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리바르 혁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리바르 혁명은 우고 차베스가 시몬 볼리바르의 사상을 계승하여 추진한 베네수엘라의 정치, 경제, 사회 개혁 운동이다. 1980년대 석유 가격 하락으로 인한 경제 위기와 기존 정치에 대한 불만을 배경으로, 차베스는 1998년 대통령에 당선된 후 국유화, 사회 복지 프로그램, 반미 외교 정책 등을 펼쳤다. 초기에는 빈곤 감소에 기여했으나, 이후 경제난, 민주주의 후퇴, 인권 침해 등의 부정적 결과를 초래했다. 차베스 사후 니콜라스 마두로 정부에서도 경제 위기가 심화되었으며, 사회 불안과 정치적 탄압이 심화되어 대규모 난민 발생으로 이어졌다. 볼리바르 혁명은 라틴 아메리카와 스페인 등 일부 국가에 영향을 미쳤으며, 긍정적 측면과 더불어 국가 개입과 포퓰리즘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리바르 혁명 - 핑크 타이드
핑크 타이드는 21세기 초 라틴 아메리카에서 신자유주의에 대한 반발과 경제적 불평등 심화로 좌파 정부들이 연이어 등장한 정치적 흐름을 의미하며, 사회 복지 정책을 강조하는 좌파 지도자들의 집권과 함께 나타났다가 쇠퇴 후 재부상하기도 했다. - 베네수엘라의 극좌 정치 - 차베스주의
차베스주의는 포퓰리즘, 반자본주의, 민주사회주의, 좌파민족주의, 반제국주의를 포괄하는 우고 차베스의 정치적 이념 및 정책으로, 베네수엘라에서 국유화, 사회 복지 확대, 신자유주의 반대 등의 정책으로 나타났으나 권력 집중, 경제 위기, 민주주의 쇠퇴 등의 비판도 있다. - 베네수엘라의 정치 - 민주통일원탁
민주통일원탁(MUD)은 2008년 베네수엘라에서 출범한 야권 연합으로, 11개 정당을 포함하여 결성되었으며, 국가 기관의 자율성, 민주적 좌파 내 이념적 다원주의 등을 지지하며 2015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3분의 2 의석을 확보했으나 분열을 겪었다. - 베네수엘라의 정치 - 베네수엘라의 대외 관계
베네수엘라의 대외 관계는 여러 국가와의 외교, 아프리카 및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과의 특별한 관계, 다자 기구 참여, 그리고 국경 분쟁 및 미국과의 복잡한 관계로 특징지어진다.
볼리바르 혁명 | |
---|---|
볼리바르 혁명 | |
![]() | |
부분 | 핑크 물결의 일부 |
날짜 | 1999년 2월 2일 – 현재 () |
장소 | 베네수엘라 |
원인 | 우고 차베스와 니콜라스 마두로의 대통령 재임 |
동기 | 문화적 헤게모니 및 정치적 헤게모니 확립 |
결과 | 볼리바르 베네수엘라의 위기 |
베네수엘라 정치 | |
의장 | 디노라 피게라 |
대통령 선거 | 2018년 2024년 |
국회 선거 | 2015년 2020년 |
제헌의회 선거 | 1999년 2017년 |
지방 선거 | 2017년 2021년 |
시의회 선거 | 2017년 2018년 |
국민투표 | 2009년 2017년 |
관련 포털 | 포털:베네수엘라 |
기타 | |
스페인어 | Revolución bolivariana |
링크 | 스페인어 |
2. 역사적 배경
시몬 볼리바르는 베네수엘라를 비롯한 남아메리카 전반에 걸쳐 오랫동안 큰 영향을 남겼다. 군사 사관생도 시절부터 볼리바르를 숭배했던 우고 차베스는 그의 사상과 대중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MBR-200이라는 조직을 만들었고, 이는 1992년 쿠데타 시도의 기반이 되었다.[8]
볼리바르 혁명은 1960년대부터 이미 프로젝트로 존재했다. 1964년 혁명가 더글러스 브라보(Douglas Bravo) 등이 작성한 베네수엘라의 정치·군사 관련 보고서인 「산의 문서(Documento de la Montaña)」에서 처음 등장했는데, 이 보고서는 실패한 게릴라를 군대에 편입시켜 볼리바르 “해방군”을 통한 좌익의 군사봉기, 군민 협동의 혁명을 실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3] 이후 군 내부에 차베스를 중심으로 한 “볼리바르주의 애국혁명군인위원회”가 생겨났고, 나중에 “볼리바르 군”, “MBR-200(볼리바르 혁명 운동-200)”이 형성되었다.[63]
1958년, 사회민주주의 정당인 민주행동당(Acción Democrática)과 급진적인 좌파 정당인 베네수엘라 공산당(Partido Comunista de Venezuela), 그리고 반정부 성향의 군부 세력이 마르코스 페레스 히메네스(Marcos Pérez Jiménez) 정권을 타도하는 쿠데타를 성공시켰다.[67] 같은 해 10월 31일, 민주행동당과 중도우파 정당인 기독교사회당(COPEI), 그리고 민주공화동맹(URD) 3당은 안정적인 민주주의를 유지하기 위한 협정을 맺었다.[68][67] 이후 민주공화동맹의 세력은 약화되었고, 민주행동당과 기독교사회당이 번갈아 집권하는 안정적인 양당제가 1993년까지 지속되었다.[67]
1973년, 민주행동당의 카를로스 안드레스 페레스가 대통령에 취임했다. 석유파동으로 인한 세계적인 석유 가격 급등 속에서, 페레스는 베네수엘라 국영석유회사(PDVSA)를 설립하는 등 석유 자원을 통한 경제 성장을 추진했지만, 석유 산업에 지나치게 의존한 결과 원유 가격이 안정된 후 경제는 점차 악화되었다.
