1.06μm의 YAG 레이저인 저출력 킬로와트급 비콘 조사 레이저(BILL)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대기 난류는 광선을 굴절시키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해 ABL 보정 광학 시스템을 사용한다.[38]

3. 2. 레이저 발사 및 요격



기술자가 공중 레이저 탑재를 위해 여러 레이저의 상호 작용을 평가하고 있다.


ABL 시스템은 초기 미사일 탐지를 위해 6개의 적외선 센서를 사용했다.[31] 초기 탐지 후, 세 개의 저전력 추적 레이저가 미사일의 궤도, 속도, 조준점 및 공기 난류를 계산한다. 공기 난류는 레이저를 굴절시키고 왜곡시키는데, ABL의 적응 광학은 대기 오류를 보정하기 위해 난류 측정을 사용한다. 항공기 기수 터렛에 위치한 주 레이저는 3~5초 동안 발사되어 미사일을 발사 지역 근처에서 공중 분해시킨다.[31] ABL은 종말 단계 또는 하강 비행 단계에서 탄도 미사일(TBM)을 요격하도록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미사일 발사 지점으로부터 수백 킬로미터 이내에 위치해야 했다.[31] 이 모든 과정은 약 8~12초 내에 일어난다.[31]

ABL은 목표물을 관통하거나 파괴하는 대신 미사일 외피를 가열하여 약화시키고, 이로 인해 고속 비행 스트레스로 인한 파손을 유발한다. 레이저는 로켓 추진제와 유사한 화학 연료를 사용하여 높은 레이저 출력을 생성한다. 각 747기는 약 20발, 취약한 전술 탄도 미사일(TBM)에 대해서는 최대 40발의 저출력 발사를 위한 충분한 레이저 연료를 탑재할 예정이었다. 레이저 연료 재보급을 위해 YAL-1은 착륙해야 했으나, 항공기 자체는 공중 급유가 가능하여 장기간 비행할 수 있었다. 초기 작전 계획에 따르면 ABL은 전투기 및 전자전 항공기의 호위를 받도록 되어 있었다. ABL 항공기는 미사일 방향으로 레이저를 유지할 수 있도록 8자 패턴으로 비행하면서 잠재적인 발사 지점(적대국에 위치) 근처에서 장기간 궤도를 돌았을 것이다.[32]

공중 요격은 여러 센서와 레이저를 사용해 다음의 여러 단계를 거쳐 수행된다.

1. 미사일 탐지: 6개의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여 360도 전방위를 수색 및 감시한다. 적 미사일 로켓 엔진에서 방출되는 부스트의 적외선을 발견하면, 저출력 파장 10.6μm의 탄산 가스 레이저인 거리 측정 레이저(Active Ranging System, ARS)로 거리를 측정하면서 적외선 센서와 함께 목표 미사일의 3차원 위치를 특정한다.

2. 목표 추적: 파장 1.03μm에 킬로와트급 YAG 레이저인 2기의 추적 조사 레이저(Tracking Illuminator Laser, TILL)가 목표를 추적한다. 1번째 TILL은 목표 미사일의 선단부를, 2번째 TILL은 목표 미사일의 중앙 연료 탱크 부근을 추적한다.

3. 대기 난류 측정: 파장 1.06μm의 YAG 레이저인 저출력 킬로와트급 비콘 조사 레이저(Beacon Illuminator Laser, BILL)를 사용하여 대기의 난류를 측정한다. 대기의 난류는 광선을 굴절시키므로, ABL 보정 광학 시스템을 사용하여 보정한다.[38]

4. 주 레이저 발사: 기수 터렛에서 주 레이저인 COIL(아래 참조)의 레이저가 2번째 TILL이 가리키는 목표 지점에 정확하게 3~5초간 연속적으로 조사된다. 목표 미사일의 연료 탱크는 가열되어 파괴되고, 누출된 연료가 폭발적으로 연소하여, 목표 미사일은 발사 지점 부근의 공중에서 파괴된다. ABL은 전술 탄도 미사일을 중간 단계나 낙하 단계에서 요격하도록 설계되지 않았으므로, 발사 지점에서 수백 km 이내에 있어야 한다.[39]

