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는 뇌에서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세로토닌의 농도를 높이는 항우울제의 일종이다. 주요 우울증, 불안 장애, 강박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 다양한 정신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SSRI는 작용 기전 외에 시그마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로서의 역할도 하며, 항염증 효과를 보이기도 한다. 부작용으로는 성기능 장애, 감정 둔마, 청소년 자살 위험 증가 등이 있으며, 다른 약물과의 상호 작용 및 갑작스러운 중단 시 나타나는 중단 증후군에도 유의해야 한다. 플루옥세틴, 파록세틴, 설트랄린 등이 대표적인 SSRI이며, 1980년대 후반부터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사회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 |
---|---|
약물 정보 | |
용도 | 주요 우울 장애, 불안 장애 |
MeSH ID | D017367 |
ATC 코드 | N06AB |
Drugs.com | SSRI 항우울제 |
생물학적 표적 | 세로토닌 수송체 |
작용 기전 | |
주요 작용 |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 |
약물 분류 | |
종류 | 시탈로프람 에스시탈로프람 플루옥세틴 플루복사민 파록세틴 설트랄린 |
주의사항 | |
부작용 | 성기능 장애 위장 장애 불안 불면증 |
금기 사항 | MAO 억제제와의 병용 |
관련 정보 | |
다른 이름 | 세로토닌 특정 재흡수 억제제, 세로토닌성 항우울제 |
2. 작용 기전
뇌에서 정보는 신경 세포 사이의 작은 간극인 화학적 시냅스를 통해 다른 세포로 전달된다. 정보를 보내는 전 시냅스 세포는 세로토닌을 포함한 신경 전달 물질을 그 간극으로 방출한다. 신경 전달 물질은 수신 후 시냅스 세포 표면의 수용체에 의해 인식되며, 이러한 자극에 따라 신호를 중계한다. 이 과정에서 신경 전달 물질의 약 10%가 손실되고, 나머지 90%는 수용체에서 방출되어 모노아민 수송체에 의해 전 시냅스 세포로 다시 흡수되는데, 이를 ''재흡수''라고 한다.
SSRI는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억제한다. 결과적으로 세로토닌은 평소보다 더 오랫동안 시냅스 간극에 머물게 되며, 수용 세포의 수용체를 반복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단기적으로 이것은 세로토닌이 주요 신경 전달 물질로 작용하는 시냅스에서 신호 전달의 증가로 이어진다. 만성 투여 시, 후 시냅스 세로토닌 수용체의 점유율 증가는 전 시냅스 뉴런에 세로토닌을 덜 합성하고 방출하도록 신호를 보낸다. 시냅스 내의 세로토닌 수치가 하락했다가 다시 상승하여, 궁극적으로 후 시냅스 세로토닌 수용체의 하향 조절을 유발한다.[176] 다른 간접적인 영향으로는 노르에피네프린 출력 증가, 뉴런 사이클릭 AMP 수치 증가, BDNF 및 CREB와 같은 조절 인자 수치 증가 등이 있을 수 있다.[177]
SSRI가 세로토닌 혈중 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수 주가 걸려야 효과가 나타나며, 이는 SSRI의 정신과적 효과가 천천히 나타나는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178] SSRI는 뇌 내 전체 세로토닌 수송체의 높은 점유율과 치료 농도에서 대뇌의 큰 영역에 걸쳐 일어나는 느린 하위 변화를 통해 주로 작용을 매개하는 반면, MDMA는 단기적으로 과도한 세로토닌 방출을 유발한다.
약물 | SERT | σ1 | σ2 | σ1 / SERT | |
---|---|---|---|---|---|
시탈로프람 | 1.16 | 292–404 | 작용제 | 5,410 | 252–348 |
에스시탈로프람 | 2.5 | 288 | 작용제 | ||
플루옥세틴 | 0.81 | 191–240 | 작용제 | 16,100 | 296–365 |
플루복사민 | 2.2 | 17–36 | 작용제 | 8,439 | 7.7–16.4 |
파록세틴 | 0.13 | ≥1,893 | 22,870 | ≥14,562 | |
설트랄린 | 0.29 | 32–57 | 길항제 | 5,297 | 110–197 |
값은 Ki (nM)입니다. 값이 작을수록 약물이 해당 부위에 더 강력하게 결합합니다. |
SSRI는 주요 우울증, 사회 불안 장애, 범불안 장애, 공황 장애, 강박 장애(OCD), 섭식 장애, 만성 통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이인증-현실감 장애 등 다양한 정신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8] 다만, 이인증-현실감 장애 치료 결과는 다양하다.[8]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로서의 작용 외에도 일부 SSRI는 시그마 수용체의 리간드이다.[180][181] 플루복사민은 σ1 수용체의 작용제이며, 설트랄린은 σ1 수용체의 수용체 길항제이며, 파록세틴은 σ1 수용체와 유의미하게 상호작용하지 않는다.[180][181] SSRI 중 어느 것도 σ2 수용체에 유의미한 친화성을 갖지 않는다.[180][181] 플루복사민은 σ1 수용체에서 SSRI 중 가장 강력한 활성을 나타낸다.[180][181]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술 (PET) 연구에서 플루복사민의 임상 용량에 의한 σ1 수용체의 높은 점유율이 인간 뇌에서 관찰되었다.[180][181] 플루복사민에 의한 σ1 수용체의 작용은 인지에 유익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된다.[180][181]
SSRI는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케모카인 수치를 감소시키고, 인터루킨(IL)-6 수치를 감소시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183][187] 또한, IL-1β, 종양 괴사 인자(TNF)-α, IL-6 및 인터페론(IFN)-γ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감소시켜 염증 수치를 낮추고 면역 반응 활성화를 줄인다.[188]
SSRI는 미세아교세포를 활성화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을 억제하여 말초 염증과 신경 염증을 감소시킨다. 또한, IL-10과 같은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상향 조절하여 전반적인 염증성 면역 반응을 감소시킨다.[188][189]
