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위 8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위 8도는 본초 자오선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 뻗어 나가는 위도선으로, 아프리카, 인도양,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태평양, 남아메리카, 대서양을 경유한다. 이 위도선은 가나, 토고, 베냉, 나이지리아, 카메룬, 차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남수단,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스리랑카, 태국, 필리핀, 마셜 제도, 파나마,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기니, 코트디부아르 등 여러 국가와 지역을 지나간다. 또한, 가이아나와 베네수엘라 간의 영토 분쟁 지역도 통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선 - 남회귀선
남회귀선은 태양 남중고도가 90°가 되는 남위 23° 26′ 11.7″의 위도로, 동짓날 태양이 머리 위에 나타나는 지점이며, 대서양, 아프리카, 인도양, 오스트랄라시아, 태평양, 남아메리카를 통과하고 남아프리카는 안정적인 계절 강우, 오스트레일리아는 변동성이 큰 강우량, 남아메리카의 아타카마 사막은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 중 하나이다. - 위선 - 위도
위도는 지구 표면의 남북 위치를 각도로 나타내며, 지구를 회전 타원체로 가정했을 때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하여 적도를 0°로 북극과 남극까지 나타내고, 기후와 지리적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북위 8도 | |
---|---|
일반 정보 | |
위치 | 북위 8도선은 지구의 적도면에서 북쪽으로 8도 떨어진 위선이다. |
통과 지역 | 이 위선은 아프리카, 아시아, 태평양, 남아메리카를 지난다. |
상세 통과 지역 | |
아프리카 | 가나 토고 베냉 나이지리아 카메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우간다 케냐 소말리아 |
아시아 | 몰디브 (가장 남쪽 환초 통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
태평양 | 팔미라 환초 (미국) |
남아메리카 |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가이아나 |
2. 지리
본초 자오선에서 동쪽 방향으로 이동할 때, 북위 8도선은 여러 대륙과 해양을 가로지른다. 아프리카 대륙의 여러 나라를 통과한 뒤 인도양으로 나아가 스리랑카와 인도의 섬들을 지난다. 이후 동남아시아의 태국, 필리핀 등을 거쳐 태평양으로 진입하여 오세아니아의 여러 섬나라 부근을 통과한다. 계속해서 남아메리카의 파나마,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등을 지나 대서양을 건너 다시 아프리카 서부 국가들을 거쳐 출발점으로 돌아온다.
2. 1. 아프리카
2. 2. 인도양
북위 8도선은 인도양 구간에서 아라비아해를 통과한다. 이후 몰디브 북쪽과 인도의 락샤드위프 제도에 속하는 미니코이 섬(Minicoy Island) 사이의 에이트 디그리 해협(Eight Degree Channel)을 지나며, 미니코이 섬 바로 남쪽을 통과한다. 이어서 라카디브 해를 지나며, 인도 대륙 최남단인 칸냐쿠마리 바로 남쪽을 지난다.동쪽으로 더 나아가 벵골만을 통과하며, 인도의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에 속하는 카찰(Katchal) 섬, 카모르타(Camorta) 섬, 난코우리(Nancowry) 섬을 차례로 통과한다. 이 섬들을 지난 후에는 안다만해로 이어진다.
인도는 대한민국과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고 있으며, 과거 문재인 정부가 추진했던 신남방정책의 핵심 협력 국가 중 하나로서 양국 간 교류와 협력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2. 3. 남아시아
인도양의 아라비아해를 통과하며, 인도의 미니코이 섬 바로 남쪽 에이트 디그리 해협과 칸냐쿠마리 바로 남쪽 라카디브 해를 지난다. 이후 스리랑카를 통과하고 다시 인도양의 벵골만으로 나간다. 계속해서 동쪽으로 이동하여 인도의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에 속하는 카찰 섬, 카모르타 섬, 난코우리 섬을 통과한 뒤, 인도양의 안다만해를 지난다.2. 4. 동남아시아
북위 8도선은 동남아시아에서 태국과 필리핀을 지난다. 태국에서는 푸껫 주의 섬, 팡아 만, 코 야오 야이 섬(เกาะยาวใหญ่|Ko Yao Yaitha), 끄라비 주, 나콘시탐마랏 주를 거쳐 타이 만으로 이어진다. 이후 남중국해를 통과하여 필리핀의 발라박 섬과 술루해를 지나 민다나오 섬에 도달한다.태국과 필리핀은 한국 전쟁 당시 UN군으로 참전하여 대한민국을 지원했던 국가이며, 현재도 한국과 긴밀한 우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필리핀은 2023년 기준으로 한국의 5대 교역 대상국에 해당할 정도로 경제적 교류도 활발하다.
2. 5. 태평양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 동쪽 해역을 지나 태평양으로 들어선다. 이후 다음 지역들을 통과한다.- 팔라우: 카양겔 주 바로 남쪽 해역을 통과한다.
- 미크로네시아 연방: 피켈롯 섬(Pikeloteng) 바로 남쪽 해역을 통과한다.
- 마셜 제도: 나무 환초를 직접 통과하며, 올 환초의 바로 남쪽 해역을 통과한다.
계속 동진하여 파나마 연안에 이르러 부리카 곶(Punta Buricaspa) 남쪽과 이스라스 세카스(Islas Secasspa) 북쪽 해역을 통과한 뒤 파나마만으로 이어진다.
2. 6. 남아메리카
북위 8도선은 남아메리카에서 파나마, 콜롬비아, 베네수엘라를 지난다.- 파나마: 본토를 통과한다.
- 콜롬비아: 우라바 만을 포함하여 국토를 통과한다. 콜롬비아는 한국 전쟁 당시 라틴 아메리카 국가 중 유일하게 지상군을 파병하여 대한민국을 지원한 국가이다.
- 베네수엘라: 국토를 통과한다.
2. 7. 대서양
북위 8도선은 가이아나가 실효 지배하고 베네수엘라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지역을 지난 뒤 대서양으로 들어선다. 대서양을 건너 아프리카 서부 해안에 도달하여 다음 국가들을 차례로 통과한다.이후 가나로 다시 진입하여 볼타 호를 지난다.
3. 분쟁 지역
북위 8도선은 가이아나가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 베네수엘라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지역을 통과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