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이주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이주기구(IOM)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 난민 문제 대응을 위해 1951년 설립된 유럽 이주민 이동을 위한 임시 정부간 위원회(PICMME)를 전신으로 하는 국제기구이다. IOM은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1989년 현재의 명칭으로 확정되었으며, 1992년 유엔 옵서버 자격을 획득하고 2016년 유엔 전문기구로 전환되었다. IOM은 이주민, 이주 노동자, 난민, 국내 실향민 등 광범위한 이주 관련 지원을 제공하며, 인도적 지원, 국경 관리, 이주와 개발 관련 활동을 수행한다. 본부는 제네바에 위치하며, 사무총장은 5년 임기로 선출된다. IOM은 호주 정부의 난민 수용 정책 관련 비판을 받았으며, 한국과는 인도차이나 난민 지원을 시작으로 인신매매 피해자 지원, 난민의 제3국 정착 지원 등 다양한 협력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1년 설립된 단체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은 1951년 설립된 국제 사회주의 정당 연합체로, 냉전 시대 노선 변화와 분열, 재편을 거쳐 현재 전 세계 사회민주주의 및 사회주의 정당들의 연합체로 활동하고 있다.
  • 1951년 설립된 단체 - 홋카이도 개발국
    홋카이도 개발국은 홋카이도 개발청의 지방지분부국으로 설치되어 국토교통성의 지방지분부국이 된 기관으로, 홋카이도 내 개발 계획 수립, 건설 행정, 하천 및 도로 관리, 농업 및 수산업 진흥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특히 아바시리 개발 건설부는 러시아와의 국경 경비 업무를 수행한다.
  • 제네바에 본부를 둔 유엔 기구 - 국제 노동 기구
    국제노동기구(ILO)는 사회 정의를 통해 평화를 추구하고자 1919년 설립되어 삼자주의 거버넌스 구조로 국제 노동 기준을 제정하고 노동 문제 해결을 위해 활동하는 국제기구이다.
  • 제네바에 본부를 둔 유엔 기구 - 경제 사회 문화적 권리 위원회
    경제 사회 문화적 권리 위원회는 경제, 사회, 문화적 권리 규약 이행을 감시하는 유엔 산하 기구이며, 18명의 전문가로 구성되어 당사국 보고서 심사, 일반적 논평, 개인 통보, 국가 통보, 조사 제도 등을 운영한다.
  • 제네바의 단체 - 국제 표준화 기구
    국제 표준화 기구(ISO)는 167개국 국가 표준 기구를 회원으로 둔 비정부 기구로서, 상품 및 서비스 관련 국제 표준을 제정하며,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와 협력하고 대한민국은 기술표준원을 통해 정회원으로 활동한다.
  • 제네바의 단체 - 국제 적십자 위원회
    국제 적십자 위원회(ICRC)는 앙리 뒤낭이 목격한 전쟁의 참상을 계기로 설립되어 전쟁 및 폭력 희생자 보호와 지원을 사명으로 하는 중립적이고 독립적인 국제 인도주의 기구이다.
국제이주기구
국제 이주 기구
국제 이주 기구 로고
설립일1951년 12월 6일
유형유엔 관련 기구
본부제네바, 스위스
사무총장에이미 E. 포프
수익US$25억
수익 연도2021년
회원국175개 회원국 및 8개 옵저버 국가
회원국 연도2024년
사용 언어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직원 수17,761명
직원 수 연도2021년
웹사이트국제 이주 기구
글로벌 친선대사모 파라
명칭
영어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프랑스어Organisation internationale pour les migrations
스페인어Organización Internacional para las Migraciones
추가 정보
옵저버 지위80개가 넘는 국제, 지역 위원회와 비영리 단체