페레스는 1979년에 퇴임한 후 1989년에 다시 대통령에 취임했다. 두 번째 정권에서 페레스는 국제통화기금(IMF)과의 합의에 기반한 구조조정 계획을 도입하고,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금융긴축 정책을 펼칠 수밖에 없었다.[63]
2. 1. 1980년대 경제 위기와 사회 불안
1980년대 중반 석유 가격 하락으로 베네수엘라는 경제 위기를 겪었고, 상당한 수준의 부채를 떠안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좌파 성향의 하이메 루신치 대통령 행정부는 국가 부채 상환을 재구조화하고 경제 위기를 상쇄하면서도 사회 지출과 국가 지원 보조금 정책을 지속할 수 있었다.[9]2. 2. 카를로스 안드레스 페레스 정부의 신자유주의 정책과 '카라카소'
1980년대 중반 석유 가격 하락으로 베네수엘라는 경제 위기를 겪었고, 많은 빚을 지게 되었다. 그럼에도 좌파 성향의 하이메 루신치 대통령은 국가 부채를 재조정하고 경제 위기에 대응하면서도 사회 지출과 보조금 정책을 유지했다.[9] 민주 행동 소속 카를로스 안드레스 페레스는 1988년 선거에서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10]페레스는 국제통화기금(IMF)의 권고에 따라 긴축 정책을 포함한 경제 개혁을 시행했다. 이러한 정책에는 국영 기업 민영화, 세금 개혁, 관세 인하, 그리고 경제에서 국가의 역할 축소가 포함되었다. 또한, 이전에는 대통령이 임명하던 주지사를 직접 선거로 뽑는 제도를 도입하여 베네수엘라 정치 시스템을 분권화하고 현대화했다. 가장 논란이 된 것은 휘발유 보조금 감축이었는데, 이는 오랫동안 국내 휘발유 가격을 매우 낮게 유지해 왔기 때문이다.[10]
1989년 2월 27일, 정부의 경제 개혁과 휘발유 및 교통비 인상에 반발하여 과레나스에서 엘 카라카소라고 불리는 대규모 시위와 폭동이 일어났고, 카라카스와 주변 도시로 확산되었다. 일주일 동안 이어진 충돌로 대부분 보안군과 군대에 의해 수백 명이 사망했다.[11][12]
2. 3. 우고 차베스의 등장과 볼리바르 혁명 운동
1980년대 중반 석유 가격 하락으로 베네수엘라에 경제 위기가 닥치고, 국가는 막대한 부채를 떠안게 되었다.[9] 하이메 루신치 대통령은 국가 부채 상환을 재구조화하고 경제 위기에 대응하면서도 사회 지출과 국가 지원 보조금 정책을 유지했다.[9] 1988년 선거에서 카를로스 안드레스 페레스가 대통령에 당선된 후, 국제통화기금(IMF)의 권고에 따라 국영 기업 민영화, 세금 개혁, 관세 인하 등 경제 개혁을 시행했다.[10] 또한 주지사 직선제를 통해 정치 시스템을 분권화했다. 그러나 휘발유 보조금 감축으로 인해 엘 카라카소로 불리는 대규모 시위와 폭동이 발생하여 수백 명이 사망했다.[11][12]이러한 상황에서 군사 사관생도였던 우고 차베스는 시몬 볼리바르의 사상과 대중적 상징을 이용하여 MBR-200 운동을 조직했다.[8] 1992년, 차베스는 신자유주의 정책과 기존 정치에 대한 불만을 바탕으로 쿠데타를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투옥되었다.[67] 그러나 이 쿠데타 시도는 경제 위기로 고통받던 국민들의 공감을 얻었다.[67]
1994년, 기독교민주당에서 분당한 "변혁"의 라파엘 칼데라가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경제 위기로 인해 신자유주의 정책으로 전환하면서 시민들의 실망을 샀다.[67]
이후 석방된 차베스는 1998년 선거에서 제5공화국 운동을 조직, 무소속 후보로 출마하여 대통령에 당선되었다.[67] 차베스는 대통령 당선 후 '볼리바르 혁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했다.
