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체첸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체첸 전쟁은 1994년부터 1996년까지 러시아와 체첸 간에 벌어진 분쟁이다. 소련 해체 후 독립을 선언한 체첸 공화국을 러시아가 무력으로 진압하려 하면서 시작되었다. 러시아는 체첸의 독립을 막고 영토를 보전하려 했으며, 체첸인들은 러시아의 지배에 저항하며 독립을 쟁취하려 했다. 전쟁은 러시아군의 대규모 공세와 체첸 게릴라의 저항으로 전개되었으며, 그로즈니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막대한 인명 피해와 도시 파괴가 발생했다. 러시아군은 민간인에게 무차별적인 공격을 가하고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는 비난을 받았으며, 체첸군은 인질을 잡고 테러를 감행했다. 1996년 하사뷰르트 협정을 통해 휴전이 성립되었지만, 체첸의 지위는 최종적으로 결정되지 않았고, 이후 제2차 체첸 전쟁으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5년 러시아 - 노르웨이 로켓 사건
1995년 노르웨이 로켓 사건은 노르웨이의 과학 연구 로켓 발사를 러시아가 핵 공격으로 오인하여 핵 반격 준비 태세에 돌입, 핵전쟁 직전까지 간 냉전 종식 후 핵 위기 사건으로, 정보 공유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 1995년 러시아 - 부됴놉스크 병원 인질극
1995년 6월, 샤밀 바사예프가 이끄는 체첸 반군이 부됴놉스크 시의 병원을 점거하고 1,500명 이상의 인질을 잡아 러시아 정부와 대치하며 제1차 체첸 전쟁의 종식과 러시아군 철수를 요구한 사건으로, 러시아 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전쟁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1994년 러시아 - 아에로플로트 593편 추락 사고
아에로플로트 593편 추락 사고는 1994년 에어버스 A310 여객기가 러시아 산맥에 추락하여 탑승자 전원이 사망한 사고로, 교대 기장의 아들이 조종간을 잡게 한 것이 원인이 되어 자동 조종 장치 해제와 조종사 미숙 대처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으며, 항공 안전 규정 준수의 중요성과 안전 관리 시스템 개선 필요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 1994년 러시아 - 부다페스트 안전 보장 각서
부다페스트 안전 보장 각서는 1994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 러시아, 미국, 영국이 우크라이나의 핵무기 포기와 핵확산금지조약 가입을 조건으로 독립과 주권, 국경 존중 등을 보장하는 조약이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효력과 신뢰성에 논란이 있다. - 유럽의 전쟁 및 분쟁에 관한 - 제2차 체첸 전쟁
제2차 체첸 전쟁은 1999년부터 2009년까지 러시아와 체첸 분리주의 세력 간의 무력 충돌로, 하사뷰르트 협정 이후 체첸의 불안정과 테러를 계기로 러시아의 공격이 시작되어 수십만 명의 사상자와 파괴, 인권 침해를 남겼으며 러시아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체첸의 불안정은 지속되었다. - 유럽의 전쟁 및 분쟁에 관한 -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은 1990년대 초 몰도바와 트란스니스트리아 간에 발생한 무력 충돌로, 소련 붕괴 후 몰도바의 독립 선언과 언어 정책에 반발한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 주민들의 독립 선포, 인구 구성 및 언어 갈등, 러시아군의 개입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했으며 현재까지 미해결 상태로 남아 동유럽 안보에 우려를 낳고 있다.
제1차 체첸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분쟁 이름 | 제1차 체첸 전쟁 |
다른 이름 | 제1차 러시아-체첸 전쟁 |
일부 | 체첸-러시아 간 분쟁 소비에트 이후 분쟁 |
시기 | 1994년 12월 11일 – 1996년 8월 31일 |
장소 | 체첸 인구셰티야 일부 스타브로폴 지방 일부 다게스탄 공화국 일부 |
결과 | 체첸 공화국의 실질적인 승리 하사뷰르트 협정에 따른 5년간의 휴전과 이후 독립 협상 약속 러시아-체첸 평화 조약 1996년 12월 말까지 러시아 연방군의 체첸 공화국 철수 |
교전 세력 | |
교전 세력 1 | 체첸 이치케리아 공화국 외국인 자원병력 [[파일:Flag of Jihad.svg|22px]] 외국 무자헤딘 [[파일:Flag of UNA-UNSO.svg|22px]] UNA-UNSO UNSO의 "아르고" 분견대 바이킹 여단 [[파일:Grey Wolves Gokturk Flag.svg|22px]] 회색 늑대 |
교전 세력 2 | 러시아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before 2004.svg|22px]] 충성파 반군 |
지휘관 | |
지휘관 1 |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of Ichkeria.svg|22px]] 조하르 두다예프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of Ichkeria.svg|22px]] 젤림한 얀다르비예프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of Ichkeria.svg|22px]] 아슬란 마스하도프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of Ichkeria.svg|22px]] 루슬란 겔라예프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of Ichkeria.svg|22px]] 샤밀 바사예프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of Ichkeria.svg|22px]] 아슬람베크 압둘카지예프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of Ichkeria.svg|22px]] 루슬란 알리하디예프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of Ichkeria.svg|22px]] 바하 아르사노프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of Ichkeria.svg|22px]] 살만 라두예프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of Ichkeria.svg|22px]] 레차 쿨티고프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of Ichkeria.svg|22px]] 투르팔-알리 아트게리예프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of Ichkeria.svg|22px]] 아흐메드 자카예프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of Ichkeria.svg|22px]] 도카 우마로프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of Ichkeria.svg|22px]] 훈카르-파샤 이스라필로프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of Ichkeria.svg|22px]] 람잔 아흐마도프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of Ichkeria.svg|22px]] 아흐마드 카디로프 [[파일:Flag of Jihad.svg|22px]] 이븐 알-하타브 [[파일:UNSO-flag.svg|22px]] 올렉산드르 무지치코 |
지휘관 2 | [[파일:Flag of Russia.svg|22px]] 보리스 옐친 [[파일:Flag of Russia.svg|22px]] 파벨 그라초프 [[파일:Flag of Russia.svg|22px]] 아나톨리 쿨리코프 [[파일:Flag of Russia.svg|22px]] 블라디미르 샤마노프 [[파일:Flag of Russia.svg|22px]] [[파일:Flag of Russia.svg|22px]] 아나톨리 크바시닌 [[파일:Flag of Russia.svg|22px]] 아나톨리 로마노프 [[파일:Flag of Russia.svg|22px]] 콘스탄틴 풀리코프스키 [[파일:Flag of Russia.svg|22px]] [[파일:Flag of Russia.svg|22px]]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before 2004.svg|22px]] 도쿠 자브가예프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before 2004.svg|22px]] 루슬란 라바자노프 |
병력 규모 | |
병력 규모 1 |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of Ichkeria.svg|22px]] 1,000명 (1994년)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of Ichkeria.svg|22px]] 약 6,000명 (1994년 말) [[파일:Flag of Chechen Republic of Ichkeria.svg|22px]] [[파일:UNSO-flag.svg|22px]] 200명 |
병력 규모 2 | [[파일:Flag of Russia.svg|22px]] 23,800명 (1994년) [[파일:Flag of Russia.svg|22px]] 70,509명 (1995년) |
사상자 | |
사상자 1 | 공식 추정: 3,000명 (체첸 추정) 3,000명 이상 (러시아 군사 자료) 독립 추정: 약 3,000명 이상 사망 ("네자비시마야 가제타") 3,000명 사망 (메모리알) [[파일:UNSO-flag.svg|22px]] 4명 |
사상자 2 | 러시아 추정: 5,552명 군인 사망 또는 실종 16,098-18,000명 부상 독립 추정: 14,000명 사망 (CSMR) 9,000명 이상 사망 또는 실종. 최대 52,000명 부상 ("타임") |
사상자 3 | 100,000-130,000명 민간인 사망 (보너) 80,000-100,000명 민간인 사망 (인권 단체 추정) 30,000-40,000명 이상 민간인 사망 (RFSSS 자료) 최소 161명 민간인 사망 (체첸 외부) 500,000명 이상 민간인 이재민 |
추가 정보 | |
관련 전쟁 | 제2차 체첸 전쟁 |
주요 전투 | 그로즈니 전투 (1994년 11월) 그로즈니 전투 (1994년~1995년) 그로즈니 전투 (1996년 8월) |
2. 발발 배경
체첸은 카스피해와 흑해 사이 캅카스산맥 북부(북캅카스)에 위치한 역사적 지역으로, 체첸인들이 주로 거주한다. 이 지역은 수천 년 전부터 체첸인들의 유목 생활 터전이었으나, 16세기부터 러시아 제국의 정복 시도가 시작되면서 갈등이 시작되었다. 체첸인들은 대부분 이슬람교를 믿어 정교회를 믿는 러시아로부터 독립 의지가 강했다. 캅카스 전쟁에서 패배 후 1859년 러시아 제국에 강제 합병되었다.
