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즈레냐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즈레냐닌은 세르비아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었던 자르코 즈레냐닌의 이름을 따서 1946년 개칭되었다. 14세기부터 도시가 형성되었으며, 오스만 제국, 합스부르크 제국 등 다양한 지배를 거쳐 20세기 이후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의 일부가 되었다. 즈레냐닌은 다양한 민족 구성과 종교를 가지고 있으며, 가공 산업, 농업, 임업 등 다양한 경제 활동을 통해 유고슬라비아 시대에는 중요한 산업 중심지였다. 현재는 세르비아의 자유 경제 구역 중 하나이며, 다양한 건축물과 스포츠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즈레냐닌 - 베게이치 수용소
  • 세르비아의 도시 - 베오그라드
    베오그라드는 다뉴브강과 사바강 합류 지점에 위치한 세르비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로마 시대 싱기두눔으로 번성한 역사적 도시이며, 여러 제국을 거쳐 세르비아의 중심지로 발전해왔다.
  • 세르비아의 도시 - 니시
    니시는 세르비아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에는 나이수스로 불렸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 중요한 도시로 발전하여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태어났고, 현재는 세르비아의 주요 산업, 문화, 교통의 중심지이다.
즈레냐닌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즈레냐닌 깃발
깃발
즈레냐닌 문장
문장
세르비아 내 즈레냐닌의 위치
세르비아 내 위치
공식 명칭즈레냐닌 시
다른 이름



위치세르비아
하위 행정 구역 종류자치주
하위 행정 구역 명칭보이보디나
하위 행정 구역 종류 2
하위 행정 구역 명칭 2중앙 바나트 구
시장시모 살라푸라
시장 소속 정당SNS
인구 통계즈레냐닌 시민 (세르비아어)
정착 시기록솔라니족에 의해 정착됨 (서기 3세기)
설립1326년 7월 10일
시 승격일1769년 6월 6일
도시 면적193.03 km2
행정 구역 면적1325.88 km2
면적 순위세르비아에서 3번째
인구 조사 기준 시점2022년 인구 조사
인구 순위세르비아에서 11번째
도시 인구67,129명
행정 구역 인구105,722명
시간대CET
UTC 오프셋+01:00
시간대 (DST)CEST
UTC 오프셋 (DST)+02:00
해발 고도76m
우편 번호23000
지역 번호+381(0)23
차량 번호판ZR/ЗР
ISO 코드SRB
공식 웹사이트

2. 이름

이 도시의 이름은 1946년 자르코 즈레냐닌을 기념하기 위해 붙여졌다. 보이보디나의 공산주의 지도자 중 한 사람이었던 자르코 즈레냐닌은 제2차 세계 대전파르티잔에 가담했고 나치로부터 고문을 받다가 석방된 뒤 다시 체포되지 않기 위해 도주하던 중에 살해당했다.

과거에는 세르비아어로 '''베치케레크'''(Бечкерек, Bečkerek) 또는 '''벨리키베치케레크'''(Велики Бечкерек, Veliki Bečkerek)라고 불렀으며, 1935년에는 세르비아의 국왕 페타르 1세를 기념하기 위해 '''페트로브그라드'''(Петровград, Petrovgrad)로 바꾸기도 했다.

즈레냐닌의 원래 이름인 "베치케레크"는 헝가리어로 '숲' 또는 '작은 나무'를 뜻하는 단어인 "케레크"(Kerek)와 14세기 즈레냐닌 일대에 넓은 영지를 소유했던 귀족인 베체이 임레(Imre Becsei)의 성씨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한국어로 직역하면 '베체이의 숲'이라는 뜻이 된다. 최초의 이름에는 '큰, 위대한, 주요한'이라는 뜻을 가진 수식어가 붙여져 있었는데, 세르비아어의 '벨리키'(Велики, Veliki), 다뉴브 슈바벤어의 '그로스'(Groß), 헝가리어의 '너지'(Nagy), 루마니아어의 '마레'(Mare)는 루마니아령 바나트 지방에 있는 같은 이름의 마을과 구분하기 위해 붙여진 것으로 추측된다.