3. 주요 정책
우고 차베스 대통령은 '21세기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국유화, 사회복지 프로그램 확대, 반미 자주 외교 노선을 추구했다.[62] 이러한 정책 기조는 '볼리바르 혁명'으로 불리며, 독립운동가 시몬 볼리바르의 사상을 계승하는 것으로 여겨졌다.[63]
차베스 정부는 1999년 헌법 개정을 통해 국명을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공화국"으로 변경하고, 대통령 권한 강화 및 참여형 민주주의를 헌법에 명시했다.[63] 2000년에는 "대통령 권한법"을 통해 경제, 사회,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49개의 법률을 제정했다.[64]
주요 정책으로는 거시경제 안정을 위한 가격 및 외환 통제, 마이크로크레딧을 제공하는 공공 금융 기관 설립, 저소득층 지원을 위한 사회 개발 프로그램 등이 있었다.[62] 특히 2003년 이후 빈곤층을 위한 교육, 의료, 일자리 창출, 토지 개혁 등 다양한 사회 정책 "미션"을 추진하여 빈곤층의 지지를 얻었다.[64]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기존 지배층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2001년 베네수엘라 경영자 협회와 노동자 총연맹의 총파업으로 이어졌다.[64] 2002년에는 차베스 대통령이 사임하고 잠정 정부가 출범했으나, 군과 시민들의 반발로 차베스가 복귀하는 등 정치적 혼란이 계속되었다.[64][67] 2007년과 2009년에는 헌법 개정을 통해 대통령의 권한을 강화하고 재선 제한을 폐지하려는 시도가 있었다.[67]
볼리바르 혁명은 경제적으로는 높은 인플레이션과 석유 의존 심화, 정치적으로는 야당 및 언론 탄압, 사회적으로는 치안 악화 등의 문제를 야기했다.[66] 특히, 차베스 정권과 가까운 사람들이 부를 축적하는 '볼리부르주아'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66]
3. 1. 국내 정책
차비즘 정책은 국유화, 사회 복지 프로그램(볼리바르 혁명 미션), 그리고 자유화 개혁(특히 IMF와 세계은행의 정책)에 대한 반대를 포함한다.[13] 우고 차베스는 베네수엘라 사회주의가 사유재산을 인정하지만[13] 사회적 재산도 증진하려 한다고 언급했다.[14]차베스는 1999년 헌법 개정을 통해 국명을 "베네수엘라 공화국"에서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공화국"으로 변경하고, 대통령 권한 강화, 천연자원의 국가 귀속, 참여형 민주주의, 5권 분립 등을 헌법에 담았다.[63] 2000년 11월부터 1년간 의회 심의 없이 법안을 통과시킬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하는 "대통령 권한법"에 따라 49개의 법률을 제정했다.[64]
구체적인 정책으로는 가격 통제, 외환 통제, 고정 환율 등의 규제와 통제를 통한 거시경제 안정화 대책, 마이크로크레딧을 수행하는 공공 금융 기관과 농업·항공·관광 관련 공사 등 국영 기업 설립, 저소득층을 지원하는 사회 개발 프로그램 등이 대표적이다.[62]
2003년 이후에는 빈곤층을 대상으로 한 문해율 향상, 의료 서비스 제공, 일자리 창출, 직업 훈련, 토지 개혁 등 각종 사회 정책 "미션"을 강력히 추진하여[64] 빈곤층을 중심으로 지지를 얻었다. 주요 사회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 볼리바르 계획 2000: 미국 국무부에 따르면, 차베스는 "군대가 국민 탄압의 수단이 아니라 개발과 안보를 위한 힘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29] 이 계획에는 여러 스캔들이 있었는데, 계획에 참여한 장군들에 대한 부패 혐의가 제기되면서 상당한 금액이 유용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0]
