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캅카스 반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캅카스 반란은 1999년 말 러시아의 체첸 진입 이후 발생한 무장 반란 및 분쟁을 통칭한다. 체첸 분리주의 세력과 러시아 정부 간의 충돌로 시작되어, 캅카스 에미르국 결성 및 이슬람 국가(IS) 연계 시도로 확대되었다. 199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체첸, 다게스탄, 잉구셰티야, 카바르디노-발카리야, 북오세티야-알라니야 등 북캅카스 지역에서 폭력 사태가 지속되었으며, 2009년부터 2017년까지 4,127명이 사망하고 3,487명이 부상당했다. 주요 사건으로는 2004년 나즈란 습격, 2009년 나즈란 폭탄 테러, 2010년 모스크바 지하철 폭탄 테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구시 공화국의 역사 - 캅카스 전쟁
캅카스 전쟁은 캅카스 지역에서 발생한 일련의 전쟁과 분쟁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며,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인해 다양한 세력 간의 무력 충돌, 민족, 종교, 문화 간의 갈등, 강대국의 개입, 영토 분쟁 등 복잡한 원인과 결과를 보인다. - 인구시 공화국의 역사 - 체첸-인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체첸-인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36년부터 1993년까지 소련에 존재했던 자치 공화국으로, 복잡한 역사를 거쳐 체첸과 잉구시 공화국으로 분할되었으며, 체첸인, 잉구시인, 러시아인이 주요 민족을 구성했다. - 다게스탄 공화국의 역사 - 이맘 샤밀
이맘 샤밀은 1797년 다게스탄에서 태어나 러시아 제국의 캅카스 지역 확장에 저항했으며, 게릴라 전술과 샤리아 율법에 기반한 통치 체제를 구축하고 1859년 항복 후 유배 생활을 하다가 메카 순례 중 1871년 사망했다. - 다게스탄 공화국의 역사 - 카자르 제국
카자르 제국은 1794년부터 1925년까지 이란을 통치한 튀르크계 카자르족의 왕조로, 아가 모하마드 칸에 의해 재통일되었으나 러시아와의 전쟁 패배와 서구 열강의 간섭으로 쇠퇴하여 팔라비 왕조에게 정권을 이양했다. - 북캅카스의 역사 - 북캅카스 산악공화국
북캅카스 산악 공화국은 러시아 혁명 후 북캅카스 여러 민족이 연합하여 수립, 7개 주로 구성되어 독립을 선포했으나 러시아 백군과 적군의 침공으로 소비에트 자치 공화국으로 편입되었으며, 현재도 북캅카스 분리주의 운동에서 상징성을 가진다. - 북캅카스의 역사 - 캅카스 전쟁
캅카스 전쟁은 캅카스 지역에서 발생한 일련의 전쟁과 분쟁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며,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인해 다양한 세력 간의 무력 충돌, 민족, 종교, 문화 간의 갈등, 강대국의 개입, 영토 분쟁 등 복잡한 원인과 결과를 보인다.
북캅카스 반란 - [전쟁]에 관한 문서 | |
---|---|
분쟁 개요 | |
![]() | |
![]() | |
기간 | 2009년 4월 16일 – 2017년 12월 19일 |
장소 | 러시아 북캅카스 연방관구 체첸 다게스탄 인구셰티야 카바르디노발카르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북오세티야-알라니야 기타 지역으로 확산 |
원인 | 체첸-러시아 분쟁, 탈냉전 분쟁, ISIL과의 전쟁(2014년부터)의 일부 |
결과 | 러시아/체첸의 승리 캅카스 에미레이트 파괴 북캅카스 상황 안정화 북캅카스 이슬람 국가 반란으로 진화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러시아 아스트라한 주 바시키르 공화국 체첸 다게스탄 인구셰티야 카바르디노발카르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모스크바 북오세티야-알라니야 노브고로드 주 상트페테르부르크 스타브로폴 지방 볼고그라드 주 카디로프치 기타 충성파 |
교전국 2 | 캅카스 에미레이트(2009-17) 다게스탄 주 갈가이초 주 이리스톤 주(2009) KBK 연합주(2009-17) 노크치초 주 리야두스 살리힌 여단(2009-16) 아랍 무자히딘(2009-12) 터키 무자히딘(2009-17) 이맘 샤밀 대대(2017) 이슬람 국가 윌라야트 알-카우카즈 |
지휘관 | |