SSRI는 T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 자멸사를 유도하며, 단백질 키나아제 A (PKA) 활성화를 방해하고 칼슘 이온 채널을 방해하거나 MAPK[190] 및 Notch 신호 전달 경로와 같은 세포 사멸 경로를 유도하는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191]
SSRI의 항염증 효과는 다발성 경화증, RA, 염증성 장 질환 및 패혈성 쇼크와 같은 자가 면역 질환 치료와 종양 치료 환자의 진통제로 연구되었다.[189][190]
시냅스 전 뉴런에서 방출된 신경전달물질 세로토닌은 시냅스 후 뉴런에 있는 세로토닌 수용체에 작용한다. 시냅스 간극에 모인 세로토닌은 세로토닌 수송체에 의해 재흡수되어 재이용된다. 우울 상태에 있는 사람은 시냅스에서의 세로토닌 농도가 저하되어 세로토닌 수용체에 세로토닌이 작용하기 어려운 상태라는 가설 (모노아민 가설)이 있다. SSRI는 세로토닌을 방출하는 시냅스의 세로토닌 수송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세로토닌 재흡수를 억제한다.
3. 의료 용도
우울증 치료제인 SSRI는 경증에서 중등도 우울증에는 위약 대비 효과가 미미하거나 거의 없지만, 중증 우울증에서는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인다.[218][220] 2012년 일본 우울증 학회 진료 가이드라인에서는 경증 우울증에 대해 항우울제가 반드시 첫 번째 선택은 아니라고 명시하고 있다.
캐나다에서는 성인 강박 장애(OCD)의 1차 치료법으로 SSRI를 사용한다.[26] 영국에서는 기능 장애가 중간에서 심각한 경우에만 1차 치료법으로, 경미한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는 2차 치료법으로 사용한다.[26] 소아의 경우, 정신과적 부작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중간에서 심각한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 2차 치료법으로 고려할 수 있다.[27] 플루복사민은 OCD에 대해 FDA 승인을 받은 최초의 약물로, 강박 장애 치료에 효과적이며, SSRI 치료 환자는 위약 치료 환자에 비해 치료 반응 가능성이 약 2배 높다.[28][29]
SSRI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치료에도 쓰이지만 효과는 제한적이다.[24] 신경성 식욕 부진증이나 폭식 장애와 같은 섭식 장애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36][37] 조루 치료에도 효과적이다.[40] 뇌졸중 환자 치료에 적응 외로 사용되기도 하고,[39] 세르트랄린 등은 분노 감소에도 효과적이다.[43]
3. 1. 우울증
영국 국립보건임상연구원(NICE)은 항우울제를 심각한 우울증의 1차 치료제 및 인지 행동 치료와 같은 보수적인 조치 후에도 지속되는 경도 내지 중등도 우울증 치료제로 권장한다.[9] 만성적인 건강 문제와 가벼운 우울증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일상적인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9]
SSRI의 효과는 우울증의 심각성과 지속 기간에 따라 논란이 있어 왔다.
우울증을 앓는 어린이에게 SSRI를 사용하는 것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2021년 코크란(Cochrane) 리뷰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경우 SSRI가 "위약에 비해 우울증 증상을 작고 중요하지 않은 방식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20] 그러나 효능에 대한 확정적인 결론을 도출하기 어렵게 만드는 상당한 방법론적 한계도 지적했다. 플루옥세틴은 영국에서 중등도에서 중증 우울증을 앓는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된 유일한 SSRI이다.[21]
두 건의 임상 시험 메타 분석에 따르면 우울증 사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증에서 중등도 우울증에 대한 위약 대비 SSRI의 효과는 미미하거나 전혀 없는 반면, 중증 우울증에서의 SSRI 효과는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218][220] 2세대 항우울제는 유효성과 무효성이 동등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219]
3. 2. 불안 장애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는 사회 불안 장애, 범불안 장애, 공황 장애 등 여러 불안 장애에 자주 처방된다.[8]
사회 불안 장애의 경우, 일부 SSRI가 효과적이지만 증상 완화 효과가 항상 강력하지는 않으며, 심리 치료를 선호하여 사용을 거부하는 경우도 있다. 파록세틴은 사회 불안 장애 치료제로 처음 승인된 약물이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설트랄린과 플루복사민도 이후 사회 불안 장애 치료제로 승인되었다. 에스시탈로프람과 시탈로프람은 허가 외 사용으로 효과를 보이지만, 플루옥세틴은 효과가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22]
국립보건임상연구원(NICE)은 교육 및 자가 관리 등의 방법으로도 호전되지 않는 범불안장애(GAD) 환자에게 SSRI 사용을 권장한다. 범불안장애는 여러 사건에 대해 과도하게 걱정하는 것이 주된 특징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여러 사건 및 문제에 대한 과도한 불안, 걱정스러운 생각을 통제하기 어려움 등이 있으며,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된다. 항우울제는 범불안장애에서 불안을 완만하게 또는 적당하게 감소시키며, 위약보다 효과적이다.[25]
파록세틴 CR은 1차 결과 지표에서 위약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10주간의 무작위 대조, 이중 맹검 시험에서 에스시탈로프람은 위약보다 더 효과적이었다.[33] 또 다른 SSRI인 플루복사민도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34]
3. 3. 강박 장애