- 미션 바리오 아덴트로: 공공 의료 서비스와 치과 진료, 스포츠 훈련을 베네수엘라의 빈곤하고 소외된 지역 사회에 제공하는 것이었다. 2006년 기준으로, 직원은 31,439명의 전문가, 기술 인력 및 보건 기술자로 구성되었으며, 그중 15,356명은 쿠바 의사였고 1,234명은 베네수엘라 의사였다. 세계보건기구의 라틴 아메리카 지부와 유니세프는 모두 이 프로그램을 칭찬했다.[31][32] 2007년 7월, 베네수엘라 의료 연맹 회장 더글러스 레온 나테라는 바리오 아덴트로 모듈의 최대 70%가 방치되거나 미완성 상태로 남아 있다고 보고했다.[33]
- 미션 해비타트: 저소득층을 위한 새로운 주택을 건설하는 것이 목표였다. 베네수엘라의 ''엘 우니베르살''에 따르면, 차베스 정부의 가장 큰 약점 중 하나는 주택 건설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것이다. 차베스는 2006년에 15만 채의 주택을 건설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상반기에 목표의 24%인 3만 5천 채만 완공했다.[36]
- 미션 메르칼: 전국적인 매장 체인을 통해 보조금을 받는 식량과 생필품을 제공하는 메르카도스 데 알리멘토스 C.A.(MERCAL)라는 국영 기업이 포함되어 있다. 2010년 당시 메르칼은 1만 6,600개의 매장과 6,000개의 무료급식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8만 5,0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었다.[37] 최근에는 할인된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긴 줄을 서야 하는 고객들이 메르칼 매장에 제품이 부족하고 매장에서 판매되는 품목이 끊임없이 바뀐다고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39]
- 미션 로빈슨: 1999년 차베스 대통령 선거 이전 문맹이었던 150만 명이 넘는 베네수엘라 성인들에게 읽기, 쓰기, 산수를 가르치기 위해 자원봉사자들을 활용했다. 2005년 10월 28일, 베네수엘라 정부는 초기 추산치에 따른 문해율을 약 99%로 높인 후 "문맹 퇴치 지역"을 선포했지만, 이 통계는 96%로 변경되었다.[43]

하지만 빈곤층 구제를 위한 개혁은 기존 지배층의 기득권과 정치적 영향력을 빼앗는 정책이기도 했기에, 차베스 지지파와 반대파 간의 갈등이 격화되었다.[69] 2001년 12월, 국내 최대 규모의 경제 단체인 베네수엘라 경영자 협회는 대통령 권한법에 따른 법률 제정이 민간 부문과의 논의 없이 독단적인 것이라며, 베네수엘라 노동자 총연맹에 호소하여 총파업을 실시했다.[64] 2002년 4월에는 차베스가 사임에 몰리고, 카르모나 베네수엘라 경영자 협회 회장을 잠정 대통령으로 하는 잠정 정부가 출범했다. 그러나 잠정 정부는 의회 기능 정지와 공권력 책임자 해임 등 반민주적인 방법을 사용했기에 군과 시민들의 반발을 불러 일으켰고, 사임 이틀 만에 차베스가 다시 대통령직에 복귀했다.[64][67]
2007년 8월에 제출된 1999년 헌법 개정안은 차베스 지지파 군인·정치인들의 이반과 급진적인 개혁을 지지하지 않는 일반 시민들의 존재로 인해 부결되었다.[67] 2009년에 제출된 헌법 개정안은 가결되었고 대통령의 재선 제한이 폐지되었다.[67]
3. 2. 국제 정책
우고 차베스는 '볼리바르 혁명'을 통해 미국 주도의 신자유주의 정책에 반대하며, 라틴 아메리카의 좌파 정권들과 연대를 강화하는 반미 자주 외교 노선을 추구했다.[16] 이는 미국에 대한 적대적 태도와 베네수엘라의 독재적 사회주의 모델을 주변국에 확산시키려는 시도로 이어졌다.[16]차베스는 베네수엘라의 풍부한 석유 자원을 활용하여 주변국에 대한 경제적 지원과 영향력을 확대하는 "석유 외교"를 펼쳤다.[24][25] 이를 통해 라틴 아메리카의 경제 및 사회 통합을 추구했으나, 베네수엘라 경제가 석유에 더욱 의존하게 되어 장기적인 취약성을 증가시키기도 했다.[26]
차베스의 볼리바르 혁명은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서 좌파 정부가 연이어 집권하는 '핑크 타이드' 현상을 이끌었다.[18][17] 이러한 정부들은 반미적, 포퓰리즘적, 권위주의적 경향을 보인다는 분석도 있었다.[19][23] 그러나 2009년 핑크 타이드가 약해지기 시작하면서 차베스의 국제적 영향력은 과장되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26][27]
