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롬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롬어는 인도아리아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롬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롬어는 '로마니 칩' 또는 '로마네스'로 불리며, '롬인' 또는 '남편'을 뜻하는 롬어 단어 'rrom'에서 유래되었다. 롬어는 인도아리아어군 내에서 인도 아대륙 외부에서 사용되는 유일한 언어이며, 발칸어연합의 일부이기도 하다. 롬어는 다양한 방언으로 나뉘며, 라틴 문자, 키릴 문자, 아랍 문자 등 다양한 문자로 표기된다. 롬어는 명사, 동사, 통사론 등 문법적 특징을 가지며, 어휘는 인도아리아어 기원 외에도 그리스어, 페르시아어, 슬라브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롬어는 코소보와 북마케도니아에서 공용어로 지정되었으며, 표준화 운동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인도아리아어군 - 우르두어
    우르두어는 파키스탄과 인도에서 사용되는 인도-아리아어군 언어로, 힌두스타니어에서 유래하여 페르시아어와 아랍어의 영향을 받아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사용하며, 인도와 파키스탄의 정치적, 종교적 정체성과 관련되어 힌디어와 구분되는 독자적인 언어로 발전, 현재 파키스탄의 국어이자 인도 여러 지역의 공용어이다.
  • 중인도아리아어군 - 힌두스탄어
    힌두스탄어는 북인도에서 발생하여 페르시아어, 아랍어, 튀르크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우르두어와 힌디어로 분화되었지만 구어체에서는 상호 이해가 가능한 언어이다.
  • 인도이란어파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인도이란어파 - 다리어
    다리어는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인 페르시아어의 한 종류로, 행정, 정부, 미디어 등에서 사용되는 표준어이며, 사산 왕조 시대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기원하여 이란 페르시아어와 차이를 보이고, 아프가니스탄 내 다양한 방언 중 카불 방언이 표준으로 간주된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롬어
언어 정보
이름로마어
다른 이름로마니
로마네스
로마
사용 인구458만 1890명
사용 민족롬인
사용 시기2015년
가족인도유럽어족
어파인도이란어파
어족인도아리아어군
하위 어군서부 인도아리아어군
하위 방언발칸 로마어 (자르가리 로마어 포함)
발트 로마어
카르파티아 로마어
북부 로마어 (핀란드 칼로어, 신테 로마어, 웨일스 로마어 포함)
블락스 로마어
글 로토로그roma1329
글 로토로그 이름로마어
로마어는 유네스코의 소멸 위기 언어 지도 (2010)에 의해 취약 등급으로 분류됨
소수 언어 국가















ISO 639-2rom
ISO 639-3rom
ISO 639-5rmn: 발칸 로마어
rml: 발트 로마어
rmc: 카르파티아 로마어
rmf: 핀란드 칼로어
rmo: 신테 로마어
rmy: 블락스 로마어
rmw: 웨일스 로마어
rmq: 스페인 로마어
로마자 표기IPA:
발음 표기:
IPA:
발음 표기:
기본 정보
이름로마어
로마자 표기romani ćhib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인도이란어파
어군인도어파
하위 어군중앙어군
문자라틴 문자
국가없음 (유럽의 몇몇 국가의 지방 행정 구역에서 소수 언어로 지정됨)
사용 인구480만 명
순위100위 이하
위험도위험
언어 정보
이름롬어
자기 이름Romani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인도이란어파
어군인도아리아어군
하위 어군중부 인도아리아어군
민족롬인
사용 인구480만 명
사용 지역세계 각지; 주로 유럽, 아시아
ISO 639-2rom
하위 언어rom: 로마어 (일반)
rmn: 발칸 로마어
rml: 발트 로마어
rmc: 카르파티아 로마어
rmf: 칼로 핀란드 로마어
rmo: 신테 로마어
rmr: 칼로 (스페인 로마어)
rmy: 블락스 로마어
rmw: 웨일스 로마어

2. 명칭

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보통 이 언어를 "롬어"를 뜻하는 rromani ćhibrom 또는 "롬 방식으로"를 뜻하는 rromanesrom(부사)라고 부른다. 이는 "롬인" 또는 "남편"을 의미하는 롬어 단어 rromrom에서 유래한다. 이는 영어의 "Roma"라는 용어의 어원이기도 하지만, 일부 롬 집단은 다른 민족명(예: 'Kaale', 'Sinti')을 사용하여 자신들을 지칭한다.[23]

3. 분류

롬어는 인도아리아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발칸어연합의 일부이다. 롬어는 새로운 인도아리아어 중 인도아대륙 외부에서만 사용되는 유일한 언어이다.[27]

롬어는 때때로 중부 지대 또는 북서부 지대 인도아리아어로 분류되기도 하고, 때로는 독립적인 그룹으로 취급되기도 한다.[28][29] 롬어는 중부 지대 언어와 여러 가지 특징을 공유하지만, 다른 중부 지대 언어와 달리 많은 치경 자음 군집을 보존하고 있어, 중간 인도아리아어 시대 이전에 중부 지대 언어에서 분리되었음을 시사한다.

