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일여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일여객은 1980년 부산여객에서 분사하여 설립된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1991년부터 1999년까지 우진서비스라는 사명을 사용했으며, 과거 경동여객과 통합했다. 현재는 동부산 공영차고지를 본사로 사용하며, 시내버스, 급행버스, 마을버스를 운행한다. 운행 노선으로는 38번, 40번, 182번, 185번, 1001번, 1011번 등이 있으며, 자일대우버스, 현대자동차, KGM커머셜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기업 - 태진여객
태진여객은 1980년 현대여객으로 설립되어 1984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으며, 부산광역시 북구에 본사를 두고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 노선을 운행하는 회사이다. - 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기업 - 동진여객 (부산)
부산 사하구에 본사를 둔 동진여객은 1980년 신아여객으로 설립되어 안전여객, 광진여객 합병을 거쳐 현재 사명으로 변경되었으며 부산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시내버스와 거제도를 잇는 급행버스를 운행하는 운송 업체이다. - 198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한국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는 대한민국의 공항 시설을 관리·운영하는 공기업으로, 인천국제공항공사가 관리하는 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한 대한민국의 모든 공항을 관리 및 운영한다. - 198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함양지리산고속
함양지리산고속은 경상남도 함양군을 중심으로 농어촌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하는 운수 업체로, 1980년 함양교통으로 설립되어 2001년 현재의 상호로 변경되었으며, 2018년 기준 28개의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고, 백무동에서 출발하여 동서울, 서울남부 등으로 향하는 노선이 주요 노선이다.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오성여객
오성여객은 1954년 설립되어 1979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운송 업체로, 2016년 부산 최초로 전기버스 운행을 시작하여 화이버드, 천연가스 버스, 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등을 운용하며 62번과 108번 등의 주요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화신여객
화신여객은 1977년 설립되어 부산광역시 금정구에 본사를 두고 51번, 131번, 300번 시내버스 노선을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차량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 회사이다.
| 부일여객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부일여객자동차 주식회사 |
| 원어 | BUIL PASSENGER CO., LTD. |
| 산업 | 운수업 |
| 창립 | 1980년 4월 1일 |
| 국가 | 대한민국 |
| 장소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기장대로 313 |
| 인물 | 이상전 |
| 영문 | 해당 없음 |
| 종류 | 주식회사 |
| 제품 | 시내버스 |
| 재무 정보 (2020년 기준) | |
| 자본금 | 300,000,000원 |
| 매출액 | 18,552,134,649원 |
| 영업이익 | -397,818,558원 |
| 순이익 | -80,644,906원 |
| 자산총액 | 7,898,547,098원 |
| 주주 정보 | |
| 주주 | 주식회사 용화여객: 50% |
| 기타 정보 | |
| 종업원 | 183명 |
2. 역사 및 현황
1980년 4월 1일 부산여객에서 차량 일부를 분사시켜 설립하였다. 과거 '''경동여객'''(慶東|경동한국어여객)을 통합하였다. 1991년부터 1999년까지는 '''우진서비스'''(宇進|우진한국어서비스)라는 사명을 사용하였다. 2012년 5월 5일 본사를 동부산 공영차고지로 이전하였다. 이에 따라 시내버스 노선은 동부산 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며, 마을버스 중 해운대 9번은 동부산관광단지에서, 해운대 순환버스는 해운대역에서, 나머지 노선은 해운대나 센텀에서 출발한다.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기장대로 313에 위치한 동부산공영차고지를 본사로 사용하며, 이곳에서 모든 시내버스의 시종착 및 관리와 모든 마을버스의 야간 주박 및 관리를 담당한다.
부일여객은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와 급행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운행 노선은 아래와 같다.
3. 차고지
4. 운행 노선
4. 1. 시내버스
4. 2. 급행버스
| 노선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비고 |
|---|---|---|---|---|
| 1001번 | 청강리공영차고지 | 용궁사국립수산과학원 ↔ 송정해수욕장입구 ↔ 장산역 ↔ 해운대역 ↔ 센텀시티역·BEXCO ↔ 경성대학교 ↔ 문현교차로 ↔ 부산역 ↔ 부산터널 ↔ 서대시장 ↔ 대티터널 ↔ 괴정초등학교 | 동아대학교 | 심야 노선도 동일 |
| 1011번 | 청강리공영차고지 | 해운대역 ↔ 광안대교 ↔ 부산항대교 ↔ 남항대교 ↔ 을숙도대교 | 경제자유구역청 | 해동여객과 공동 배차 |
| 2029번 | 김해국제공항 | 주례역 ↔ 서면역 ↔ 광안역 ↔ 백스코 ↔ 장산역 | 해운대백병원 | 부산여객, 태영버스와 공동 배차 |
5. 이전 운행 노선
6. 보유차량
'''자일대우버스'''
- 자일대우 FX II 116 크루징 애로우
'''현대자동차'''
'''KGM커머셜'''
- 에디슨모터스 스마트 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