4. 구성 요소

이론적으로 공중 레이저는 적대적인 전투기, 순항 미사일, 또는 심지어 저궤도 위성(대위성 무기 참조)을 상대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YAL-1의 적외선 표적 획득 시스템은 부스트 단계에서 탄도 미사일(TBM)의 뜨거운 배기가스를 감지하도록 설계되었다. 위성과 다른 항공기는 훨씬 낮은 열 신호를 가지고 있어 감지가 더 어렵다. 다른 종류의 표적을 획득하고 추적하는 어려움 외에도, 장갑차량과 심지어 항공기와 같은 지상 표적은 메가와트급 레이저에 의해 손상될 만큼 취약하지 않다. 우려하는 과학자 연맹(Union of Concerned Scientists)의 분석은 저궤도 위성에 대한 공중 레이저의 잠재적 사용에 대해 논의한다.[33] 다른 프로그램인 첨단 전술 레이저(Advanced Tactical Laser)는 저고도 비행에 더 적합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가와트급 레이저의 공대지 사용을 구상하고 있다.[34]

4. 1. 화학 산소 요오드 레이저 (COIL)

COIL(화학 산소 요오드 레이저)은 ABL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로, SUV 크기의 모듈 6개로 구성된다. 각 모듈의 무게는 약 3000kg이다. 화학 반응을 통해 고출력 레이저를 생성한다.[29] 1977년 필립스 연구소에서 개발되었으며, 1.315 마이크론의 적외선 파장 레이저를 사용하므로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

화학물질 재사용, 플라스틱 재료 사용, 독특한 냉각 시스템을 통해 5년 만에 기존 출력보다 400% 향상되었고, 무게도 훨씬 가벼워졌다. TRW1996년 8월에 시험한 수백 킬로와트급 COIL Baseline Demonstration Laser (BDL-2) 모듈과 성능이 비슷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레이저 시스템은 6개의 모듈로 구성되며, 각 모듈은 SUV 자동차 크기이다. 각 모듈의 무게는 대략 3ton이므로 총 18ton이다. 레이저 출력은 1 MW이다. 100kW 출력의 레이저포는 5 km의 유효사거리를 갖는다. 2016년 현재 미국 국방부 DARPA는 무게 750kg, 출력 150kW로 전투기에도 장착 가능한 HELLADS를 개발 중이다. 발사 시 레이저는 5초 동안 일반적인 미국 가정이 한 시간 이상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충분한 에너지를 사용한다.[41]

이 산소 요오드 화학 레이저에서는 화학적 여기 반응이 사용된다. 수산화 칼륨(KOH)과 과산화 수소(H2O2), 염소 가스(Cl2)를 반응시켜 준 안정 상태의 산소(O2)를 생성하며, 반응실 내에서 요오드 가스(I2)가 더해져 요오드 원자를 여기 상태로 만든 후 초음속 노즐에서 분출한다. 요오드 가스는 단열 팽창에 의해 순간적으로 -145°C까지 온도 저하되어 강력한 레이저 광선을 방출한다.[36]

반응에 의해 다량의 할로겐 화합물이 성층권에 방출된다. 발생되는 할로겐 화합물은 프레온 가스에 비례하는 것은 아니지만, 오존층에 대한 악영향이 우려된다. 또한 수산화 칼륨과 과산화 수소는 매우 반응성이 높은 위험한 약품이며, 취급이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4. 2. 기타 구성 요소


5. 운용 고려 사항

ABL은 로켓 추진제와 유사한 화학 연료를 사용하여 고출력 레이저를 생성한다. 현재 계획으로는 약 20발 분량의 레이저 연료를 탑재할 수 있지만, 대륙간 탄도 미사일처럼 무력화하는 데 오랜 조사 시간이 필요한 어려운 목표의 경우 재보급까지 쏠 수 있는 횟수가 줄어든다. 반면, 전술 탄도 미사일과 같이 덜 어려운 목표는 긴 조사 시간이 필요하지 않아 재보급까지 40발 정도를 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32]

ABL은 기지로 돌아와 착륙하여 재보급을 받아야 한다. 초기 작전 계획에서는 전투기전자전기의 호위를 받도록 되어 있었다. ABL은 예상되는 발사 지점 근처에서 8자 형태로 비행하며 장시간 대기하면서 요격 목표를 기다린다. 8자 비행은 항공기가 목표 지점에서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가능한 한 오랫동안 목표 지점을 포착할 수 있게 한다.[32]

ABL은 공중 급유를 통해 장시간 공중에 머물 수 있으며, 비적대 지역에 머물면서 적대 지역의 미사일을 요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2]

6. 한계 및 비판

보잉 YAL-1은 기술적, 운용상의 제약, 그리고 높은 비용 문제 등 여러 한계와 비판에 직면했다.[30][37][31][32][52][36]