롬어는 도마리어와 몇 가지 유사점을 공유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두 언어는 중부 지대 언어군 내에서 두 개의 별개 언어로 취급될 만큼 충분히 다르다. 따라서 도마인과 로마인은 수세기 간격을 두고 인도에서 이주한 두 개의 다른 이주 물결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32][33]

다음 표는 수사를 로마니어, 도마리어, 로마브렌어로 제시하고, 산스크리트어, 힌디어, 오디아어, 싱할라어의 해당 용어를 함께 제시하여 유사성을 보여준다.[34]

로마니어도마리어로마브렌어산스크리트어힌디어오디아어싱할라어
1ekh, jekhyikayak, yekékaēkēkåeka
2dujluidváduideka
3trintærəntərintrítīntinithuna/thri
4štarštarišdörcatvā́raḥcārcārihathara/sathara
5pandžpandžpendžpáñcapā̃cpāñcåpaha
6šovšaššešṣáṭchaḥchååhaya/saya
7iftaxauthaftsaptásātsātåhata/satha
8oxtoxaišthaštaṣṭáāṭhāṭhåata
9injananunávanaunåånawaya
10dešdeslasdáśadasdåśådahaya
20bišwīsvistviṃśatíbīskōṛiēwissa
100šelsajsajśatasausåhēsiiya/shathakaya


4. 역사

롬어가 처음으로 언급된 것은 1542년 서유럽에서다.[77] 롬어의 초기 실태를 알 수 있는 확실한 고문헌은 없고 대신 비교언어학상 증거로 추정해 볼 수 있다.[77]

19세기의 언어학적 평가는 롬어가 중세 인도-아리안어가 아닌 신 인도-아리안어임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롬어의 조상들이 기원후 1000년 이전에 인도를 떠날 수 없었음을 입증한다. 롬어에는 두 가지 성(남성과 여성)만 있는데, 프라크리트의 중성 अग्निpra ('''')처럼 힌디어에서는 여성 आगhi ('''')가 되었고 롬어에서는 ''jagrom''가 되었다. 롬어와 다른 신 인도-아리안어 간의 문법적 성 진화의 유사점은 롬어의 전신이 10세기 후반까지 인도 아대륙에 남아 있었음을 시사하는 증거로 인용되었다.

롬어의 조상이 누구였는지 또는 인도 아대륙에서 이주하게 된 동기가 무엇인지에 대한 역사적 증거는 없지만, 여러 가지 이론이 있다. 그리스어의 영향과, 그 정도는 덜하지만 아르메니아어이란어군(예: 페르시아어, 쿠르드어군)의 영향은 남아시아를 떠난 후 아나톨리아, 아르메니아 고원/코카서스에 장기간 체류했음을 시사한다. 롬어가 대부분 통일된 언어 변종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여겨지는 최신 영토는 10세기와 13세기 사이의 비잔티움 제국이다.[35]

13세기 전반에 시작된 몽골의 유럽 침입은 또 다른 서쪽으로의 이동을 촉발했다. 롬어는 유럽에 도착한 후 다른 대륙으로 퍼져 나갔다. 흩어져 있는 롬인 집단 간의 먼 거리는 지역 사회의 차이점이 발달하게 되었다. 서로 다른 지역적 영향은 현대 언어에 큰 영향을 미쳐 여러 가지 다른 방언으로 분열되었다.

오늘날 롬어는 42개 유럽 국가의 소규모 집단에 의해 사용된다.[36] 영국의 맨체스터 대학교는 멸종 위기에 처한 많은 롬어 방언들을 최초로 기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36]

5. 방언

현대 롬어 방언들은 아나톨리아를 떠난 이후 축적된 어휘뿐만 아니라 다른 음운 발달과 문법적 특징을 통해 구분된다. 방언의 차이점은 14세기경 발칸 반도에서 롬어 사용자들이 흩어지면서 시작되었고, 16세기와 17세기에 유럽 전역에 정착하면서 더욱 심화되었다.[37] 주요 분기 지역은 동남유럽(발칸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과 서중부 유럽(독일을 중심으로)이다.[37]

마트라스(Matras, 2002, 2005)는 혁신의 공간적 확산에 기반한 로마니어 방언의 지리적 분류 이론을 제시했다.[37] 이 이론에 따르면, 초기 로마니어는 14~15세기 로마인들의 인구 이동을 통해 서유럽 및 유럽의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었다. 이들 집단은 16세기와 17세기에 다양한 유럽 지역에 정착하여 다양한 접촉 언어에 능숙해졌다. 그 후 변화가 나타났고, 파도처럼 퍼져나가 오늘날 확인되는 방언의 차이를 만들었다. 마트라스에 따르면, 두 가지 주요 혁신 중심지가 있었다. 어떤 변화는 서유럽(독일과 그 주변 지역)에서 나타나 동쪽으로 퍼져 나갔고, 다른 변화는 발라키아 지역에서 나타나 서쪽과 남쪽으로 퍼져 나갔다. 또한 많은 지역적이고 국지적인 등어선이 형성되어 복잡한 언어 경계의 파동을 만들었다.[37]

마트라스는 ''arorom'' > ''jarorom'' '달걀'과 ''ovrom'' > ''jovrom'' '그'에서 ''j-rom''의 앞첨가를 서에서 동으로의 확산의 전형적인 예로, ''bijavrom'' > ''abijavrom''에서 앞첨가 ''a-rom''의 추가를 동에서 서로의 확산의 전형적인 예로 제시한다. 그의 결론은 방언의 차이는 다른 이주 물결의 결과가 아니라 현지에서 형성되었다는 것이다.[37]

이 분류에 따르면, 방언은 다음과 같이 나뉜다.[38]


  • 북부 로마니어 방언
  • 중앙 로마니어 방언
  • 발칸 로마니어 방언
  • 블락 로마니어 방언


SIL 이스노글은 로마니어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로마니어
  • * 발칸 로마니어
  • ** 아를리야
  • ** 잠바지
  • ** 티너스 로마니어
  • * 북부 로마니어
  • ** 발트 로마니어

에스토니아 로마니어
라트비아 로마니어 (레티시 로마니어)
북러시아 로마니어
폴란드 로마니어
백러시아 로마니어

  • ** 카르파티아 로마니어 (중앙 로마니어)