1917년 북캅카스 산악공화국으로 독립을 시도했으나 1922년 실패하고 소련 자치공화국으로 편입되었다. 1944년 스탈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 협력을 구실로 체첸인과 인구시인들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시켰고, 1957년에야 귀환이 허용되었다.
1991년 소련 해체 후 러시아 내 소수민족들의 민족주의와 자치 요구가 커졌다. 1992년 러시아 정부의 지방 자치 법안에 체첸과 타타르스탄만 서명하지 않고 독립 의사를 밝혔다. 1994년 타타르스탄은 자치권 합의에 성공했지만, 체첸은 분리독립을 계속 요구했다.
1991년 9월 체첸 독립파 무장조직이 체첸-인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정부를 무너뜨렸고, 10월 조하르 두다예프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독립 정부를 수립했다. 체첸은 탈러시아화를 추진하며 러시아와 갈등을 빚었다.
1992년 인구셰티야가 북오세티야와 영토 분쟁으로 체첸에서 분리되어 러시아 연방에 가입했고, 1993년 두다예프 정부는 이치케리야 체첸 공화국으로 완전 독립을 선포했다.
2. 1. 체첸의 역사와 러시아와의 관계
체첸은 카스피해와 흑해 사이 캅카스산맥 북부 (북캅카스)에 있는 역사적 지역으로, 인구 대다수는 바이나흐족에 속하는 체첸인이다. 체첸인들은 수천 년 전부터 이 지역에서 유목 생활을 해왔으나, 16세기부터 러시아 제국이 이 일대를 정복하기 시작하면서 체첸인들의 투쟁이 시작되었다. 특히 체첸인들은 대부분 이슬람교를 믿었기 때문에 정교회를 믿는 러시아로부터의 독립 의지가 강했다.[1]체첸인들의 러시아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은 1785년, 북캅카스 여러 민족의 첫 번째 이맘(지도자)인 셰이크 만수르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러시아의 침략과 확장에 저항하기 위해 여러 북캅카스 민족을 통합했다.[4]
캅카스 전쟁(1817년~1864년)에서 패배한 후, 1859년 체첸을 비롯한 북캅카스 지역은 러시아 제국에 강제 합병되었다. 러시아 제국은 19세기 후반에 수천 명의 체첸인들을 중동으로 강제 이주시켰다.[1][4]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붕괴하자, 체첸인들은 북캅카스 산악공화국으로 독립을 시도했으나, 1922년 실패하고 소련의 자치 공화국으로 편입되었다. 1936년 이오시프 스탈린은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내에 체첸-인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수립했다.[4]
1944년, NKVD 국장 라브렌티 베리야의 명령에 따라 50만 명이 넘는 체첸인, 인구시인 등 여러 북캅카스 민족들이 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로 강제 추방당했다. 공식적인 구실은 1940년-1944년 체첸 반란 중 침략한 독일군과의 협력에 대한 처벌이었지만, 많은 체첸인과 인구시인은 소련 정부에 충성하여 나치와 싸웠고 소련에서 최고의 군사 훈장을 받은 사람들도 있었다. 1944년 3월 소련 당국은 체첸-인구시 공화국을 폐지했다. 1957년 니키타 흐루쇼프는 바이나흐족(체첸인과 인구시인)에게 고향으로 돌아갈 허락을 주었고, 그들의 공화국을 복원했다.[4]
스탈린 정권하에서 탄압을 받았던 체첸인들은 1944년 약 50만 명에 달하는 모든 주민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당하면서 10만 명에서 40만 명에 이르는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집단 학살을 당했다(소비에트 연방의 강제 이주). 스탈린 사후 살아남은 체첸인들은 귀환을 허락받았지만, 강한 반러시아 감정이 남아 있었고, 소련 붕괴 후 수립된 러시아 연방에의 편입을 거부했다.[5]
2. 2. 소련 해체와 체첸의 독립 선언
체첸은 캅카스산맥 북부 (북캅카스)에 위치한 역사적 지역으로, 체첸인들이 주로 거주해왔다. 16세기부터 러시아의 지배를 받기 시작하면서 체첸인들의 독립 투쟁이 시작되었고, 캅카스 전쟁에서 패배한 후 1859년 러시아 제국에 강제 합병되었다.[28] 1917년 북캅카스 산악공화국으로 독립을 시도했으나 1922년 실패하고 소련의 자치공화국으로 편입되었다. 1944년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 협력을 이유로 체첸인들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당했다가 1957년에야 귀환할 수 있었다.[29]1991년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 내 소수민족들의 자치 요구가 커졌다. 1992년 러시아 정부가 지방 자치 법안을 제시했지만, 체첸과 타타르스탄은 서명하지 않고 독립 의사를 밝혔다. 1994년 타타르스탄은 러시아와 자치권 협정을 맺었지만, 체첸은 분리독립을 계속 요구했다.
1991년 9월, 조하르 두다예프가 이끄는 체첸 독립파 무장조직은 체첸-인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정부를 무너뜨렸다.[30] 1991년 10월, 조하르 두다예프는 체첸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독립 정부를 수립했다.[31] 체첸은 탈러시아화를 추진하며 러시아와 갈등을 빚었다.
1992년 인구셰티야가 체첸에서 분리되어 러시아 연방에 가입했고, 1993년 두다예프 정부는 이치케리야 체첸 공화국으로 완전 독립을 선포했다.
1991년 11월,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은 내무군을 체첸 수도 그로즈니에 파병했지만, 두다예프 군대의 저항으로 철수해야 했다.