6. 1. 기술적 한계

ABL은 주로 전술 탄도 미사일(TBM) 요격에 적합하게 설계되었으며,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요격에는 한계가 있었다. 액체 연료 ICBM의 경우 최대 600km 거리에서 요격이 가능할 수 있지만, 고체 연료 ICBM은 요격 거리가 300km 이하로 짧아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30][37]

ABL 시스템은 적외선 센서로 초기 미사일을 탐지하고, 세 개의 저전력 추적 레이저로 미사일의 궤도, 속도, 조준점 및 공기 난류를 계산했다. 적응 광학 기술을 통해 대기 난류로 인한 레이저 굴절 및 왜곡을 보정했지만, 완벽하게 보정하는 것은 어려웠다. 주 레이저의 출력과 정밀 조준에도 기술적인 어려움이 존재했다.[31]

6. 2. 운용상의 제약

ABL은 미사일 발사 지점 인근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적대 지역 영공 침투 위험이 있다.[32] 저궤도 위성이나 항공기 등 다른 유형의 목표물에 대한 요격 능력은 제한적이다.[52] 지상 목표물 공격 능력은 없다.

고뇌하는 과학자 연합(UCS)은 ABL을 저궤도 인공위성 요격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52] 그러나 ABL의 목표물 획득 시스템은 탄도 미사일이 발사 단계에서 방출하는 밝은 빛과 열을 감지하게 설계되었고, 인공위성과 항공기는 훨씬 낮은 열을 방출하므로 탐지하기가 힘들다.

지상 목표물의 경우, 탐지와 추적이 힘든 것 이외에도, 레이저를 지상으로 쏘으면 높은 공기밀도에 의해 빔이 약화된다. 또한 대부분의 지상 목표물은 메가와트급 레이저로 파괴될 만큼 약하지 않다.

6. 3. 비용 문제

ABL 프로그램은 막대한 개발 비용이 소요되었으며, 운용 유지 비용도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다.[36]

7. 기타

(이전 출력에서 변경사항 없음)

7. 1. 다른 유형의 목표물 요격

이론적으로 ABL은 적 항공기, 순항 미사일, 저궤도 위성을 요격할 수 있지만, 원래 설계 목적이 아니며, 이에 대한 요격 능력은 알려진 바 없다. ABL의 목표물 획득 시스템은 탄도 미사일이 발사 단계에서 방출하는 밝은 빛과 열을 감지하게 설계되었다. 인공위성과 항공기는 훨씬 낮은 열을 방출하므로 탐지하기가 힘들 것이다.[52][33][40]

고뇌하는 과학자 연합(UCS)은 ABL의 저궤도 위성 요격 가능성을 분석한 바 있다.[52][33][40]

7. 2. 고도 전술 레이저 (ATL)

우려하는 과학자 연맹은 저궤도 위성에 대한 공중 레이저의 잠재적 사용에 대해 분석한 바 있다.[33] 이와 별개로, 첨단 전술 레이저(Advanced Tactical Laser) 프로그램에서는 저고도 비행에 더 적합한 항공기에 메가와트급 레이저를 장착하여 지상 목표물을 공격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34]