러시아 | 블라디미르 푸틴 (2012–17) 드미트리 메드베데프(2009–12) 세르게이 쇼이구(2012–17) 아나톨리 세르듀코프(2009–12) 발레리 게라시모프(2012–17) 니콜라이 마카로프(2009–12) 올레크 살류코프(2014–17) 블라디미르 치르킨(2012–14) 알렉산드르 포스트니코프(2010–12) 블라디미르 볼디레프(2009–10) 람잔 카디로프(2009–17) 블라디미르 바실리예프(2017) 라마잔 압둘라티포프(2013–17) 마고메드살람 마고메도프(2010–13) 무후 알리예프(2009–10) 유누스-벡 예프쿠로프(2009–17) 유리 코코프(2013–17) 아르센 카노코프(2009–13) 라시드 템레조프(2011–17) 보리스 옙제예프(2009–11) 비야체슬라프 비타로프(2016–17) 타메를란 아구자로프(2015–16) 타이무라즈 맘수포프(2009–15) |
반군 | 도카 우마로프(사망) 아슬람베크 바달로프 알랴스카브 케베코프(사망) 마고메트 술레이마노프(사망) 잘림 셰브주코프(사망) 체첸: 후세인 가카예프(사망) 타르한 가지예프(포로) 무한나드(사망) 수피얀 압둘라예프(사망) 압둘라 쿠르드(사망) 다게스탄: 우말라트 마고메도프(사망) 마고메트 바가보프(사망) 이스라필 벨리야노프(사망) 이브라김할릴 다우도프(사망) 사이드 하라칸스키(사망) 인구셰티야: 알리 타지예프(포로) 사이드 부랴츠키(사망) 자말레일 무탈리예프(사망) 아르투르 게타가제프(사망) 카바르디노발카르: 안조르 아스테미로프(사망) 아스케르 자푸예프(사망) 알림 잔키시예프(사망) 루스탐 아실다로프(사망) (IS 북캅카스 지역 에미르) 아슬란 뷰투카예프(사망) (리야두스 살리힌 여단 사령관) |
병력 규모 | |
러시아 | 미공개 체첸: 10개 그룹 다게스탄: 16개 그룹 인구셰티야: 3개 그룹 카바르디노발카르: 5개 그룹 북오세티야-알라니야: 없음 |
반군 | 약 600명 (2013년 1월 정부 주장) |
피해 규모 | |
러시아 | 사망: 1,139–1,170명 부상: 2,313–2,677명 |
반군 | 사망: 2,329명 포로: 2,744명 |
민간인 | 사망: 632명 (2010–2017) |
2. 역사적 배경
1999년 말, 러시아 총리 블라디미르 푸틴은 군대, 경찰, 보안군에 체첸 분리주의 지역 진입을 명령했다. 2000년 초까지 이들은 지역 대부분을 점령했다. 수년간 고강도 전투가 계속되어 수천 명의 러시아군과 체첸인 사상자, 수십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다.[21] 2005년, 체첸 반군 지도자 압둘-할림 사두라예프는 북캅카스 이슬람 신자들 사이에서 러시아에 맞선 캅카스 전선을 결성, 체첸 분쟁을 확대하려 했다. 그의 후계자 도카 우마로프는 북캅카스를 넘어 이슬람 근본주의 국가인 캅카스 에미르국 수립을 위한 지하드를 선포했다. 러시아는 친모스크바 지역 정부 수립과 지역 보안 임무 이양을 통해 체첸 평정 정책을 추진했다.
러시아의 체첸에서의 명백한 성공에는 친모스크바 체첸 부족, 특히 람잔 카디로프 대통령과 관련된 부족에 대한 의존이 중요했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 북캅카스 테러 공격은 크게 증가했다. 2009년 여름, 4개월 만에 442명 이상이 북캅카스 폭력으로 사망했는데, 이는 2008년 전체 사망자 수 150명과 비교된다.[21] 러시아 정부 공식 수치에 따르면, 2009년 한 해 동안 235명의 내무부 직원(국방부 및 FSB 손실 제외)이 사망하고 686명이 부상을 입었다.[22] 541명 이상의 추정 반군과 그 지지자들이 사망하고 600명 이상이 구금되었다.[23] 2010년 테러 사건 증가율은 2008년~2009년에 비해 감소했지만, 2010년 북캅카스 전역에서 민간인 사상자 수는 크게 증가했고 체첸 외 지역에서도 테러 사건이 증가했다.[24]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북캅카스 반란의 사상자 수는 매년 감소하여 전체 사망자 수가 절반 이상 감소했다.[25] 감소 원인으로는 고위 반군 지휘관 사망, 반군 지원 기반 시설에 대한 보안군 공격 증가, 다른 분쟁 지역으로의 반군 탈출 등이 제시되었다.[25] ''로이터''의 특별 조사에 따르면,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러시아 보안 당국은 국내 공격 위험을 줄이기 위해 러시아 밀리턴트들이 시리아 내전에 참전하도록 허용하고 장려했다.[26]
2. 1. 체첸 전쟁
제1차 체첸 전쟁은 민족주의적 분쟁이었고, 이슬람주의자들과 소수 민족 모두 러시아로부터 독립을 주장하며 과격해졌다. 1994년부터 1996년까지 이어진 1차 전쟁에서 러시아 연방군은 전술적으로 패배했다. 1차 그로즈니 전투에서 러시아군이 간신히 승리함으로써 러시아의 체첸 점령이 확실해지는 듯 했으나 2차 전투와 3차 전투에서 체첸군이 러시아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둠으로써 1차 전쟁의 패배는 확실해졌다.[54]1차 전쟁 이후 러시아군은 그로즈니 전투의 패배를 거울 삼아 탄도 미사일과 소이탄과 같은 공습 또는 포격에 의존한 채 제2차 체첸 전쟁을 치뤘고 1999년에 벌어진 그로즈니 전투에서 체첸군의 저항은 무력화되었다. 2000년 2월 체첸 군 2,000명이 도주를 시도했으나 이는 실패로 끝났다. 2000년 2월 포위된 그로즈니에서 체첸군은 항복했고, 러시아 연방은 이치케리야 체첸 공화국을 대신해 친러 자치 공화국인 체첸 공화국을 2009년 4월 수립했다.
