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전자전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전자전기는 전자 공격, 전자 방호, 전자전 지원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며, 적의 레이더 및 통신 교란, 아군 전자 장비 보호, 정보 수집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항공기 또는 전자 장비를 의미한다. 다양한 국가에서 전자전기를 운용하고 있으며, 기술 발전에 따라 지속적인 성능 개량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은 과거 C-47을 개조한 EC-47Q를 운용했으나 현재는 전력 공백 상태이며, 주변국 위협 증가와 자주국방 필요성에 따라 전자전기 도입 및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2023년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전자전기 사업추진기본전략안이 의결되어 2024년부터 ADD 주관으로 기존 항공기 개조를 통한 전자전기 개발이 진행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용 항공기 - 군용기
    군용기는 군사 목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항공기로, 열기구에서부터 최첨단 스텔스 전투기, 무인 항공기까지 존재하며, 전쟁 양상을 바꾸는 중요한 전력으로 자리매김하여 꾸준히 발전해왔고 전투기, 폭격기, 수송기, 정찰기 등 여러 종류로 분류된다.
  • 군용 항공기 - 하얼빈 Z-19
    하얼빈 Z-19는 하얼빈 항공기공업집단에서 개발한 공격 헬리콥터로, 하얼빈 Z-9W를 기반으로 탠덤 시트 배열과 펜스트론 테일 로터를 갖추고 정찰 및 표적 획득에 중점을 두어 창허 Z-10과 함께 화력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 전자전 - 전자기 펄스
    전자기 펄스는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하는 전자기 에너지의 급증을 의미하며,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여 전자 기기를 손상시킬 수 있어 전자기적합성 연구를 통해 제어한다.
  • 전자전 - 타이탄 레인
    타이탄 레인은 중국 정부 지원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는 해커들이 미국 정부 기관 및 기업을 대상으로 비기밀 정보를 탈취한 사이버 공격 사건으로,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국가 간 불신을 야기했다.
  • 군용 전자장비 - 에리아이
    에리아이는 에릭슨이 개발한 능동전자주사식 위상배열 레이더를 탑재한 조기경보통제기 시스템으로, 다양한 기종에 탑재되어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며 400km 이상의 탐지 범위와 다양한 작전 모드를 제공한다.
  • 군용 전자장비 - 이지스 전투 시스템
    이지스 전투 시스템은 미국 해군이 개발한 함대방공 및 탄도미사일 방어 시스템으로, 다기능 레이더를 중심으로 지휘결정 시스템, 무기관제 시스템, 미사일 및 발사대를 통합 운용하며, 여러 국가 해군에서 운용 중이나 오인 사격 가능성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전자전기
전자전 항공기
전투폭격기를 기반으로 한 미국의 EA-18G
전투폭격기를 기반으로 한, 미국의 EA-18G
수송기를 기반으로 한 중국의 Y-9JB
수송기를 기반으로 한, 중화인민공화국의 Y-9JB
개요
영어 명칭electronic warfare aircraft
정의전자전에 사용되는 군용 항공기
주요 기능적의 레이더 및 통신 시스템을 교란 또는 무력화
아군 항공기 및 기타 자산 보호
전자 정보 수집
운용 환경전장
적진 침투
대규모 군사 작전
기술 및 장비
재머 (Jammer)적의 레이더 전파를 방해하는 장비
ECM (Electronic Countermeasures)적의 레이더 유도 미사일을 피하는 기술
ECCM (Electronic Counter-Countermeasures)적의 방해를 극복하는 기술
전자 신호 정보 수집 장비적의 레이더 및 통신 신호를 분석하고 식별하는 장비
전자전 기술 종류
전파 방해 (Jamming)전파를 방해하여 통신 또는 레이더 신호 차단
기만 (Deception)거짓 신호를 보내 적의 센서와 시스템을 혼란시키는 기술
전자 보호 (Protection)아군의 전자 시스템을 보호하는 기술
전자 공격 (Attack)적의 전자 시스템을 손상 또는 무력화하는 기술
전자전 지원 (Support)전자전 작전을 위한 정보 수집 및 분석
전자전 항공기의 주요 유형
전용 전자전 항공기전자전 작전만을 위해 설계된 항공기
다목적 전자전 항공기전자전 외에 다른 임무도 수행 가능한 항공기 (전투, 폭격 등)
전자전 기능 탑재 항공기전자전 장비가 탑재된 다른 유형의 항공기
역사적 사용
제2차 세계 대전초기 전자전 기술을 사용한 전투기, 폭격기 운용
냉전본격적인 전자전 항공기 개발 및 사용
현대첨단 기술을 적용한 전자전 항공기 운용
사례제2차 세계 대전에서 영국 공군의 100 그룹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 전자전 항공기 운용
걸프 전쟁에서 전자전 자산 적극 활용
주요 운용 국가
미국EA-18G 그라울러 등 다양한 전자전 항공기 운용
러시아Su-34 등 전자전 기능 탑재 항공기 운용
중화인민공화국Y-9JB 등 전자전 항공기 운용
기타 국가유럽 국가, 이스라엘 등
추가 정보
전자전 항공기의 발전 추세인공지능, 사이버 기술 등 첨단 기술과 결합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영국군이 폭격기에 채프를 탑재하여 독일 레이더를 교란하면서 전자전의 개념이 시작되었다.[5] 1943년 영국의 아브로 랭커스터 폭격기가 적의 레이더를 교란시키기 위해 채프를 뿌린 것이 시초이다. 이들은 Carpet, Airborne Cigar, Mandrel, Jostle, Piperack 등의 레이더 교란 장비를 탑재하도록 특별히 개조된 핸들리 페이지 핼리팩스, 컨살러데이티드 B-24 리버레이터, 보잉 B-17 플라잉 포트리스와 동행하기도 하였다. 초기에는 폭격기나 수송기를 개조하여 전자전 임무를 수행했으나, 기술 발전과 함께 전용 전자전기가 개발되었다.