동슬로바키아 로마니어
모라비아 로마니어
서슬로바키아 로마니어

  • ** 핀란드 칼로 로마니어
  • ** 신테 로마니어

아브루체세
세르비아 로마니어
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 로마니어

  • ** 웨일스 로마니어
  • * 블락 로마니어
  • ** 추라리 (추라리코, 시브메이커스)
  • ** 동부 블락 로마니어 (비사)
  • ** 가가르
  • ** 그레쿠르야 (그레코)
  • ** 칼데라시 (구리장이, 켈데라시코)
  • ** 로바리 (로바리코)
  • ** 마흐바노 (마흐반므코)
  • ** 북알바니아 로마니어
  • ** 정착 불가리아 로마니어
  • ** 정착 루마니아 로마니어
  • ** 세르보-보스니아 로마니어
  • ** 남알바니아 로마니어
  • ** 우크라이나-몰도바 로마니어
  • ** 자군지


언어학자 마르셀 쿠르티아드는 음운론적 및 문법적 변화의 기준을 사용하여 세 가지 연속적인 확장 단계에서 로마니어의 방언 다양성에 집중하는 다른 종류의 분류를 제안했다. 그는 방언의 공통된 언어적 특징을 찾아 13세기 아나톨리아 로마니어에 가장 가까운 방언(제1 단계)에서 제2 단계와 제3 단계로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제시한다.

몇 가지 방언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제1 단계제2 단계제3 단계
phirdom, phirdyomrom
phirdyum, phirjumrom
phirdemromphirdemrom
guglipe(n)/gugliparom
guglibe(n)/guglibarom
guglipe(n)/gugliparom
guglibe(n)/guglibarom
guglimosrom
panirom
khonirom
kunirom
pai, payirom
khoi, khoyirom
kui, kuyirom
pai, payirom
khoi, khoyirom
kui, kuyirom
ćhibromshibromshibrom
jenoromzhenoromzhenorom
porompo/mairommairom



제1 단계에는 가장 오래된 방언이 포함된다. 제2 단계에는 ''Ćergarirom''(포드고리차), ''Gurbetirom'', ''Jambashirom'', ''Fichirirom'', ''Filipiʒirom''(아기아 바르바라)가 있다. 제3 단계에는 ''Kalderashrom'', ''Lovarirom'', ''Machvanorom''를 포함한 나머지 로마니어 방언이 포함된다.

6. 문자

롬어는 원래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오늘날에는 라틴 문자, 키릴 문자, 아랍 문자, 그리스 문자 등 다양한 문자로 표기된다.[37]

로마니어 방언


롬어는 역사적으로 문어를 사용하지 않는 언어였다.[64] 1971년에 슬로바키아 롬어의 표기법이 제정되었다.[46] 현재 롬어로 작성되는 학술 및 비학술 문헌의 대다수는 라틴 문자 기반의 표기법을 사용한다.[47]

하나의 표준 방언을 선택하거나 여러 방언을 통합하여 통일된 로마니 알파벳과 하나의 표준 롬어를 형성하려는 시도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대신, 각 방언이 자체적인 문자 체계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48] 원어민들은 개별적으로 주요 접촉 언어(예: 루마니아에서는 루마니아어, 헝가리에서는 헝가리어)의 문자 체계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48]

"로마니어"를 의미하는 /romani tʃʰib/라는 구절은 방언에 따라 ''románi csibrom'', ''románi čibrom'', ''romani tschibrom'', ''románi tschiwirom'', ''romani tšiwrom'', ''romeni tšivrom'', ''romanitschubrom'', ''rromani čhibrom'', ''romani chibrom'', ''rhomani chibrom'', ''romaji šjibrom''[24] 등으로 다양하게 표기될 수 있다.

최근에는 원어민들이 온라인과 이메일을 통해 자발적으로 개발한 영어와 체코어 중심의 느슨한 표기법을 채택하는 경향도 있다.[49]

6. 1. 정서법

롬어는 오랫동안 구어로 쓰였기 때문에 20세기에 들어서야 정서법의 표준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76] 롬인들이 사는 곳에서 쓰이는 언어의 정서법을 준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미국 롬어는 영어 정서법을, 루마니아 롬어는 루마니아어 정서법을, 헝가리 롬어는 헝가리어 정서법을 따르는 식이다.[76]

하나의 표준 방언을 선택하거나 여러 방언을 통합하여 통일된 로마니 알파벳과 하나의 표준 로마니어를 형성하려는 제안은 성공적이지 못했다. 대신, 각 방언이 자체적인 문자 체계를 갖는 모델이 추세이다.[48] 원어민 중에서는 개별 저자들이 주요 접촉 언어의 문자 체계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패턴이다. 따라서 루마니아어루마니아에서, 헝가리어헝가리에서와 같이 사용한다.

모든 방언에서 "로마니어"를 의미하는 /romani tʃʰib/라는 구절은 방언에 따라 ''románi csibrom'', ''románi čibrom'', ''romani tschibrom'', ''románi tschiwirom'', ''romani tšiwrom'', ''romeni tšivrom'', ''romanitschubrom'', ''rromani čhibrom'', ''romani chibrom'', ''rhomani chibrom'', ''romaji šjibrom''[24] 등으로 쓸 수 있다.

최근에는 원어민들이 온라인과 이메일을 통해 자발적으로 개발한 영어와 체코어 중심의 느슨한 표기법을 채택하는 경향도 보인다.[49]

현재, 로마니어 표준화를 위해 루마니아, 세르비아, 미국 및 스웨덴의 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세르비아에서는 로마니어 표준어가 사용되고 있다.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자치주에서는 로마니어가 주 정부가 인정하는 소수 언어 중 하나이며, 로마니어를 사용하는 라디오 방송국과 언론 기관이 존재한다. 로마 인구가 가장 많은 루마니아에서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방언을 포괄적으로 다루기 위한 통일된 교육 시스템으로서 게오르게 사라우의 표준 로마니어가 채택되어 고등 교육뿐만 아니라 초등 교육에서도 로마니어 교육과 로마니어를 사용한 각 과목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스페인이나 영국 등에서는 이미 로마니어를 사용하지 않게 된 로마 집단이 로마니어 부활을 시도하는 가운데 표준화 운동이 진행되고 있다.