그러나 이 전쟁 이후 체첸 공화국에서는 폭력이 끊임없이 발생했다. 체첸에서의 작전이 끝난 2009년 4월부터 2010년 4월까지 97명의 러시아 요원들이 체첸에서 사망했다. 같은 시기에 정부군은 체첸 반군의 협력자나 무장 단체 요원으로 추정되는 189명을 사살했다.[54] 사상자 수는 감소하여 2014년에는 보안군 26명과 의심되는 반군 24명이 사망했다.[55]
2. 1. 1. 제1차 체첸 전쟁 (1994-1996)
제1차 체첸 전쟁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summary`는 일반적인 설명을 담고 있지만, `source`가 비어 있어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source`에 제1차 체첸 전쟁 (1994-1996)에 대한 내용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로 작성해 드리겠습니다.2. 1. 2. 제2차 체첸 전쟁 (1999-2009)
제1차 체첸 전쟁 이후 러시아군은 그로즈니 전투의 패배를 거울 삼아 탄도 미사일과 소이탄과 같은 공습 또는 포격에 의존한 채 제2차 체첸 전쟁을 치뤘고 1999년에 벌어진 그로즈니 전투에서 체첸군의 저항은 무력화되었다. 2000년 2월 체첸 군 2,000명이 도주를 시도했으나 이는 실패로 끝났다. 2000년 2월 포위된 그로즈니에서 체첸군은 항복했고, 러시아 연방은 이치케리야 체첸 공화국을 대신해 친러 자치 공화국인 체첸 공화국을 2009년 4월 수립했다.그러나 이 전쟁 이후 체첸 공화국에서는 폭력이 끊임없이 발생했다. 체첸에서의 작전이 끝난 2009년 4월부터 2010년 4월까지 97명의 러시아 요원들이 체첸에서 사망했다. 같은 시기에 정부군은 체첸 반군의 협력자나 무장 단체 요원으로 추정되는 189명을 사살했다.[54] Reported casualties declined, with 26 security forces and 24 suspected militants being killed in 2014.[55]
2. 2. 캅카스 에미레이트
2. 3. 이슬람 국가 (IS) 연계
3. 지역별 분쟁
3. 1. 체첸
제1차 체첸 전쟁은 민족주의적 분쟁이었고, 이슬람주의자들과 소수 민족 모두 러시아로부터 독립을 주장하며 과격해졌다. 1994년부터 1996년까지 이어진 1차 전쟁에서 러시아 연방군은 전술적으로 패배했다. 1차 그로즈니 전투에서 러시아군이 간신히 승리함으로써 러시아의 체첸 점령이 확실해지는 듯 했으나 2차 전투와 3차 전투에서 체첸군이 러시아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둠으로써 1차 전쟁의 패배는 확실해졌다.[54]1차 전쟁 이후 러시아군은 그로즈니 전투의 패배를 거울 삼아 탄도 미사일과 소이탄과 같은 공습 또는 포격에 의존한 채 2차 전쟁을 치뤘고 1999년에 벌어진 그로즈니 전투에서 체첸군의 저항은 무력화되었다. 2000년 2월 체첸 군 2,000명이 도주를 시도했으나 이는 실패로 끝났다. 2000년 2월 포위된 그로즈니에서 체첸군은 항복했고, 러시아 연방은 이치레키야 체첸 공화국을 대신해 친러 자치 공화국인 체첸 공화국을 2009년 4월 수립했다.