4. 볼리바르 혁명의 쇠퇴
우고 차베스 사후, 그의 후계자인 니콜라스 마두로는 차베스 정책의 결과에 직면했고, 마두로의 지지율은 하락했으며 2014년부터 베네수엘라에서 시위가 시작되었다.[48] 차베스 및 마두로 정부는 베네수엘라가 직면한 어려움을 외세의 간섭 탓으로 돌리곤 했다.[49] 볼리바르 정부는 경제를 위해 석유에 의존하여 본질적으로 네덜란드병을 겪었으며, 이로 인해 베네수엘라 국민은 부족, 초인플레이션, 범죄 및 기타 사회경제적 문제로 고통받았다.[47][49]
4. 1. 경제 위기 심화
니콜라스 마두로는 우고 차베스의 사망 이후 그의 정책을 이어받았으나, 그 결과로 지지율이 하락하고 2014년부터 베네수엘라에서 시위가 시작되는 등 어려움에 직면했다.[48] 차베스와 마두로 정부는 이러한 어려움을 외세의 간섭 탓으로 돌리곤 했다.[49]2016년 기준으로 볼리바르 베네수엘라는 초인플레이션과 일자리 및 소득의 극심한 감소를 겪었다. 2016년 소비자 물가는 800% 상승하고 경제는 19% 축소되었다.[50] 또한, "베네수엘라 생활 조건 조사"(ENCOVI)에 따르면 인구의 거의 75%가 영양 부족으로 평균 8.7kg 이상 체중이 감소하는 등 널리 퍼진 기아를 겪었다.[51] 베네수엘라 폭력 감시기구에 따르면 2015년 베네수엘라의 인구 10만 명당 살인 건수는 90건이었던 반면 미국은 10만 명당 5건으로, 살인율 또한 치솟았다.[52]
볼리바르 혁명은 경제적으로 연간 30%를 넘는 높은 인플레이션을 야기했다.[66] 정부는 재정 균형이나 안정적인 통화 공급 유지가 아닌, 외환 규제 및 고정환율제와 같은 규제·통제로 대응했기 때문에 오히려 거시경제의 왜곡이 축적되었다.[66] 2004년부터 2008년 상반기까지는 원유 가격 급등에 힘입어 경제 성장을 이루었지만, 그 이후에는 침체·후퇴로 돌아서 2009년에는 3.3%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66]
차베스 정권은 경제 하락에 대해 리먼 쇼크 및 그에 따른 원유 가격 하락 때문이라고 하며 자본주의 체제를 비판했지만, 실제로는 기업 및 부동산 몰수·국유화로 인한 국내외 민간 기업의 투자 의욕 감퇴, 인플레이션 대책으로 극단적으로 낮게 설정된 식품 및 생필품 가격, 외환 부족으로 인한 생산 부문의 원자재·부품 수입 곤란 등 정부의 경제 개입에 따른 구조적 왜곡이 주요 원인이었다.[66]
휴먼 라이츠 워치는 베네수엘라 정부가 비판자들을 침묵시키기 위해 광범위한 체포와 탄압을 자행했다고 비판했다. 2014년 이후 평화 시위대와 행인들에 대한 보안군의 폭력적인 대응, 구타와 체포, 구금 중 고문 등이 문서화되었다.[53] 베네수엘라 형사 포럼은 90명 이상을 정치범으로 간주한다.[53]
''국제 정책 다이제스트''는 "볼리바르 혁명이 실패한 것은 그 이상이 달성 불가능했기 때문이 아니라 지도자들이 자신들이 비난하는 자들만큼 부패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며, 볼리바르 정부가 경제를 위해 석유에 의존하여 본질적으로 네덜란드병을 겪고 있다고 평가했다.[49]
4. 2. 사회 불안과 정치적 탄압
우고 차베스 사후, 그의 후계자인 니콜라스 마두로는 차베스 정책의 결과에 직면했고, 마두로의 지지율은 하락했으며 2014년부터 베네수엘라에서 시위가 시작되었다.[48] 차베스와 마두로 정부는 베네수엘라가 직면한 어려움을 외세의 간섭 탓으로 돌리곤 했다.[49]2016년 기준으로 볼리바르 베네수엘라는 초인플레이션과 일자리 및 소득의 극심한 감소(2016년 소비자 물가는 800% 상승하고 경제는 19% 축소됨)[50], 널리 퍼진 기아("베네수엘라 생활 조건 조사"(ENCOVI)에 따르면 인구의 거의 75%가 영양 부족으로 평균 8.7kg 이상 체중이 감소함)[51], 치솟는 살인율(베네수엘라 폭력 감시기구에 따르면 2015년 베네수엘라의 인구 10만 명당 살인 건수는 90건이었던 반면 미국은 10만 명당 5건이었음)[52]을 겪었다.