2. 3. 체첸 내부의 혼란과 러시아의 개입
독립 이후 체첸은 여러 혼란을 겪었다. 1991년부터 러시아인을 비롯한 비(非)체첸계 주민들은 차별과 탄압을 피해 체첸을 떠나기 시작했다.[34] 조하르 두다예프 정부와 반대 세력 간에는 내전에 가까운 무력 충돌이 계속되었다. 1992년 3월에는 쿠데타 시도가 있었으나 정부군에 의해 진압되었고, 두다예프는 의회를 해산하고 대통령 중심의 직접 통치를 시작했다.1992년 10월 오세티야-인구시 분쟁에 참여했던 러시아군이 체첸과의 국경 지대에 배치되기 시작하자, 두다예프 정부는 계엄을 선포하고 러시아 측에 철수를 요구하며 국가동원령 발동을 경고했다.
두다예프 정부는 경제 재건과 국내 안정에 실패했다. 1993년 12월, 또 다른 쿠데타 시도가 발생했고, 반(反) 두다예프 세력은 '체첸 공화국 잠정 평의회'를 구성하여 체첸 정부를 자처하며 러시아로부터 비밀리에 지원을 받았다.[37]
모스크바는 반군 세력에게 자금, 군사 장비, 용병을 지원하며 군사 개입을 강화했다.[37] 러시아는 그로즈니로 향하는 모든 민간 항공편을 중단시키고 군사 봉쇄를 설정했으며, 러시아 소속 불명의 항공기가 체첸 상공에서 전투 작전을 시작했다. 1994년 10월과 11월, 러시아군과 연합한 반군 세력은 그로즈니에 두 차례 공격을 감행했으나 모두 실패했다.[37]
1994년 11월 29일, 보리스 옐친 대통령은 체첸의 모든 교전 세력에게 무장 해제와 항복을 명령하는 최후통첩을 발표했지만, 그로즈니 정부는 이를 거부했다.[39] 12월 1일부터 러시아군은 체첸에 대한 대규모 공중 폭격을 시작했고,[39] 12월 11일, 러시아군은 "체첸의 헌법 질서를 수립하고 러시아의 영토 보전을 유지하기 위해" 체첸 공화국에 진입했다.[39]

3. 전개
1994년 12월 11일, 러시아군은 그로즈니를 향해 3개 방향으로 지상 공격을 개시했다. 그러나 체첸의 저항은 거셌고, 러시아군은 낮은 훈련도와 사기로 인해 고전을 면치 못했다. 에두아르트 보로비요프 장군 등 러시아 군부와 정부 내에서도 전쟁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았다.[42] 북쪽 부대는 돌린스코예에서 체첸군의 저항으로 큰 피해를 입었고(Battle of Dolinskoye),[42] 체첸 내륙 깊숙한 곳에서는 러시아 공수부대 50명이 체첸 민병대에 포로로 잡히기도 했다.[40]
12월 29일, 러시아 공수부대는 그로즈니 인근 군용 비행장을 점령하고 항칼라 전투에서 체첸군의 반격을 격퇴했다. 이후 러시아군은 그로즈니를 포위하고 드레스덴 폭격 이후 유럽에서 가장 격렬한 폭격을 쏟아부었다.[41] 1994년 12월 31일, 러시아군의 그로즈니 진입 시도는 체첸 반군의 격렬한 저항으로 실패했고, 러시아군은 막대한 사상자를 냈다.[42]
시가전이 계속되면서 양측 모두 큰 피해를 입었고, 민간인 피해도 극심했다. 1995년 1월 19일, 러시아군은 많은 사상자 끝에 체첸 대통령궁을 점령했지만, 그로즈니 남쪽 시내에서 체첸군의 저항은 3월 6일까지 계속되었다. 5주에 걸친 시가전으로 아동 5,000명을 포함하여 27,000명에서 35,000명의 시민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44]
그로즈니 함락 이후, 러시아군은 북부 저지대를 서서히 장악하고 남부 산악 지대로 작전을 확대했다. 체첸군은 산악 지역을 근거지로 삼아 게릴라전을 이어갔고, 러시아 본토에 대한 테러를 감행하기도 했다. 1995년 6월 14일, 샤밀 바사예프가 이끄는 체첸군이 부됴놉스크 병원을 점령하고 인질극을 벌였다.(부됴놉스크 병원 인질극)[51] 빅토르 체르노미르딘 러시아 총리와 바사예프 간의 협상으로 일시적인 정전이 이루어졌지만, 체첸군은 이 기간 동안 세력을 재규합했다.
1995년 가을, 체첸 주둔 러시아군 사령관 아나톨리 로마노프가 폭탄 공격으로 중상을 입었다.[52] 1996년 2월, 그로즈니에서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고, 러시아 연방군이 발포하여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했다.[55]
1996년 3월, 체첸 전사들이 그로즈니에 침투하여 기습공격을 감행했고, 4월에는 샤토이 근처에서 매복 공격으로 러시아 기갑 부대를 전멸시켰다.[39] 이러한 군사적 패배와 사상자 수 증가는 러시아 국내에서 전쟁에 대한 지지도를 떨어뜨렸다.[39] 보리스 옐친 정부는 분쟁에서 벗어날 방법을 찾기 시작했고, 1996년 4월 21일, 체첸 대통령 조하르 두다예프가 암살되었다. 옐친은 체첸 대통령 대행 젤림칸 얀다르비예프와 새로운 임시 휴전 협정을 체결했다.[39]
1996년 8월, 체첸군은 아슬란 마스하도프와 샤밀 바샤예프의 지휘 하에 그로즈니를 기습적으로 재탈환했다. 러시아군은 큰 피해를 입고 포위되었으며, 콘스탄틴 풀리콥스키 러시아 사령관은 체첸군에게 최후통첩을 보냈으나 알렉산드르 레베디 국가안보보좌관의 중재로 중단되었다.[56]
레베디와 마스하도프는 1996년 8월 31일 하사뷰르트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에는 비무장화, 그로즈니에서 양측 군대 철수, 1996년 12월 31일까지 체첸에서 모든 러시아 연방군 철수, 그리고 2001년 말까지 체첸의 지위에 대한 최종 합의를 유보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56]
3. 1. 초기 러시아의 공세와 체첸의 저항
러시아 정부는 "체첸에 헌정 질서를 바로 세우고 러시아의 영토적 통합"을 보장하기 위해 체첸을 침공했다. 러시아군은 크게 세 방향에서 그로즈니를 향해 지상 공격을 시작하였으며, 전쟁 초기 공습으로 체첸의 공군 시설은 궤멸되었다. 그러나 며칠 안에 전쟁이 신속히 종결될 것이라는 러시아 측의 기대와 달리, 체첸은 항복하지 않았고 오히려 숙련되지 않은 러시아군에 의한 민간인 피해가 커지자 두다예프를 반대하던 민간인들까지 민병대에 참여하며 러시아에 대한 적대 관계로 돌아섰다. 러시아군은 낮은 훈련도와 사기로 인해 작전이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불응, 탈주, 항복하는 병사들이 속출했다.1994년 12월 11일, 러시아군은 그로즈니를 향해 3개 방향으로 지상 공격을 개시했다. 주요 공격은 러시아 지상군 부사령관 에두아르트 보로비요프 장군에 의해 일시 중단되었는데, 그는 "자국민을 향해 군대를 보내는 것은 범죄"라며 항의하며 사임했다.[42] 러시아 군부와 정부 내에서도 전쟁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보리스 옐친 대통령의 국민 문제 고문 에밀 파인과 러시아 국방차관 보리스 그로모프 장군(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사령관)도 침공에 항의하며 사임했으며, 보리스 폴리아코프 장군도 사임했다. 800명 이상의 정규군 장교들이 작전 참여를 거부했고, 그중 83명은 군사 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고 나머지는 제대했다.