6. 1. 1. 라틴 문자 기반 정서법

범 블락스 라틴 문자를 기준으로 하며, 다른 라틴 문자 기반 정서법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문자소발음
A a/a/
B b/b/
C c/ts/
Č č/tʃ/
Čh čh/tʃʰ/
D d/d/
Dž dž/dʒ/
E e/e/
F f/f/
G g/ɡ/
H h/h/
Ch ch/x/
I i/i/
J j/j/
K k/k/
Kh kh/kʰ/
L l/l/
M m/m/
N n/n/
O o/o/
P p/p/
Ph ph/pʰ/
R r/r/
S s/s/
Š š/ʃ/
T t/t/
Th th/tʰ/
U u/u/
V v/v/
Z z/z/
Ž ž/ʒ/



언어학자들 사이에서는 판-블라크스 체계(Pan-Vlax system)라는 표기법이 지지되고 있다.[67] 이는 이언 핸콕(Ian Hancock)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Pan-Vlax system의 로마니어 알파벳
문자음소예시
표기 예시의미(영어)한국어 뜻
A aakana현재
B bbarvalo부유한
C ccìrdel그가 잡아당긴다
Č ččačo진실
Čh čhčhavo소년
D ddorjav
Dž dždžukel
E eertimos용서
F fforos마을
G ggadže비로마인
H hharmasari종마
I iičarel그가 짓누른다
J jjag
K kkaj어디에
Kh khkhamesko맑은
L llašo좋은
M mmanuš남자
N nnav이름
O ooxto8
P ppekel그가 굽는다
Ph phphabaj사과
R rrakli여자아이
S ssunakaj
Š ššukar달콤한/좋은/멋진
T ttaxtaj
Th ththem
U u입술
V vvoro사촌
X xxarano현명한
Z zzèleno녹색
Ž žžoja목요일



이와 별도로, 1990년 제4회 세계 로마니 회의에서 제정된 세계 공통 로마니어 알파벳도 존재한다. 이것은 프랑스의 언어학자 마르셀 쿠르티아드가 고안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위의 판-블라흐스 방식과 유사하지만, 자음 문자에 붙이는 diacritic mark으로 háček 대신 acute accent을 채택하고 있다는 점, 격변화를 형태음운론적으로 표기하기 위한 전용 문자를 정비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각 방언에서의 구개음화 정도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발음의 차이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세계 공통 로마니어 알파벳은 일정 수의 출판물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고는 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 원인 중 하나로, 유럽의 어떤 언어의 키보드 배열에서도 표준적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은 문자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컴퓨터로 입력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지적도 존재한다.[68]

6. 1. 2. 키릴 문자 기반 정서법

칼데라시 방언의 키릴 문자 표
А аБ бВ вГ гҒ ғ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
К кКх кхЛ лМ мН нО оП пПх пхР рРр ррС сТ т
Тх тхУ уФ фХ хЦ цЧ чШ шЫ ыЬ ьЭ эЮ юЯ я



루스카 방언의 키릴 문자 표
А аБ бВ вГ гҒ ғ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
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Т тУ уФ фХ х
Ц цЧ чШ шЫ ыЬ ьЭ эЮ юЯ я


7. 음운

로마니어는 인도아리아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발칸어연합의 일부이기도 하다. 인도아대륙 외부에서만 사용되는 유일한 새로운 인도아리아어이다.[27] 때때로 중부 지대 또는 북서부 지대 인도아리아어로 분류되기도 하고, 독립적인 그룹으로 취급되기도 한다.[28][29]

로마니어는 중부 지대 언어와 여러 특징을 공유한다. 예를 들어, 고대 인도아리아어의 ''r̥''가 ''u'' 또는 ''i''로 변화하거나(산스크리트어 ''śr̥ṇ-sa|슈른-}}'', 로마니어 ''šun-rom|슌-}}'' '듣다'), ''kṣ-''가 ''kh''로 변화한 것(산스크리트어 ''akṣisa|악쉬}}'', 로마니어 ''j-akhrom|j-아크}}'' '눈')이 있다.[29] 그러나 로마니어는 다른 중부 지대 언어와 달리 많은 치경 자음 군집을 보존하고 있는데(로마니어 ''trinrom|트린}}'' '셋', ''phralrom|프랄}}'' '형제', 힌디어 ''|띤}}'', ''|바이}}'' 비교), 이는 로마니어가 중간 인도아리아어 시대 이전에 중부 지대 언어에서 분리되었음을 시사한다.[29] 하지만, 로마니어는 원래 명사의 격 체계가 주격/사격 대립으로 침식되고 새로운 문법화된 격 접미사가 추가되는 등 새로운 인도아리아어의 일부 특징을 보여주는데, 이는 로마인들의 인도 이주가 1천년 후반까지 일어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29]

로마니어는 북서부 지대 언어와도 약간의 유사성을 보인다. 특히, 동사에 인칭 접미사로서의 클리틱 대명사의 문법화(''kerdorom|케르도}}'' '했다' + ''merom|메}}'' '나' → ''kerdjomrom|케르됴므}}'' '내가 했다')는 카슈미르어나 쉬나어와 같은 언어에서도 발견된다.[29]

문법 구조 측면에서 로마니어는 중간 인도아리아어의 현재 시제 인칭 일치 표지와 명사의 격에 대한 자음 어미를 거의 그대로 유지하는 보수적인 특징을 보인다.[29]