그러나 이 전쟁 이후 체첸 공화국에서는 폭력이 끊임없이 발생했다. 체첸에서의 작전이 끝난 2009년 4월부터 2010년 4월까지 97명의 러시아 요원들이 체첸에서 사망했다. 같은 시기에 정부군은 체첸 반군의 협력자나 무장 단체 요원으로 추정되는 189명을 사살했다.[54] Reported casualties declined, with 26 security forces and 24 suspected militants being killed in 2014.[55]
2007년 10월 31일 캅카스 에미레이트는 노크치초 주를 설립해 체첸 공화국이 자신의 땅임을 주장했으나 2013년 캅카스 에미레이트의 수장 도카 우마로프가 사망한 이후 뷰투카예프가 새로운 수장으로 선출되었다.[56] 2014년 5월 15일 뷰투카예프와 그의 휘하 사령관들은 새로운 캅카스 에미레이트 수장인 알라스카브 케베코프에게 반란을 암시하는 비디오를 보냈다.[56] 2014년 말, 많은 체첸의 중급 사령관들은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에게 충성을 바쳤다.[62] 2015년 6월 뷰투카예프 또한 알바그다디에게 복종할 뜻을 나타냈다.[57]
3. 2. 다게스탄
다게스탄은 북캅카스 공화국들 중 가장 복잡하고 종교적이며 인구가 많은 공화국이다.[58] 다게스탄은 체첸의 2배나 되는 영토를 보유하고 있으며, 수많은 민족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58] 다게스탄 분쟁은 수피즘과 일반적인 이슬람교 사이의 분쟁은 아니다.[58] 다게스탄은 북 캅카스 공화국 중 가장 높은 단계의 폭력과 극단주의 단체를 가지고 있는 지역이다.[59][60] 국내부 장관은 2013년 399차례의 테러 시도가 북캅카스에서 발생했고, 이 중 242건이 다게스탄에서 일어난 테러라고 말했다.[61]다게스탄의 갈등은 민족 집단 간의 갈등이 아니라, 지역 관습을 포함하고 국가를 인정하는 이슬람의 혼합적인 형태인 수피즘과 세속 통치를 거부하고 이슬람의 살라피즘 해석이 삶의 모든 영역을 지배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보다 전통적인 형태인 살라피즘 사이의 갈등이다.[29]
2014년 12월 다게스탄 주의 사령관인 루스탐 아실다로프와 수많은 예하 지휘관들이 캅카스 에미레이트 지도자 알라스카브 케베코프에게 협박하는 비디오를 보냈고, 노흐치초 주와 마찬가지로 IS에 복종하겠다고 선언했다. 케베코프는 사이드 카라칸스키를 다게스탄 주의 새로운 수장으로 임명했다.[62] 카라칸스키의 승계자였던 마고메트 술레이마노프는 2015년 8월 러시아군과 전투를 벌이던 중 사망했다.[63]
2017년까지 다게스탄에서 활동하는 모든 파괴 및 테러 집단은 제거되었다.[30]
3. 3. 인구셰티야
1990년대와 2000년대 초의 이웃 체첸 전쟁에서 비롯된 이슬람 반군이 잉구셰티야 공화국에서 활동했다.[31] 2004년 6월, 잉구시와 체첸 전투원들은 잉구셰티야 최대 도시 나즈란에 대한 대규모 공격을 감행하여 수많은 민간인, 경찰, 군인들을 살해했다.[31]국가 안보군의 잔혹 행위는 젊은이들을 이슬람 반군에 가담하도록 내모는 주요 요인이었다.[31] 전 KGB 장교인 무라트 자지코프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가면을 쓴 특수 요원들은 의심되는 반군과 그들의 가족들을 납치, 고문, 살해했다.[31] 2008년에 임명된 자지코프의 후임 유누스-벡 예브쿠로프는 취임 첫해에 반군의 자살 폭탄 테러로 중상을 입었지만, 폭력을 누그러뜨리는 데 성공했다.[31] 러시아 특수부대의 인권 침해는 감소했지만, 여전히 만연했다.[31]
2010년 6월, 잉구시 출신으로 캅카스 에미르국의 주요 지도자 중 한 명인 알리 타지예프의 체포는 잉구셰티야의 지하디스트들에게 타격을 입혔고, 이후 5년 동안 공격 건수가 상당히 감소했다.[25] 2015년 중반, 잉구셰티야 대통령 유누스-벡 예브쿠로프는 공화국의 반란이 '진압되었다'고 말했다.[32]
3. 4. 카바르디노-발카리야
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은 2010년 말부터 2011년 초 사이에 폭력 사태가 재발하였다.[33] 카르다 발카리아 카라체프 연합주의 수장이었던 안조르 아스테미로프가 사망한 이후, 후임 지도자들인 아스케르 자푸예프와 라트미르 샤메예프는 더욱 공격적인 접근 방식을 택하여 러시아 관광객을 포함한 민간인들을 살해하였다. 이에 맞서 "블랙 호크"라 불리는 단체가 이슬람주의자들의 친척 및 관련자들을 위협했다.[33] 2011년 4월, 두 지도자는 모두 사망했다.[34]이후 러시아 연방군의 공격으로 반군 지도자들이 연이어 사망하면서 반군의 공격은 급격히 감소하였다.[69] 2011년 9월에는 알림 잔키셰프가, 2012년 3월에는 그의 후임자가 러시아 보안군에 의해 사살되었다.[70][71] 2012년 9월 날치크 보안 작전에서 또 다른 주요 지휘관들이 사살되었다.[69][72][73] 루슬란 바리베코프, 카산비 파코프, 텐기츠 구테크로프 역시 2012년 9월부터 2014년 3월 사이에 차례로 사망했다.[69][74]
캅카스 에미레이트의 연합주는 2015년 8월 분열을 겪었고, 로버트 잔킨셰프 등은 이슬람 국가의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에게 충성을 맹세했다.[75] 캅카스 에미레이트에 잔류한 사령관들은 자림 셰브주코프가 이끌었으나, 두 사령관 모두 2015년 11월과 2016년 8월에 각각 러시아 보안군에 의해 사망했다.[75]
3. 5. 북오세티야-알라니야
2010년 9월 9일, 북오세티야의 수도 블라디캅카스의 붐비는 시장에서 차량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성인과 어린이 19명이 사망하고 19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35]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테러 공격을 자행한 이 괴물들을 반드시 잡기 위해 모든 것을 할 것"이며, "야만적인 테러 공격"에 대한 처벌과 저항 시 제거를 언급했다.[35]갈가이체주(Vilayat Galgayche)는 "점령된 인구시 땅"에 있는 "오세티아 불신자들"을 겨냥한 공격이었다고 주장했다.[35]
4. 주요 사건
2009년 8월, 2009년 나즈란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20명 이상이 사망하고 138명 이상이 부상당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2009년 네프스키 익스프레스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27명이 사망하고 150명 이상이 부상했다.
