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루시아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루시아누스는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의 아들이자 로마 제국의 황제였다. 데키우스와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가 고트족과의 전투에서 사망한 후 251년 7월 황제로 임명되었으며, 호스틸리아누스를 공동 황제로 선포하고 카이사르로 승격시켰다. 재위 기간 동안 로마 제국은 고트족과 사산 제국의 침략을 받았고, 아이밀리아누스의 반란으로 인해 253년 8월 아버지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와 함께 살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30년 출생 - 카타니아의 아가타
카타니아의 아가타는 3세기에 순교한 시칠리아 출신의 기독교 성녀이며, 화산 폭발과 수유하는 여성들을 보호하는 수호성인으로 2월 5일에 축일을 기념한다. - 비비우스 씨족 - 비비아 사비나
비비아 사비나는 1세기 후반에 태어나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와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으며, 주화에 등장하고 아우구스타 칭호를 받았으며 사후 신격화되었다. - 비비우스 씨족 - 비비아 아우렐리아 사비나
비비아 아우렐리아 사비나는 2세기 후반 로마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딸이자 콤모두스의 누이로서, 높은 신분을 바탕으로 북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며 티빌리스와 칼라마의 후원자로서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했고, 남편의 암살 모의 연루 후 티빌리스에서 여생을 보냈다. - 253년 사망 - 제갈각
제갈각은 오나라의 정치가이자 군인으로, 손권의 총애를 받으며 군사적 재능을 발휘하여 동흥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섭정 시기 독단적인 행보로 인해 손준에게 살해당했다. - 253년 사망 - 아이밀리아누스
아이밀리아누스는 3세기 위기 시대에 고트족 격파로 황제가 되었으나 발레리아누스와의 다툼에서 패배 후 자신의 군대에 의해 살해당하고 사후 명예훼손이 선포된 로마 황제이다.
볼루시아누스 | |
---|---|
기본 정보 | |
![]() | |
로마 황제 | 재위 기간: 기원후 251년 8월경 – 253년 8월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와 공동 황제) |
이전 | 데키우스와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
이후 | 아에밀리아누스 |
출생 이름 | 가이우스 위비우스 아피니우스 갈루스 벨둠니아누스 볼루시아누스 |
카이사르 칭호 | 가이우스 위비우스 볼루시아누스 카이사르 (251년) |
제위 이름 |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위비우스 아피니우스 갈루스 벨둠니아누스 볼루시아누스 아우구스투스 |
사망일 | 253년 8월 |
사망 장소 | 인테람나 |
아버지 |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
어머니 | 아피니아 게미나 바에비아나 |
2. 생애
볼루시아누스는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와 아피니아 게미나 바에비아나(en)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비비아 갈라라는 자매가 있었다. 그의 아내는 선황제 데키우스의 딸이었다.[1]
볼루시아누스는 아버지 갈루스와 함께 공동 황제로 재임했으나, 253년 아버지와 함께 군대의 반란으로 살해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즉위
251년 6월경 로마 황제 데키우스와 공동 황제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가 아브리투스 전투에서 고트족과 싸우다 사망하자,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가 후계 로마 황제로 선언되었다.[1] 갈루스는 데키우스의 생존한 아들인 호스틸리아누스를 자신과 함께 ''아우구스투스''(황제)로 선포하고, 볼루시아누스를 ''카이사르''(황태자)로 승격시켰다.[1] 볼루시아누스는 호스틸리아누스의 여동생과 결혼했다.호스틸리아누스는 251년 7월 또는 8월에 사망했는데, 아우렐리우스 빅토르와 ''카이사르들의 개요''는 호스틸리아누스가 전염병으로 사망했다고 말하지만, 조시모스는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가 볼루시아누스가 그의 자리를 차지할 수 있도록 젊은 ''아우구스투스''를 살해했다고 주장한다. 상황에 관계없이, 볼루시아누스는 이후 ''아우구스투스'' 지위를 받았다.[1]
