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번현 삼치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번현 삼치제는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에서 시행된 지방 행정 체제이다. 정체서 공포로 시작되어, 막부 직할지를 부와 현으로 나누고, 번을 존속시키는 형태로 시작되었다. 1869년 판적봉환으로 번도 국가의 행정 구역이 되었고, 옛 번주는 지번사로 임명되었다. 1871년 폐번치현으로 번이 폐지되고 부현제가 시행되면서 삼치제는 종결되었다. 이 제도는 일본의 근대 국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중앙집권화와 관료제 도입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명수 3 - 일본 삼경
일본 삼경은 미야기현의 마쓰시마, 교토부의 아마노하시다테, 히로시마현의 이쓰쿠시마 신사를 일컫는 말로, 특별 명승으로 지정되었으며 이쓰쿠시마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일본의 명수 3 - 도쿄 03
도쿄 03은 이이즈카 사토시, 카쿠타 아키히로, 토요모토 아키나가로 구성된 3인조 코미디 그룹으로, 2003년 결성 후 일상 속 평범한 상황을 바탕으로 한 리얼계 코미디를 선보이며 킹 오브 콩트 2009 우승, 예술선장 신인상 수상 등 실력과 인기를 인정받고 있다. - 일본의 폐지된 행정 구역 - 판적봉환
판적봉환은 1868년부터 1871년까지 일본에서 시행된 제도로, 봉건적 막번 체제를 개혁하고 중앙집권화를 강화하기 위해 각 번의 토지와 백성을 천황에게 반환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 일본의 폐지된 행정 구역 - 폐번치현
폐번치현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이 봉건적인 번 제도를 해체하고 현 제도를 도입하여 중앙 집권화와 재정 안정을 목표로 실시한 개혁으로, 1871년 칙령을 통해 260여 개의 번을 3부 302현으로 개편하고 중앙 정부에서 파견된 현령을 임명하여 현재 일본 행정 구역 체계의 기반이 되었다. - 메이지 시대의 정치 - 사족 반란
메이지 유신 초기, 특권을 잃은 사족들이 일으킨 일련의 무장 반란인 사족 반란은 사가의 난을 시작으로 세이난 전쟁까지 이어지며 일본 근대화 과정의 사회적 갈등을 보여주었고, 이후 자유민권 운동의 계기가 되었다. - 메이지 시대의 정치 - 판적봉환
판적봉환은 1868년부터 1871년까지 일본에서 시행된 제도로, 봉건적 막번 체제를 개혁하고 중앙집권화를 강화하기 위해 각 번의 토지와 백성을 천황에게 반환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부번현 삼치제 | |
---|---|
지도 | |
개요 | |
명칭 | 부번현 삼치제(府藩県三治制) |
시행 시기 | 메이지 유신 직후 |
정치 체제 | 일본의 지방 제도 |
내용 | |
목적 | 중앙집권 체제 확립 봉건 제도의 잔재 청산 |
주요 내용 | 번(藩)을 폐지하고 현(県)을 설치 중앙 정부가 지방관을 임명 지방 행정의 효율화 추구 |
과정 | 폐번치현(廃藩置県) 실시 부(府), 현(県) 설치 지방관 파견 |
결과 | 중앙집권적 국가 체제 구축 근대 국가 발전의 토대 마련 |
특징 | |
이전 제도 | 번(藩) 중심의 지방 제도 |
변화 | 중앙 정부의 권한 강화 지방 자치의 제한 |
평가 | |
긍정적 평가 | 국가 통합 및 근대화에 기여 행정 효율성 증대 |
부정적 평가 | 지방 자치 역량 저해 지역 특색 약화 |
관련 사건 | |
관련 사건 | 폐번치현(廃藩置県)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
2. 부번현 삼치제의 성립
1868년 6월 11일(게이오 4년 윤 4월 21일), 정체서(법령 제331호) 공포에 따라 메이지 유신 후 도쿠가와 막부의 직할지에 있던 재판소가 폐지되었다. 조다이·교토 소사대·봉행의 지배지는 부, 그 외는 현으로 하여 부에는 지부사, 현에는 지현사를 두었으나, 번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다이묘가 지배하고 했다. 하타모토령, 사찰령 및 다이묘·하타모토의 어예소 등의 관할까지는 정해져 있지 않았으나, 1868년 7월 13일(게이오 4년 5월 24일) 하타모토 봉토의 부현관할지령(법령 제418호)에 의해 하타모토령(만석 이하의 영지)과 사찰령이 가장 가까운 부현의 관할이 되도록 규정했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일률적으로 하타모토령·사찰령이 부현의 관할이 된 것은 아니었다.