볼리바르 혁명 추진으로 인해 국내 정치·경제 상황은 악화되었다.[66] 경제적으로는 연간 30%를 넘는 높은 인플레이션에 시달렸다. 정부는 재정 균형이나 안정적인 통화 공급 유지가 아닌, 외환 규제 및 고정 환율제와 같은 규제·통제로 대응했기 때문에 오히려 거시 경제의 왜곡이 축적되었다.[66]
또한, 국영 기업과의 사업 계약을 체결한 기업인이나 허가 권한을 쥐고 있는 관료, 정치인 등 차베스 정권과 가까운 사람들이 렌트 시킹을 통해 급속히 재산을 축적했다. 그들은 "볼리바르 혁명이 낳은 부르주아"를 의미하는 "볼리부르주아"라고 불렸다.[66]
휴먼 라이츠 워치에 따르면 정부는 비판자들을 침묵시키기 위해 광범위한 체포와 탄압을 자행했다.[53] 2009년 이후에는 반대파의 항의 집회나 행진에 평화적으로 참가한 학생[66]이나 공무원, 일반 시민들이 체포되는 사례도 급증했다.[66] 또한 반대파의 민영 방송국 및 라디오 방송국도 폐쇄당했다.[66]
국내 치안도 악화되었다. 2008년 인구 10만 명당 살인 사건 수는 52.0명으로, 온두라스, 자메이카에 이어 세계 3위였다.[66] 2009년에는 경찰이 파악한 것만 해도 382건의 납치 사건이 발생했다.[66]
4. 3. 난민 위기
볼리바르 혁명 이후 베네수엘라는 초인플레이션, 생필품 부족, 범죄 증가 등 여러 사회경제적 문제에 직면했다. 이로 인해 많은 베네수엘라 국민들이 더 나은 삶을 찾아 국외로 이주하는 난민 위기가 발생했다.[47][49]1998년 우고 차베스 대통령 당선 당시 미국 망명 허가를 받은 베네수엘라인은 14명에 불과했지만, 1999년 9월에는 1,086명으로 급증했다.[56] 1998년부터 2013년까지 볼리바르 혁명 기간 동안 150만 명 이상(전체 인구의 4~6%)의 베네수엘라인이 고국을 떠난 것으로 추산된다.[57] 이들은 자유 부족, 높은 수준의 불안, 기회 부족 등을 이주의 이유로 꼽았다.[57][58] 일부 부모들은 자녀를 불안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이민을 권유하기도 했다.[58][59] 이는 베네수엘라의 인적 자본 유출로 이어졌다.[55][57]
2018년 11월, 유엔난민기구와 국제이주기구는 베네수엘라 난민 수가 300만 명에 달하며, 대부분이 다른 라틴 아메리카 국가와 카리브해 지역으로 이주했다고 발표했다.[60]
5. 볼리바르 혁명이 다른 나라에 미친 영향
볼리바르주의는 볼리비아와 에콰도르에서 정당 위기를 겪으면서 모방되었다.[61]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에서 볼리바르주의가 더 확산되지 못한 이유는 정당과 민주적 제도가 기능을 유지하고, 좌파와 시민 사회가 독재 경험으로 인해 민주주의, 다원주의, 자유주의적 권리를 중시했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2017년에 나왔다.[61] 또한, 이 연구는 볼리바르주의에 대한 두려움이 온두라스의 셀라야 대통령에 대한 쿠데타로 이어졌다는 사실도 밝혔다.[61]
스페인의 좌파 정당 포데모스는 볼리바르주의의 일부 측면을 수용했다.[61]
5. 1. 라틴 아메리카
볼리비아와 에콰도르에서는 정당 위기를 겪으면서 볼리바르주의를 모방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61] 2017년의 한 연구에 따르면, 볼리바르주의는 "정당과 민주적 제도가 기능을 유지하고, 좌파와 시민 사회가 잔혹한 독재 경험으로 인해 민주주의, 다원주의, 자유주의적 권리를 중시했던 국가들에서는"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으로 더 확산되지 못했다.[61] 이 연구는 또한 "볼리바르주의에 대한 두려움이 온두라스의 셀라야 대통령에 대한 쿠데타로 이어졌다"는 사실도 밝혀냈다.[61]5. 2. 스페인
스페인의 좌파 정당 포데모스는 볼리바르주의의 일부 측면을 수용했다.[61]6. 평가
볼리바르 혁명은 초기에는 빈곤 감소와 사회 불평등 완화에 기여했지만, 장기적으로는 경제 실패, 민주주의 후퇴, 인권 침해 등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66]
한국의 중도 진보적 관점에서 볼리바르 혁명은 사회 복지 확대와 국가 주도 경제 개발의 긍정적 측면과 함께, 과도한 국가 개입과 포퓰리즘 정치의 위험성을 동시에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차베스 정권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는 권력 남용, 반대파 탄압, 경제 파탄 등을 지적한다. 특히, 국민의힘 등 보수 진영에서는 이러한 비판적 시각을 강하게 견지한다. 차베스는 연설에서 빈곤층과 하층민은 착취당하는 선량한 사람들이고, 부유층과 상류층은 모두 부패한 악당이라는 식으로 국민의 가치관을 왜곡하는 메시지를 자주 전달했다. 이는 무지한 대중의 정치·사회에 대한 가치관을 왜곡시키고, 포퓰리즘적인 수법을 요구하는 토양을 국민들 사이에 만들었다.[63]
반면, 우호적 시각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등 진보 진영은 빈곤층과 소외 계층을 위한 사회 정책 추진, 미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는 자주적 외교 노선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정치에서 소외되었던 빈곤층과 원주민 등에게 주목하고, 비공식화 및 비제도화의 위험이 있던 사람들을 포용하며, 일반 대중을 정치 의식에 눈뜨게 함으로써 민주주의 강화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다.[63]
베네수엘라 정부는 볼리바르 혁명을 성공으로 간주하고 있다. 2015년 주일 베네수엘라 대사인 세이코 이시카와는 아시아프레스 클럽 정례회의 강연에서 다음과 같은 성과를 언급했다.[71]
참조
[1]
논문
Del Estado Comunicador Al Estado De Los Medios. Catorce Años De Hegemonía Comunicacional En Venezuela.