로마니어는 다른 인도아리아어와 구별되는 여러 가지 음운 변화를 보인다. 유성 유기음(''bh dh gh'')의 무기음화(''ph th kh''), 중간 ''t d''의 ''l''로의 변화, 단모음 ''a''의 ''e''로의 변화, 어두 ''kh''의 ''x''로의 변화, 역설설음 ''ḍ, ṭ, ḍḍ, ṭṭ, ḍh'' 등의 ''r''과 ''ř''로의 로타시즘, 그리고 어미 ''-a''의 ''-o''로의 변화 등이 있다.[29]

로마니어와 도마리어는 제2층 후치사(또는 격 표지 클리틱)의 명사 어간에의 접합, 과거 시제의 일치 표지, 복수에서 성 표시의 중립화, 그리고 사격의 목적격으로의 사용 등 몇 가지 유사점을 공유한다.[30][31]

다음 표는 수사를 로마니어, 도마리어, 로마브렌어로 제시하고, 산스크리트어, 힌디어, 오디아어, 싱할라어의 해당 용어를 함께 제시하여 유사성을 보여준다.[34] 로마니어의 7부터 9까지의 수사는 그리스어에서 차용되었다.

로마니어도마리어로마브렌어산스크리트어힌디어오디아어싱할라어
1ekh, jekhyikayak, yekékaēkēkåeka
2dujluidváduideka
3trintærəntərintrítīntinithuna/thri
4štarštarišdörcatvā́raḥcārcārihathara/sathara
5pandžpandžpendžpáñcapā̃cpāñcåpaha
6šovšaššešṣáṭchaḥchååhaya/saya
7iftaxauthaftsaptásātsātåhata/satha
8oxtoxaišthaštaṣṭáāṭhāṭhåata
9injananunávanaunåånawaya
10dešdeslasdáśadasdåśådahaya
20bišwīsvistviṃśatíbīskōṛiēwissa
100šelsajsajśatasausåhēsiiya/shathakaya



범 블락스 라틴 문자 표기를 기준으로 하며, 일부 방언에서만 나타나는 음운은 [ ] 안에 표시한다.

로마니어는 유럽 언어들 사이에서 특이한 음성 체계를 가지고 있다. 유성음, 무성음, 유기음의 세 가지 대조가 나타나는 /p t k č/ 및 /b d g dʒ/, /pʰ tʰ kʰ čʰ/가 그것이다.[69]

동유럽과 남동유럽의 로마니어 방언은 일반적으로 구개음화된 자음을 갖는다.[69] 접촉 언어에서 차용된 어휘에는 모국어에 없는 다른 음소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69]

보수적인 로마니어 방언은 일부 접미사에서 예외가 있지만 어말 강세를 유지한다(예: 명사의 소유격을 수반한 호격 어미나 격 어미, 먼 과거 시제는 예외).[69] 중앙 유럽과 서유럽 방언에서는 강세가 어두 쪽으로 이동한 경우가 많다.[69]

어말에서는 유성 자음이 무성화되고, 유기음은 무기음화된다. 하지만 표기상으로는 유성음과 유기음이 그대로 유지된다.

표기발음의미
gad셔츠(단수)
gada셔츠(복수)
ačh멈춰라!(호격)
ačhel(3인칭 단수에 대해) 멈춰라!


7. 1. 홀소리


7. 2. 닿소리


8. 문법

롬어의 문법은 명사, 형용사, 대명사, 수사를 포함하는 명사구를 중심으로 구성된다.[24] 일부 자료에서는 관사도 명사구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롬어는 성(남성/여성)수(단수/복수)를 구분하며, 어순은 VOS(동사-주어-목적어)이다.

부정 관사는 주변 언어에서 차용되는 경우가 많다. 롬어 파생어는 종합적이고 부분적으로 교착적이다. 슬라브 국가의 롬어는 생산적인 악시온아르트 형태론을 채택하는 경향을 보인다.

동사는 어근과 접미사로 구성되며, 동사 어간은 미완료상으로 현재 또는 가정법을 나타낸다.

생물 명사와 무생물 명사는 대격에서 다른 변화를 보인다.[70] 예를 들어, "소년"을 뜻하는 rakló|라클로rom의 대격은 raklés|라클레스rom이지만, "빵"을 뜻하는 manřó|만로rom의 대격은 주격과 같다.

단수와 복수의 격 어미가 같은 것은 헝가리어, 벵골어, 펀자브어와 마찬가지로 형태론의 교착성을 보여준다. 어형 변화는 주격과 대격 두 가지를 원형으로 하며, 나머지 사격은 대격을 기반으로 어미를 추가하는 이중 구조를 가진다. 무생물 명사의 경우 주격과 대격이 같지만, 사격에서는 생물 명사의 대격 형태소가 나타난다.

'''남성 명사의 격 변화'''[72]

생물 「인간」무생물 「집」
주격romkher
대격rom-eskher
호격rom-a
여격rom-es-kekher-es-ke
탈격rom-es-tarkher-es-tar
구격rom-es-arkher-es-ar
처격rom-es-tekher-es-te
속격rom-es-korokher-es-koro



'''여성 명사의 격 변화'''[73]

생물 「여동생 또는 누나」무생물 「와인」
주격phenmol
대격phen-jamol
호격phen-e
여격phen-ja-kemol-ja-ke
탈격phen-ja-tarmol-ja-tar
구격phen-ja-armol-ja-ar
처격phen-ja-temol-ja-te
속격phen-ja-koromol-ja-koro



호격은 격 변화 패러다임에 유지되고 있다.

부정사가 소실되어 "먹고 싶다"와 같은 표현은 "내가 먹는다는 것을 원한다"와 같이 표현된다. 이는 발칸어법(Balkan sprachbund)이라고 불리며, 현대 그리스어에서 기원하여 알바니아어, 불가리아어, 루마니아어로 퍼져나갔다.