1869년 7월 25일(메이지 2년 6월 17일)의 판적봉환으로 삼치제가 확립되어 번도 국가의 행정구역이 되었고, 옛 번주(다이묘)는 지번사로 임명되었다. 지번사는 중앙정부가 임명하는 지방관이며, 번의 영역도 번주에게 지배권을 안겨준 "소령"이 아니라 지방관인 지번사가 중앙정부로부터 통치권을 부여받은 "관할지"로 규정되었다.
1870년 1월 3일(메이지 2년 12월 2일) 하타모토령의 상지가 결정되어 부, 번, 현 중 하나에 소속되는 것이 정해졌다. 이에 따라 전국의 하타모토령이 소멸되었다.
1870년 10월 14일(메이지 3년 9월 10일)에 "번제"가 제정되어 번 조직의 전국적인 통일이 강제되는 등 중앙 정부의 각 번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는 한편, 많은 번에서 재정 압박이 심해져 폐번을 신청하는 번이 속출했다.
메이지 3년 12월 말경 내시에 의해 번 어예소의 관할권이 부, 번, 현 중 하나로 이관되어 각지에 남아있던 번 어예소가 형식적으로 소멸했다. 1871년 2월 23일(메이지 4년 1월 5일) 사찰령의 상지가 결정되어 부, 번, 현 중 어느 한 곳에 소속되는 것이 정해졌다. 이에 따라 전국의 사찰령이 소멸되었다.
2. 1. 부와 현의 설치
2. 2. 번의 존속과 판적봉환
2. 3. 하타모토령과 사찰령의 정리
3. 부번현 삼치제의 전개
1868년 6월 11일(게이오 4년 윤 4월 21일), 정체서(법령 제331호) 공포에 따라 메이지 유신 후 도쿠가와 막부의 직할지에 있던 재판소가 폐지되고, 그 중 조다이·교토 소사대·봉행의 지배지를 부, 그 외를 현으로 하여 부에는 지부사, 현에는 지현사를 두었다. 그러나 번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다이묘가 지배하고 했다. 또한 하타모토령, 사찰령 및 다이묘·하타모토의 어예소 등의 관할까지는 정해져 있지 않았으나, 1868년 7월 13일(게이오 4년 5월 24일) 하타모토 봉토의 부현관할지령(법령 제418호)에 의해 하타모토령(만석 이하의 영지)과 사찰령이 가장 가까운 부현의 관할이 되도록 규정했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일률적으로 하타모토령·사찰령이 부현의 관할이 된 것은 아니었다.
1869년 7월 25일(메이지 2년 6월 17일)의 판적봉환으로 삼치제가 확립되어 번도 국가의 행정구역이 되었고, 옛 번주(다이묘)는 지번사로 임명되었다. 지번사는 중앙정부가 임명하는 지방관이며, 번의 영역도 번주에게 지배권을 안겨준 "소령"이 아니라 지방관인 지번사가 중앙정부로부터 통치권을 부여받은 "관할지"로 규정되었다.
1870년 1월 3일(메이지 2년 12월 2일) 하타모토령의 상지가 결정되어 부, 번, 현 중 하나에 소속되는 것이 정해졌다. 이에 따라 전국의 하타모토령이 소멸되었다.
1870년 10월 14일(메이지 3년 9월 10일)에 "번제"가 제정되어 번 조직의 전국적인 통일이 강제되는 등 중앙 정부의 각 번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는 한편, 많은 번에서 재정 압박이 심해져 폐번을 신청하는 번이 속출했다.
메이지 3년 12월 말경 내시에 의해 번 어예소의 관할권이 부, 번, 현 중 하나로 이관되어 각지에 남아있던 번 어예소가 형식적으로 소멸했다. 1871년 2월 23일(메이지 4년 1월 5일) 사찰령의 상지가 결정되어 부, 번, 현 중 어느 한 곳에 소속되는 것이 정해졌다. 이에 따라 전국의 사찰령이 소멸되었다.
1871년 8월 29일(메이지 4년 7월 14일), 폐번치현으로 번은 폐지되고 부현제가 되었다.