2014
[2]
서적
Comandante : Hugo Chavez's Venezuela
Penguin Books
2014
[3]
논문
Chavez: Rhetoric Made in Havana
http://www.worldpoli[...]
2012-03-26
[4]
뉴스
Venezuela profile – Timeline
https://www.bbc.com/[...]
BBC News
2017-04-26
[5]
뉴스
Venezuelan opposition activists march to Leopoldo Lopez' jail
https://www.reuters.[...]
2017-04-28
[6]
웹사이트
World Report 2017: Rights Trends in Venezuela
https://www.hrw.org/[...]
2017-01-12
[7]
뉴스
Venezuela plan to rewrite constitution branded a coup by former regional allies
https://www.theguard[...]
2017-05-02
[8]
간행물
The Shah of Venezuela
http://www.tnr.com/b[...]
2009-04-01
[9]
웹사이트
http://www.cidob.org[...]
[10]
뉴스
Venezuela exhumes unnamed dead in riot investigation
https://www.reuters.[...]
2009-09-22
[11]
뉴스
Venezuela: Wound Still Gaping 20 Years after 'Caracazo'
http://www.ipsnews.n[...]
IPS
2009-02-27
[12]
간행물
Reports of Arbitrary Killings and Torture: February/March 1989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1990-03
[13]
뉴스
Hugo Chávez: Death of a socialist
http://www.thehindu.[...]
2013-03-06
[14]
뉴스
Plan Chávez prevé crear 30 mil empresas de propiedad social
http://www.elunivers[...]
2012-06-13
[15]
웹사이트
The Communal State: Communal Councils, Communes, and Workplace Democracy
https://nacla.org/ar[...]
North American Congress on Latin America
[16]
논문
Criminal Networks in Venezuela
2016-02
[17]
잡지
Obama and Latin America: A Promising Day in the Neighborhood
2015-09-10
[18]
논문
Strategic Insights: From Ideology to Geopolitics: Russian Interests in Latin America
2015
[19]
서적
The Paradox of Democracy in Latin America: Ten Country Studies of Division and Resilienc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1
[20]
뉴스
The many stripes of anti-Americanism
http://www.boston.co[...]
[21]
뉴스
South America's leftward sweep
http://news.bbc.co.u[...]
BBC News
[22]
뉴스
Latin America's 'pragmatic' pink tide
http://www.pittsburg[...]
[23]
뉴스
Once Saudi Venezuela, now a 'pink tide' casualty
http://www.chicagotr[...]
2016-06-30
[24]
간행물
Using oil to spread revolution (retitled to "Venezuela and Latin America")
http://www.economist[...]
2005-07-28
[25]
웹사이트
Guyana to Try for Better Oil Rates Under Caracas Accord
http://www.guyana.or[...]
2004-02
[26]
웹사이트
Venezuela's foreign policy: a mirage based on a curse
http://www.peacebuil[...]
[27]
뉴스
The Year the 'Pink Tide' Turned: Latin America in 2015
https://news.vice.co[...]
2015-12-29
[28]
뉴스
Entre los números y la realidad
http://news.bbc.co.u[...]
BBC
2009-01-27
[29]
웹사이트
Venezuelan Soldiers Leave Their Barracks ... To Implement Chavez's Civil-Military Public Works Program
https://www.state.go[...]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30]
웹사이트
Opinión y análisis – ¿Sabe el Ejército de Corrupción?
http://www.analitica[...]
[31]
간행물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
[32]
간행물
UNICEF
2005
[33]
뉴스
Abandonados 70% de módulos de BA
http://www.2001.com.[...]
2007-07-29
[34]
간행물
Mission Barrio Adentro: The right to health and social inclusion in Venezuela
http://www.paho.org/[...]
Pan American Health Organization
2006-07
[35]
뉴스
Cabildo Metropolitano evaluará funcionamiento de Barrio Adentro
http://www.elunivers[...]
2014-05-06
[36]
뉴스
Chávez' Government has built 24 percent of scheduled houses.
http://english.eluni[...]
El Universal
2006-07-31
[37]
간행물
A Food Fight for Hugo Chavez
https://web.archive.[...]
Business Week
2010-03-11
[38]
뉴스
Datanálisis: Mercal es el lugar preferido para comprar alimentos
http://www.elunivers[...]