캐나다에서 SSRI는 성인 강박 장애(OCD)의 1차 치료법이다. 영국에서는 기능 장애가 중간에서 심각한 경우에만 1차 치료법으로 사용되며, 경미한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는 2차 치료법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2019년 초 현재 이 권고는 재검토 중이다.[26] 소아의 경우, SSRI는 정신과적 부작용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함께 중간에서 심각한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 2차 치료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27] 플루복사민은 OCD에 대해 FDA 승인을 받은 최초의 약물로, 강박 장애 치료에 효과적이다. SSRI로 치료받은 환자는 위약으로 치료받은 환자에 비해 치료에 반응할 가능성이 약 2배 더 높다.[28][29] 효과는 6~24주 단기 치료 시험과 28~52주 중단 시험에서 모두 입증되었다.[30][31][32]
3. 4. 기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치료에 쓰이기도 하지만, 효과는 제한적이다. 파록세틴과 설트랄린 두 가지 SSRI만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으며, 파록세틴이 설트랄린보다 반응 및 관해율이 약간 더 높지만, 두 약물 모두 모든 환자에게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24] 플루옥세틴은 허가 외 사용되지만 결과가 엇갈린다.
신경성 식욕 부진증이나 폭식 장애와 같은 섭식 장애 치료에도 SSRI가 사용될 수 있다. 신경성 식욕 부진증의 경우, 자가 관리 프로그램의 대안 또는 추가적인 단계로 항우울제가 권장되며, SSRI(특히 플루옥세틴)가 다른 항우울제보다 선호된다.[36] 폭식 장애의 경우, SSRI는 폭식 행동을 단기적으로 감소시키지만, 체중 감소와는 관련이 없다.[37] 그러나 임상 시험에서는 신경성 식욕 부진증 치료에 SSRI 사용에 대한 부정적인 결과가 주로 나타났으며,[38] 영국 국립 보건 임상 연구소는 이 질환에 SSRI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36]
조루 치료에는 SSRI가 효과적이며, 매일 복용하는 것이 성관계 전에 복용하는 것보다 효과적이다.[40] 이는 SSRI의 치료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몇 주가 걸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41]
뇌졸중 환자 치료에 SSRI가 적응 외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2021년 메타 분석 결과 뇌졸중 후 회복 촉진을 위한 일상적인 사용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39]
세르트랄린과 같은 SSRI는 분노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43]
4. 문제점
SSRI는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청소년의 자살 위험 증가와 관련하여 논란이 있다. 흔히 나타나는 부작용으로는 성기능 장애, 감정 둔화, 녹내장 등이 보고되며, 그 빈도나 신뢰성은 개인에 따라 다르다.[229] 임산부에게는 위험성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신중한 투약이 필요하며, 양극성 장애 환자는 조증이 유발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SSRI는 갑자기 중단하면 중단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몇 주에 걸쳐 서서히 감량해야 한다. 갑작스러운 중단은 현기증, 두통, 환청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활성화 증후군으로 인해 불안, 초조, 충동성, 불면, 자살 시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2000년대 후반, SSRI 효과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지면서 "위약보다는 효과가 있지만, 기존에 알려진 만큼은 아니다"라는 평가가 나왔다.[230] SSRI에 대한 반응은 개인차가 커서, 우울 증상이 개선되는 경우도 있지만 악화되는 경우도 있다.[231]
4. 1. 부작용 및 위험성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는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며, 그 빈도와 신뢰성은 개인 및 약물에 따라 차이가 있다.주요 부작용:
- 성기능 장애: 무쾌감증, 발기 부전, 성욕 감소, 생식기 무감각, 성적 무쾌감증(쾌감이 없는 오르가즘) 등이 흔하게 나타난다.[48] 저조한 성 기능은 약물 복용 중단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이다.[50]
- 기전: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신경학적 효과, 뇌 시스템 영향, 말초 조직 및 장기 영향, 호르몬 영향 등이 관련될 수 있다.[51]
- 관리: 실데나필 (PDE5 억제제) 추가 (발기 부전), 부프로피온 추가/변경 (성욕 감소), 네파조돈 변경 (전반적 성 기능 장애) 등의 전략이 있다.[52] 부스피론이 오프 라벨(off-label)로 사용되기도 한다.[53][54][55]
- 사후-SSRI 성기능 장애(PSSD): 약물 중단 후에도 성기능 장애가 지속되는 경우로, 진단 기준은 아직 합의되지 않았다.[62] 증상은 피나스테라이드 후 증후군(PFS), 레티노이드 후 성기능 장애(PRSD)와 유사하다.[66] 유럽 의약품청(EMA)과 캐나다 보건부는 지속적 성기능 장애 위험 정보를 포함하도록 권고했다.[72][73]
- 정서적 둔마: 긍정적/부정적 감정 강도 감소, 무관심, 심리적 무관심, 무동기 증후군 등이 나타날 수 있다.[76][77] 고용량에서 더 흔하며, 용량 감소, 약물 중단, 다른 항우울제로의 전환 등으로 완화될 수 있다.[77]
- 소화기계 문제: 식욕 부진이나 증가, 체중 증가 또는 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
- 출혈 위험 증가: 혈소판 세로토닌 수치 감소로 인해 비정상적 출혈 위험이 증가한다.[93] 항응고제(와파린), 항혈소판제(아스피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NSAIDs) 복용자, 간 질환자 등에게서 위험이 더 크다.[100] 두개내 출혈 위험은 증가하지만, 절대적 위험은 매우 낮다.[97]
- 세로토닌 증후군: SSRI를 포함한 2가지 이상 세로토닌성 약물 사용 시 발생하며, 경미한 증상부터 치명적인 증상까지 다양하다.[111]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MAOI)와 병용 시 치명적일 수 있다.