3. 역사

즈레냐닌이라는 이름은 1946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파르티잔으로 활동했던 자르코 즈레냐닌을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 그는 보이보디나 지역의 공산주의 지도자로, 나치에 의해 체포되어 고문을 받았으나, 석방 후 다시 체포될 위기에 처하자 도주 중 사망했다.[1]

이전에는 세르비아어로 베치케레크(Бечкерек, Bečkerek) 또는 벨리키베치케레크(Велики Бечкерек, Veliki Bečkerek)라고 불렸다. 1935년에는 페타르 1세를 기념하여 페트로브그라드(Петровград, Petrovgrad)로 개명되기도 했다.[1]

"베치케레크"라는 이름은 헝가리어로 '숲' 또는 '작은 나무'를 뜻하는 "케레크"(Kerek)와 14세기 이 지역의 넓은 영지를 소유했던 귀족 베체이 임레(Imre Becsei)의 성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직역하면 '베체이의 숲'이라는 뜻이 된다. 처음 이름에는 '크다, 위대하다, 주요하다'는 뜻의 수식어가 붙었는데, 이는 루마니아령 바나트 지방에 있는 같은 이름의 마을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1]

즈레냐닌은 14세기에 처음으로 정착이 시작되어 1326년에 처음으로 기록에 나타났다. 베제이 강 유역의 상업 도시로, 14세기 스테판 라자레비치 통치 하에 번성했다. 1551년 오스만 제국에 점령될 때까지 헝가리 왕국의 영토였다.[1]

베치케레크의 바쿠프 창시자,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


베치케레크를 점령한 오스만 군대는 세르비아계 정치인 소콜루 메흐메트 파샤가 이끌었다. 현지 세르비아인들은 그의 정복을 도왔고, 도시 항복 후 메흐메트 파샤는 그들의 지도자들과 면담하여 마르코비치를 베이(Bey)로 임명했다. 1570년, 메흐메트 파샤는 도시에 자치권을 부여하고 아름다운 건물들을 지어 자신의 본거지(vakuf)로 삼았다. 터키 지배 시기, 베치케레크는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과 무슬림 거주 지역으로 나뉘었다.[6]

1716년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정복된 후, 1769년 마리아 테레지아의 명령으로 크게 발전했다. 1779년에는 헝가리 왕국의 토론탈 현(Torontál)의 중심지가 되었다.[1]

1807년 대화재로 도시 대부분이 소실되었으나 곧 재건되었다. 1839년에는 극장이, 1846년에는 김나지움이 세워졌다. 1848년 혁명 동안에는 자치주 세르비아 보에보디나(Serbian Vojvodina)의 수도 중 하나였다. 1867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헝가리 왕국 영토가 되었다.[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추축국에 점령되어 독일 점령 하 세르비아의 자치 지역인 바나트의 일부가 되었다. 1945년 초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보이보디나 자치주에 포함되었고, 1992년부터 2003년까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이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 속했다. 2006년 몬테네그로 독립 후 독립 세르비아의 일부가 되었다.[2]

3. 1. 초기 역사

즈레냐닌의 옛 엽서


즈레냐닌의 옛 엽서


벡체레크(즈레냐닌)의 둔제르스키 양조장과 베게이 강둑


즈레냐닌 지역에서는 구석기 시대의 고고학 유적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나타난다. 기원전 5000년경 초기 신석기 시대의 유적이 즈레냐닌에서 약 10km 떨어진 무즐랴 근처의 크르스티치 고분에서 발견되었는데, 이곳에서는 흥미로운 장식이 있는 도기가 발견되었다. 스타르체보 문화의 채색된 정교한 도기와 장식은 양조장 부지 옆에서 발견되었다. 빈차 문화와 포티시에 문화는 티사 강 하류에서 나타난 중기 신석기 시대의 문화이다. 이 지역은 두 문화의 영향이 동시에 흘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철기 시대는 아직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지만, 슈미차에서는 창의 끝이, 정유 공장 근처에서는 청동기 시대의 도기 조각이 발견되었다.

서기 초, 이 지역에는 일리리아인, 켈트족, 고트족, 게트족, 사르마티아인, 야즈그족 등 다양한 부족들이 정착했다. 3세기 말과 4세기 중반에는 사르마티아인 부족인 록소라니가 즈레냐닌 지역과 그 주변에 나타났다. 이 시기 사르마티아인의 묘지가 철도 교량 근처 도시 주거 지구에서 발견되었다. 6세기 말과 7세기 초에 해당하는 120개 이상의 무덤이 아라다츠에서 멀지 않은 "메치카" 묘지에서 1952년에 발굴되었다.