El Universal
2009-03-19
[39]
뉴스
En Mercal hay mucha cola para pocos productos
http://eltiempo.com.[...]
El Tiempo
2014-05-07
[40]
뉴스
Usuarios molestos por venta racionada de alimentos en Pdval y Mercal
http://www.el-carabo[...]
El Carabobeno
2014-05-07
[41]
뉴스
#27M Protestan frente a Mercal de Patarata (Fotos)
http://elimpulso.com[...]
El Impulso
2014-05-28
[42]
뉴스
Bolivia declares literacy success
http://news.bbc.co.u[...]
BBC News
2015-08-27
[43]
뉴스
Propaganda, not policy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14-05-03
[44]
웹사이트
Venezuela se declara libre de analfabetismo
http://ipsnoticias.n[...]
Inter Press Service
2006-12-29
[45]
웹사이트
"Illiteracy" Revisited: What Ortega and Rodríguez Read in the Household Survey
http://www.cepr.net/[...]
Center for Economic and Policy Research
2015-08-27
[46]
웹사이트
How Not to Defend the Revolution: Mark Weisbrot and the Misinterpretation of Venezuelan Evidence
http://frrodriguez.w[...]
2015-08-28
[47]
뉴스
Venezuelan Jews Hoping for Economic, Regime Change – Americas
http://www.haaretz.c[...]
Haaretz.com
2016-09-23
[48]
뉴스
Devaluing the Bolivarian revolution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16-09-23
[49]
간행물
Venezuela in Crisis
http://intpolicydige[...]
2016-09-23
[50]
뉴스
Venezuela 2016 inflation hits 800 percent, GDP shrinks 19 percent: document
https://www.reuters.[...]
Reuters
2017-05-01
[51]
뉴스
Venezuela: 75% of population lost 19 pounds amid crisis
http://www.upi.com/T[...]
UPI
2017-05-01
[52]
뉴스
The biggest worry in crisis-ridden Venezuela: crime
http://www.latimes.c[...]
Los Angeles Times
2017-05-01
[53]
웹사이트
Venezuela's Deepening Crisis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7-05-03
[54]
뉴스
Hugo Chavez is Scaring Away Talent
http://www.newsweek.[...]
Newsweek
2014-09-24
[55]
뉴스
Best and brightest for export
http://www.elunivers[...]
El Universal
2014-09-24
[56]
뉴스
Venezuelans, fleeing Chavez, seek U.S. safety net
http://uk.reuters.co[...]
Reuters
2014-09-22
[57]
뉴스
Venezuela agobiada por la fuga masiva de cerebros
http://www.elnuevohe[...]
El Nuevo Herald
2014-08-28
[58]
뉴스
El 90% de los venezolanos que se van tienen formación universitaria
http://elimpulso.com[...]
El Impulso
2014-08-28
[59]
뉴스
Liceístas pasan de grado sin cursar varias materias
http://www.el-nacion[...]
El Nacional
2014-07-09
[60]
웹사이트
Number of refugees and migrants from Venezuela reaches 3 million
http://www.unhcr.org[...]
UNHCR, IOM
2018-11-13
[61]
논문
Hugo Chávez and the diffusion of Bolivarianism
2017-04-10
[62]
논문
ボリバル革命の検証 ―チャベス政権の経済・社会政策―
https://doi.org/10.2[...]
2005
[63]
논문
平成17年度「ベネズエラ・チャベス政権の分析-「平和的、民主的革命」は可能か -」
https://www.jiia.or.[...]
2006
[64]
논문
ベネズエラ・チャベス政権を読み解くための鍵--ボリーバル革命の一考察
https://www.mofa.go.[...]
2005
[65]
논문
ラテンアメリカ「新左翼」はポピュリズムを超えられるか?(上)─ ポスト新自由主義に向けたガヴァナンス構築の視点から ─
https://www.ritsumei[...]
2014
[66]
논문
ベネズエラ:ボリバル革命にたれこめる暗雲
https://doi.org/10.2[...]
2010
[67]
논문
代表制の危機から市民参加の制度化へ― ペルーとベネズエラの政治変化にみる危機、アウトサイダー、市民参加 ―
https://doi.org/10.1[...]
2017
[68]
기타
[69]
논문
ベネズエラ・チャベス政権の独自路線と政策課題
http://keizaireport.[...]
2004
[70]
기타
[71]
간행물
アジア記者クラブ 定例会リポート(2015年5月20日)ボリバル革命17年の歩みを語る ベネズエラは米国の脅威ではない セイコウ・イシカワ(駐日ベネズエラ特命全権大使)
https://venezuela.or[...]
2015-05-20 # 날짜 추정. 원본에 년도만 명시되어 있으므로 5월 20일로 추정합니다. 더 정확한 날짜 정보가 있다면 수정해야 합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