- 기타:
- 정좌불능증[44][45][46][47]
- 급성 폐쇄각 녹내장[81][82]
- 관상동맥 심장 질환 (기존 질환 없는 경우 영향 없음)[83]
- 약물 유발 QT 연장 (시탈로프람, 에스시탈로프람 최대 용량 감소)[86][87][88]
- 승모판 역류 (SSRI가 5-HTTLPR 유전자형 개인의 퇴행성 승모판 역류(DMR) 진행 가속화 가능성)[90][91][92]
- 골밀도 감소 및 골절 위험 증가 (장기간 사용 시, 비스포스포네이트 보조 요법에도 지속)[101][102][103][104][105]
- 이갈이 (SSRI/SNRI 유발 턱 통증/경련, 부스피론 치료 가능)[108][109][110]
- 전두엽 유사 증후군(장기 복용 시 무기력, 피로감 등)[238]
임신 중 사용:
- 자연 유산, 조산 위험 증가[134][135][136]
- 주요 기형 위험 소폭 증가, 심혈관 기형 위험은 차이 없음[138][139]
- 신생아 금단 증후군, 지속성 폐 고혈압 등[144][145][146]
-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위험 증가 가능성[149] (연구 결과 불일치[150][151])
양극성 장애 환자: 경조증/조증, 혼합 상태, 빠른 순환 유발 가능성[152] (단일 요법 시 위험 증가)[153][154]
SSRI 중단 증후군: 갑작스러운 복용 중단 시 발생하며, 메스꺼움, 두통, 현기증, 오한, 전신 통증, 불면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174][175] 파록세틴에서 더 흔하며, 플루옥세틴은 덜하다.
소아 및 청소년: 자살 위험 증가 가능성[20] (플루옥세틴만 영국에서 승인)[21]
과다 복용: 삼환계 항우울제보다 안전하지만, 세로토닌 증후군, 혼수, 발작, 심장 독성 등 유발 가능[169][170][171][172]
4. 2. 청소년 자살 위험
SSRI는 아동 및 청소년의 자살 행동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15][116][117] 2004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주요 우울증을 앓고 있는 아동에 대한 임상 시험 분석 결과, "가능한 자살 사고 및 자살 행동" 위험이 약 80% 증가했으며, 흥분 및 적대감 위험은 약 130% 증가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118] FDA에 따르면, 자살 경향 위험 증가는 치료 후 1~2개월 이내에 발생한다.[119][120][121] 영국 국립 보건 임상 연구원(NICE)은 과도한 위험이 "치료 초기 단계"에 있다고 본다.[122]최근 플루옥세틴 투여 아동 및 청소년의 공격성 및 적대감을 위약과 비교한 결과, 플루옥세틴 그룹과 위약 그룹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123] 또한, SSRI 처방률이 높을수록 아동의 자살률이 낮아진다는 증거도 있지만, 이 증거는 상관 관계이므로 관계의 실제 특성은 불분명하다.[124]
2004년, 영국의 의약품 및 건강 관리 제품 규제 기관(MHRA)은 플루옥세틴(Prozac)을 우울증 아동에게 유리한 위험-편익 분석을 제공하는 유일한 항우울제로 판단했지만, 자해 및 자살 사고 위험이 약간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125]
18세 이하의 청소년에게 투여하는 경우에는 자살 염려, 자살 시도, 흉폭화의 증가가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작용은 SSRI의 적응증인 우울증이나 불안 장애 등의 병태의 진전과의 구별이 어렵기 때문에 그 인식이 늦었지만, 위약(가짜 약)을 대조로 사용하는 무작위 비교 임상 시험 성적에서 그 존재가 명확해졌다.[235]
2009년, 위약 효과를 연구하는 헐 대학교의 어빙 커쉬 박사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2006년의 최신 데이터 분석에서 "플라시보에 비해, SSRI는 24세까지의 우울증 환자의 자살 지향이나 자살 행동의 위험을 2배로 높인다"고 결론을 내렸다고 언급했다. 24세 이상도 같을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이 데이터 분석에서는 아직 결론이 나오지 않았다.[236] 그러나 미국에서는 FDA의 경고 이후에 청소년의 자살 사망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FDA 경고의 결과, 청소년의 항우울제 치료가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자살자가 늘었다면 오히려 문제이다.[237]
이러한 배경에서, 특히 청소년의 경우 SSRI 처방에 더욱 신중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커지고 있다.