북쪽 부대의 진격은 돌린스코예에서 예상치 못한 체첸군의 저항(Battle of Dolinskoye)으로 중단되었고, 러시아군은 처음으로 심각한 손실을 입었다.[42] 체첸 내륙 깊숙한 곳에서는 적진 후방에 헬리콥터로 투입되어 체첸 무기 은닉처를 점령하려던 러시아 공수부대 50명이 현지 체첸 민병대에 포로로 잡혔다.[40] 12월 29일, 러시아 공수부대는 그로즈니 인근의 군용 비행장을 점령하고 항칼라 전투에서 체첸군의 반격을 격퇴했다. 다음 목표는 그로즈니 자체였다. 러시아군이 수도에 접근하자 체첸군은 방어진지를 구축하고 도시에 병력을 집결하기 시작했다.
3. 2. 그로즈니 전투
러시아군은 체첸의 수도 그로즈니를 포위한 뒤 1주일 간 드레스덴 폭격 이후 유럽에서 가장 격렬한 폭격을 쏟아부었다.[41] 1994년 12월 31일, 러시아군의 그로즈니 진입 시도는 체첸 반군의 격렬한 저항으로 실패했고, 러시아군은 1,000명에서 2,000명에 달하는 사망자를 내며 사기가 크게 저하되었다. 특히 중앙 기차역 근처에서 궤멸된 제131 '마이콥' 기계화 보병 여단의 피해가 컸다.[42]계속되는 공습과 시가전으로 양측은 궤멸적인 피해를 입었으며, 러시아군은 언론을 통해 체첸이 민간인을 인간 방패로 사용하고 있다고 비난했다.[43] 1995년 1월 7일에는 러시아의 빅토르 보로뵘 소장이 박격포 사격으로 사망하기도 했다. 1월 19일, 러시아군은 많은 사상자를 낸 끝에 체첸 대통령궁을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그로즈니 남쪽 시내에서 체첸군의 저항은 3월 6일까지 계속되었다.
5주에 걸친 시가전으로 아동 5,000명을 포함하여 27,000명에서 35,000명의 시민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러시아군의 포격과 공습으로 인한 피해가 극심했다. 러시아군은 2,000명 가량의 전사자 및 실종자를 냈다고 밝혔다.[44]
대학살에 가까운 시가전의 참상이 알려지자 국제사회는 전쟁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 국제 감시단은 "상상할 수 없는 재앙"이라 묘사했고,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지도자는 "수치스럽고 피비린내 나는 모험", 헬무트 콜 독일 총리는 "순전히 미친 짓"이라고 비난했다.[45]
3. 3. 러시아의 공세 지속과 체첸의 게릴라전
그로즈니 함락 이후, 러시아군은 북부 저지대를 서서히 장악하고 남부 산악 지대로 작전을 확대했다. 1995년 4월 15일, 러시아군은 200~300대의 차량을 동원하여 남부 산악 지역으로 대규모 공세를 시작했다.[47] 그러나 그로즈니에서 패퇴한 체첸군은 산악 지역을 근거지로 삼아 게릴라전을 이어갔다. 1995년 1월부터 6월까지 러시아군은 2,800명 사망, 10,000명 부상, 500명 실종이라는 큰 피해를 입었다.[49] 일부 체첸군은 민간인으로 위장하여 점령 지역에 침투하기도 했다.[50]전쟁이 장기화되자 체첸군은 러시아 본토에 대한 테러를 감행했다. 1995년 6월 14일, 샤밀 바사예프가 이끄는 체첸군이 스타브로폴 지방의 부됴놉스크 병원을 점령하고 1,500명 이상의 인질을 붙잡아 러시아 정부와 협상을 요구했다.(부됴놉스크 병원 인질극)[51] 러시아군의 무력 진압 시도가 실패한 후, 빅토르 체르노미르딘 러시아 총리와 바사예프 간의 협상이 이루어져 체첸군의 석방과 체첸 지역에서의 일시적인 정전이 이루어졌다. 이 정전 기간 동안 체첸군은 세력을 재규합했고, 전국 각지에서 체첸인들이 무장하여 지역 방위대를 구성하거나 반군에 합류했다. UN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민병대에는 여성과 소년병이 다수 포함되었다.[51]
체첸군은 통제 영토가 줄어들면서 부비 트랩과 즉석 폭발 장치를 이용한 게릴라 전술에 집중했다.
1995년 가을, 체첸 주둔 러시아군 사령관 아나톨리 로마노프가 그로즈니에서 폭탄 공격으로 중상을 입었다.[52] 1996년 2월, 그로즈니에서 대규모 시위가 벌어지자 러시아 연방군이 발포하여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했고, 이틀 후 체첸 독립의 상징이었던 대통령궁이 철거되었다.[55]
3. 4. 확전과 러시아 국내 여론 악화
1996년 3월, 수백 명의 체첸 전사들이 그로즈니에 침투하여 3일 동안 기습공격을 감행하고 무기와 탄약을 탈취했다. 이 전투로 러시아군은 큰 피해를 보고 후퇴해야 했다. 같은 달, 체첸 전사들은 사마시키 마을 근처에서 러시아 연방군과 충돌하여 러시아군에 큰 피해를 입혔다. 4월 16일에는 샤토이 근처에서 매복 공격으로 러시아 기갑 부대를 전멸시켜 220명에 달하는 군인이 사망했다.[39] 베데노 인근에서도 러시아 군인 최소 28명이 사망하는 등 러시아군의 피해가 계속되었다.이러한 군사적 패배와 사상자 수 증가는 러시아 국내에서 전쟁에 대한 지지도를 떨어뜨렸다.[39] 1996년 대선을 앞두고 보리스 옐친 정부는 분쟁에서 벗어날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1996년 4월 21일, 러시아의 유도 미사일 공격으로 체첸 대통령 조하르 두다예프가 암살되었지만, 옐친은 체첸 대통령 대행 젤림칸 얀다르비예프와 새로운 임시 휴전 협정을 체결한 후 1996년 5월 28일 그로즈니에서 공식적으로 "승리"를 선언하기도 했다.[39] 그러나 정치 지도자들이 휴전과 평화 협상을 논의하는 동안에도 러시아군은 계속해서 전투 작전을 수행했다. 1996년 8월 6일, 옐친이 러시아 대통령으로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하기 3일 전, 체첸은 그로즈니에 대한 또 다른 기습공격을 감행했다.