2010년 3월, 2010년 모스크바 지하철 폭탄 테러로 40명이 사망하고 100명 이상이 부상당했다. 같은 달 2010년 키즐랴르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최소 12명이 사망했다. 7월에는 2010년 빡산 수력발전소 습격이 발생했다. 5월에는 2010년 스타브로폴 폭탄 테러로 최소 8명이 사망했다. 8월에는 2010년 첸토로이 공격이, 9월에는 2010년 블라디카프카스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19명이 사망하고 200명 이상이 부상했다. 10월에는 2010년 체첸 의회 공격이 있었다.
2011년 1월, 도모데도보 국제공항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37명이 사망하고 173명이 부상당했다.
2012년 5월, 2012년 마하치칼라 공격으로 최소 14명이 사망하고 100명 이상이 부상했다.
2013년 10월, 2013년 10월 볼고그라드 버스 폭탄 테러로 7명이 사망하고 30명 이상이 부상했다. 12월에는 2013년 12월 볼고그라드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최소 34명이 사망했다.
2014년 10월, 2014년 그로즈니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경찰관 5명이 사망하고 12명이 부상했다. 12월에는 2014년 그로즈니 충돌이 발생했다.
2009년부터 2019년까지 북캅카스 지역에서는 지속적인 충돌이 발생했다. (2009년 북캅카스 충돌 목록, 2010년 북캅카스 충돌 목록, 2011년 북캅카스 충돌 목록, 2012년 북캅카스 충돌 목록, 2013년 북캅카스 충돌 목록, 2014년 북캅카스 충돌 목록, 2015년 북캅카스 충돌 목록, 2016년 북캅카스 충돌 목록, 2017년 북캅카스 충돌 목록, 2018년 북캅카스 충돌 목록, 2019년 북캅카스 충돌 목록)
4. 1. 2009년 이전
4. 1. 1. 2004년 나즈란 습격
소스(`source`)가 비어 있으므로, 요약(`summary`)만을 사용하여 2004년 나즈란 습격 섹션 내용을 작성합니다. 요약된 내용이 매우 짧아, 최대한 자세하게 풀어서 작성하되, 정보의 추가는 없이 문장 표현만 변경합니다.2004년 6월 21일 밤부터 6월 22일 새벽까지, 인구시 공화국과 체첸 공화국의 무장 단체가 인구시 공화국의 나즈란을 공격했다. 이 공격은 러시아 연방 내 북캅카스 지역의 불안정한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으며, 이후 이 지역에서 벌어진 여러 무력 충돌의 전조가 되었다. 공격의 주체는 체첸과 인구시 출신 무장 세력이었으며, 이들은 나즈란의 주요 시설을 공격하여 지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4. 2. 2009년
4. 2. 1. 2009년 나즈란 폭탄 테러
2009년 나즈란 폭탄 테러는 2009년 8월 17일 발생하였다. 이 테러는 러시아 남부 인구시 공화국의 수도인 나즈란의 경찰 본부에서 일어났다. 자살 폭탄 테러범이 경찰 본부 정문으로 차량을 몰고 돌진하여 폭발을 일으켰다. 이 사건으로 최소 20명이 사망하고 138명 이상이 부상당했다.테러 당시 경찰 본부에서는 일일 점호가 진행 중이었는데, 폭탄 테러범은 이 점호 시간을 노려 공격을 감행한 것으로 보인다. 폭발로 인해 건물 일부가 파괴되고, 주변 차량들이 불탔다. 이 테러는 캅카스 에미레이트가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했다. 캅카스 에미레이트는 체첸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 단체이다.
이 사건은 북캅카스 지역에서 러시아 연방 정부에 대항하는 반군 활동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인구시 공화국은 체첸 공화국과 인접해 있어 이러한 반군 활동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 중 하나이다. 이 테러 이후, 러시아 정부는 북캅카스 지역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고 반군 소탕 작전을 더욱 강화했다.
4. 2. 2. 2009년 네프스키 익스프레스 폭탄 테러
(소스 내용 없음)4. 3. 2010년
4. 3. 1. 2010년 모스크바 지하철 폭탄 테러
2010년 3월 29일, 모스크바 지하철에서 두 차례의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최소 40명이 사망하고 100명 이상이 부상당했다. 이 사건은 캅카스 에미레이트의 지도자 도쿠 우마로프가 자신의 소행이라고 주장했다.첫 번째 폭발은 현지 시간 오전 7시 56분경, 루뱐카 역에서 발생했다. 이 역은 러시아 연방보안국(FSB) 본부 건물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어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두 번째 폭발은 약 40분 후, 파르크 쿨투리 역에서 발생했다.