2. 역사

국제이주기구(IOM)는 1951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의 대규모 실향민과 난민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이주민 수송을 담당하는 물류 기관이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쳤다. 1992년 유엔 총회에서 옵서버 자격을 얻었고, 2016년에는 유엔 전문기구가 되었다. IOM은 세계이주협약 창설을 지원했고,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019년 유엔 이주 네트워크를 설립하여 이 협약의 이행을 돕고 있다. IOM은 코소보 전쟁, 티모르, 아시아 쓰나미, 2003년 이라크 침공 등 여러 사건을 통해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며, 이주가 이주민과 사회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3][4][5][6]

2. 1. 설립 배경 및 전신 기구 (1951년 ~ 1989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에서 발생한 대규모 국내 실향민과 전쟁 난민에 대응하기 위해 1951년에 국제이주기구(IOM)가 설립되었다.[3] IOM은 초기에는 1950년대에 약 100만 명의 이주민 수송을 조직한 물류 기관이었다.[3]

설립 이후 IOM은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쳤다.[3]

연도명칭
1951년유럽 이주민 이동을 위한 임시 정부간 위원회(PICMME)
1952년유럽 이주를 위한 정부간 위원회(ICEM)
1980년이주를 위한 정부간 위원회(ICM)
1989년국제이주기구(IOM)



이러한 명칭 변화는 IOM의 권한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화하여 이주 분야의 주요 정부간 기구가 되었음을 보여준다.[3]

2. 2. 유엔 가입과 현재 (1990년 ~ 현재)

1992년, 국제이주기구(IOM)는 유엔 총회(총회 결의 A/RES/47/4)에서 옵서버 자격을 부여받았다.[3] 2016년 9월, 유엔(UN) 회원국들은 총회를 통해 IOM을 유엔의 전문기구로 전환하는 협정을 만장일치로 채택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이 협정은 IOM과 유엔 간의 관계를 강화하고 이주민과 회원국의 이익을 위해 각자의 임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향상시켰다.[4]

IOM은 최초의 국제이주에 관한 정부 간 협정인 세계이주협약 창설을 지원했으며, 이 협약은 2018년 12월 모로코 마라케시에서 채택되었다.[5]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세계이주협약의 이행, 후속 조치 및 검토를 지원하기 위해 2019년 유엔 이주 네트워크를 설립했다. IOM은 UNHCR, WFP, UNDP 등을 포함한 유엔 이주 네트워크를 조정한다.[6] IOM의 역사는 지난 반세기 동안 발생한 인재와 자연재해, 코소보와 티모르(1999년), 아시아 쓰나미, 2003년 이라크 침공, 2004/2005년 파키스탄 지진, 2010년 아이티 지진, 그리고 유럽 난민 위기를 포함하지만, 인도적이고 질서 있는 이주가 이주민과 사회에 이익이 된다는 IOM의 신조는 국제적인 수용을 꾸준히 얻고 있다.[4]

3. 구조

국제이주기구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는 모든 회원국이 대표되는 이사회이다. 이사회는 자체 의사 규칙을 가지며, 정기 회의를 통해 연간 예산을 채택하고 기구의 프로그램 목표를 결정한다. 국제이주기구의 공식 언어는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이다.

3. 1. 조직

제네바에 있는 국제이주기구 본부


국제이주기구(IOM)의 본부는 제네바에 있으며, 뉴욕아디스아바바에 연락 사무소가 있다. 베를린에는 세계이주데이터분석센터(GMDAC)가 있다.[7] 2020년 기준, IOM은 168개국 국적의 직원 15,311명 이상을 두고 있다고 보고했다.[7]

IOM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는 모든 회원국이 대표되는 이사회이다. 이사회는 자체 의사 규칙을 가지며, 정기 회의를 통해 연간 예산을 채택하고 기구의 프로그램 목표를 결정한다. IOM의 공식 언어는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이다. 2020년 IOM의 예산은 약 20억달러였으며, 이는 회원국의 자발적 기여금과 기부금으로 구성된다.[7]

IOM 사무총장은 회원국 대표들이 5년 임기로 선출한다.[8] 현재 사무총장은 미국의 에이미 포프(Amy Pope)이며, 나이지리아의 우고치 다니엘스(Ugochi Daniels)가 부사무총장을 맡고 있다.[8]