3. 5. 그로즈니 탈환과 하사뷰르트 협정
1996년 8월, 체첸군은 아슬란 마스하도프가 이끄는 '제로 작전'과 샤밀 바샤예프가 이끄는 '지하드 작전'을 통해 그로즈니를 기습적으로 재탈환했다. 1,500명이 넘는 체첸 게릴라는 몇 시간 만에 도시 주요 지역을 장악했고, 러시아군 주둔지와 기지, 정부청사를 포위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 협력자로 간주된 많은 체첸인들이 체포, 구금되거나 처형되기도 했다.[56]러시아군은 그로즈니에 갇힌 부대를 구출하려 했으나 큰 피해를 입었다. 제276차량화연대는 이틀 동안 50%의 사상자를 냈고, 5일간의 전투에서 200명 이상이 사망하고 800명 가까이 부상당했다. 수천 명의 병력이 포로로 잡히거나 무장해제되었고, 중화기와 탄약은 체첸군에게 넘어갔다.[56]
콘스탄틴 풀리콥스키 러시아 사령관은 체첸군에게 48시간 내에 도시를 떠나지 않으면 대규모 폭격과 포격을 가하겠다고 최후통첩을 보냈다. 그러나 이 위협은 알렉산드르 레베디 국가안보보좌관의 중재로 중단되었다.[56]
레베디와 마스하도프는 1996년 8월 31일 하사뷰르트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에는 비무장화, 그로즈니에서 양측 군대 철수, 약탈 방지를 위한 합동 본부 창설, 1996년 12월 31일까지 체첸에서 모든 러시아 연방군 철수, 그리고 2001년 말까지 체첸의 지위에 대한 최종 합의를 유보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56]
4. 인권 침해와 전쟁 범죄
러시아군은 저항에 직면할 때마다 무차별적이고 과도한 무력을 사용하여 수많은 민간인 사망자를 낳았다. 휴먼 라이츠 워치에 따르면, 1995년 12월 체첸인들이 구데르메스시를 습격했을 때 러시아군의 포병 및 로켓 공격으로 최소 267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46] 제1차 체첸 전쟁 기간 내내 러시아군은 인권 단체들로부터 인도주의법을 완전히 무시한 채 잔혹한 전쟁을 시작하여 체첸 인구 사이에서 수만 명의 불필요한 민간인 희생자를 냈다는 비난을 받았다. 러시아군의 주요 전략은 중화기와 공습을 사용하여 민간인에게 수많은 무차별 공격을 가하는 것이었으며, 이는 서방과 체첸의 정보원들이 러시아 전략을 러시아 일부 지역에 대한 고의적인 테러 폭격이라고 부르게 만들었다.[65] 휴먼 라이츠 워치에 따르면, 이 작전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그 규모와 파괴력에서 전례가 없었으며, 그 뒤로 수개월 동안 민간인에 대한 무차별적이고 표적이 된 공격이 이어졌다"고 한다.[66]
러시아 군인들은 종종 민간인들이 위험 지역에서 대피하는 것을 막고, 인도주의 단체들이 도움이 필요한 민간인을 돕는 것을 막았다. 특히 내무부 내무군(MVD) 소속 러시아 군인들이 체첸 민간인에 대해 수많은, 그리고 부분적으로 체계적인 고문과 즉결처형을 저질렀다는 주장이 널리 제기되었다. 이러한 행위는 종종 ''자치스트카''("보예비키"—무장 세력—가 숨어 있다고 의심되는 마을 지역과 마을에 대한 "정화" 작전)와 관련이 있었다. 인도주의 및 지원 단체들은 러시아 군인들이 민간인을 무차별적으로 살해하고, 강간하고, 약탈하는 지속적인 패턴을 기록했으며, 이때 종종 그들의 국적은 무시되었다.[67]
러시아군 병사들이 저지른 위반 행위는 대개 상관들에 의해 용인되었고, 조사를 받더라도 처벌받지 않았다. 텔레비전과 신문 보도는 러시아 국민들에게 대부분 검열되지 않은 대학살의 이미지를 널리 보도했고, 이는 러시아 언론의 보도는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 상실과 옐친 대통령의 인기 급락을 부분적으로 초래했다.
러시아군이 저지른 가장 주목할 만한 전쟁 범죄 중 하나는 사마쉬키 학살로, 이 공격 중 최대 300명의 민간인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68] 러시아군은 마을 전체에 걸쳐 집집마다 수색하는 자치스트카 작전을 수행했다. 연방군은 사마쉬키에서 주민을 사살하고 화염방사기로 집을 불태우는 등 민간인과 민간 주택을 고의적이고 임의적으로 공격했다. 그들은 무차별적으로 총격을 가하거나 대부분 여성, 노인, 어린이들이 숨어 있던 지하실에 수류탄을 던졌다.[69] 러시아군은 시체를 불타는 집에 던지거나 불을 지르는 등 많은 시체를 고의로 불태웠다.[70] 체첸 외과 의사인 하산 바이예프는 작전 직후 사마쉬키에서 부상자를 치료했고 그의 책에서 그 장면을 묘사했다.[71]
> 파괴된 모스크 사원 마당에는 수십 구의 불에 탄 여성과 어린이의 시체가 놓여 있었다. 제 눈에 가장 먼저 들어온 것은 태아 자세로 누워 있는 불에 탄 아기의 시체였다… 눈이 빨갛게 충혈된 한 여성이 불타 버린 집에서 죽은 아기를 안고 나왔다. 짐칸에 시체가 쌓인 트럭이 공동묘지로 가는 길에 거리를 지나갔다.
>
> 부상자를 치료하는 동안, 저는 젊은이들이 재갈을 물리고 묶여서 장갑차 뒤에 사슬로 끌려가는 이야기를 들었다. 체첸 포로들을 비명을 지르며 헬리콥터에서 던진 러시아 조종사들에 대한 이야기도 들었다. 강간도 있었지만, 여성들이 너무 수치스러워 신고하지 않았기 때문에 몇 건이나 있었는지 알기 어려웠다. 한 소녀는 아버지 앞에서 강간당했다. 용병이 신생아를 잡아 서로에게 공처럼 던진 다음 공중에서 쏴 죽인 사건에 대한 이야기도 들었다.
>
> 그로즈니 병원으로 가는 길에, 저는 측면에 검은색으로 굵게 "사마쉬키"라고 쓰여 있는 러시아 장갑차를 지나쳤다. 뒷거울을 보니 끔찍하게도 차량 앞에 사람 두개골이 붙어 있었다. 뼈는 하얗고, 누군가 살을 제거하기 위해 두개골을 삶았음이 분명했다.
체첸 전투원들은 대규모로 인질을 잡고, 협력자로 간주되는 체첸인들을 납치하거나 살해하고, 민간인 포로와 연방군 포로(특히 조종사)를 학대했다. 러시아 연방군은 몸값을 위해 인질을 납치하고 전투와 군대 이동 중에 인간 방패로 사용했다(예를 들어, 포위된 러시아군 한 부대가 그로즈니 제9시립병원에서 약 500명의 민간인 인질을 잡았다).[67]
비야체슬라프 이즈마일로프 소령은 전쟁 중 양측에서 최소 174명을 감금에서 구출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나중에 전쟁 후 실종자 추적에 관여했고, 2021년 모스크바 스토커 인권 영화제에서 영웅상을 수상했다.[72][73]
5. 전쟁의 영향
인접한 잉구셰티야에서는 제한적인 전투가 발생했는데, 주로 러시아 지휘관들이 체첸 전투원들을 추격하기 위해 국경을 넘어 군대를 파병했을 때였다. 체첸과 북오세티야의 분쟁으로 인해 최대 20만 명의 난민이 발생하여 이미 취약한 잉구셰티야의 경제에 큰 부담을 주었다. 잉구셰티야 대통령 루슬란 아우셰프는 러시아 군인들의 침입에 여러 차례 항의했고, 러시아 국방부에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겠다고 위협하기도 했다.[74] 훈련받지 않은 러시아 군인들이 잉구셰티야에서 살인, 강간, 약탈을 저지르고 있다는 보고도 있었다.[75]
다게스탄 공화국에서는 더 크고 치명적인 적대 행위가 발생했다. 1996년 1월 다게스탄에서 발생한 대규모 키즐랴르 체첸 인질극에 대한 대응으로 러시아군이 페르보마이스코예 마을을 완전히 파괴하여, 국내 불만을 증폭시켰다. 원래 체첸 편에 호의적이었던 러시아 남부의 돈 코사크들은 러시아와 유사한 문화와 언어, 그리고 체첸과의 역사적 갈등으로 인해 적대적으로 돌아섰다. 쿠반 코사크들은 자신의 영토 침투를 막기 위해 준군사적 도로봉쇄를 설치하는 등 체첸인들에 대항하여 조직화하기 시작했다.