두 테러 모두 여성 자살 폭탄 테러범에 의해 자행된 것으로 밝혀졌다. 첫 번째 폭발은 체첸 출신의 17세 여성 젠네트 압두라흐마노바가, 두 번째 폭발은 다게스탄 출신의 마리암 샤리포바가 일으켰다. 이들은 모두 캅카스 지역의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와 연관된 인물로, 러시아 정부에 대한 복수심으로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추정된다.
이 사건으로 인해 러시아 전역에 테러 경계가 강화되었으며, 특히 모스크바에서는 대중교통 이용객들에 대한 보안 검색이 강화되었다. 블라디미르 푸틴 당시 총리는 테러범들을 뿌리 뽑겠다고 맹세하며 강경 대응을 천명했다.
4. 3. 2. 2010년 키즐랴르 폭탄 테러
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 내용은 생성할 수 없습니다.4. 3. 3. 2010년 빡산 수력발전소 습격
4. 3. 4. 2010년 스타브로폴 폭탄 테러
소스가 비어 있으므로, 요약(`summary`) 내용을 바탕으로 2010년 스타브로폴 폭탄 테러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 내용만으로는 구체적인 사실 관계, 날짜, 인물, 한국과의 관계, 정치적 맥락 등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4. 3. 5. 2010년 첸토로이 공격
4. 3. 6. 2010년 블라디카프카스 폭탄 테러
2010년 9월 9일, 북오세티야 공화국의 수도 블라디카프카스 중앙 시장에서 자살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최소 17명이 사망하고 19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 이 테러는 러시아 당국에 의해 캅카스 에미르국의 소행으로 밝혀졌다.당시 시장은 러시아워로 매우 혼잡했으며, 폭탄은 약 30~40kg의 TNT 폭발력과 맞먹는 위력을 지녔다. 폭발로 인해 주변 건물과 차량이 심각하게 파괴되었으며, 현장은 아수라장이 되었다.
사건 직후,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은 즉각적인 수사와 테러범 체포를 지시했다. 북오세티야 공화국 정부는 9월 10일을 애도의 날로 선포하고 희생자들을 추모했다.
이 사건은 북캅카스 지역의 불안정한 상황과 테러 위협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이 사건은 2004년 베슬란 학교 인질극이 발생했던 북오세티야 공화국에서 발생했다는 점에서 더욱 큰 충격을 주었다.
4. 3. 7. 2010년 체첸 의회 공격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제공된 정보가 없으므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4. 4. 2011년
4. 4. 1. 도모데도보 국제공항 폭탄 테러
도모데도보 국제공항 폭탄 테러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source`에 관련 내용이 없으므로, 이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4. 5. 2012년
4. 5. 1. 2012년 마하치칼라 공격
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으므로, 주어진 요약(summary)에 기반하여 내용을 생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4. 6. 2013년
4. 6. 1. 2013년 10월 볼고그라드 버스 폭탄 테러
2013년 10월 21일, 볼고그라드에서 여객 버스를 대상으로 자살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6명이 사망하고 80여 명이 부상당했다. 이 테러는 다게스탄 공화국 출신의 30세 여성 나이다 아시알로바(Naida Asiyalova, 나이다 시라주디노브나 아시알로바/Наи́да Сиражуди́новна Ахия́ловаru)가 저지른 것으로 확인되었다.4. 6. 2. 2013년 12월 볼고그라드 폭탄 테러
현재 주어진 소스(source)가 비어 있습니다. 2013년 12월 볼고그라드 폭탄 테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로 작성해 드리겠습니다.4. 7. 2014년
4. 7. 1. 2014년 그로즈니 폭탄 테러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으므로, '2014년 그로즈니 폭탄 테러'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4. 7. 2. 2014년 그로즈니 충돌
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으므로, 2014년 그로즈니 충돌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5. 사상자
wikitable
```
사망한 민간인 대다수는 러시아인이었지만,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독일, 오스트리아, 영국, 아르메니아 출신 외국인들도 테러 공격으로 사망했다.[36][37][38][39][40][41][42][43][44]
참고: 사상자 수는 뉴스 사이트인 카프카스 노트에서 집계한 것으로, 데이터의 정확성을 100%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6. 국제사회의 반응
참조
[1]
뉴스
Россия выиграла еще одну важнейшую битву
https://vz.ru/politi[...]
[2]
뉴스
Глава ФСБ объявил о ликвидации бандподполья на Северном Кавказе
https://vz.ru/news/2[...]
[3]
뉴스
TURKISH VOLUNTEERS IN CHECHNYA
http://www.jamestown[...]
2015-05-20
[4]
서적
The Chechens: A Handbook
https://books.google[...]
[5]
서적
Politics of Conflict: A Survey
https://books.google[...]
[6]
서적
Energy and Security in the Caucasus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The Battalion of Imam Shamil" claimed attack in St.Petersburg, says they are Al-Qaeda, urging to withdraw troops from Syria - Map of News from Russia. From Vladivostok to Kaliningrad - News from Russia - russia.liveuamap.com
http://russia.liveua[...]