즈레냐닌은 14세기에 처음으로 정착이 시작되었으며, 1326년에 처음으로 기록에 언급되었다. 베제이 강 유역의 상업 도시는 14세기, 세르비아 공작 스테판 라자레비치 치하에서 번성했다. 1551년 오스만 제국에 점령될 때까지 도시는 헝가리 왕국 영토였다.

3. 2. 중세 시대

카롤 1세 국왕(1301-1342)이 바나트를 방문했을 때, 임레 베체이를 포함한 많은 귀족들이 동행했다. 베체이가 정착한 지역은 그의 이름을 따서 "베체레키"와 "베체"(노비 베체이)로 명명되었다. 베체레크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326년, 1331년, 1332년에 교황의 십일조를 징수하는 부딤 수도원의 문서에 기록되어 있다.[1] 1330년대의 베체레크는 십일조 규모로 보아 평균적인 마을이었다. 최초의 정착민은 토지가 없는 헝가리 농민이었고, 바나트에는 세르비아인도 있었다.[1] 헝가리의 루이 1세 (1343–1382) 통치 기간에는 더 많은 세르비아인들이 남쪽에서 이 지역으로 이주해 왔으며, 많은 정교회 사제들도 함께였다.[1]

니코폴리스 전투 (1396)에서 투르크족이 승리한 후, 헝가리 지기스문트 국왕 (1387–1437)은 세르비아인들이 정착한 영토를 방어하는 것을 고려했고, 1398년 9월 30일에 베체레크를 방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1403년 말, 이 도시는 스테판 라자레비치에게 주어졌다.[1] 그는 헝가리 국왕의 봉신이 되었지만, 베체레크와 토론탈 군의 대두령이라는 칭호를 얻었다.[1]

3. 3. 오스만 제국 시기 (16세기 중반 - 18세기 초)

페르디난트 1세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도시를 방어하기 위해 자신의 군대 지휘관인 조르제 마르티노비치 수사를 임명했다. 헝가리는 소콜루 메흐메드 파샤 재상 지휘 하에 8만 명의 오스만 군대의 공격을 받았다. 1551년 9월 15일, 베체이에 대한 포위 공격이 해제되었고, 도시는 4일 만에 함락되었다. 9월 24일, 베치케레크 요새가 포위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도시를 일찍 떠났고, 방어 병력이 적어 도시를 방어할 수 없었으며, 남은 80명은 다음 날 항복했다.[1] 말코비치가 베치케레크의 영주로 임명되었다. 오스만 제국이 1552년에 티미쇼아라를 점령한 후, 바나트는 여러 산자크로 구성된 특별 행정 구역인 테메슈바르 에얄레트가 되었으며, 여기에는 베치케레크 산자크도 포함되었다.[1]

오스만 점령 기간 동안 산자크는 군사 행정을 받았다. 라야의 좋은 태도 때문에 주민들은 전쟁 세금이 면제되었다. 오스만 통치 165년 동안 베치케레크는 베치케레크 정착지와 그라드눌리차 마을의 두 개의 분리된 정착지로 구성되었다. 도시는 터키와 세르비아의 두 부분으로 나뉘었다. 터키 부분은 울타리로 둘러싸여 폐쇄되었고, 세르비아 부분은 개방되어 있었다. 주요 광장에는 큰 모스크가 지어졌고, 요새 안에는 작은 모스크가 있었다. 터키 목욕탕이 있었고, 그 주변에는 약 20개의 상점이 있었다. 그라드눌리차는 무질서한 마을이었으며, 중심지는 현재의 신젤리체바 거리와 주르제브스카 거리의 교차로에 있었다. 오스만 점령 이전에는 시민들이 세르비아인과 헝가리인이었다. 18세기 말에는 약 50가구의 터키 가정이 있었다.[1] 베치케레크를 점령한 터키군은 세르비아계 정치인 소콜루 메흐메드 파샤가 이끌었다. 그 때문에 현지 세르비아인들은 그가 도시를 정복하는 것을 도왔다. 도시가 항복한 후, 메흐메트 파샤는 현지 세르비아인 지도자들과 면담하고 베치케레크의 행정관으로 마르코비치를 베이(Bey)로 임명했다. 현지 지원을 한 세르비아인들에게 감사를 표하며, 1570년에 메흐메트 파샤는 도시를 자신의 본거지(vakuf)로 바꾸고 많은 아름다운 건물을 지었으며 자치권을 부여했다.[6] 터키 지배 시대, 베치케레크는 세르비아인이 사는 지구와 무슬림이 사는 지구로 나뉘었다.[6]

