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바나트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바나트구는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자치주의 행정 구역으로, 6개의 지방 자치체와 43개의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역은 9세기부터 다양한 국가와 민족의 지배를 받았으며,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117,896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헝가리인과 세르비아인이 주요 민족 집단을 이루며, 헝가리어와 세르비아어가 주요 사용 언어이다. 키킨다는 건축용 점토 생산지로 유명하며, 농업 기기, 원유 생산 등 다양한 산업 활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18세기부터 연극, 인쇄소, 도서관 등이 설립되어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지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구 - 프리즈렌구 (세르비아)
프리즈렌구는 코소보 남서부에 위치한 지방 자치체로, 프리즈렌을 포함한 여러 도시들을 관할하며 역사적으로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아 다양한 문화 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 세르비아의 구 - 피로트구
피로트구는 세르비아에 위치한 지방 자치체로, 바부슈니차, 디미트로브그라드, 벨라팔란카 등의 도시를 포함하며, 융단 제조, 온천, 문화 유적, 산업 등의 특징과 농업, 경공업, 섬유 및 관광 산업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북바나트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북바나트구 |
현지 이름 | 세르비아어: Севернобанатски округ (Severnobanatski okrug) 헝가리어: Észak-bánsági körzet |
위치 |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
중심지 | 키킨다 |
면적 | 2,329 km² |
인구 | 117,896명 (2022년 인구 조사) |
인구 밀도 | 51.2명/km² |
지방 자치체 | 6개 |
정착지 | 50개 |
도시 및 마을 | 도시 및 읍: 7개 마을: 43개 |
ISO 코드 | RS-03 |
웹사이트 | 북바나트구 공식 웹사이트 |
행정 | |
구청장 | 니콜라 루카치 |
지방 자치체 | |
지방 자치체 목록 | 키킨다 칸지자 센타 아다 초카 노비 크네제바츠 |
2. 역사
9세기에는 이 지역이 불가리아-슬라브 공작 글라드 (동부)와 살란 (서부)에 의해 통치되었으며, 11세기에는 지역의 동부가 공작 아흐툼에 의해 통치되었다.[1] 11세기부터 16세기까지 중세 헝가리 왕국의 행정 하에 이 지역은 여러 코미타트로 분할되었다.[1] 1526년부터 1527년까지 이 지역은 독립적인 세르비아 통치자, 황제 요반 네나드에 의해 통치되었다.[1]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는 오스만 제국 행정 하에 동부는 테메슈바르 에얄레트, 서부는 세게딘 산자크로 나뉘었다.[1] 18세기 합스부르크 군주국 행정 시기에는 동부는 테메슈바르 바나트, 서부는 군사 변경 지역으로 나뉘었다.[1] 1751년 티서-머레시 군사 변경 지역과 1778년 테메슈바르 바나트가 폐지된 이후, 이 지역은 다시 여러 코미타트로 분할되었다.[1] 1850년대에는 벨리키 베치케렉 구와 솜보르 및 노비사드 구로 나뉘었다가, 1860년 이후에는 다시 코미타트로 분할되었다.[1]
1918년부터 1941년까지 유고슬라비아 왕국 행정 시기에는 초기(1918-1922)에 벨리키 베치케렉 코미타트와 노비사드 코미타트로 나뉘었다.[1] 1922년부터 1929년까지는 베오그라드 오브라스트의 일부였으며, 1929년부터 1941년까지는 다뉴브 바노비나의 일부였다.[1]
1941년부터 1944년까지 독일-헝가리 추축국 점령 시기에는 동부는 바나트 자치 지역, 서부는 바치-보드로그 코미타트로 나뉘었다.[1]
1944년부터 이 지역은 자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보이보디나의 일부였다.[1] 1945년부터는 새로운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1] 현재의 세르비아 구역 (북바나트 구 포함)은 1992년 1월 29일 세르비아 정부의 법령에 의해 정의되었다.[1]
이상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시기 | 통치 세력 및 행정 구역 |
---|---|
9세기 | 불가리아-슬라브 공작 글라드 (동부), 살란 (서부) 통치 |
11세기 | 동부 지역은 공작 아흐툼 통치 |
11세기~16세기 | 중세 헝가리 왕국 행정 하에 여러 코미타트로 분할 |
1526년~1527년 | 독립적인 세르비아 통치자, 황제 요반 네나드 통치 |
16세기~18세기 | 오스만 제국 행정 하에 테메슈바르 에얄레트와 세게딘 산자크로 분할 |
18세기 | 합스부르크 군주국 행정 하에 테메슈바르 바나트와 군사 변경 지역으로 분할 |
1778년 | 테메슈바르 바나트 폐지 후, 토론탈 코미타트와 바치-보드로그 코미타트로 분할 |
1850년대 | 벨리키 베치케렉 구와 솜보르 및 노비사드 구로 분할 |
1860년 | 다시 토론탈, 바치-보드로그, 초그라드 코미타트로 분할 |
1918년~1922년 | 유고슬라비아 왕국 행정 하에 벨리키 베치케렉 코미타트와 노비사드 코미타트로 분할 |
1922년~1929년 | 베오그라드 오브라스트의 일부 |
1929년~1941년 | 다뉴브 바노비나의 일부 |
1941년~1944년 | 독일-헝가리 추축국 점령 하에 바나트 자치 지역과 바치-보드로그 코미타트로 분할 |
1944년 | 자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보이보디나의 일부 |
1945년 | 새로운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 |
1992년 1월 29일 | 세르비아 정부 법령에 의해 현재의 세르비아 구역 (북바나트 구 포함) 정의 |
3. 행정 구역
북바나트구는 6개 지방 자치체와 7개 군, 43개 마을을 관할한다.