4. 3. 기타 논란
SSRI의 장기 복용은 전두엽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미국의 정신과 의사 J. Zajecka는 SSRI를 장기간 사용했을 경우, 무기력, 무관심, 피로감, 정신적으로 둔한 느낌이 남는 상태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증상은 SSRI의 장기간 사용으로 전두엽이나 뇌간의 노르아드레날린 및 도파민 활성이 저하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38]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처방 변경이 권장된다. 설트랄린은 약한 도파민 재흡수 억제 작용도 동반하기 때문에 전두엽 유사 증후군은 일어나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지만, 개인차가 존재한다.[231]제약 회사의 과장 광고 및 질병 마케팅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항우울제에 대한 185개의 메타 분석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연구 저자의 79%가 제약 회사와 어떤 식으로든 관련이 있었고 항우울제에 대한 주의 사항 보고를 꺼렸다.[206]
5. 상호 작용
SSRIs는 항응고제인 와파린, 항혈소판제인 아스피린과 상호작용을 하며, 위장관 출혈 및 수술 후 출혈 위험을 증가시킨다.[94][2][95][96] 두개내 출혈의 상대적 위험은 증가하지만, 절대적 위험은 매우 낮다.[97] SSRIs는 혈소판 기능 장애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8][99] 이러한 위험은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NSAIDs)를 복용하는 사람, 간경변증이나 간부전과 같은 기저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 더 크다.[100]
다음 약물은 SSRI를 복용하는 사람에게 세로토닌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156][157]
- 리네졸리드
-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 (MAOI): 모클로베미드, 페넬진, 트라닐시프로민, 셀레길린, 메틸렌 블루 포함
- 리튬
- 시부트라민
- MDMA (엑스터시)
- 덱스트로메토르판
- 트라마돌
- 5-HTP
- 페티딘/메페리딘
- 세인트 존스 워트
- 요힘빈
- 삼환계 항우울제 (TCA)
-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SNRI)
- 부스피론
- 트립탄
- 미르타자핀
- 메틸렌 블루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NSAIDs) 계열의 진통제는 SSRI의 효율을 방해하고 감소시킬 수 있으며, SSRI 사용으로 인한 위장 출혈 위험을 악화시킬 수 있다.[158][2][159] NSAIDs에는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애드빌, 누로펜), 나프록센 (알레브) 등이 있다.
다양한 SSRI와 다른 약물 간에는 여러 잠재적인 약동학적 상호 작용이 있는데, 이는 대부분의 SSRI가 특정 P450 시토크롬 효소를 억제하는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160][161][194][162]
약물명 | CYP1A2 | CYP2C9 | CYP2C19 | CYP2D6 | CYP3A4 | CYP2B6 |
---|---|---|---|---|---|---|
시탈로프람 | + | 0 | 0 | + | 0 | 0 |
에스시탈로프람 | 0 | 0 | 0 | + | 0 | 0 |
플루옥세틴 | + | ++ | +/++ | +++ | + | + |
플루복사민 | +++ | ++ | +++ | + | + | + |
파록세틴 | + | + | + | +++ | + | +++ |
설트랄린 | + | + | +/++ | + | + | + |
'''범례:'''
- 0: 억제 없음
- +: 경미/약한 억제
- ++: 중간 정도 억제
- +++: 강한/강력한 억제
CYP2D6 효소는 하이드로코돈, 코데인[163] 및 디하이드로코데인을 활성 대사체(하이드로모르폰, 모르핀, 디하이드로모르핀)로 대사시키는 데 전적으로 관여하며, 이들은 차례로 2상 글루쿠론산화를 거친다. 이러한 오피오이드 (그리고 어느 정도 옥시코돈, 트라마돌, 메타돈)는 SSRI와 상호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164][165] 일부 SSRI (파록세틴, 플루옥세틴)를 코데인과 병용하면 활성 대사체 모르핀의 혈장 농도가 감소하여 진통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166][167]
특정 SSRI의 또 다른 중요한 상호 작용은 CYP2D6의 강력한 억제제인 파록세틴과 유방암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되는 타목시펜과의 상호작용이다. 타목시펜은 간 시토크롬 P450 효소 시스템, 특히 CYP2D6에 의해 활성 대사체로 대사되는 전구 약물이다. 유방암 환자에서 파록세틴과 타목시펜을 함께 사용하면 사망 위험이 증가하며, 가장 오래 사용한 여성의 경우 최대 91%에 이른다.[168]
6. 종류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는 다음과 같다.
