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리 (심리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리(심리학)는 정서 표현 및 공감 능력 저하, 정서적 연결의 어려움, 불안 및 스트레스 증가, 대인 관계 문제, 주의력 결핍, 기억력 문제 등의 징후를 보이는 심리적 상태이다. 심리적 외상, 특정 항우울제 장기 복용, 조현병, 뇌졸중, 섭식 장애, 사별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옥스퍼드 우울증 설문지(ODQ)와 같은 진단 척도를 통해 평가할 수 있다.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며, 약물 치료, 심리 치료, 몸-마음챙김, 예술 활동 등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정서적 분리는 때로는 조작적 대처 기제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해리, 정서 마비로 이어질 수 있으며, 극단적인 경우 잔인한 행동을 유발할 수도 있다. 사회적으로는 개인의 고립, 사회적 단절, 정신 건강 문제 심화와 관련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지, 지각, 정서상태 및 행위에 관련된 증상 및 징후 - 공격성
공격성은 적대적, 포식, 목적 지향적 등 다양한 종류로 나뉘며,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문화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개인의 발달 과정과 사회적 문제에 영향을 미친다. - 인지, 지각, 정서상태 및 행위에 관련된 증상 및 징후 - 반향어
반향어는 타인의 말이나 소리를 반복하는 현상으로, 직접 반향어와 지연 반향어로 나뉘며, 발달 장애 아동에게서 흔히 관찰되지만 다양한 신경학적 장애에서도 나타날 수 있고, 의사소통 기능 및 언어 학습 촉진의 긍정적 기능도 가진다. - 이상심리학 - 망상
망상은 비합리적이고 비현실적인 내용을 확고하게 믿는 정신 질환의 증상으로, 뇌 기능 장애,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원인이 되어 조현병, 망상장애 등에서 나타나며, 정신 상태 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항정신병 약물, 인지 행동 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 이상심리학 - 식사장애
식사장애는 체중, 체형, 음식 섭취에 대한 과도한 집착과 비정상적인 식사 행동을 보이는 정신 질환으로,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폭식증, 폭식 장애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유전적, 심리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고 심각한 합병증과 높은 사망률을 유발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 감정 - 공포
공포는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강렬한 감정으로, 신체적 반응과 행동 변화를 동반하며, 뇌의 편도체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학습과 경험을 통해 형성되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치료가 가능하다. - 감정 - 지루함
지루함은 단조로운 환경 인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무관심과 집중력 저하를 동반하는 불쾌한 감정으로, 심리학, 철학, 직장, 대중문화,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는 복합적인 현상이다.
분리 (심리학) | |
---|---|
정의 | |
설명 | 감정적 연결에 대한 무능력 및/또는 무관심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감정 표현 감소 |
2. 징후와 증상
정서적 분리는 다른 정신 질환 증상에 비해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24][4] 정서 표현 및 공감 능력 저하, 정서적 연결 형성의 어려움[24][4], 불안 장애 및 스트레스 장애 위험 증가[4], 대인 관계 형성 및 유지의 어려움[24][4], 주의력 결핍, 기억력 문제, 심한 경우 기억상실(amnesia)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24][4] 몇몇 경우, 자기애성 인격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와 관련될 가능성도 제기된다.[24][5]
분리(심리학)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개인마다 그 원인이 다를 수 있다.