2017-04-26
[8]
웹사이트
Islamic State spokesman calls on other factions to 'repent,' urges sectarian war
http://www.longwarjo[...]
The Long War Journal
2015-06-23
[9]
웹사이트
ISIS Declares Governorate in Russia's North Caucasus Region
http://understanding[...]
Institute for the Study of War
2015-06-23
[10]
웹사이트
사망자 수
여러 URL 포함
2009-2017
[11]
웹사이트
부상자 수
여러 URL 포함
2009-2017
[12]
웹사이트
사망 및 체포자 수
여러 URL 포함
2009-2017
[13]
웹사이트
사망자 수
여러 URL 포함
2010-2017
[14]
뉴스
Six Russian soldiers killed in Chechnya
https://www.bbc.co.u[...]
2017-03-24
[15]
웹사이트
Russia's North Caucasus Insurgency Widens as ISIS' Foothold Grows
https://www.worldpol[...]
2016-04-12
[16]
뉴스
Why suspicion over St Petersburg metro attack is likely to fall on Islamist groups
https://www.theguard[...]
2017-04-04
[17]
뉴스
Russia 'ends Chechnya operation'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4-16
[18]
논문
Foreign Bodies: Transnational Activism, the Insurgency in the North Caucasus and "Beyond"
http://pure-oai.bham[...]
[19]
법률
Федеральный закон № 5-ФЗ от 12 января 1995, "О ветеранах"
[20]
뉴스
Россия выиграла еще одну важнейшую битву
https://vz.ru/politi[...]
Взгляд.ру
2017-12-19
[21]
웹사이트
Moscow and Grozny Evince Growing Nervousness Over Regional Security
http://www.jamestown[...]
The Jamestown Foundation
2009-11-09
[22]
뉴스
Более 230 силовиков погибло на Северном Кавказе в 2009 году
https://ria.ru/20100[...]
[23]
웹사이트
Кавказский Узел|Нургалиев: с начала года на Северном Кавказе нейтрализовано более 700 боевиков
http://chechnya.kavk[...]
Chechnya.kavkaz-uzel.ru
2010-08-21
[24]
보고서
Trends in Jihadist Violence in Russia During 2010 in Statistics
Monterey Institute for International Studies
2011-01-26
[25]
웹사이트
Why Is The Death Toll Tumbling In The North Caucasus?
http://www.rferl.org[...]
2015-02-10
[26]
웹사이트
How Russia allowed homegrown radicals to go and fight in Syria
https://www.reuters.[...]
2016-05-13
[27]
웹사이트
Chechen Fighters Hold their Ground Against Kadyrov
http://georgiandaily[...]
The Jamestown Foundation
2010-05-28
[28]
웹사이트
Кавказский Узел – По итогам 2014 года Чечня стала единственным регионом СКФО с ростом числа жертв конфликта
http://www.kavkaz-uz[...]
[29]
뉴스
From Moscow to Mecca: As this part of Russia's empire frays, fundamentalist Islam takes a stronger hold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Newspaper Limited
2011-04-09
[30]
웹사이트
Абдулатипов заявил о ликвидации всех террористических групп в Дагестане
https://www.rbc.ru/r[...]
2017-02-07
[31]
웹사이트
A Fear of Three Letters
http://pulitzercente[...]
Pulitzer Center on Crisis Reporting
2011-03-08
[32]
웹사이트
Yevkurov Says Insurgency 'Defeated' In Ingushetia
http://www.rferl.mob[...]
2015-05-19
[33]
웹사이트
Blood Relations
http://pulitzercente[...]
Pulitzer Center on Crisis Reporting
2011-02-21
[34]
뉴스
Clashes in Russia's Caucasus Kill 10 Rebels
http://ca.reuters.co[...]
Reuters
2011-04-29
[35]
문서
CEDR 문서
2010-09-09
[36]
웹사이트
Нургалиев: с начала года на Северном Кавказе нейтрализовано более 700 боевиков
http://www.kavkaz-uz[...]
Caucasian Knot
2009-09-29
[37]
웹사이트
Инфографика. Статистика жертв на Северном Кавказе за 2010 год по данным "Кавказского узла".
http://www.kavkaz-uz[...]
Caucasian Knot
2013-12-23
[38]
웹사이트
Инфографика. Статистика жертв на Северном Кавказе за 2011 год по данным "Кавказского узла".
http://www.kavkaz-uz[...]
Caucasian Knot
2013-12-23
[39]
웹사이트
Инфографика. Статистика жертв на Северном Кавказе за 2012 год.
http://www.kavkaz-uz[...]
Caucasian Knot
2013-06-06
[40]
웹사이트
Инфографика. Статистика жертв на Северном Кавказе в ноябре 2013 года по данным "Кавказского узла"
http://www.kavkaz-uz[...]
Caucasian Knot
2013-12-18
[41]
웹사이트
По итогам 2014 года Чечня стала единственным регионом СКФО с ростом числа жертв конфликта
http://www.kavkaz-uz[...]
Caucasian Knot
2015-01-30
[42]
웹사이트
В 2015 году число жертв конфликта на Северном Кавказе снизилось вдвое
http://www.kavkaz-uz[...]