3. 2. 사무총장

국제이주기구(IOM)의 사무총장은 회원국 대표들이 5년 임기로 선출한다.[8] 현 사무총장은 미국의 에이미 포프(Amy Pope)이며, 나이지리아의 우고치 다니엘스(Ugochi Daniels)가 부사무총장을 맡고 있다.[8]

역대 사무총장 목록[8]
순번이름국적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국제이주를위한임시정부간위원회(PICMME)
유럽이주를위한정부간위원회(ICEM)
국제이주기구(IOM)


4. 임무 및 활동

국제이주기구(IOM)는 이주민, 이주노동자, 난민, 국내 실향민 등 다양한 이주 관련 대상에 대한 지원을 전 세계적으로 수행한다.[4] 이처럼 광범위한 임무는 위기 상황에서의 유연성으로 칭찬받지만, 보호 문제에 대한 법적 책임성에 대해서는 비판받기도 한다.[9] IOM은 상호 보완적인 임무 때문에 유엔난민고등판무관사무소(UNHCR)와 자주 협력한다.[10]

예를 들어, IOM은 베네수엘라 지역 대응을 위한 국제이주기구 사무총장 특별 대표 사무소를 통해 베네수엘라 상황에 대한 대응 작업을 조정하며, 남미와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의 17개국, UNHCR과 협력하고 있다.

유엔 인도지원업무조정국(OCHA)에 따르면, IOM은 특히 이재민 발생 상황에서 유엔 시스템 내 인도적 지원의 중추적인 행위자 중 하나이다.[11] IOM의 주요 지원 조치에는 숙소 제공, 보호, 기본적인 의료 및 위생 관리 제공, 생명 안전, 조정, 통신, 물류 등이 포함된다. 인도지원담당사무차장 겸 인도적 지원 및 재난 구호 조정관의 지시에 따라, IOM은 UNHCR과 함께 인도적 위기 상황에서 주로 캠프 조정 및 관리를 담당한다.[12] 본 기구는 또한 이주와 관련된 안정화, 평화 구축, 개발[13] 분야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4. 1. 임무

국제이주기구(IOM)의 전 세계적 임무는 이주민, 이주노동자, 난민, 국내 실향민 등 다양한 이주 관련 대상에 대한 지원을 포괄한다. 이처럼 광범위한 임무는 위기 상황에서의 유연성으로 칭찬받지만,[4] 보호 문제에 대한 법적 책임성에 대해서는 비판받기도 한다.[9] IOM은 상호 보완적인 임무 때문에 유엔난민고등판무관사무소(UNHCR)와 자주 협력한다.[10]

일례로, IOM은 베네수엘라 지역 대응을 위한 국제이주기구 사무총장 특별 대표 사무소를 통해 베네수엘라 상황에 대한 대응 작업을 조정하며, 남미와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의 17개국, UNHCR과 협력하고 있다.

유엔 인도지원업무조정국(OCHA)에 따르면, IOM은 특히 이재민 발생 상황에서 유엔 시스템 내 인도적 지원의 중추적인 행위자 중 하나이다.[11] IOM의 주요 지원 조치에는 숙소 제공, 보호, 기본적인 의료 및 위생 관리 제공, 생명 안전, 조정, 통신, 물류 등이 포함된다. 인도지원담당사무차장 겸 인도적 지원 및 재난 구호 조정관의 지시에 따라, IOM은 UNHCR과 함께 인도적 위기 상황에서 주로 캠프 조정 및 관리를 담당한다.[12] 본 기구는 또한 이주와 관련된 안정화, 평화 구축, 개발[13] 분야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IOM은 국제법적으로 인정된 난민뿐 아니라, 국내 실향민, 단기적인 피난민, 인신매매 피해자, 기후변동이나 분쟁에 의한 강제이주, 이주노동과 같은 자발적 이주 등 광범위한 “인의 이동”에 관한 지원을 수행한다. 국경을 넘는 이민자는 세계적으로 30명 중 1명으로 추산되며,[23] 우크라이나 피난민이 발생한 2022년에는 국내 실향민이 6,090만 명 발생했다.