카를로비츠 조약(1699년)에 따라 베치케레크를 포함한 테메슈바르 에얄레트는 오스만 통치하에 머물렀고, 인접 지역은 다시 군사 변경 지역으로 편입되었다. 1716-18 오스트리아-터키 전쟁 이후 베치케레크는 합스부르크 통치하에 들어갔다.[1]

3. 4. 합스부르크 왕가 (오스트리아) 시기 (18세기 초 - 1918)

바나트는 황제 직할령으로 궁정에 직접 속했으며, 황제가 임명한 초대 총독은 클라우디우스 메르시 백작이었다. 1718년 9월 12일 황제 칙령에 따라 바나트는 13개 구역으로 나뉘었고, 행정 중심지는 티미쇼아라에 두었다. 바나트 구역에는 이드요쉬, 아라치, 베체이, 스릅스키 이테베이, 엘레미르, 에치카, 아라다츠 등의 정착지가 포함되었다. 이 구역의 초대 책임자는 티투스 베스파니우스 슬루츠키였다. 터키군과 터키인 가족들이 철수한 후, 이 지역은 토지를 경작하고 세금을 낼 노동력이 없어 황폐해졌다. 그래서 오스트리아 궁정은 바나트를 최대한 빨리 정착시키려 했다.

식민화는 1718년부터 1724년까지 지속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이 도시는 주로 독일인들에 의해 정착되었지만, 세르비아인들의 유입은 끊이지 않았다. 포티제의 군사 국경이 이동했다. 그 후 몇 년 동안 이탈리아인, 프랑스인, 루마니아인들이 도착했고, 이후에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이후 탄압을 피해 바르셀로나에서 온 카탈루냐인들이 현재 즈레냐닌의 교외인 '''돌자'''에 정착했다. 이 도시는 뉴 바르셀로나라고 불렸다. 그러나 많은 전염병이 창궐하는 이 늪지대에서의 삶은 어려웠고, 많은 사람들이 사망하거나 떠났다.

즈레냐닌 국립 박물관


1738년 여름에는 큰 역병이 돌았다. 메르시 백작은 늪지를 비옥한 토지로 바꾸고 싶어 베게이 강을 정비하기 시작했다. 강 하류와 중간 지점에 긴 운하를 건설하여 베츠케레크와 티미쇼아라 사이의 강 교통을 가능하게 했다. 1745년 11월 1일 세바스티안 크라자이센은 최초의 양조장에서 맥주를 만들기 시작했고, 이는 산업화의 시작을 의미했다. 같은 해에 최초의 세르비아 학교가 언급되었다.

1769년 6월 6일, 마리아 테레지아는 대 베츠케레크 공동체에 무역 중심지가 될 수 있는 특권을 부여했다. 이 특권에 의해 이전 베츠케레크의 모든 사회 경제적 삶이 규제되었고, 도시 지위를 얻었다. 1769년에 최초의 병원이 건설되었다. 1779년, 토론탈 군의 새로운 조직에 의해 베츠케레크는 그 중심지가 되었다. 이 도시는 오스트리아-터키 전쟁 (1787–91) 중 1787년부터 1788년까지 잠시 오스만 제국의 행정부에 반환되었다.

즈레냐닌 법원


18세기 동안 이 도시는 번창하는 경제 및 문화 중심지로 발전했지만, 1807년 대화재로 도시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다. 이 도시는 곧 재건되었다. 화재는 1807년 8월 30일 양조장에서 발생했다. 화재 후 새로운 거리 정비가 이루어졌고, 건물은 더 튼튼한 재료로 지어졌으며, 도로가 재건되었다. 강 교통이 특히 활발했다. 매력적으로 장식된 홀이 있는 극장 건물이 1839년에 건설되었다. 1846년에는 문법 학교가, 1847년에는 최초의 인쇄소가 문을 열었다.