일부 우울증 심각도 척도는 정서적 둔마 수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지만, 많은 증상이 적절하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9]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로는 정서적 둔마 증상의 전체 평가를 위해 특별히 고안된 척도인 옥스퍼드 우울증 설문지(ODQ)가 있다. ODQ는 개별적인 정서적 둔마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주요 우울 장애(MDD) 환자를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다. 또 다른 척도인 옥스퍼드 항우울제 정서적 부작용 설문지(OQESA)는 질적 방법을 사용하여 개발되었다.[6]
정서적 분리의 치료는 발생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25] 우울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경계선 성격장애 등 다른 질환으로 인한 경우, 해당 질환을 먼저 치료해야 한다.[25] 약물 치료와 심리 치료는 이러한 질환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25] 정서적 문제가 트라우마의 결과라면 심리 치료, 대화 요법 등을 통해 학대의 영향을 극복하고, 과거의 경험과 불안을 처리하는 새로운 방법을 배울 수 있다.[25]
4~12세 아동의 경우, 공격성과 반사회적 행동이 정서적 분리의 초기 징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7] 병원 불안 및 우울 척도(HADS)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남성 우울증 환자에게서 정서적 둔마가 더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6]
소량의 정서적 분리는 정상적인 행동으로, 일상적인 기능 수행 능력을 손상시킬 때 문제가 된다.[8]
3. 원인
생애 초기 경험하는 심리적 외상은 분리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아동기 역경으로 신체적, 성적, 정신적 학대와 같은 학대나 방임적 환경에서 자란 아이는 부적응적 대처 기제로 정서적 분리를 경험할 수 있다.[10][11] 성인이 된 후 겪는 전쟁, 자동차 사고 등과 같은 심리적 외상 또한 정서적 분리를 유발할 수 있다.[10][11]
특정 항우울제의 장기 복용도 정서적 둔마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s)는 주요 우울 장애(MDD) 및 다른 정신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데, 장기간 복용하거나 여러 종류의 SSRI를 차례대로 복용하면 정서적 둔마가 발생할 수 있다.[12][13] MDD 환자는 정서적 둔마를 겪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MDD의 증상 중 하나로 간주된다.[9][6] 우울증은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 경험과 음의 상관 관계를 갖는다.[14]
조현병은 음성 증상, 추체외로 증상(EPS), 우울증과 함께 나타나며, 정서적 둔마와 관련될 수 있다.[15] 조현병 환자는 정서적 경험 및 표현이 적고, 타인의 정서적 경험 및 표현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16]
좌측 반구 기저핵 뇌졸중(LBG 뇌졸중) 후유증으로 인한 우울증과 관련된 변연계 활동 변화는 정서적 둔마의 원인이 될 수 있다.[14] LBG 뇌졸중은 기저핵(BG) 장애를 유발하여 환자의 정서적 인식과 경험을 변화시킨다.
섭식 장애(ED) 환자에게서 정서적 분리 징후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섭식장애 자체가 부적응적인 대처 기제이며, 섭식 장애의 영향에 대처하기 위해 정서적 분리에 의존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17]
사별, 사랑하는 사람의 상실 또한 정서적 분리를 유발할 수 있다.[17]
정서적 무감각의 유병률은 완전히 알려져 있지 않다.[6]
4. 진단 척도
5. 치료
다음은 정서적 분리 치료에 도움이 되는 활동들이다.[26]
6. 행동 기제
정서적 분리는 높은 수준의 정서 개입이 필요한 상황에서 침착하게 반응하도록 돕는 조작적 대처 기제가 될 수 있다.[18] 이러한 분리는 개인적, 사회적 이유로 정서적 연결을 자발적으로 피하고, 자신의 경계를 유지하며, 정서적 요구와 관련된 타인으로부터의 원치 않는 영향을 피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반드시 공감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공감으로 인해 압도되거나 조종당하지 않도록 이성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한다.[18] 긍정적인 의미의 분리는 까다로운 동료나 친척과의 관계에서 감정적 개입을 피하는 등 정서적 경계 관리에 활용될 수 있다.[18]
정서적 분리는 해리, 이인증, 이인증성 장애와 같은 정서 마비, 정서 둔마로 이어질 수 있다.[18][19] 정서 마비는 학대나 방임과 같은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에 대한 생존 기술로 사용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 시 일상 스트레스에 대한 습관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20]
극단적인 경우, 정서적 분리는 고문, 학대, 따돌림, 부모의 소외와 같은 잔인한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21]
7. 사회적 관점
버지니아 울프는 소설 『댈러웨이 부인』에서 참전 용사 셉티무스 워렌 스미스를 통해 정서적 분리 장애를 묘사했다. 셉티무스 워렌 스미스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해리 증상을 겪고 있는데, 버지니아 울프는 이러한 장애의 전형적인 증상을 상세하게 포착하여 기술했다.