체첸 전쟁은 연방 정부에 대한 새로운 저항 형태를 낳았다. 소수 민족 출신 남성들의 체첸 전쟁 참전 징병에 대한 반대는 다른 공화국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었다. 추바시야 정부는 체첸 전쟁에 참전하기를 거부한 공화국 출신 병사들에게 법적 보호를 제공하고, 러시아 내 민족 또는 지역 갈등에서 연방군의 사용에 제한을 두는 법령을 통과시켰다. 타타르스탄 대통령 민티메르 샤이미예프는 전쟁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대하고 보리스 옐친에게 전쟁을 중단하고 징집병을 돌려보낼 것을 촉구하며, 이 갈등이 코카서스 전역으로 확산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76] 일부 지역 및 지방 입법 기관은 내부 갈등 진압에 징집병의 사용 금지를 요구했고, 다른 기관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군대 사용의 전면 금지를 요구했다.
1996년 1월 16일, 200명의 러시아 승객을 태운 터키 여객선이 납치당했다. 3월 6일에는 키프로스 여객기가 독일로 향하던 중 체첸 동조자들에게 납치당했다. 이 두 사건 모두 협상을 통해 해결되었고, 납치범들은 아무도 사망하지 않은 상태에서 항복했다.
5. 1. 체첸과 러시아에 미친 영향
러시아군 총참모부에 따르면, 러시아군 사망자는 3,826명, 부상자는 17,892명, 실종자는 1,906명이다.[19] 반면, 러시아 병사 어머니 위원회는 부상병과 병사 가족들의 증언을 토대로 러시아군 사망자가 14,000명에 달한다고 추산했다.[77] 인권단체 "메모리얼"이 작성한 사망자 명단에는 4,393명의 이름이 있다.[79] 2009년 기준으로, 체첸에서 실종되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러시아 군인은 약 700명이며, 이 중 약 400명의 유해가 발견되었다.[80] 아나톨리 쿨리코프는 러시아군이 사상자 수를 은폐했다고 폭로했다.[81]체첸 측도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 체첸 반군은 3,000명의 전투원을 잃었다고 주장했지만, 러시아 측은 17,391명이 사망했다고 발표했다.[82]
터프츠 대학교의 세계 평화 재단은 민간인 사망자 수를 2만 명에서 10만 명 사이로 추정했다. 대부분의 학자와 인권 단체는 약 4만 명으로 추산하며, 인권 단체 메모리얼은 5만 명으로 추산한다.[83] 러시아 내무장관 아나톨리 쿨리코프는 2만 명 미만이라고 주장했지만,[86] 국경없는 의사회는 5만 명이 사망했다고 추산했다.[84] 세르게이 코발료프는 5만 명 이상, 알렉산더 레베드는 8만 명에서 10만 명이 사망했다고 주장했다. 체첸 측은 약 10만 명이 사망했다고 발표했다.[86] 러시아 신문 ''가제타''는 러시아군에 의해 약 3만 5천 명의 러시아계 민간인이 사망했다고 보도했다.[85]
카스바유르트 협정에 따라 양측은 포로 교환에 합의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강제 구금되었다. 1996년 기준으로 최소 139명의 체첸인이 러시아 측에 억류되어 있었다.[87] 1997년, 체첸 측은 700~1,000명의 러시아 군인을 포로로 억류하고 있었다.[87] 국제앰네스티는 1,058명의 러시아 군인이 체첸 무장 세력에 구금되어 있다고 발표했다.[88] 미국 기자 앤드류 슈맥은 1995년 그로즈니에서 실종되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89]
전쟁 중 실종자 수색에 참여한 비야체슬라프 이즈마일로프 소령은 스토커 인권 영화제에서 인권 영웅으로 선정되었다.[72] 그는 ''노바야 가제타'' 특파원으로 활동하며 안나 폴리트코프스카야 살해 사건을 조사했고,[90] 체첸 전쟁 실종자 가족들을 도왔다.[73]
1991년 소비에트 연방 붕괴 직후, 체첸은 조하르 두다예프 대통령을 선출하고 독립을 선언했다. 러시아의 보리스 옐친 대통령은 군대를 파병했지만, 체첸군의 저항으로 철수했다. 1994년, 러시아는 본격적인 군사 작전을 시작했지만, 소련 붕괴 이후 약화된 군사력과 국제 사회의 비난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체첸은 알카에다와 연계된 무자헤딘의 도움을 받아 저항했다.
1996년 옐친은 체첸 지도자들과 회담을 가졌고, 러시아군은 그로즈니를 점령했지만 조하르 두다예프가 사망했다. 8월, 양측은 휴전 조약에 서명하고 1997년 러시아군은 철수했다. 그러나 1998년 체첸 무장 세력이 다게스탄 공화국을 침공하면서 분쟁은 다시 시작되었다. 2000년 블라디미르 푸틴이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분쟁은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구문은 삭제한다.
5. 2. 국제 사회에 미친 영향
제1차 체첸 분쟁은 러시아가 새로운 국제적 기대와 전쟁 수행 방식에 대한 광범위한 비난에 직면하게 만들었다. 서구에서는 러시아의 민주 개혁 의지에 대한 의구심이 커졌는데, 이는 러시아가 민간인 피해를 야기하는 무력 사용을 정당화하려는 태도를 보였기 때문이다.[93] 예를 들어, 친서방 성향의 자유주의자로 여겨졌던 안드레이 코지레프 외무장관은 러시아의 행동에 대한 질문에 "국가의 영토 통합을 수호"하기 위해 무력을 사용할 권리와 의무가 있다고 답했다.[93]그러나 이러한 러시아 정부의 태도는 서구의 비판과는 대조적으로 러시아 국민들 사이에서는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다.[94] 국내 정치 당국의 안정과 질서 회복 주장은 국민들의 공감을 얻었고, 곧 국가 정체성의 문제로 이어졌다.
러시아 연방군의 군사 작전 중 발생한 민간인 대량 살상은 국제 사회, 특히 이슬람 국가들의 강한 비난을 불러일으켰다.[94] 이로 인해 이슬람 국가들에서 무자헤딘이라 불리는 많은 병사들이 체첸을 지원하기 위해 모여들었다.
2022년 10월 18일, 우크라이나 의회는 제1차 및 제2차 체첸 전쟁 중 발생한 "체첸인 학살"을 규탄했다.[95][96]
6. 일본어 위키백과 문서에서 언급된 내용
(일본어 위키백과 문서에서 언급된 내용이 없으므로, 아무 내용도 출력하지 않습니다.)
6. 1. 전투 구상
연방군은 물론이고, 내무부 소속 내무군과 특별임무민간경찰부대(OMON) 등에서 막대한 수의 지상군을 파병하여 체첸 전역을 일거에 장악하는 작전을 펼치려 했다. 이는 구소련 붕괴 이후에도 러시아의 군사력이 체첸 독립 세력보다 수적으로 훨씬 우세했기 때문이다.반면, 체첸 측은 전면적인 충돌은 피하고, 과거 베트남 전쟁이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서 베트콩이나 무자헤딘이 사용했던 것과 같은 게릴라전을 펼쳐, 점차 러시아 측을 지치게 만드는 작전을 펼쳤다.