3. 종류

전자전은 크게 전자 공격(EA), 전자 방호(EP), 전자전 지원(ES)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된다.


  • '''전자 공격(EA)'''은 전자 방해 장비(ECM)를 탑재하여 적의 레이더 및 통신을 교란하고, 대방사 미사일(ARM)을 사용하여 적 방공망 제압(SEAD)을 하는 공격이다.
  • '''전자 방호(EP)'''는 소프트웨어적 조치가 주가 된다.[5]
  • '''전자전 지원(ES)'''은 전자 정찰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첩보 활동 분야에 속하는 SIGINT(COMINT, ELINT 등)를 수행한다.


전자전기는 수송기와 같은 대형기를 개조한 것이 대부분이며, 전투기와 함께 행동할 수 있는 전자전기(에스코트 재머)를 개발하고 있는 국가는 미국, 러시아, 중국뿐이다.

조기 경보 통제기(AWACS)는 강력한 전자전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대잠 초계기는 대잠전의 필요성에 의해 전자전 지원에 주력한다. 그 외 작전기는 자위용 ES 장비인 레이더 경보 수신기(RWR)를 탑재하며, 자위용 ECM 장비인 전파 방해 장치도 내장형 또는 외장형으로 개발되고 있다.

아군 레이더에 의도적으로 방해를 가하여 훈련 시 전자전 환경을 연출하는 '''전자전 훈련기'''도 존재한다.

3. 1. 운용 국가별 현황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전자전기를 운용하고 있다.

미국은 해군의 EA-6, 공군의 EF-111A 등 협의의 전자전기와 RC-135W 등 전자정찰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육군도 통신 감청 장비를 운용한다. 이들 장비는 지속적인 성능 개량을 거치며, 동일 기종이라도 배치 시기에 따라 성능 차이가 크다.

러시아는 소련 시절부터 Il-20, Su-24MP, Yak-28PP 등을 개발, 운용해 왔으며, 현재 Su-30MK, Su-34 등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은 자체적으로 전자전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전투기 기반 전자전기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J-15D, J-16D 등이 대표적이다.