2. 2. 공동 통치와 죽음
251년 데키우스와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가 아브리투스 전투에서 고트족과 싸우다 사망하자, 군대는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를 황제로 선출했다.[1] 갈루스는 고트족이 약탈을 자제하면 공물을 약속하는, 당시 역사가들이 "수치스러운" 조약이라고 비난한 조약을 체결했다. 그는 호스틸리아누스를 자신과 함께 ''아우구스투스''(황제)로 선포했고, 251년 7월에는 볼루시아누스를 ''카이사르''(황태자)로 승격시켰다.[1]호스틸리아누스는 251년 7월 또는 8월에 사망했는데, 그의 죽음에 대한 이유는 논쟁의 대상이다. 아우렐리우스 빅토르와 ''카이사르들의 개요''의 저자는 호스틸리아누스가 전염병으로 사망했다고 말하지만, 조시모스는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가 볼루시아누스가 그의 자리를 차지할 수 있도록 젊은 ''아우구스투스''를 살해했다고 주장한다. 상황에 관계없이, 볼루시아누스는 이후 ''아우구스투스'' 지위를 받았다. 그는 252년에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와 함께, 253년에는 발레리우스 막시무스와 함께 집정관이 되었다. 호스틸리아누스를 죽인 전염병은 로마의 나머지 지역을 황폐하게 만들었지만,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는 모든 전염병 희생자들에게 사회적 지위에 관계없이 적절한 장례를 치르도록 함으로써 많은 인기를 얻었다. 로마의 기독교 박해는 데키우스 치세만큼 극심하지는 않았지만, 교황 코르넬리우스는 252년에 추방되었고, 노바티아누스 역시 이 박해 기간 동안 로마를 떠나야 했다.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와 볼루시아누스는 재위 기간 동안 단 두 개의 황실 칙령을 발표했다.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와 볼루시아누스의 공동 통치 기간 동안 로마 제국은 고트족과 사산 제국의 침략을 받았다. 두 공동 황제는 침략에 직접 맞서기보다는 로마에 머물기로 결정했다.[1] 252년 사산 제국은 로마 메소포타미아를 빠르게 점령하고, 유프라테시스(오늘날의 시리아) 지방의 바르발리소스 근처에서 바르발리소스 전투에서 로마군을 격파한 후, 로마 영토로 진격하여 253년에는 포위 공격 후 안티오크까지 점령했다. 253년, 고트족은 새로운 총독 아이밀리아누스가 공물 지불을 거부했기 때문에 모에시아 인페리오르를 침략했다. 고트족은 두 무리로 나뉘어, 한 무리는 모에시아 인페리오르와 트라키아의 도시들을 약탈하고, 다른 무리는 소아시아로 건너가 에페수스까지 진격했다.
아이밀리아누스는 고트족을 격퇴하는 데 성공하여 많은 사람들을 학살하고 나머지를 다뉴브강 너머로 몰아냈다. 이 승리의 명성은 너무 커서 아이밀리아누스의 병사들은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와 볼루시아누스에 반대하여 자발적으로 그를 황제로 선포했다. 이 소식이 로마에 전해지자, 갈루스와 볼루시아누스는 라인강에서 제국의 방어를 강화하고 있던 미래의 황제 발레리아누스에게 지원군을 요청했다. 아이밀리아누스는 매우 빠른 속도로 이탈리아로 진격했고, 발레리아누스가 지원을 보낼 수 있기도 전에 도착했다. 공동 황제에게 주어진 군대는 훨씬 더 강력한 아이밀리아누스의 군대와 싸우는 것을 두려워했다. 전투를 막기 위해 그들은 반란을 일으켜 253년 8월 움브리아의 인테라므나에서 갈루스와 볼루시아누스를 살해했다.[1] ''354년의 연대기''는 두 공동 황제가 총 2년 4개월 9일 동안 통치했다고 말한다.
3. 주화
볼루시아누스의 아우레우스는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그의 흉상을 앞면에 새긴 동전은 5가지 스타일이 있었으며, 뒷면에는 다음이 새겨졌다.
그의 흉상에 방사형 관을 새긴 동전은 6가지 스타일이 있었으며, 뒷면에는 다음이 새겨졌다.
볼루시아누스의 동전은 때때로 "새로운 시대"라는 비문과 함께 "로마 영원", "영원한 평화"라는 전통적인 비문을 새기기도 했다.[1]
4. 가계도
볼루시아누스는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를 아버지로, 아피니아 게미나 바에비아나(en)를 어머니로 하여 태어났다. 그의 아내는 선황제 데키우스의 딸이었으며, 자매로는 비비아 갈라가 있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