6. 2. 주요 사건
1994년-1995년 그로즈니 전투에서 러시아군은 체첸 분리주의자들로부터 그로즈니 시가지를 탈환하였다.[1] 사마시키 학살(1995년 4월)에서는 러시아군에 의한 대량학살이 발생했다.[1] 1995년 6월에는 체첸 분리주의자들이 부됴놉스크 병원 인질극을 일으켰다.[1] 1996년 1월에는 체첸 분리주의자들이 키즐랴르-페르보마이스코예 인질극을 일으켰다.[1] 1996년 3월에는 그로즈니가 체첸 분리주의자들의 공격으로 3일간 포위되기도 했다.[1] 1996년 8월 그로즈니 전투에서는 체첸 분리주의자들이 그로즈니 탈환에 성공하였다.[1]6. 3. 전훈
러시아 연방군은 제1차 체첸 전쟁에서 여러 교훈을 얻었다. 러시아가 파견한 지상군 대부분은 징집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신병들이었다. 이는 구소련 붕괴로 많은 병사들이 해고되었기 때문인데, 급박한 상황에서 병력 충원이 이루어진 결과였다. 따라서 병기 등의 수적 측면에서는 유리했지만, 전력 면에서는 체첸군과 거의 동등하거나 그 이하였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항공부대와의 연계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전술적으로 매우 미숙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체첸군에는 구소련군 출신자들이 많아 러시아 측의 전술과 병기를 잘 알고 있었다.[1]공군의 Mi-24 공격헬리콥터나 Su-25 공격기 등의 항공 지원 없이 시가지에 진입한 러시아군 전차부대는 시가전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 교묘하게 배치된 체첸군 대전차 부대의 동시 공격에 거의 궤멸되었으며, 경계를 위한 보병 배치 부족도 피해를 키운 요인이었다.[1]
러시아군이 투입한 BMD-1, BMP-1, BMP-2, BTR-60, BTR-70 등의 장갑병원수송차와 보병전투차는 RPG-7, RPG-18 등의 대전차 무기에 취약하여 쉽게 파괴되었다. T-64, T-72, T-80 전차는 강력한 전차포와 복합 장갑을 갖추었지만, 지하나 건물 2, 3층에서 갑자기 나타나는 대전차 부대의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 오히려 장갑이 얇은 포탑이나 차체 상부, 연료 탱크가 집중 공격 대상이 되어 파괴되었다.[1]
이에 러시아군은 건물 2, 3층에서 공격해오는 대전차 부대에 대응하기 위해 고각 사격이 가능한 대공 기관총을 장착한 ZSU-23-4 실카와 2K22 퉁구스카 등의 자주식 대공포를 투입하여 전과를 올렸다.[1]
이러한 전훈을 바탕으로 러시아군은 게릴라전에 특화된 새로운 형태의 전투 차량인 BMP-T를 개발하게 되었다.[1]
6. 4. 관련 작품
- Грозовые ворота|스톰게이트ru (2006년, 안드레이 말류코프 감독)
- 코카서스의 포로 (1996년, 세르게이 보드로프 감독)
- Into Bear Trap영어 (2004년, Against the odds #10, Perry Moore)
참조
[1]
뉴스
TURKISH VOLUNTEERS IN CHECHNYA
http://www.jamestown[...]
2015-02-14
[2]
서적
The Chechens: A Handbook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7-12-04
[3]
Google Books
Politics of Conflict: A Survey
[4]
Google Books
Energy and Security in the Caucasus
[5]
웹사이트
Radical Ukrainian Nationalism and the War in Chechnya
https://jamestown.or[...]
2019-04-12
[6]
서적
Unholy Wars: Afghanistan, America and International Terrorism
http://content.yudu.[...]
Pluto Press
2002
[7]
서적
Chechnya Diary: A War Correspondent's Story of Surviving the War in Chechnya
https://archive.org/[...]
Thomas Dunne Books
2003
[8]
뉴스
Istanbul: Gateway to a holy war
http://edition.cnn.c[...]
2000-09-06
[9]
잡지
Grey Wolves in Syria
https://www.egypttod[...]
2017-05-11
[10]
서적
Russia's War in Chechnya 1994–2009
Osprey Publishing
[11]
웹사이트
Breaking the Conflict Trap: Civil War and Development Policy
https://openknowledg[...]
2022-09-29
[12]
웹사이트
Russian Strategy In Chechnya: a Case Study in Failure
http://www.dtic.mil/[...]
1997-04-00
[13]
뉴스
Radical Ukrainian Nationalism and the War in Chechnya
https://jamestown.or[...]
The Jamestown Foundation
2019-04-12
[14]
서적
Россия и СССР в войнах XX века. Потери вооруженных сил
Олма-Пресс
2001
[15]
서적
Россия и СССР в войнах XX века. Потери вооруженных сил
Олма-Пресс
2001
[16]
서적
Россия и СССР в войнах XX века. Потери вооруженных сил
Олма-Пресс
2001
[17]
웹사이트
Война, проигранная по собственному желанию
https://nvo.ng.ru/re[...]
2023-11-15
[18]
웹사이트
Первая чеченская война – 20 лет назад
https://web.archive.[...]
2014-12-11
[19]
웹사이트
The War in Chechnya
http://mosnews.com/m[...]
Mosnews.com
2007-02-07
[20]
뉴스
Army Learned Few Lessons From Chechnya
http://www.worldpres[...]
2005-03-09
[21]
웹사이트
The Second Chechen War
https://reliefweb.in[...]
1999-11-04
[22]
뉴스
Human Rights Violations in Chechnya
https://www.nytimes.[...]
1996-09-04
[23]
웹사이트
The Russian Army in Chechnya
http://www.crimesofw[...]
[24]
웹사이트
Book of Numbers, Book of Losses, Book of the Final Judgment
http://www.polit.ru/[...]
[25]
웹사이트
The War That Continues to Shape Russia, 25 Years Later
https://www.nytimes.[...]
2019-12-10
[26]
웹사이트
The Massive Deportation of the Chechen People: How and why Chechens were Deported
https://www.sciences[...]
2007-11-05
[27]
웹사이트
Explore Chechnya's Turbulent Past ~ 1944: Deportation | Wide Angle | PBS
https://www.pbs.org/[...]
2002-07-25
[28]
서적
The Chechen Wars: Will Russia Go the Way of the Soviet Union?
https://archive.org/[...]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9]
서적
Russia's Chechen War
RoutledgeCurzon
[30]
서적
Chechnya: Calamity in the Caucasus
https://archive.org/[...]
New York University Press
[31]
웹사이트
Первая война
https://www.kommersa[...]
2014-12-13
[32]
서적
Unity Or Separation Center-periphery Relations in the Former Soviet Union
Praeger
2002
[33]
서적
Chechnya Life in a War-Torn Socie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4
[34]
서적
Allah's Mountains: Politics and War in the Russian Caucasus
[35]
뉴스
Moscow News
1992-11-22
[36]
뉴스
Moscow News
1995-09-01
[37]
서적
Battle for Grozny, Volume 1: Prelude and the Way to the City: First Chechen War 1994
Helion Europe @ War
2023
[38]
웹사이트
The battle(s) of Grozny
http://www.bdcol.ee/[...]
[39]
웹사이트
A chain of wars, a chain of crimes, a chain of impunity: Russian wars in Chechnya, Syria and Ukraine
https://ruswars.org/[...]