헝가리인이 다수인 지방 자치체의 경우, 이름은 헝가리어로도 표기되어 있다.
카니자, 센타, 아다는 지리적으로 바치카 지역에 속하는데, 그 이유는 바나트와 바치카 사이의 자연 경계가 티사 강이기 때문이다.
4. 인구
2022년 공식 인구 조사에 따르면 북바나트구의 인구는 117,896명이다.[1] 북바나트 구는 다민족 거주 지역으로, 헝가리인과 세르비아인이 주요 민족 집단이다.
연도 | 인구 |
---|---|
1948 | 189,050 |
1953 | 189,414 |
1961 | 194,150 |
1971 | 191,632 |
1981 | 187,179 |
1991 | 179,783 |
2002 | 165,881 |
2011 | 147,770 |
2022 | 117,896 |
세르비아인이 다수인 자치체는 키킨다 (76.43%)와 노비크네제바츠 (59.53%)이며, 헝가리인이 다수인 자치체는 아다 (76.64%), 초카 (51.56%), 카니자 (86.52%), 센타 (80.51%)이다. 각 자치체에 포함된 마을 중 30곳은 헝가리인이 다수이고, 19곳은 세르비아인이 다수이며, 1곳은 헝가리인이 상대적으로 다수이다.
4. 1. 민족 구성 (2022년 기준)
2022년 인구 조사 결과, 북바나트 구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민족 집단 | 인구 | % |
---|---|---|
세르비아인 | 51,848 | 44.0 |
헝가리인 | 50,643 | 43.0 |
로마인 | 4,277 | 3.63 |
유고슬라브인 | 635 | 0.54 |
크로아티아인 | 290 | 0.25 |
알바니아인 | 157 | 0.13 |
몬테네그로인 | 134 | 0.11 |
마케도니아인 | 129 | 0.11 |
슬로바키아인 | 128 | 0.11 |
루마니아인 | 121 | 0.11 |
무슬림 | 90 | 0.08 |
독일인 | 80 | 0.07 |
기타 | 6,842 | 5.80 |
총계 | 117,896 | 100.0 |
2011년과 2022년 인구 조사를 비교하면, 세르비아인이 42.7%에서 44.0%로 증가하여 가장 큰 민족 집단이 되었고, 헝가리인은 46.6%에서 43.0%로 감소하였다.[4]
4. 2. 언어 (2002년 기준)
2002년 인구 조사를 기준으로 한 언어 분포는 다음과 같다.5. 경제
키킨다는 건축용 점토 생산지로 유명하며,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점토 생산 회사인 IGM DD 토자 마르코비치(IGM DD Toza Marković)의 본사가 위치해 있다. 키킨다 철공소는 연마기를 제조하며, 세르비아 안팎에서 수요가 있다. 25 maj에서는 농업 기기 및 설비를 제조하며, 일렉트론(Electron)의 제품도 세르비아 국내외에서 판매되고 있다. 키킨다에서는 원유를 생산하며, 세르비아의 귀중한 국내산 유전 중 하나이다.
6. 문화
1796년, 키킨다에서 이 지역 최초의 연극이 독일어로 공연되었다.[1] 1878년, 키킨다에 최초의 현대적인 세르비아 인쇄소가 설립되었으며, 이듬해 최초의 도서관이 문을 열었다.[1] 테오도르 일리치 체슐랴르, 니콜라 알렉시치, 듀라 페치치, 화가이자 작가인 듀라 약시치 등 화가들로 유명하다.[1]
참조
[1]
웹사이트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7-01-16
[2]
PDF
https://publikacije.[...]
2024-08-01
[3]
PDF
https://publikacije.[...]
2024-08-01
[4]
웹인용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7-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