대한민국 사회에서 정서적 분리는 개인의 고립, 사회적 단절, 정신 건강 문제 심화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정신 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예: 정신 건강 서비스 접근성 강화, 심리 상담 지원 확대)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정서적 분리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 한국 사회의 특성 (예: 경쟁 사회, 집단주의 문화)은 정서적 분리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해결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중도진보적 관점에서 정서적 분리 문제는 개인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고, 사회적 지지 체계 강화, 공동체 회복, 정신 건강 서비스 접근성 확대 등 포괄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참조
[1]
서적
Edvard Munch: The Life of a Perso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as Seen Through His Art
Lundbeck Pharma A/S
[2]
논문
Edvard Munch
https://www.jstor.or[...]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
사전
Emotion-focused coping
[4]
웹사이트
Emotional detachment: Symptoms, causes, and treatment
https://www.medicaln[...]
2020-05-27
[5]
서적
Humanizing the Narcissistic Style
https://archive.org/[...]
Norton and Co.
[6]
논문
Emotional blunting with antidepressant treatments: A survey among depressed patients
https://ora.ox.ac.uk[...]
Elsevier BV
2021-11-20
[7]
논문
Social and emotional detachment: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the non-disruptive behavioural psychopathic traits in children
http://doi.wiley.com[...]
2009
[8]
논문
Being mindful at work and at home: Buffering effects in the stressor-detachment model
http://dx.doi.org/10[...]
2018-01-07
[9]
논문
Validation of the Oxford Depression Questionnaire: Sensitivity to change, minimal clinically important difference, and response threshold for the assessment of emotional blunting
2021-11
[10]
서적
Chapter The Theory of Trauma-Related Structural Dissociation of the Personality
https://lirias.kuleu[...]
Routledge
2010-11-01
[11]
서적
Ostracism, Consequences and Coping
Purdue University
[12]
논문
Diminished Neural Processing of Aversive and Rewarding Stimuli During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Treatment
2010
[13]
웹사이트
Emotional blunting: unresolved MDD symptom or effect of treatment?
https://progress.im/[...]
2019-09-10
[14]
논문
Emotional blunting following left basal ganglia stroke: The role of depression and fronto-limbic functional alterations
2013-02-28
[15]
논문
Depression, Emotional Blunting, and Akinesia in Schizophrenia: Overlap and Differentiation
https://www.jstor.or[...]
2002
[16]
논문
Emotion dysregulation in schizophrenia: Reduced amplification of emotional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emotional blunting
https://www.scienced[...]
2007-09-01
[17]
논문
Stuffing down feelings: Bereavement, anxiety and emotional detachment in the life stories of people with eating disorders
2020-05
[18]
논문
Posttrauma numbing of fear, detachment, and arousal predict delinquent behaviors in early adolescence
https://www.research[...]
2011
[19]
논문
Depersonalization disorder: Disconnection of cognitive evaluation from autonomic responses to emotional stimuli
2013-09-13
[20]
논문
"Sudden Holes in Space and Time": Trauma, Dissociation, and the Precariousness of Everyday Life
http://www.tandfonli[...]
2013-09
[21]
서적
Emotional Dissociation in Response to Trauma
https://doi.org/10.1[...]
Springer US
2021-03-22
[22]
서적
Edvard Munch: The Life of a Perso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as Seen Through His Art
Lundbeck Pharma A/S
[23]
논문
Edvard Munch
https://www.jstor.or[...]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4]
문서
Emotional Detachment: What It Is and How to Overcome it
https://www.healthli[...]
2019-09-03
[25]
문서
Emotional Detachment: What It Is and How to Overcome it
https://www.healthli[...]
2019-09-03
[26]
문서
What Is Emotional Detachment Disorder, And How Can It Be Treated?
https://www.regain.u[...]
2020-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