플루옥세틴(프로작), 시탈로프람(셀렉사), 다폭세틴(프릴리지)은 한국에서 승인되지 않았다.[1]
6. 1. 한국에서 승인됨
다음은 대한민국에서 승인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목록과 관련 정보이다.- 플루복사민 (데프로멜, 루복스): 우울증의 경우 1일 최대 처방량은 150mg이다. 효과가 불충분하면 의사 처방에 따라 300mg까지 증량할 수 있다.[1]
- 파록세틴 (파킬): 우울증의 경우 1일 최대 처방량은 40mg(강박성 장애는 50mg)이다. 효과가 불충분하면 의사 처방에 따라 60mg(CR 정제는 62.5mg)까지 증량할 수 있다.[1]
- 설트랄린 (제이졸로프트): 우울증의 경우 1일 최대 처방량은 100mg이다. 효과가 불충분하면 의사 처방에 따라 200mg까지 증량할 수 있다. 다른 SSRI에 비해 부작용은 약하지만, 효과도 약한 편이라 양극성 장애 치료에 50mg 정도 사용되기도 한다.[1]
- 에스시탈로프람 (렉사프로): 2011년 4월에 승인되었다. 1일 최대 처방량은 20mg이며, 의사 처방에 따른 용량 변경은 불가능하다.[1]
6. 2. 한국에서 승인되지 않음
플루옥세틴(프로작)은 임상 시험이 거의 진행되지 않아 한국 내 출시는 미정이다.[1] 시탈로프람(셀렉사)과 다폭세틴(프릴리지)도 한국에서 승인되지 않았다.[1] 다폭세틴(프릴리지)은 조루증 치료제이다.[1]6. 3. 단종
7. 사회와 SSRI
SSRI는 1980년대 후반부터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여 우울증 치료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SSRI의 부작용 및 남용에 대한 사회적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FDA가 평가한 항우울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긍정적인 결과가 나온 연구가 부정적인 결과가 나온 연구보다 출판될 가능성이 더 높았다.[205] 또한, 항우울제에 대한 메타 분석 연구 중 79%가 제약 회사와 관련이 있었고, 항우울제에 대한 주의 사항 보고를 꺼리는 경향이 있었다.[206]
데이비드 힐리는 규제 당국이 항우울제에 자살 충동 유발 가능성 경고를 추가하기 전부터 경고 신호가 있었다고 주장했다.[207]
1999년 콜럼바인 고교 총기 난사 사건의 범인 중 한 명은 플루복사민을 복용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다른 한 명도 복용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피해자 중 한 명은 SSRI가 범행의 원인이라고 주장하며 제조사를 고소했지만 기각되었다.[240]
2001년 8월, 미국 캘리포니아 환자 35명이 파록세틴의 심각한 금단 증상으로 제조사인 영국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을 상대로 집단 소송을 제기했다. FDA는 2003년 6월 파록세틴을 18세 이하에게 사용하지 않도록 권고했고, 2004년 10월에는 모든 항우울제에 18세 이하의 자살 위험에 대한 "블랙 박스 경고"를 추가하도록 지시했다. 일본 후생노동성도 2003년 8월 파록세틴을 18세 이하 주요 우울 장애에는 사용하지 않도록 했다.[235]
2012년 7월 2일, 영국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은 파록세틴 등의 불법 판매 촉진을 인정하고 30억달러를 지불하기로 합의했다.[241][242]
일본에서는 SSRI 복용 후 공격성 증가 등의 부작용 의심 사례가 2008년 가을까지 4년 반 동안 42건 접수되었다.[243] 2009년 6월 1일 NHK 클로즈업 현대에서는 SSRI의 부적절한 투여로 강도 행위를 한 환자의 사례가 보고되었다.[244]
SSRI 보급과 함께 우울증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제약 회사의 질병 선전 캠페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SSRI 도입 후 6년 동안 우울증 환자가 2배로 늘어난다는 경험 법칙도 있다.[245]
2013년, 일본 후생노동성은 주요 우울 장애에 대해 18세 미만에 투여해도 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며, 렉사프로, 제이졸로프트, 루복스, 데프로멜 등 8개 제품에 대해 신중 투여를 요청했다.[246][247]
8. 역사
지멜리딘은 1982년에 출시된 최초의 SSRI였으나, 효과에도 불구하고 치료받은 환자들 사이에서 길랭-바레 증후군 발생 사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여 1983년에 판매 중단되었다. 1987년에 출시된 플루옥세틴(프로작)이 널리 사용되는 첫 번째 SSRI로 간주된다.[1]
참조
[1]
서적
Abnormal Psychology: An Integrative Approach
Wadsworth Cengage Learning
[2]
논문
Mechanism of Action of Antidepressants
http://pdfs.semantic[...]
2002-06
[3]
서적
Antidepressants: Past, Present and Future
Springer
[4]
웹사이트
Depression and Serotonin: What the New Review Actually Says
https://www.psycholo[...]
2022-07-26
[5]
뉴스
In Defense of Antidepressants
https://www.nytimes.[...]
2011-09-07
[6]
논문
Antidepressant drug effects and depression severity: a patient-level meta-analysis
2010-01
[7]
논문
Antidepressants work, sort of – our system of care does not
https://zenodo.org/r[...]
2010-04
[8]
논문
Understanding and treating depersonalisation disorder
[9]
웹사이트
Depression Quick Reference Guide
http://www.nice.org.[...]
Th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NICE)
2009-10
[10]
논문
Initial Severity and Antidepressant Benefits: A Meta-Analysis of Data Submitted to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8-02
[11]
논문
Placebo, Prozac and PLoS: significant lessons for psychopharmacology
2010-06
[12]
논문
Efficacy of antidepressants: a re-analysis and re-interpretation of the Kirsch data
2010-08
[13]
논문
Benefits from antidepressants: synthesis of 6-week patient-level outcomes from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randomized trials of fluoxetine and venlafaxine
2012-06
[14]
논문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versus placebo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and Trial Sequential Analysis
2017-02
[15]
논문
Multiple possible inaccuracies cast doubt on a recent report suggesting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to be toxic and ineffective
[16]
논문
Comparative efficacy and acceptability of 21 antidepressant drugs for the acute treatment of adul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2018-04
[17]
논문
Clinical trials and the response rate illusion
2007-07
[18]
논문
Empirically derived criteria cast doubt on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antidepressant-placebo differences
2015-07
[19]
논문
Methodological Flaws, Conflicts of Interest, and Scientific Fallacies: Implications for the Evaluation of Antidepressants' Efficacy and Harm
2017
[20]
논문
New generation antidepressants for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network meta-analysis
2021-05
[21]
웹사이트
Depression in children and young people: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http://www.nice.org.[...]