4. 2. 활동 분야

유엔 인도지원업무조정국(OCHA)에 따르면, 국제이주기구(IOM)는 특히 이재민 발생 상황에서 유엔 시스템 내 인도적 지원의 중추적인 행위자 중 하나이다.[11] IOM의 주요 지원 조치에는 숙소 제공, 보호, 기본적인 의료 및 위생 관리 제공, 생명 안전, 조정, 통신 및 물류가 포함된다.[12] 인도지원담당사무차장 겸 인도적 지원 및 재난 구호 조정관의 지시에 따라, IOM은 UNHCR과 함께 인도적 위기 상황에서 주로 캠프 조정 및 관리를 담당한다.[12]

IOM은 이주와 관련하여 안정화, 평화 구축 및 개발 분야에서도 활동하고 있다.[13]

분쟁이나 재해의 영향을 받은 피해 지역에서의 인도적 지원은, 이주민 착취를 수반하는 불법 체류 및 인신매매에 대해서는 출신국에서의 예방과 목적국에서의 구제 및 보호 활동을 포함한다. 긴급 단계에서는 피난민 등록, 구호 물자 수송, 의료기관으로의 환자 이송, 가설 주거 제공 등을 실시한다.

복구 단계에서는 피난민의 귀환과 생계 수단의 회복을 중심으로, 분쟁이나 재해의 영향을 받은 지역의 재생과 안정을 지원한다. 분쟁이나 재해에 국한되지 않고, 어려운 상황에 있는 이주민에 대해서는 희망에 따른 모국 귀환과 그 후의 생활 재건을 위한 인도적 지원도 실시한다.

  • 예: 2010년 아이티 지진(지진으로 집을 잃은 사람들에게 가설 주거를 건설), 소말리아 내전(국내 피난민의 생활을 위해 일본의 정수 기술이 활용된 급수 시설을 설치)


평화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국가나 지역에서 생계 수단 확보 등 전직 전투원의 시민 사회 복귀를 촉진하여 그들이 난민이 되는 것을 막고, 동시에 수용 공동체를 지원함으로써 지역 안정을 목표로 분쟁 예방과 평화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5. 회원국

국제이주기구(IOM) 회원국 및 옵서버 국가


2023년 기준으로, 국제이주기구(IOM)에는 175개 회원국과 8개 옵서버 국가가 있다.[14] 회원국 및 옵서버 국가 목록은 하위 섹션에 표로 정리되어 있다.

5. 1. 회원국 및 옵서버 국가



2023년 기준, 국제이주기구(IOM)에는 175개 회원국과 8개 옵서버 국가가 있다.[14]

회원국 및 옵서버 국가 목록
회원국 (175개국)옵서버 국가 (8개국)비회원국


6. 비판

국제앰네스티, 휴먼라이츠워치 등 인권 단체들은 국제이주기구(IOM)가 난민 보호에 소홀하고, 난민 인권을 침해할 수 있는 정책에 협력했다고 비판했다. 특히 호주 정부의 '태평양 솔루션' 정책에 협력하고, 인도네시아 난민 수용 시설 운영 과정에서 인권 침해 논란이 있었다. 또한, 위구르족 난민 문제에 소극적으로 대처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15][16][18][19]

6. 1. 2003년 국제앰네스티 및 휴먼라이츠워치

2003년, 국제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와 휴먼라이츠워치(Human Rights Watch)는 모두 호주 정부의 난민 해외 억류 정책인 "태평양 솔루션(Pacific Solution)"에서 국제이주기구(IOM)의 역할에 대해 비판했다.[15][16] 휴먼라이츠워치는 국제이주기구가 난민 보호 권한이 없음에도 마누스 지역 처리 센터(Manus Regional Processing Centre)와 나우루의 처리 센터를 운영한 점, "자의적 구금"에 가담하고 난민들에게 법률 자문 접근을 제한한 점을 비판하며, "구금 센터" 운영 중단 및 유엔난민고등판무관(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으로의 관리를 넘길 것을 촉구했다.[15]