8. 1. 명사

롬어에는 두 가지 성(남성/여성)과 두 가지 (단수/복수)가 있다.[24] 명사는 주격, 호격, 목적격, 소유격, 여격, 처소격, 탈격, 도구격의 여덟 가지 격 중 하나로 표시된다.[24]

처음 세 격(주격, 호격, 목적격)은 명사 어미 변화로, 나머지 다섯 격은 목적격에 조사를 추가하여 만들어진다.[24] 호격은 어근에 접미사를 붙여 생성되므로 격 체계의 "외부"에 있다.[50]

예: 이케오클리틱 유형 단수 남성 호격 접미사는 '''-ejarom'''이다.[51]

  • '''čhaveja!rom''' - 너, 소년(아들)!
  • '''cikneja!rom''' - 너, 꼬마야!
  • '''phrala!rom''' - 형제야!


사격 격은 성이나 유형에 관계없이: ''-terom'' / ''-derom'' (처소격), ''-kerom'' / ''-gerom'' (여격), ''-tar/-darrom'' (탈격), ''-sa(r)rom'' (도구격 및 동반격), ''-ker-rom'' / ''-ger-rom'' (소유격)이다.[24]

예: o/i로 끝나는 명사의 어미는 다음과 같다.

단수 주격단수 목적격단수 호격복수 주격복수 목적격복수 호격
소년
(남성)
čhav-oromčhav-esromčhav-ejaromčhav-eromčhav-enromčhav-alerom
여성
(여성)
řomn-iromřomn-jaromřomn-ijeromřomn-jaromřomn-jenromřomn-alerom



예: 모든 유전된 단어의 남성 복수 간접 어간 접미사는 ''-enrom''이다.[50] 여격 접미사는 ''-kerom''이다.[52]


  • '''o xuxurrom''' - 버섯
  • '''xuxurenrom''' - 간접 어간 (목적격으로도 사용됨)
  • '''Nilaj phiras xuxurenge.rom''' – 여름에 우리는 버섯을 따러 간다 (버섯을 채집한다는 의미)


생물과 무생물에서 대격의 변화가 다르다.[70] 예를 들어, raklórom “소년”의 대격은 raklésrom로 변화하지만, manřórom “빵”의 대격은 주격과 같다.

rakló「소년」의 격 변화
단수복수
주격rakl-orakl-e
대격rakl-esrakl-en
여격rakl-es-kerakl-en-ge
탈격rakl-es-tarrakl-en-dar
위격rakl-es-terakl-en-de
구격rakl-es(s)arakl-en-ca
속격rakl-es-ko(ro)rakl-en-go(ro)
호격rakl-éja!rakl-ále(n)!



'''남성 명사의 격 변화'''[72]

생물 「인간」무생물 「집」
주격romkher
대격rom-eskher
호격rom-a
여격rom-es-kekher-es-ke
탈격rom-es-tarkher-es-tar
구격rom-es-arkher-es-ar
처격rom-es-tekher-es-te
속격rom-es-korokher-es-koro



'''여성 명사의 격 변화'''[73]

생물 「여동생 또는 누나」무생물 「와인」
주격phenmol
대격phen-jamol
호격phen-e
여격phen-ja-kemol-ja-ke
탈격phen-ja-tarmol-ja-tar
구격phen-ja-armol-ja-ar
처격phen-ja-temol-ja-te
속격phen-ja-koromol-ja-koro


8. 2. 동사

롬어 동사는 단수와 복수의 두 가지 수와 세 가지 인칭을 가지며, 남성과 여성 간의 동사적 차이점은 없다.[24] 롬어 시제는 현재 시제, 미래 시제, 두 가지 과거 시제(완료와 미완료), 현재 또는 과거 조건절, 그리고 현재 명령문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동사의 핵심은 어근이며, 동사 형태론은 접미사로 구성된다.[24] 동사 어간(파생 접사 포함) 자체는 미완료상이며 현재 또는 가정법이다.[24]

방언에 따라 접미사 "-a"는 현재, 미래 또는 조건절을 나타낸다.[24] 어근 음운론, 자가성, 의미에 따라 결정되는 많은 완료상 접미사가 있다. 예를 들어 '-d-'는 '했다'를 의미한다.[24]

비완료 동사와 완료 동사에 대해 두 가지 세트의 인칭 활용 접미사가 있다.[24] 중세 인도-아리아어에서 계속되는 비완료 인칭 접미사는 다음과 같다.[24]

비완료 인칭 접미사
1인칭2인칭3인칭
단수-av-es-el
복수-as-en



이 접미사들은 자음이나 모음으로 끝나는 어근에 따라 약간 다르다(예: 'xa-s' '너는 먹는다', 'kam-es' '너는 원한다').[24]

후기 중세 인도-아리아어 첨가어 대명사에서 유래한 완료상 접미사는 다음과 같다.

완료상 인칭 접미사
1인칭2인칭3인칭
단수-om-al / -an-as
복수-am-an / -en-e



동사는 또한 원래 형태가 '-as(i)'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추가적인 과거 시제 접미사를 취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방언에서 '-as', '-ahi', '-ys' 또는 '-s'로 보존된다.[24] 비완료 동사의 경우, 이것은 미완료, 습관적 또는 조건절을 나타낸다.[24] 완료 동사의 경우, 이것은 과거완료 또는 반사실적을 나타낸다.[24] 원자가 표지가 동사 어근에 붙어 원자가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24] 어떤 표지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지에 대해 방언적 변이가 있다. 일반적인 원자가 증가 표지는 '-av-', '-ar-', '-ker-'이고, 일반적인 원자가 감소 표지는 '-jov-'와 '-áv-'이다.[24] 이러한 표지는 명사와 형용사로부터 동사를 파생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24]

로마니어는 원자가를 변화시키는 형태론을 사용하여 동사의 원자가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56]

8. 3. 통사론

롬어의 구문론은 대부분의 인도-아리아어와 상당히 다르며, 발칸어족과 더 유사성을 보인다.[24] 대부분의 롬어 방언에서 롬어는 목적어-동사 언어이며, 대조적인 문장에서는 주어-동사-목적어 순서를, 서술적인 문장에서는 동사-주어-목적어 순서를 사용한다.[24] 어떤 방언에서 동사를 문장 끝에 배치하는 경향은 슬라브어의 영향 때문일 수 있다.