일본 자위대는 전자전 훈련 및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EP-3, YS-11EA, EC-1, RC-2 등을 운용한다.


3. 1. 1. 미국

미국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전기를 운용하고 있으며, 기술 발전에 따라 지속적인 성능 개량을 진행하고 있다.

미국 공군의 EF-111A


미 해군 EA-18G 그롤러


미국 해군의 EA-6, 미국 공군의 EF-111A 등은 협의의 전자전기이며, 공군의 RC-135W 등은 전자정찰기이다. 미국 육군도 독자적으로 통신 감청 장비를 운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전기들은 전자 기술 발전에 발맞추기 위해 탑재된 전자 장비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있으며, 동일 기종이라도 배치 시기에 따라 성능에 큰 차이가 있다.[3]

3. 1. 2. 러시아

소련 시절부터 Il-20, Su-24MP, Yak-28PP 등의 전자전기를 개발, 운용해 왔다. 현재 러시아 항공우주군은 Il-20M COOT-A, Yak-28PP, Su-24MP[1], Su-30MK[2], Su-34[3] 등의 전자전기를 보유하고 있다.

3. 1. 3. 중국

중국은 자체적으로 전자전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전투기 기반의 전자전기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4]

아래는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과 해군에서 운용하는 전자전기 목록이다.

군종기종비고
중국 공군HD-5
HD-6
Y-8 SIGINT PORCUPINE
Tu-154MD ELINT CARELESS
J-16D
중국 해군J-15D


3. 1. 4. 일본

전자전기영어를 운용하는 자위대는 주로 전자전 훈련 및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한다.

  • 해상자위대
  • * EP-3 (전자전 데이터 수집기)
  • * UP-3D (전자전 훈련기)
  • * U-36A (전자전 훈련 지원기)
  • 항공자위대
  • * YS-11EA (전자전 훈련기)
  • * YS-11EB (전자측정·전파정보수집기)
  • * EC-1 (전자전 훈련기)
  • * RC-2 (전자측정·전파정보수집기)

3. 1. 5. 유럽


  • 유로파이터 EK
  • 하바 SOJ

3. 1. 6. 기타 국가



미국은 전자전 능력을 발전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전자 장비를 업데이트하고 있으며, 동일 기종이라도 배치 시기에 따라 성능에 큰 차이가 있다.

4. 대한민국의 전자전기 개발 및 도입

대한민국은 과거 C-47을 개조한 EC-47Q를 운용했었다.

현재는 전자전기 보유 필요성에 대한 여론이 형성되어 국내 개발로 결정되었다. KIDA의 소요 검증 실패로 사업이 좌초될 위기도 있었으나, KF-21 보라매가 타당성 검증을 통과한 사례처럼 공군의 강한 의지가 있다면 사업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군은 중형수송기(C-130)나 비즈니스 제트기 기반의 대형 전자전기(EC-130)와 KF-21 보라매 기반의 소형 전자전기를 고려하고 있다.

2023-2027 국방 중기 계획에 전자전기가 포함되어 사업 추진이 재개되었다.

2023년 4월 13일 방위사업청은 제152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전자전기 사업추진기본전략안을 의결했다.[1]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으로 추진되는 전자전 항공기 개발 사업은 2024년부터 2032년까지 1.85조이 투입되며, 기존 항공기 동체를 개조해 전자전을 수행할 수 있는 각종 항공전자정비를 탑재한다. 또한, 주변국 위협 신호(SIGINT)를 수집, 분석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는 역할도 맡게 된다.[1]

참조

[1] 웹사이트 Electronic warfare {{!}} Cybersecurity, Jamming, Countermeasure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11-14
[2] 웹사이트 Techniques Used https://www.heroesof[...] 2024-11-14
[3] 웹사이트 Air Force receives new aircraft for electronic-attack missions https://www.defensen[...] 2024-11-14
[4] 웹사이트 Airshow China 2024: China unveils operationalised J-15D electronic warfare aircraft https://www.janes.co[...] 2024-11-14
[5] 서적 電子戦の技術 基礎編 東京電機大学出版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