참조

[1] 웹사이트 DoD 4120.15-L, Model Designation of Military Aerospace Vehicles https://web.archive.[...] U.S. Department of Defense 2004-05-12
[2] 웹사이트 Airborne Laser returns for more testing https://web.archive.[...] Air Force
[3] 뉴스 U.S. successfully tests airborne laser on missile https://www.reuters.[...] Reuters 2010-02-12
[4] 웹사이트 Boeing YAL-1 Airborne Laser impacted by Pentagon spending priorities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Airborne Laser Laboratory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6] 웹사이트 Airborne Laser:News https://web.archive.[...] 2006-06-20
[7] 웹사이트 Airborne Laser Background presentation https://web.archive.[...] boeing.com
[8] 서적 A Mojave Scrapbook Mojave Books
[9] 웹사이트 Testers end high-energy laser tests, dismantle Airborne Laser SIL facility https://web.archive.[...] USAF press release 2007-03-29
[10] 뉴스 'Laser jumbo' testing moves ahead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7-29
[11] 웹사이트 Local News – Boeing "hit harder" than rivals by defense budget cuts – Seattle Times Newspaper https://web.archive.[...]
[12] 웹사이트 Home Security Systems : My Home Security http://www.globalsec[...] 2023-01-07
[13] 보도자료 Boeing Airborne Laser Team Completes 1st Airborne Test Against Instrumented Target Missile http://boeing.mediar[...] The Boeing Company 2009-08-13
[14] 보도자료 Boeing: Boeing Airborne Laser Team Fires High-Energy Laser in Flight http://boeing.mediar[...] The Boeing Company 2009-08-20
[15] 웹사이트 Airborne Laser Test Bed Media Gallery https://www.mda.mil/[...]
[16] 웹사이트 Airborne Laser Testbed Successful in Lethal Intercept Experiment https://web.archive.[...] U.S. Department of Defense Missile Defense Agency 2010-02-11
[17] 뉴스 Next ABL Test To Require Twice as Much Range https://web.archive.[...] Aviation Week & Space Technology 2010-03-19
[18] 간행물 Aviation Week & Space Technology 2010-02-22
[19] 웹사이트 Missile Defense Umbrella? https://web.archiv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0] 웹사이트 Schwartz: Get those AF boots off the ground https://archive.toda[...] airforcetimes.com
[21] 뉴스 Pentagon Loses War To Zap Airborne Laser From Budget https://www.wsj.com/[...] 2011-02-11
[22] 웹사이트 Lights Out For The Airborne Laser https://archive.toda[...] Aviation Week & Space Technology 2011-12-21
[23] 웹사이트 Lights Out For The Airborne Laser https://aviationweek[...] Aviation Week & Space Technology 2011-12-20
[24] 웹사이트 The Death of A Giant Laser http://www.strategie[...] Strategies Unlimited 2014-05-06
[25] 웹사이트 Google Maps https://www.google.c[...]
[26] 웹사이트 MDA Eyes UAVs For Discrimination, Boost-Phase Kill http://www.aviationw[...]
[27] 웹사이트 Return Of The ABL? Missile Defense Agency Works On Laser Drone http://breakingdefen[...] Breakingdefense.com 2015-08-17
[28] 웹사이트 U.S. Military Laser Weapon Programs Are Facing A Reality Check https://www.twz.com/[...] The War Zone 2024-05-21
[29] 웹사이트 Airborne Laser fires tracking laser, hits target https://web.archive.[...] Air Force 2007-03-21
[30] 웹사이트 APS Study https://web.archive.[...] aps.org
[31] 웹사이트 How Does it work - Airborne Laser https://web.archive.[...]
[32] 서적 Congressional Record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ing Office
[33] 웹사이트 Anti-Satellite Capabilities of Planned US Missile Defense Systems https://web.archive.[...]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2002-12-09
[34] 웹사이트 http://goliath.ecnex[...]
[35] 웹사이트 The Incomplete Guide to Airfoil Usage https://m-selig.ae.i[...]
[36] 웹사이트 Lights Out For The Airborne Laser http://www.aviationw[...]
[37] 웹사이트 APS Study http://www.aps.org/a[...]
[38] 간행물 ミサイル防衛の巨大センサー網
[39] 간행물 高エネルギー兵器の最新動向
[40] 웹사이트 Anti-Satellite Capabilities of Planned US Missile Defense Systems http://www.ucsusa.or[...]
[41] 간행물 Airborne Laser fires tracking laser, hits target 2007-03-23
[42] 웹사이트 Boeing AL Timeline http://www.boeing.co[...]
[43] 웹사이트 Boeing Airborne Laser Background presentation http://www.boeing.co[...]
[44] 서적 A Mojave Scrapbook MojaveBooks
[45] 뉴스 Testers end high-energy laser tests, dismantle Airborne Laser SIL facility http://www.edwards.a[...] USAF press release 2007-03-29
[46] 뉴스 ボーイング、Airborne Laserの高出力レーザー照射実験に成功 https://www.moriricc[...] Technobahn 2007-07-18
[47] 뉴스 ボーイング、弾道ミサイル迎撃用高出力レーザーの地上発射実験に初成功 https://www.moriricc[...] Technobahn 2008-06-02
[48] 뉴스 ゲイツ国防長官記者会見詳報 http://www.defenseli[...] defenselink.mil 2009-04-06
[49] 뉴스 http://www.jiji.com/[...] 時事通信ホームページ 2010-02-14
[50] 뉴스 Lights Out For The Airborne Laser https://aviationweek[...] Aviation Week Network 2011-12-21
[51] 웹인용 APS Study http://www.aps.org/a[...] 2006-11-16
[52] 웹인용 Anti-Satellite Capabilities of Planned US Missile Defense Systems http://www.ucsusa.or[...] 2006-01-02
[53] 웹인용 Boeing AL Timeline http://www.boeing.co[...] 2006-06-20
[54] 웹인용 Boeing Airborne Laser Background presentation http://www.boeing.co[...] 2007-03-25
[55] 웹사이트 http://www.technobah[...]
[5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technobah[...] 2008-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