슬로바키아 롬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24]

  • ''Odi kuči šilaľi|이 컵은 차갑다.rom''
  • ''Oda šilaľi kuči|이것은 차가운 컵이다.rom''


절은 일반적으로 종결절이다.[24] 관계사 ''kaj''로 도입되는 관계절은 뒤로 옮겨진다.[24] 사실적 복문과 비사실적 복문이 구분된다.[24]

성 (남성/여성 명사)단수/복수의 구분이 있다. 또한, 어순은 VOS이다.

부정사의 소실을 들 수 있다. "먹고 싶다"와 같은 표현은 "내가 먹는다는 것을 원한다"와 같이 표현된다. 이것은 발칸어법(バルカン語法)이라고 불린다. 발칸어법은 현대 그리스어가 기원으로 여겨지며, 알바니아어, 불가리아어, 루마니아어에도 퍼져 있다.

9. 어휘

롬어는 인도아리아어에서 유래한 어휘를 기본으로 하지만, 그리스어, 아르메니아어, 페르시아어, 슬라브어 등 여러 언어에서 차용한 어휘도 많이 포함하고 있다.

롬어는 영어에 "pal"(형제)[57], "gadgie"(남자)[59], "shiv" 또는 "chiv"(칼)[58] 등의 단어를 빌려주었다. 특히, "chav"와 같은 일부 단어는 표준 영어 어휘에 포함될 정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59][60]

최근에는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는 로마니어를 하나의 방언으로 연결하기 위해 블라흐-로마니어를 가르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인도 로마니 연구소(찬디가르)는 1970년대에 ''Roma''라는 저널을 통해 로마니어 수업을 발표하기도 했다.[61]

하지만, 넓은 지역을 유랑하던 로마인들의 특성상 여러 언어를 구사하는 경우가 많아 순수하게 로마니어만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최근에는 정착하는 로마인들이 늘어나고 매체의 발달로 인해 로마니어 화자가 줄고, 로마니어와 다른 언어의 혼합이 진행되고 있다.

10. 현대 롬어

롬어는 여러 국가에서 소수 언어로 인정받고 있다. 현재 롬어가 공용어로 사용되는 곳은 코소보 공화국(지역적으로만)과 북마케도니아 수도 스코페의 행정 구역 내에 있는 슈토 오리자리 자치구뿐이다.[41]

로마니어 표준화 운동이 진행 중이며, 세르비아에서는 표준화된 롬어가 사용되고 있고, 세르비아의 자치주인 보이보디나에서는 로마니어가 소수 언어로 공식적으로 인정받아 자체 라디오 방송국과 뉴스 방송을 가지고 있다. 상당한 로마니아 소수 민족이 거주하는 루마니아에서는 국가에서 사용되는 모든 방언에 대한 통일된 로마니어 교육 시스템이 있다.

롬어는 현재 인터넷, 일부 지역 언론, 일부 국가에서는 교육 매체로 사용되고 있다.[41]

11. 관련 논문

엄태현은 2004년 《동유럽발칸학》 6-2에 〈집시민족의 발칸반도로의 이주 양상과 그것의 언어적 영향 : 루마니아어의 은어형성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을 발표했다.[1]