국제앰네스티는 국제이주기구가 정부를 대신하여 난민, 망명 신청자 및 이주민의 인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행동을 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16] 특히 호주 당국이 인도네시아에서 14명의 쿠르드족을 호주 해역에서 추방하여 인도네시아로 재배치한 사례를 언급하며, 국제이주기구가 불송환 원칙(non-refoulement)을 준수할 것을 보장하라고 요청했다.[17]

6. 2. 2022년 호주난민위원회

2022년, 국제이주기구(IOM)가 인도네시아 난민 수용에 있어 수행한 역할에 대해 호주난민위원회는 '''글로브 앤 메일(The Globe and Mail)'''의 애셔 허시(Asher Hirsch)와 카메론 도이그(Cameron Doig) 연구원들의 보고서를 인용하여 "인도적 외관을 유지하면서 서구 국가들을 대신하여 권리 침해 활동을 수행했다"고 묘사했다.[18]

호주 정부 자금을 사용하여 국제이주기구(IOM)가 운영하는 공동 주택에 대해 호주난민위원회는 "비인간적인 환경, 독방 감금, 필수품 및 의료 서비스 부족, 신체적 및 성적 학대, 심각한 과밀"이라고 설명했다.[18] 로힝야족 존 조니아드(John Joniad)는 이 주택을 "공개 감옥"이라고 묘사했다.[18]

6. 3. 위구르족 난민

국제이주기구(IOM)는 2024년에 위구르족 난민 문제에 개입할 의향이나 능력이 없다는 비판을 받았다.[19]

7. 한국과의 관계

주어진 원본 소스에 '국제이주기구'의 '한국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요약 및 섹션 제목과 관련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7. 1. 협력 분야

(주어진 원본 소스에 '국제이주기구'의 '협력 분야'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요약 및 섹션 제목과 관련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7. 2. 한국 내 활동

IOM(국제이주기구)의 일본 내 활동은 1980년대 인도차이나 난민 지원으로 시작되어, 최근 일본의 인적 이동 변화에 따라 다양한 활동으로 확대되고 있다.[1]

일본은 아시아의 경제 대국으로 주요 인신매매 피해자 수용국 중 하나로 여겨진다.[2] IOM은 2005년 5월부터 일본 정부의 "인신매매 대책 행동 계획"의 일환으로 일본 내에서 보호받는 피해자들의 자발적 귀국 및 모국에서의 사회 복귀(직업 훈련, 창업 등)를 지원하고 있다.[2]

2010년부터 일본 정부는 난민의 제3국 정착을 허용하고 있다.[3] IOM은 일본 정부의 요청으로 난민의 출국 준비 및 태국 난민 캠프에서 일본까지의 이송 등을 지원한다.[3] 구체적으로 건강 검진, 생활 안내, 초급 언어 연수, 태국 정부의 출국 허가 취득, 항공권 준비, 공항까지의 이송, 탑승 보조 등을 실시한다.[3] 또한 일본 정부에 정보 제공, 난민 선정을 위한 정부 면접 미션 지원, 수용 지역 사회에 난민 배경 자료 제공 등도 수행한다.[3]

2000년대 초부터는 동남아시아에서 미국이나 캐나다 등으로 이주하는 다수의 난민이 나리타 공항에서 환승하는 것을 매일 지원하고 있다.[4]

경기 침체기에 취학하지 않거나 가정 대기 상태인 외국 국적 아동을 위한 긴급 지원도 이루어진다.[5] IOM은 문부과학성의 지원금을 받아 "아동 연결 기금"을 운영하며, "무지개 다리 교실"을 설치하여 외국 국적 아동이 지역에서 고립되지 않도록 일본어 교육 및 학습 습관 확보를 지원하고, 주로 공립학교로의 원활한 전학을 돕는다.[5] 2012년에는 일본 전역에서 약 20곳의 "무지개 다리 교실"을 운영했다.[5]