Th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NICE)
2019-06
[22]
논문
Optimal treatment of social phobi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2
[23]
논문
The efficacy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in adult social anxiety disorder: a meta-analysis of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s
2007-01
[24]
논문
Pharmacotherapy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Combat Veterans: Focus on Antidepressants and Atypical Antipsychotic Agents
2012-01
[25]
웹사이트
www.nice.org.uk
http://www.nice.org.[...]
[26]
논문
Canadi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nxiety, posttraumatic stress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s
2014-07-02
[27]
웹사이트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Core interventions in the treatment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d body dysmorphic disorder
http://www.nice.org.[...]
2005-11
[28]
논문
Antidepressants versus placebo for depression in primary care
2009-07
[29]
웹사이트
Review Finds SSRIs Modestly Effective in Short-Term Treatment of OCD
http://www.medscape.[...]
2008-02-28
[30]
논문
Evidence-based pharmacotherapy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2012-09
[31]
웹사이트
Sertraline prescribing information
http://www.accessdat[...]
[32]
웹사이트
Paroxetine prescribing information
https://www.apotex.c[...]
[33]
논문
Evidence-based pharmacotherapy of panic disorder: an update
2012-04
[34]
논문
Fluvoxamine in the treatment of panic disorder: a multi-center,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in outpatients
2001-08
[35]
논문
Antidepressants versus placebo for panic disorder in adults
2018-04
[36]
웹사이트
Eating disorders in over 8s: management
http://www.nice.org.[...]
Th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NICE)
2004-01
[37]
웹사이트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http://www.guidelin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38]
논문
Evidence-based pharmacotherapy of eating disorders
2012-03
[39]
논문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s) for stroke recovery
2021-11-15
[40]
논문
Premature ejaculation: state of the art
2007-11
[41]
논문
The Timing of Antidepressant Effects: A Comparison of Diverse Pharmacological and Somatic Treatments
2010-01
[42]
논문
Antidepressant-associated sexual dysfunction: impact, effects, and treatment
2010-09
[43]
논문
Is Sertraline a Good Pharmacological Strategy to Control Anger? Results of a Systematic Review
2019-05
[44]
논문
The Mechanism of Drug-induced Akathsia
[45]
논문
SSRI-induced extrapyramidal side-effects and akathisia: implications for treatment
[46]
논문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induced akathisia
[47]
논문
Movement disorders associated with the serotonin selective reuptake inhibitors
[48]
논문
Persistence of Sexual Dysfunction Side Effects after Discontinuation of Antidepressant Medications: Emerging Evidence
https://benthamopen.[...]
[49]
논문
Strategies for managing sexual dysfunction induced by antidepressant medication
2013-05
[50]
논문
Sexual dysfunction, depression, and the impact of antidepressants
2009-04
[51]
논문
Psychotropic medications and their effects on sexual function: diagnosis, biology, and treatment approaches
1994-09
[52]
논문
SSRI-Associated Sexual Dysfunction
[53]
논문
Buspirone
https://www.ncbi.nlm[...]
2023-01-17
[54]
논문
Erectile and Ejaculatory Dysfunction Associated with Use of Psychotropic Drugs: A Systematic Review
2021-08
[55]
논문
Management Strategies for Antidepressant-Related Sexual Dysfunction: A Clinical Approach
2019-10
[56]
논문
Treatment-emergent sexual dysfunction related to antidepressants: a meta-analysis
2009-06
[57]
논문
Antidepressant-Associated Sexual Dysfunction: A Potentially Avoidable Therapeutic Challenge
http://www.primaryps[...]
[58]
논문
Sexual side effects of SSRI medications: potential treatment strategies for SSRI-induced female sexual dysfunction
2002-12
[59]
논문
The effect of SSRIs on Semen qual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2
[60]
논문
Deleterious effects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treatment on semen parameters in patients with lifelong premature ejaculation
2012-09
[61]
논문
Unintended Consequences: A Review of Pharmacologically-Induced Priapism
2019-04
[62]
논문
Off-label Uses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s)
2022
[63]
논문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post-treatment sexual dysfunction and persistent genital arousal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https://onlinelibrar[...]
2023-06
[64]
논문
A clinical review of antidepressants, their sexual side-effects, post-SSRI sexual dysfunction, and serotonin syndrome
https://e-space.mmu.[...]
2023-07
[65]
논문
Persistent sexual dysfunction after SSRI withdrawal: a scoping review and presentation of 86 cases from the Netherlands
2022-04
[66]
논문
Post-finasteride syndrome and post-SSRI sexual dysfunction: two sides of the same coin?