Caucasian Knot
2016-02-05
[43]
웹사이트
В 2016 году число жертв конфликта на Северном Кавказе выросло на 11%
http://www.kavkaz-uz[...]
Caucasian Knot
2017-02-02
[44]
웹사이트
Инфографика. Статистика жертв на Северном Кавказе за 2017 год по данным Кавказского Узла
http://www.kavkaz-uz[...]
Caucasian Knot
2018-01-29
[45]
웹인용
TURKISH VOLUNTEERS IN CHECHNYA
http://www.jamestown[...]
2015-05-20
[46]
서적
The Chechens: A Handbook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47]
서적
Politics of Conflict: A Survey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48]
서적
Energy and Security in the Caucasus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49]
웹인용
Islamic State spokesman calls on other factions to ‘repent,’ urges sectarian war
http://www.longwarjo[...]
The Long War Journal
2015-06-23
[50]
웹인용
ISIS Declares Governorate in Russia’s North Caucasus Region
http://understanding[...]
Institute for the Study of War
2015-06-23
[51]
뉴스
Russlands Innenministerium: 600 militante Extremisten im Nordkaukasus aktiv
http://de.sputniknew[...]
Sputnik News
2013-01-25
[52]
뉴스
Russia 'ends Chechnya operation'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4-16
[53]
논문
Foreign Bodies: Transnational Activism, the Insurgency in the North Caucasus and "Beyond"
2015
[54]
뉴스
Chechen Fighters Hold their Ground Against Kadyrov
http://georgiandaily[...]
The Jamestown Foundation
2010-05-28
[55]
웹인용
Кавказский Узел – По итогам 2014 года Чечня стала единственным регионом СКФО с ростом числа жертв конфликта
http://www.kavkaz-uz[...]
2015-07-07
[56]
웹인용
Rebels in Chechnya Regroup in Rare Meeting of Field Commanders
http://www.jamestown[...]
Jamestown Foundation
2014-08-08
[57]
웹인용
What Caused the Demise of the Caucasus Emirate?
http://www.jamestown[...]
Jamestown Foundation
2015-06-18
[58]
논문
From Moscow to Mecca: As this part of Russia's empire frays, fundamentalist Islam takes a stronger hold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Newspaper Limited
2011-04-09
[59]
뉴스
Russischer Sicherheitsrat: Terrorismus im Nordkaukasus erstmals rückläufig
http://de.sputniknew[...]
Sputnik News
2013-05-29
[60]
뉴스
Kaukasus: Extremismusrate in Dagestan verdreifacht
http://de.sputniknew[...]
Sputnik News
2013-02-15
[61]
뉴스
Extremismus im Nordkaukasus nimmt spürbar zu
http://de.sputniknew[...]
Sputnik News
2013-11-28
[62]
웹인용
Six North Caucasus Insurgency Commanders Transfer Allegiance To Islamic State
http://www.rferl.mob[...]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15-01-02
[63]
뉴스인용
After Loss of Three Senior Commanders, Is the Caucasus Emirate on the Ropes?
http://www.jamestown[...]
Jamestown Foundation
2015-08-14
[64]
뉴스
A Fear of Three Letters
http://pulitzercente[...]
Pulitzer Center on Crisis Reporting
2011-03-08
[65]
웹인용
Why Is The Death Toll Tumbling In The North Caucasus?
http://www.rferl.org[...]
2015-02-10
[66]
웹인용
Yevkurov Says Insurgency 'Defeated' In Ingushetia
http://www.rferl.mob[...]
2015-05-19
[67]
뉴스
Blood Relations
http://pulitzercente[...]
Pulitzer Center on Crisis Reporting
2011-02-21
[68]
뉴스
Clashes in Russia's Caucasus Kill 10 Rebels
http://ca.reuters.co[...]
Reuters
2011-04-29
[69]
뉴스
A Post-Mortem Sketch of Khasanbi Fakov – Leader of the United Insurgency Movement of Kabardino-Balkaria
http://mlm.jamestown[...]
Jamestown Foundation
2013-08-21
[70]
뉴스
Fewer Killed in the North Caucasus Last Year, but Overall Situation Remains Unchanged
http://www.jamestown[...]
The Jamestown Foundation
2012-01-19
[71]
뉴스
Russia Caucasus Insurgent Leader Reported
http://www.rferl.org[...]
Radio Liberty
2012-03-27
[72]
뉴스
Eight Suspected Militants Killed In Kabardino-Balkaria
http://www.rferl.org[...]
Radio Liberty
2012-09-20
[73]
뉴스
ВИЛАЯТ КБК. Кафиры объявили, что в ходе боя в Нальчике Шахидами (иншаа-Ллах) стали 4 амира КБК
http://www.ummanews.[...]
2012-09-20
[74]
뉴스
В Нальчике ликвидирован лидер бандподполья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ии
http://kbrria.ru/pro[...]
2014-03-14
[75]
웹사이트
Kabardino-Balkarian Jamaat Suffers Serious Losses in Fight With Government Forces
https://jamestown.or[...]
Jamestown Foundation
2016-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