동일본대지진 직후부터는 다국어 케이스워커를 통한 전화 상담, 다른 수단이 없는 이주민을 위한 인도적 긴급 귀국 지원을 실시했다.[6] 귀국 지원에는 모국의 최종 목적지까지의 교통 지원, 대사관 및 입국관리국과의 조정 등이 포함되었다.[6] 사업 종료 시에는 다국어 케이스워커를 피해 지역에 파견하여 일본에 남은 이주민들의 심리적 회복을 위한 활동도 진행했다.[6]

일본 내에서 이주 관련 대화도 추진하고 있다.[7] 2004년부터 매년 외무성과 이민자의 사회 통합 방안 등을 주제로 심포지엄 및 워크숍을 공동 개최하고 있다.[7] 대학 등 연구기관, 국제기구, 각국 대사관, 지방자치단체, NGO 등과 협력하여 인적 이동과 관련된 다양한 포럼과 강연회도 주최 또는 공동 개최한다.[7]

참조

[1] 웹사이트 Member States https://www.iom.int/[...]
[2] 웹사이트 Biography: IOM Director General https://www.iom.int/[...]
[3] 논문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IOM): Gaining Power in the Forced Migration Regime https://refuge.journ[...] 2017
[4] 서적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Challenges, Commitments, Complexities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20-02-07
[5] 웹사이트 GCM Development Process https://www.iom.int/[...]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2019-05-13
[6] 웹사이트 Amy Pope Makes History as First Woman Director General of IOM https://www.iom.int/[...] 2023-10-02
[7] 웹사이트 IOM Organizational Structure https://www.iom.int/[...] 2023-12-01
[8] 웹사이트 Directors General and Deputy Directors General https://www.iom.int/[...] 2023-12-01
[9] 논문 Der Global Compact for Migration und das internationale Migrationsregime 2019
[10] 논문 Between refugee protection and migration management: the quest for coordination between UNHCR and IOM in the Asia-Pacific region. 2021
[11] 웹사이트 OCHA - United Nations https://asiadisaster[...] 2023-12-01
[12] 웹사이트 What is the Cluster Approach? HumanitarianResponse https://www.humanita[...] 2023-12-01
[13] 웹사이트 IOM and UNDP team up to tackle migration and development issues facing West and Central Africa https://www.undp.org[...] 2023-12-01
[14] 웹사이트 Members and Observers https://www.iom.int/[...]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2019-01-03
[15]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IOM) and Human Rights Protection in the Field: Current Concerns (Submitted by Human Rights Watch, IOM Governing Council Meeting, 86th Session, November 18–21, 2003, Geneva) https://www.hrw.org/[...] 2019-10-25
[16] 웹사이트 Amnesty International statement to the 86th Session of the Council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IOM) https://www.amnesty.[...] 2022-01-07
[17] 웹사이트 Statement to the 86th Session of the Council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IOM) https://www.amnesty.[...] 2019-10-25
[18] 뉴스 Trapped in Indonesia, Rohingya struggle to get by as laws block their path to asylum elsewhere https://www.theglobe[...] 2022-01-19
[19] 뉴스 A Uyghur man escaped China's Xinjiang. Cambodia deported him back. https://www.washingt[...] 2024-12-15
[20] 웹사이트 IOM Snapshot 2023 https://www.iom.int/[...] https://www.iom.int/ 2023-12-13
[21] 웹사이트 IOM Snapshot 2023 https://www.iom.int/[...] https://www.iom.int/ 2023-12-13
[22] 웹사이트 オリンピック金メダリストで陸上界のレジェンド モー・ファラー氏 IOM初のグローバル親善大使に就任 https://japan.iom.in[...] 2023-12-13
[23] 웹사이트 国際移住機関(IOM)とは IOM Japan 国際移住機関 日本 https://japan.iom.in[...] 2023-12-13
[24] 웹인용 Member States http://www.iom.int/m[...]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2014-11-03
[25] 웹인용 Observer States http://www.iom.int/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2014-11-03
[26] 웹사이트 Iom.int https://www.iom.i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