1848–49년 혁명은 베츠케레크에 영향을 미쳤다. 세르비아인들은 오스트리아 제국 내에서 자치를 목표로 봉기했다. 5월 회의 (1848년 5월 13–15일)에서 오늘날 보이보디나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세르비아 보이보디나가 선포되었다. 베츠케레크의 세르비아인들은 헝가리 당국(세르비아인의 권리를 거부)에 대항하는 봉기에 참여했으며, 1849년 1월 26일부터 4월 29일까지 이 도시는 세르비아 반군 통제하에 있었다. 1849년, 이 도시는 1860년까지 세르비아 보이보디나와 테메슈바르 바나트의 일부가 되었다.

그 시대는 역사상 바흐의 절대주의 시기로 알려져 있지만, 19세기 후반은 이 도시에 새로운 개발 혜택을 가져왔다. 도시 곳곳에 새로운 산업 시설과 수공예 상점이 문을 열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는 벨리키 베츠케레크에게 진보적인 시대였다. 철도가 1883년에 도착했고, 우체국은 1737년에 이미 문을 열었다.

3. 5. 20세기 이후

부코바츠 궁전(1895)이 보이는 시내 중심가


1941년 4월 18일,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항복하고 나치 독일이 이 나라를 점령한 후, 독일군은 페트로브라드로 진입했다. 바나트의 권력은 현지 독일인인 볼크스도이체가 차지했으며, 그들은 즉시 유대인 재산을 몰수하고 애국자들을 체포하기 시작했다. 이 도시는 그레이트 베체레크로 개명되었고, 유라이 슈필러가 이끄는 바나트(1941–44) 점령 당국의 본부이자 차라 두사나 거리에 있는 강제 수용소가 되었다. 페트로브라드 회당은 위르겐 바그너의 명령에 따라 벽돌 하나하나가 철거되었다.

수용소는 거의 2년 동안 존재했으며 수천 명의 사람들이 이곳을 거쳐 갔다. 이 도시에는 공산당의 지원을 받는 많은 지하 단체들이 있었고, 이들은 독일 점령군에 맞서 싸웠으며, 독일군은 보복을 가했다. 1944년 10월 2일, 붉은 군대가 도시에 진입하여, 짧은 전투 후, 가장 중요한 공공 건물을 장악했다. 다음 날 페트로브라드 시의 민족 해방 위원회 첫 회의가 열렸다. 도시와 그 주변 지역 출신으로 민족 해방 저항에 참여한 8명의 회원들이 국민 영웅으로 발표되었다: 자르코 즈레냐닌, 스베토자르 마르코비치 토자, 파프 파블레, 스테비차 요바노비치, 세르보 미할, 네델코 바르니치 자르키, 보스코 브레발로프, 보라 미킨 마르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도시 기반 시설은 거의 보존되었다. 도시를 위한 마지막 전투를 제외하고는, 도시 영토에서 전쟁 행위는 없었다. 독일군은 일부 산업 건물을 훼손하고 파괴하려 했지만 저지되었다. 아나우-빙클러의 제분소와 도시 중심에 있는 기념비적인 유대교 회당만 파괴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 나라는 중요한 사회 정치적 변화를 겪었고, 이는 1946년에 새롭게 명명된 즈레냐닌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1945년 8월에 농업 개혁법이 시행되었고, 1950년 6월에는 노동자 자치 관리법이, 1959년에는 도시 발전을 나타내는 도시 계획이 통과되었다.

전쟁 후 첫 10년 동안의 개발은 사회주의 경제 원칙에 기초한 지침 계획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가장 중요한 산업 분야는 산업과 농업이었다. 1980년대까지 많은 사람들이 마을을 떠나 도시로 이주하면서 도시의 사회, 교육 및 민족 구조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주택 부족은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도시의 많은 새로운 지역과 많은 새로운 아파트 건물이 건설되었다. 즈레냐닌은 중요한 농업, 산업, 문화 및 스포츠 중심지가 되었으며, 당시 즈레냐닌은 티토가 이끈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가장 강력한 산업 중심지 중 하나였다.

1945년 초, 즈레냐닌은 신설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보이보디나 자치주에 포함되었다.[2] 그리고 1992년부터 2003년까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에 속했고, 이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이관되었다.[2] 2006년몬테네그로가 연방에서 이탈해 독립하자, 즈레냐닌은 독립한 세르비아의 일부가 되었다.[2]

4. 지리

즈레냐닌은 바나트 황토 고원의 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베게이강이 운하를 통해 과거 티서강의 물줄기로 흘러드는 곳에 자리 잡고 있다. 시의 영토는 주로 평지이다. 즈레냐닌시는 동경 20°23', 북위 45°23'에 위치하며, 바나트 지역의 세르비아 쪽에 있는 베게이강과 티서강 유역에 자리 잡고 있다. 해발 고도는 80m이다.