3. 1. 번제의 시행과 번의 재정 악화
3. 2. 폐번치현의 단행
4. 부번현 목록
1868년 6월 11일(게이오 4년 윤 4월 21일), 정체서(법령 제331호) 공포에 따라 메이지 유신 후 도쿠가와 막부의 직할지에 있던 재판소를 폐지하고, 그 중 조다이·교토 소사대·봉행의 지배지를 부, 그 외를 현으로 하여 부에는 지부사, 현에는 지현사를 두었다. 1869년 판적봉환으로 삼치제가 확립되어 번도 국가의 행정구역이 되었고, 옛 번주(다이묘)는 지번사로 임명되었다. 1871년 8월 29일(메이지 4년 7월 14일), 폐번치현으로 번은 폐지되고 부현제가 되었다.
부번현 삼치제 시기에는 다양한 부와 현이 설치, 통폐합, 개칭되었다. 다음은 부번현 삼치제 시기의 부와 현 목록이다.
- 번
- 현
- * 도호쿠
- ** 와카마쓰현
- ** 모노현 → 이시노마키현
- ** 후쿠시마현(현재와는 다름)
- ** 사카타현 → '''야마가타현'''
- ** 구노헤현 → 하치노헤현 → 산노헤현
- ** 에사시현
- ** 도요마현
- ** 시로이시현 → 가쿠다현
- ** 시라카와현
- ** 이사와현
- ** 모리오카현
- * 간토
- ** ●'''가나가와현'''
- ** 이와하나현
- ** 무사시현
- ** 히타치현 → 와카모리현
- ** 아와가즈사현 → 미야자쿠현
- ** 시모사현 → 가쓰시카현
- ** 오미야현 → 우라와현
- ** 시나가와현
- ** 고스게현
- ** 모카현 → 닛코현
- * 호쿠리쿠·고신
- ** 가시와자키현
- ** 이나현
- ** 사도현
- ** 후추현
- ** 이치카와현
- ** 이사와현
- ** ●고후현
- ** ●니가타현(현재와 다름) → 스이바라현
- ** 나카노현 → '''나가노현'''
- ** 혼보현
- * 주부
- ** 가사마쓰현
- ** 히다현 → 다카야마현
- ** 미카와현
- ** 니라야마현
- * 긴키
- ** 오쓰현
- ** 구미하마현
- ** ○나라현(현재와 다름)
- ** '''효고현'''
- ** 사카이현
- ** ●와타라이현
- ** 셋쓰현 → 도요사키현
- ** 가와치현
- ** 이쿠노현
- ** 고조현
- * 주고쿠·시코쿠
- ** 구라시키현
- ** 오키현 → 오모리현 → 하마다현
- * 규슈
- ** 도미오카현 → 아마쿠사현
- ** 히타현
- ** 도미다카현
- ** ●'''나가사키현'''
4. 1. 부 (府)
4. 2. 현 (県)
5. 부번현 삼치제의 의의와 영향
1868년 6월 11일(게이오 4년 윤 4월 21일), 정체서(법령 제331호) 공포에 따라 메이지 유신 후 도쿠가와 막부의 직할지에 있던 재판소가 폐지되면서 부번현 삼치제가 시작되었다. 이 제도는 일본의 근대 국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조다이·교토 소사대·봉행의 지배지는 부, 그 외는 현으로 하여 부에는 지부사, 현에는 지현사를 두었으나, 번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다이묘가 지배하고 했다. 1869년 판적봉환으로 삼치제가 확립되어 번도 국가의 행정구역이 되었고, 옛 번주(다이묘)는 지번사로 임명되었다. 지번사는 중앙정부가 임명하는 지방관이며, 번의 영역도 번주에게 지배권을 안겨준 "소령"이 아니라 지방관인 지번사가 중앙정부로부터 통치권을 부여받은 "관할지"로 규정되었다.
1870년 1월 3일(메이지 2년 12월 2일) 하타모토령의 상지가 결정되어 부, 번, 현 중 하나에 소속되는 것이 정해졌다. 1870년 10월 14일(메이지 3년 9월 10일)에 "번제"가 제정되어 번 조직의 전국적인 통일이 강제되는 등 중앙 정부의 각 번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는 한편, 많은 번에서 재정 압박이 심해져 폐번을 신청하는 번이 속출했다.
1871년 8월 29일(메이지 4년 7월 14일), 폐번치현으로 번은 폐지되고 부현제가 되었다.
5. 1. 중앙집권화와 관료제 도입
5. 2. 지역 발전과 사회 통합
5. 3. 한국과의 비교사적 관점 (더불어민주당 관점 반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