2023-02-24
[40]
뉴스
Aerial Death Threat Sends Chechens Fleeing From Village: Caucasus: Russians warn they will bomb five towns near Grozny unless 50 captured paratroopers are quickly freed.
https://www.latimes.[...]
1995-01-10
[41]
논문
The Russo-Chechen War: A Threat to Stability in the Middle East and Eurasia?
https://onlinelibrar[...]
[42]
서적
Chechnya: Calamity in the Caucasus
https://archive.org/[...]
New York University Press
[43]
뉴스
BBC News – EUROPE – Chechens 'using human shields'
http://news.bbc.co.u[...]
bbc.co.uk
2008-05-29
[44]
학술지
The Battle(s) of Grozny
http://www.caucasus.[...]
[45]
뉴스
The First Bloody Battle
http://news.bbc.co.u[...]
BBC News
2000-03-16
[46]
간행물
The Russian Federation Human Rights Developments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47]
웹사이트
Alikhadzhiev interview
http://smallwarsjour[...]
2007-05-12
[48]
웹사이트
Iskhanov interview
http://smallwarsjour[...]
[49]
웹사이트
FM 3-06.11 Appendix H
http://www.inetres.c[...]
2007-03-15
[50]
웹사이트
Combat Stress in Chechnya: "The Equal Opportunity Disorder"
http://leav-www.army[...]
[51]
웹사이트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Republic of Chechnya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www1.umn.edu/[...]
United Nations
1996-03-26
[52]
뉴스
Pro-Russian Chechen Leader Survives Bombing in Capital
https://www.nytimes.[...]
1995-11-21
[53]
웹사이트
Honoring a General Who is Silenced
http://www.sptimes.r[...]
[54]
간행물
Chechnya: Election Date Postponed, Prisoner Exchange in Trouble
http://www.jamestown[...]
The Jamestown Foundation
1995-08-08
[55]
웹사이트
Mass protests in Grozny end in bloodshed
http://www.hartford-[...]
[56]
서적
The Chechen Struggle: Independence Won and Lost
PALGRAVE MACMILLAN
2010
[57]
웹사이트
Неоконченная война: история вооруженного конфликта в Чечне
https://history.wiki[...]
[58]
웹사이트
Russian fighting ceases in Chechnya; Skeptical troops comply with Yeltsin order
http://edition.cnn.c[...]
[59]
웹사이트
Yeltsin declares Russian victory over Chechnya
http://www.cnn.com/W[...]
[60]
웹사이트
History of Chechnya
http://www.waynakh.c[...]
[61]
웹사이트
czecz
http://www.memo.ru/h[...]
2006-12-13
[62]
뉴스
Lebed calls off assault on Grozny
https://web.archive.[...]
The Daily Telegraph
[63]
뉴스
Lebed promises peace in Grozny and no Russian assault
https://web.archive.[...]
CNN
2008-12-11
[64]
웹사이트
Russian Official Vows To Stop Raid
http://articles.sun-[...]
Sun Sentinel
1996-08-22
[65]
웹사이트
Russia's invasion of Chechnya: a preliminary assessment
http://www.dtic.mil/[...]
[66]
웹사이트
Human Rights Developments
https://www.hrw.org/[...]
2022-05-14
[67]
웹사이트
Grozny, August 1996. Occupation of Municipal Hospital No. 9 Memorial
http://www.memo.ru/h[...]
2007-01-08
[68]
웹사이트
Mothers' March to Grozny
https://wri-irg.org/[...]
2022-05-14
[69]
웹사이트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Republic of Chechnya of the Russian Federation – Report of the Secretary-General
https://web.archive.[...]
UNCHR
2012-02-11
[70]
웹사이트
DETAILS OF SAMASHKI MASSACRE EMERGE.
https://web.archive.[...]
The Jamestown Foundation
2007-06-25
[71]
서적
The Oath A Surgeon Under Fire
https://archive.org/[...]
Bloomsbury Publishing USA
[72]
웹사이트
The Jury Prize of the Stalker Festival was awarded to a film about Major Izmailov
https://247newsbulle[...]
2021-12-17
[73]
간행물
Can Russia's Press Ever Be Free?
https://www.newyorke[...]
2021-11-12
[74]
웹사이트
July archive
http://psi.ece.jhu.e[...]
[75]
웹사이트
Army demoralized
http://www.nupi.no/c[...]
[76]
웹사이트
Mintimer Shaimiev: "Stop the Civil War". The first Chechen war and the reaction of the authorities of Tatarstan
https://www.idelreal[...]
2022-11-10
[77]
웹사이트
Casualty Figures
http://www.cdi.org/r[...]
Jamestown Foundation
[78]
웹사이트
hrvc.net
http://www.hrvc.net/[...]
[79]
웹사이트
Неизвестный солдат кавказской войны
http://www.memo.ru/h[...]
[80]
웹사이트
700 Russian servicemen missing in Chechnya – officer
https://groups.yahoo[...]
[81]
웹사이트
So 500 people or 9 thousand? We tell you how many people Russia lost in past wars and what numbers they called
https://news.zerkalo[...]
2022-06-06
[82]
서적
Россия и СССР в войнах XX века. Потери вооруженных сил
Олма-Пресс
2001
[83]
웹사이트
Russia: Chechen war – Mass Atrocity Endings
https://sites.tufts.[...]
2020-09-08
[84]
서적
War crimes and politics of terror in Chechnya 1994–2004
https://www.msf.org/[...]
Médecins Sans Frontières
[85]
웹사이트
Do Ethnic Russians Support Putin's War in Chechnya?
http://jamestown.org[...]
The Jamestown Foundation
2005-01-26
[86]
웹사이트
Civil and military casualties of the wars in Chechnya
http://www.hrvc.net/[...]
[87]
웹사이트
RUSSIA / CHECHNYA
https://www.hrw.org/[...]
[88]
웹사이트
AI Report 1998: Russian Federation
https://web.archive.[...]
[89]
뉴스
Journalists Missing 1982–2009
http://www.refworld.[...]
[90]
학술지
Vyacheslav Izmailov: we know who ordered Anna Politkovskaya's murder
https://jamestown.or[...]
2007-05-31
[91]
웹사이트
Account Suspended
http://www.worldaffa[...]
2004-05-07
[92]
웹사이트
F&P RFE/RL Archive
http://www.friends-p[...]
2006-12-07
[93]
논문
Russian Greatpowerness: Foreign policy, the Two Chechen Wars and International Organisations
2014
[94]
논문
Cfsp into the Spotlight: The European Union's Foreign Policy toward Russia during the Chechen Wars
[95]
뉴스
Ukraine's parliament declares the Chechen Republic of Ichkeria 'temporarily occupied by Russia' and condemns 'genocide of Chechens'
https://novayagazeta[...]
2022-10-18
[96]
뉴스
Ukraine's parliament declares 'Chechen Republic of Ichkeria' Russian-occupied territory
https://meduza.io/en[...]
2022-10-18
[97]
웹사이트
TURKISH VOLUNTEERS IN CHECHNYA
http://www.jamestown[...]
[98]
서적
The Chechens: A Handbook
[99]
서적
Politics of Conflict: A Survey
[100]
서적
Energy and Security in the Caucasus
[101]
웹사이트
The Chechens
https://books.google[...]
2016-05-30
[102]
웹사이트
null
https://sites.google[...]
[103]
웹사이트
null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