즈레냐닌은 베오그라드에서 약 70km, 노비사드에서 약 50km 떨어져 있으며, 유럽 연합(루마니아)과의 국경까지의 거리도 비슷하다. 따라서 북-남 및 동-서 방향으로 중요한 전환 중심지이자 잠재적인 자원으로서의 위치를 갖는다.

2004년, 도시의 수돗물은 비소의 높은 농도로 인해 식수로 부적합한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2022년 현재까지도 이 금지령은 유효하다.[2]

4. 1. 기후

즈레냐닌은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습윤 온대 기후 (Cfa)에 속한다.[3]

즈레냐닌 공원 궁전


세르비아 공화국 수문기상청에 따르면 1981~2010년 (극값 1961~2010년) 및 1991~2020년 (극값 1961~2020년) 관측 자료는 다음과 같다.[19][4][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3.86.712.518.523.426.929.029.524.018.111.24.717.4
평균 기온 (°C)0.72.47.012.617.521.222.922.717.512.27.01.812.1
평균 최저 기온 (°C)-2.3-1.32.26.811.515.116.416.312.17.53.6-1.07.2
역대 최고 기온 (°C)17.722.528.631.435.238.042.940.437.731.924.920.542.9
역대 최저 기온 (°C)-27.3-27.5-17.6-6.7-0.52.05.45.4-3.0-8.6-13.2-23.1-27.5
평균 강수량 (mm)36.633.735.140.961.384.359.450.954.949.743.646.7597.1
평균 상대 습도 (%)84.578.769.765.666.167.665.364.470.375.480.586.172.9
평균 강수일수 (≥ 0.1 mm)12.210.710.310.612.411.89.47.510.19.210.312.3126.8
평균 적설일수6.15.62.70.30.00.00.00.00.00.01.74.721.1
평균 일조 시간70.9104.0164.1206.5248.7276.3307.5292.9209.4165.098.161.22204.6



즈레냐닌의 연평균 기온은 12.1°C이다. 평균적으로 가장 더운 달은 7월로 평균 기온은 22.9°C이며,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평균 기온은 0.7°C이다. 역대 최고 기온은 7월에 기록된 42.9°C이며, 역대 최저 기온은 2월에 기록된 -27.5°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597.1mm이다. 평균적으로 강수량이 가장 많은 달은 6월(84.3mm)이며, 가장 적은 달은 2월(33.7mm)이다. 평균 강수일수는 126.8일이며, 강수일수가 가장 많은 달은 5월(12.4일), 가장 적은 달은 8월(7.5일)이다.

5. 인구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즈레냐닌 시의 총 인구는 67,129명이었으며, 행정 구역 전체 인구는 105,722명이었다.[18]

즈레냐닌의 인구 통계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인구
194838,564
195344,168
196155,539
197171,424
198181,270
199181,316
200279,773
201176,511
202267,129


5. 1. 민족 구성

민족 집단인구%
세르비아인91,57974.24%
헝가리인12,35010.01%
로마3,4102.76%
루마니아인2,1611.75%
슬로바키아인2,0621.67%
유고슬라비아인5920.48%
크로아티아인5270.43%
마케도니아인4120.33%
몬테네그로인2800.23%
불가리아인1840.15%
독일인1390.11%
알바니아인1100.09%
기타9,5567.75%
총계123,362



세르비아인이 다수인 정착지는 즈레냐닌, 바나츠키 데스포토바츠, 보토시, 엘레미르, 에치카, 클레크, 크니차닌, 라자레보, 루키체보, 멜렌치, 오를로바트, 페를레즈, 스타이체보, 타라시, 토마세바츠, 파르카즈딘, 첸타이다. 헝가리인이 다수인 정착지는 루키노 셀로, 미하일로보이다. 루마니아인이 다수인 정착지는 얀코브 모스트이다. 민족 혼합 정착지는 아라다츠(세르비아인 상대 다수)와 벨로 블라토(슬로바키아인 상대 다수)이다.[7]

