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홀라노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홀라노족은 필리핀 보홀섬에 거주하는 민족 집단이다. 그들은 비사야어의 일종인 보홀라노어를 사용하며, 세부아노어의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일부 언어학자들은 별개의 언어로 분류하기도 한다. 보홀라노어는 세부아노어와 비교하여 음운 변화가 나타나는데, 특히 보홀 중부 지역에서 두드러진다. 2010년 기준 보홀라노족의 인구는 227만 명 이상이며, 대부분 로마 가톨릭 신자이다. 보홀라노족의 문화는 다른 필리핀 문화와 유사하며, 역사적으로 스페인, 멕시코, 중국 등 다양한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보홀섬은 1565년 스페인 정복자와 지역 추장 간에 피의 조약이 맺어진 장소로, 필리핀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홀주 - 보홀섬
보홀섬은 필리핀 비사야 제도에 위치하며 초콜릿 언덕으로 유명하고 서쪽으로 세부 섬, 동쪽으로 레이테 섬과 인접해 아름다운 해안선과 다양한 해양 생물 덕분에 관광 및 다이빙 명소로 인기가 높으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필리핀 독립교회의 발상지가 되었지만 2013년 강력한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기도 했다. - 보홀주 - 산두고 축제
필리핀 보홀에서 매년 7월에 열리는 산두고 축제는 보홀 산두고 재단의 주도하에 관광 활성화를 위한 행사와 거리 무도 경연대회 등이 펼쳐지며, 특히 2년마다 열리는 전 세계 보홀 사람들의 모임과 연계되어 지역 경제 활성화와 문화 교류에 기여한다. - 비사야족 - 로드리고 두테르테
로드리고 두테르테는 강력한 반부패 및 범죄 척결 정책으로 다바오 시장을 장기간 역임한 필리핀 정치인으로, 2016년 대통령에 당선되어 "마약과의 전쟁"을 추진하며 범죄율 감소를 이루었으나 인권 침해 논란을 겪었고, 중국과의 관계 개선 및 경제 성장을 위한 정책을 펼치는 등 필리핀 사회에 복합적인 영향을 남겼다. - 비사야족 - 비사야어군
비사야어군은 필리핀 중부 비사야 제도와 민다나오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어군으로, 세부아노어, 힐리가이논어, 와라이어를 포함한 약 36개의 언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부, 세부, 중부, 반톤, 서부의 다섯 주요 분파로 나뉜다. - 필리핀의 민족 - 아티족
아티족은 필리핀 군도, 특히 파나이섬과 보라카이섬에 거주하는 네그리토계 원주민으로, 비사야족보다 먼저 정착하여 이나티어를 사용하며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고 수렵 채집 생활을 했으나, 현재는 농업 등에 종사하며 아티-아티한 축제를 통해 문화를 기념하고, 토지 소유권 문제와 차별 속에서 필리핀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다. - 필리핀의 민족 - 네그리토
네그리토는 동남아시아와 안다만 제도에 거주하며 검은 피부와 작은 키를 공유하는 여러 민족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로, 유전적으로는 동아시아계와 파푸아계의 경계에 위치한 여러 분리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렵채집 생활을 해왔으나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보홀라노족 | |
---|---|
기본 정보 | |
민족 이름 | 보홀라노족 (Mga Bol-anon) |
![]() | |
인구 (2020년) | 1,872,005명 |
주요 거주 지역 | 필리핀 보홀섬 남레이테주 북동부 민다나오섬 |
언어 | |
사용 언어 | 보홀라노어 (보홀라노 비사야어) 필리핀어 필리핀 영어 |
종교 | |
주요 종교 | 주로 로마 가톨릭교회 |
관련된 민족 | |
관련 민족 | 세부아노족 다른 비사야족 오스트로네시아인 |
2. 언어
보홀라노어는 필리핀 보홀섬에서 사용되는 비사야어의 변종인 세부아노어의 방언으로, 종종 별개의 언어로 설명되기도 한다. 특히 중부 보홀에서 사용되는 보홀라노어는 몇몇 음성 변화를 보인다.
2. 1. 음운 변화
세부아노어에서 /y/ 소리는 /j/가 된다. (세부아노어의 "iya"는 "ija"가 된다.) /k/ 소리는 종종 /h/가 된다. (세부아노어의 "ako"는 "aho"가 된다.) 두 번째나 잇달은 음절에 오면 /l/ 소리는 종종 /w/가 된다. (세부아노어의 "kulang"은 "kuwang"이 된다.) 하지만 타그빌라란을 포함하여 보홀 해안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은 다른 세부아노 사용 지역과 거의 구분이 되지 않는다.3. 인구
200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보홀의 인구는 1,137,268명이었고, 2010년에는 2,278,495명으로 증가했다.[2] 보홀라노족은 주로 보홀에 거주하지만, 일부는 남레이테와 민다나오 (주로 북동부 지역)에도 거주한다.