한국에서는 롬인 인구가 매우 적어 롬어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지만,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롬어와 롬 문화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omany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22-12-23
[2] 용어 Romany
[3] 서적 The Routledge Concise Compendium of the World's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12-07
[4] 간행물 3rd Report of the Republic of Austria pursuant to Article 15 (1) of the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https://www.bundeska[...] Federal Chancellery, Constitutional Service, Austria 2022-11-11
[5] 웹사이트 Reservations and Declarations for Treaty No.148 -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https://www.coe.int/[...]
[6] 웹사이트 Four Languages You Didn't Know Were Spoken in Colombia https://alphaomegatr[...] 2015-11-24
[7] 웹사이트 Romanikieli ja karjalan kieli https://oikeusminist[...]
[8] 웹사이트 Regional- und Minderheitensprachen https://web.archive.[...] Federal Ministry of the Interior 2012-08-12
[9] 웹사이트 National and Ethnic Minorities in Hungary https://web.archive.[...] 2015-12-23
[10] 웹사이트 Assessing Minority Language Rights in Kosovo http://kv.sapientia.[...] Sapientia University 2020-12-14
[11] 웹사이트 Nasjonale minoriteter https://www.regjerin[...] Norwegian Government Security and Service Organisation 2018-06-04
[12] 웹사이트 Про затвердження переліку мов національних меншин (спільнот) та корінних народів України, яким загрожує зникнення https://zakon.rada.g[...] 2024-06-07
[13] 웹사이트 Romany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Romany https://www.merriam-[...]
[15] 웹사이트 Romany http://dictionary.ca[...]
[16]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007
[17] 웹사이트 Romanes http://www.collinsdi[...]
[18] 웹사이트 Romani https://web.archive.[...] SIL International 2013-09-15
[19] 웹사이트 Romani, Vlax https://web.archive.[...] SIL International 2012-08-12
[20] 웹사이트 Romani, Balkan https://web.archive.[...] SIL International 2012-08-12
[21] 웹사이트 Romani, Sinte https://web.archive.[...] SIL International 2012-08-12
[22] 서적 In some regions of Europe, especially the western margins (Britain, the Iberian peninsula, Scandinavia), Romani-speaking communities have given up their language in favor of the majority language, but have retained Romani-derived vocabulary as an in-group code. Such codes, for instance Angloromani (Britain), Caló (Spain), or Rommani (Scandinavia) are usually referred to as Para-Romani varieties. 2006
[23] 논문 A glossary of Romani terms https://repositories[...] Oxford University Press
[24] 서적 Nástin mluvnice slovenské romštiny (pro pedagogické účely) http://rss.archives.[...] Pedagogická fakulta Univerzity J. E. Purkyně v Ústí nad Labem 1998
[25] 서적 Appendix Two. Kannauʒ on the Ganges, cradle of the Rromani people University of Hertfordshire Press 2004
[26] 서적 Romano Lavo-Lil: Word Book of the Romany; Or, English Gypsy Language John Murray 1873
[27] 서적 Introduction LINCOM 2005
[28] 웹사이트 Central Indo-Aryan Languages https://www.oxfordre[...] 2023-03-23
[29] 논문 'THE POSITION OF ROMANI IN INDO-ARYAN': A REPLY TO DR. J. SAMPSON https://babel.hathit[...] 1927
[30] 서적 Striking nonetheless are the grammatical similarities between Romani and Domari: the synthetisation of Layer ii affixes, the emergence of new concord markers for the past tense, the neutralisation of gender marking in the plural, and the use of the oblique case as an accusative. 2002
[31] 서적 The morphology of the two languages is similar in other respects: Both retain the old present conjugation in the verb (Domari kar-ami 'I do'), and consonantal endings of the oblique nominal case (Domari mans-as 'man.OBL', mans-an 'men.OBL'), and both show agglutination of secondary (Layer II) case endings (Domari mans-as-ka 'for the man'). It had therefore been assumed that Romani and Domari derived form the same ancestor idiom, and split only after leaving the Indian subcontinent. 2006
[32] 웹사이트 What is Domari?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Manchester 2008-07-23
[33] 웹사이트 On romani origins and identity https://web.archive.[...] 2008-07-23
[34] 웹사이트 On Romani Origins and Identity http://www.radoc.net[...] 2007
[35] 서적 The Palgrave Handbook of Romani Language and Linguistics Palgrave Macmillan 2020
[36] 웹사이트 Gypsy, Roma and Traveller Achievement https://web.archive.[...] Ethnic Minority Achievement 2012-08-12
[37] 서적 Kommentierter Dialektatlas des Romani Harrassowitz 2004
[38] 논문 The classification of Romani dialects: A geographic-historical perspective https://web.archive.[...] LINCOM 2005
[39] 웹사이트 Coluna | Ciganos no Brasil: Uma história de múltiplas discriminações, invisibilidade e ódio https://www.brasilde[...] 2021-10-07
[40] 웹사이트 Romani Terminology Coordination Unit https://termcoord.eu[...] 2015-04-17
[41] 간행물 Constitution of Kosovo http://kushtetutakos[...]
[42] 논문 Language in Central Europe's History and Politics: From the Rule of cuius regio, eius religio to the National Principle of cuius regio, eius lingua? http://www.sociostud[...] 2011-05
[43] 서적 The Palgrave Handbook of Romani Language and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9-12-10
[44] 웹사이트 E ROMAII BIBLIA 2020 (KĂLDĂRĂRIHKO) — Matei 1 — O lill la viçako le Isusohko Xristostosohko https://romani.globa[...] 2021-11-23
[45] 웹사이트 Children's literature https://www.romarchi[...]
[46] 서적 Nástin mluvnice slovenské romštiny (pro pedagogické účely) http://rss.archives.[...] Pedagogická fakulta Univerzity J. E. Purkyně v Ústí nad Labem 1998
[47] 서적 2002
[48] 웹사이트 The Future of Romani: Toward a Policy of Linguistic Pluralism http://www.errc.org/[...] European Roma Rights Centre 2005-03-11
[49] 서적 2002
[50] 서적 1998
[51] 서적 1998
[52] 서적 1998
[53] 서적 1998
[54] 서적 1998
[55] 서적 1998
[56] 논문 Verb derivational morphology and event structure in Romani https://ethos.bl.uk/[...] University of Manchester 2008
[57] 서적 Oxford Concise Dictionary of Etym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58] 서적 Oxford Dictionary of Word Origins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0-09-09
[59] 서적 Urban North-Eastern English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2-03-31
[60] 웹사이트 the Romany origin of the British 'chav' https://wordhistorie[...] 2017-10-03
[61] 서적 Learn Romani: Das-dúma Rromanes University of Hertfordshire Press 2005
[62] 서적 1980
[63] 웹사이트 Unión Romaní imparte el primer curso de romanò-kalò https://unionromani.[...] 2020-09-25
[64] 서적 2006
[65] 서적 Romani: A Linguistic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66] 웹사이트 The Future of Romani: Toward a Policy of Linguistic Pluralism http://www.errc.org/[...] 2016-12-28
[67] 서적 A Handbook of Vlax Romani Slavica Publishers 1995
[68] 서적 Learn Romani: Das-dúma Rromanes University of Hertfordshire Press 2005
[69] 서적 2006
[70] 웹사이트 88.生物と無生物のあいだ https://schweigende-[...] 2022-09-10
[71] 웹사이트 65.主格と対格は特別扱い https://schweigende-[...] 2022-09-10
[72] 웹사이트 88.生物と無生物のあいだ https://schweigende-[...] 2022-09-10
[73] 웹사이트 88.生物と無生物のあいだ https://schweigende-[...] 2022-09-10
[74] 목록
[75] 간행물 Guía práctica para periodistas. Igualdad de trato, medios de comunicación y comunidad gitana Fundación Secretariado Gitano 2010
[76] 일반
[77] 서적 롬어의 역사(History)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