5. 2. 종교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즈레냐닌 시민 대부분은 동방 정교회 신자(77.28%)였다.[1] 로마 가톨릭(12.01%), 개신교(2.13%) 등 다른 종교도 존재한다.[1] 즈레냐닌의 정교회 신자들은 세르비아 정교회 바나트 교구에 속하며, 본부는 브르샤츠에 있다.[1] 즈레냐닌은 세르비아 바나트 지역 즈레냐닌 로마 가톨릭 교구의 중심지이기도 하다.[1]

세르비아 정교회 우스펜스카 교회


즈레냐닌 가톨릭 대성당

6. 경제

즈레냐닌 시는 옛 유고슬라비아에서 네 번째로 큰 산업 중심지였다. 즈레냐닌의 경제는 가공 산업, 농업, 임업, 건설 산업, 운송이 발달하여 다양하다.

2017년 9월 현재, 즈레냐닌은 세르비아에 설립된 14개의 자유 경제 구역 중 하나를 가지고 있다.[8]

다음 표는 2018년 기준으로 법인에 고용된 등록 인원의 총수를 주요 활동별로 보여준다:[9]

활동총계
농업, 임업 및 어업736
광업 및 채석687
제조업12,688
전기, 가스, 증기 및 냉난방 공급480
수도 공급; 하수도, 폐기물 관리 및 복구 활동651
건설1,096
도매 및 소매 무역, 자동차 및 오토바이 수리4,907
운송 및 보관1,918
숙박 및 음식 서비스859
정보 및 통신464
금융 및 보험 활동477
부동산 활동103
전문, 과학 및 기술 활동1,195
행정 및 지원 서비스 활동1,095
공공 행정 및 국방; 의무 사회 보장1,781
교육2,265
인간 건강 및 사회 사업 활동2,772
예술, 엔터테인먼트 및 레크리에이션456
기타 서비스 활동555
개별 농업 종사자1,071
총계36,526


7. 교통

즈레냐닌은 최근 역사상 처음으로 대중 교통 사업자가 없어졌다. 이는 https://web.archive.org/web/20090826002152/http://www.autobanat.co.rs/ 오토바나트(Autobanat)의 민영화와 그에 따른 파산으로 인한 것이다. 오토바나트는 도시의 대중 교통 회사이자 노비사드, 베오그라드, 키킨다, 브르샤츠 등 인근 도시로 가는 지역 대중 교통 서비스였다.[1]

과거에는 베제이 강을 이용한 강 교통이 화물 운송의 가장 발달된 형태였다. 1883년, 벨리키 베치케레크는 벨리카 키킨다와 도시를 연결하는 철도를 얻었다.[1] 즈레냐닌에는 많은 택시 회사가 있다.[1]

이 도시는 즈레냐닌 공항의 서비스를 받지만, 2023년 현재 활주로가 없고 상업 항공 운송 시설도 없다.[1]

8. 문화

즈레냐닌(페트로브그라드)은 수사나 포르테스의 소설 "로버트 카파를 기다리며"에서 언급된다. 소설 속에서 박해를 피해 도망치는 유대인 주인공의 형제들은 반유대주의 전통이 없었던 루마니아 국경의 세르비아 마을 페트로브그라드(즈레냐닌)에 정착한다.[10]

즈레냐닌 건축물


즈레냐닌에는 시청, 대성당, 자유 광장, 알렉산다르 1세 거리 등 많은 명소가 있다. 관광 안내소는 국립 박물관(Subotićeva 1) 건물에 있다.[11]