3. 1. 종교
보홀라노족의 대다수는 기독교 신자이며, 그 중에서도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가 가장 많다. 일부는 개신교를 믿기도 한다. 과거 보홀라노족은 애니미즘을 믿었다.[2]4. 문화
보홀라노족의 문화는 필리핀 (비사야 제도)의 문화와 매우 유사하다. 섬의 다수를 차지하는 오스트로네시아인을 기반으로 하며, 에스카야족과 같은 토착 멜라네시아인, 스페인 식민지 시대, 멕시코와의 교역의 영향을 받았다. 또한 중국과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문화적 영향도 존재한다.
4. 1. 영향
보홀라노족의 문화는 섬 인구의 다수가 오스트로네시아인 또는 말레이폴리네시아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필리핀인들의 문화와 별로 다를 바 없다. 에스카야족과 같은 토착 멜라네시아인들의 영향과 스페인 식민지로 인한 영향 그리고 멕시코 무역으로 인한 영향을 많이 받았다. 또한 중국이나 아시아 국가로부터의 영향도 받아왔다.보홀라노 문화는 필리핀(특히 비사야 제도)의 문화와 매우 유사하다. 이는 섬의 다수를 차지하는 오스트로네시아 민족을 기반으로 한다. 에스카야 부족과 같은 토착 멜라네시아인, 스페인 식민지 시대, 멕시코와의 교역의 영향을 받았다. 또한 중국과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문화적 영향도 존재한다.
4. 2. 전통 음식
보홀라노 문화는 필리핀(특히 비사야 제도)의 문화와 매우 유사하다. 이는 섬의 다수를 차지하는 오스트로네시아 민족을 기반으로 하며, 에스카야 부족과 같은 토착 멜라네시아인, 스페인 식민지 시대, 멕시코와의 교역의 영향을 받았다. 또한 중국과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문화적 영향도 존재한다.
5. 역사
보홀섬의 사람들은 필리핀에 정착한 '핀타도스'(타투를 한 사람들)라고 불리는 주민들의 후손이라고 일컬어진다.[6] 보홀라노족은 타그빌라란 시 만사사의 공예 부장품에서 증명된 그들 자신만의 문화가 있었다. 보홀라노어는 세부아노어에서 갈라진 언어로 간주된다.
보홀은 보올(''Bo-ol'')이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7] 이 섬은 1565년 3월 16일, 시카투나 추장과 스페인 정복자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사이에 산두고(Sandugo)라고 알려진 피의 조약 연합을 통하여 최초의 국제적인 평화 조약과 동맹이 맺어진 장소였다.[8]
5. 1. 초기 문화
보홀섬 사람들은 필리핀에 정착한 '핀타도스'(타투를 한 사람들)라고 불리는 주민들의 마지막 후손이라고 일컬어진다.[6] 보홀라노족은 타그빌라란 시 만사사의 공예 부장품에서 증명된 그들 자신만의 문화가 있었다. 보홀라노어는 세부아노어에서 갈라진 언어로 간주된다.보홀은 보올(''Bo-ol'')이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7] 이 섬은 1565년 3월 16일, 시카투나 추장과 스페인 정복자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사이에 산두고(Sandugo)라고 알려진 피의 조약 연합을 통하여 최초의 국제적인 평화 조약과 동맹이 맺어진 장소였다.[8]
5. 2. 어원
보홀라노는 지방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보홀 사람들은 필리핀에 정착한 마지막 집단인 ''pintados'' 또는 "타투를 한 사람들"의 후손이라고 한다.[3]보홀은 토착어인 Bo-ol에서 유래되었다.[4] 이 섬은 1565년 3월 16일, 토착 왕 다투 시카투나와 스페인 정복자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사이에 맺어진 최초의 국제 평화 및 화합 조약의 중심지였으며, 오늘날 많은 필리핀인들에게 산두고로 알려진 혈맹 동맹을 통해 이루어졌다.[5]
5. 3. 산두고 조약
1565년 3월 16일, 보홀섬에서 시카투나 추장과 스페인 정복자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사이에 산두고라고 알려진 피의 조약 연합을 통해 최초의 국제적인 평화 조약과 동맹이 맺어졌다.[8]참조
[1]
웹사이트
Ethnicity in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3-07-04
[2]
웹사이트
201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Report No. 2A: 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Non-Sample Variables) - Philippines
https://psa.gov.ph/s[...]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05-19
[3]
웹사이트
Bohol-The Island Province
http://www.aenet.org[...]
2006-11-15
[4]
웹사이트
Origin of the name
http://www.bohol.gov[...]
2006-11-15
[5]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Bohol (Part 1)
http://www.bohol.ph/[...]
2006-11-15
[6]
웹사이트
Bohol-The Island Province
http://www.aenet.org[...]
2006-11-15
[7]
웹사이트
Origin of the name
http://www.bohol.gov[...]
2006-11-15
[8]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Bohol (Part 1)
http://www.bohol.ph/[...]
2006-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