8. 1. 주요 건축물

중앙 광장과 즈레냐닌 로마 가톨릭 대성당

  • 시청: 1816년에 건설되었고, 1887년에 줄라 파르토스와 외되네 레흐너에 의해 네오 바로크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 재무 궁전: 현재는 국립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1894년에 이슈트반 키시가 네오 르네상스 양식으로 건설하였다.
  • 즈레냐닌 극장: 1839년에 고전주의 양식으로 건설되었으며, 세르비아에서 가장 오래된 극장 건물이다.
  • 즈레냐닌 법원: 1906년에서 1908년 사이에 낭만주의 양식으로 건설되었으며, 샨도르 아이그너와 마르쿠스 레머가 건설하였다.
  • 우스펜스카 세르비아 정교회: 1746년에 바로크 양식으로 건설되었으며,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이다.
  • 바베덴스카 교회: 1777년에 바로크 양식으로 건설되었다.
  • 슬로바키아 복음주의 교회: 1837년에 고전주의 양식으로 건설되었다.
  • 즈레냐닌 대성당: 1864년에서 1868년 사이에 프란츠 자버 브란데이스가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건설하였다.
  • 즈레냐닌 개신교 교회: 1891년에 페렌츠 자보레츠키가 네오 고딕 양식으로 건설하였다.
  • 즈레냐닌 유대교 회당: 1896년에 리포트 바움혼이 무어 부흥 양식으로 건설하였으나, 1941년 나치에 의해 철거되었다.
  • 부코바츠 궁전: 1895년에 네오 르네상스 양식으로 건설되었다.
  • 구 보이보디나 호텔: 1886년에 페렌츠 펠즐이 네오 르네상스 양식으로 건설하였다.
  • 즈레냐닌 문법 학교 건물: 1846년에 건설되었고, 1937년 이후 재건축되었다.
  • 소교: 1904년에 건설되었으며,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다리이다.
  • 상업 아카데미: 1892년에 이슈트반 키시가 네오 르네상스 양식으로 건설하였다.
  • 벤체 하우스: 1909년에 분리주의 양식으로 건설되었다.
  • 드라이 브리지: 1962년에 건설되었으며, 1985년 이후 강이 없어졌다.
  • 에펠교: 1904년에 건설되었으나, 1969년에 새로운 다리로 교체되었다.

9. 스포츠

크리스탈 홀은 2013년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가 열린 실내 농구 및 핸드볼 경기장이다.


즈레냐닌은 오랜 스포츠 전통을 가지고 있다.[12] 최초의 클럽은 1880년대에 설립되었다. 1947년부터 2005년까지 프로레테르 축구 클럽의 연고지였으며, 2021년 현재 FK 라드니키 즈레냐닌은 세르비아 리그 보이보디나 디비전(세르비아 3부 축구 리그)에 소속되어 있다. 즈레냐닌은 2021년 유럽 스포츠 도시로 지정되었다.[13]

10. 자매 도시

즈레냐닌은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국가도시
헝가리베케슈처버
루마니아아라드
루마니아티미쇼아라


참조

[1] 간행물 Serbian census 2022 Book 2
[2] 웹사이트 Zrenjaninci 18 godina bez vode za piće https://www.politika[...] 2023-10-13
[3] 웹사이트 Climate Summary http://www.weatherba[...]
[4] 웹사이트 Monthly and annual means,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meteorological elements for the period 1991–2020 https://www.hidmet.g[...] Republic Hydrometeorological Service of Serbia 2022-04-15
[5] 웹사이트 Monthly and annual means,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meteorological elements for the period 1981–2010 https://www.hidmet.g[...] Republic Hydrometeorological Service of Serbia 2017-02-25
[6] 웹사이트 Comparative overview of the number of population in 1948, 1953, 1961, 1971, 1981, 1991, 2002, 2011. and 2022 https://popis2022.st[...]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7] 웹사이트 Попис становништва, домаћинстава и станова 2011. у Републици Србији http://pod2.stat.gov[...] Republički zavod za statistiku 2019-04-10
[8] 뉴스 Slobodne zone mamac za investitore http://www.politika.[...] politika.rs 2017-09-03
[9] 웹사이트 MUNICIPALITIES AND REGIONS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9. https://publikacij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9-12-28
[10] 서적 Čekajući Roberta Capu Fraktura 2012
[11] 웹사이트 Tourism Information Office http://www.zrenjanin[...]
[12] 웹사이트 BOGATSTVO I TRADICIJA SPORTA: Predsednik Olimpijskog komiteta Božidar Maljković u Zrenjaninu https://www.novosti.[...]
[13] 웹사이트 European Cities of Sport http://aceseurope.eu[...] 2017-09-01
[14] 웹사이트 Joe Penner biography (in Hungarian) http://www.szineszko[...] 2008-01-17
[15] 서적 Marianna Schmidt: Untitled (Three Figures) http://www.surrey.ca[...] Surrey Art Gallery, Surrey, B.C. 2015-03-07
[16] 웹사이트 ZRENJANIN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de 2022-12-06
[17] 웹사이트 ZRENJANIN Settlements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de 2022-12-06
[18] 웹인용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7-03-19
[19] 웹인용 Monthly and annual means,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meteorological elements for the period 1981–2010 http://www.hidmet.go[...] Republic Hydrometeorological Service of Serbia 2017-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