2018-08
[67]
논문
Diagnostic criteria for enduring sexual dysfunction after treatment with antidepressants, finasteride and isotretinoin
2022-01-01
[68]
논문
Post-SSRI Sexual Dysfunction: A Literature Review
2018-01
[69]
논문
Post-SSRI Sexual Dysfunction (PSSD): Biological Plausibility, Symptoms, Diagnosis, and Presumed Risk Factors
2022-01
[70]
논문
Antidepressant-induced sexual dysfunction
2020-04
[71]
논문
Frequency of self-reported persistent post-treatment genital hypoesthesia among past antidepressant users: a cross-sectional survey of sexual and gender minority youth in Canada and the US
https://link.springe[...]
2024-09-20
[72]
서적
PRAC recommendations on signals: Adopted at the 13-16 May 2019 PRAC meeting
https://www.ema.euro[...]
European Medicines Agency
2023-07-19
[73]
논문
SSRIs, SNRIs: risk of persistent sexual dysfunction
Springer
2021-01-16
[74]
웹사이트
Csoka v. FDA
https://www.citizen.[...]
2024-09-15
[75]
웹사이트
FDA Sued Over Inaction on Citizen Petition
https://www.citizen.[...]
2024-09-15
[76]
논문
Emotional Blunting, Cognitive Impairment, Bone Fractures, and Bleeding as Possible Side Effects of Long-Term Use of SSRIs
2019-04
[77]
논문
Emotional Blunting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 Brief Non-systematic Review of Current Research
2021
[78]
논문
Antidepressants: misnamed and misrepresented
2015-10
[79]
논문
Efficacy of agomelatine and escitalopram on depression, subjective sleep and emotional experiences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 24-wk randomized, controlled, double-blind trial
2013-11
[80]
논문
Effectiveness of Vortioxetine on Emotional Blunting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with inadequate response to SSRI/SNRI treatment
2021-03
[81]
논문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 review of its effects on intraocular pressure
2008-12
[82]
논문
SSRI-associated optic neuropathy
2015-09
[83]
논문
Antidepressant Use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2014-03-20
[84]
논문
Antidepressant Use in Pregnancy and the Risk of Cardiac Defects
[85]
논문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infrequent medical adverse effects
[86]
논문
FDA Drug Safety
https://www.fda.gov/[...]
2019-12-16
[87]
간행물
Citalopram and escitalopram: QT interval prolongation{{snd}}new maximum daily dose restrictions (including in elderly patients), contraindications, and warnings
http://www.mhra.gov.[...]
2011-12
[88]
웹사이트
Clinical and ECG Effects of Escitalopram Overdose
http://m.utoledo.edu[...]
2012-09-23
[89]
논문
Speculations on difference between tricyclic and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antidepressants on their cardiac effects. Is there any?
1999-06
[90]
웹사이트
Deciphering the Connection of Serotonin to Degenerative Mitral Valve Regurgitation - Advances in Cardiology and Heart Surgery
https://www.nyp.org/[...]
2024-02-12
[91]
논문
Decreased serotonin transporter activity in the mitral valve contributes to progression of degenerative mitral regurgitation
2023-01-04
[92]
웹사이트
Serotonin can potentially accelerate degenerative mitral regurgitation, study says
https://www.news-med[...]
2024-02-12
[93]
논문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nd Risk of Abnormal Bleeding
2016-09
[94]
논문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nd the risk of bleeding
2005-03
[95]
논문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antidepressants and abnormal bleeding: a review for clinicians and a reconsideration of mechanisms
2010-12
[96]
논문
Risk of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bleeding associated with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nd venlafaxine therapy: interaction with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effect of acid-suppressing agents
2008-07
[97]
논문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nd brain hemorrhage: a meta-analysis
2012-10
[98]
논문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nd increased bleeding risk: are we missing something?
2006-02
[99]
논문
Influence of antidepressants on hemostasis
[100]
논문
Effects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on platelet function: mechanisms, clinical outcomes and implications for use in elderly patients
2011-05
[101]
논문
Use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nd risk of fract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2-05
[102]
논문
Osteoporosis in patients taking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 focus on fracture outcome
https://zenodo.org/r[...]
2019-07-01
[103]
논문
Drugs that may harm bone: Mitigating the risk
2016-04
[104]
논문
Effects of Depression and Serotonergic Antidepressants on Bone: Mechanisms and Im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2016-01
[105]
논문
Risk of fracture and the concomitant use of bisphosphonates with osteoporosis-inducing medications
2015-04
[106]
논문
Do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s) Cause Fractures?
2016-10
[107]
논문
Changes in volumetric BMD of radius and tibia upon antidepressant drug administration in young depressive patients
2012-12
[108]
논문
SSRI-associated bruxism: A systematic review of published case reports
2018-04
[109]
논문
Use of buspirone in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induced sleep bruxism
http://www.sciencedi[...]
2017-04-01
[110]
논문
Duloxetine-induced nocturnal bruxism resolved by buspirone: case report
[111]
논문
Serotonin syndrome
2013
[112]
논문
The serotonin syndrome
2005-03
[113]
논문
Association of Coprescription of Triptan Antimigraine Drugs and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or Selective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Antidepressants With Serotonin Syndrome
2018-05
[114]
서적
Ferri's Clinical Advisor 2017: 5 Books in 1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6
[115]
웹사이트
Clinical review: relationship between antidepressant drugs and suicidal behavior in adults
https://www.fda.gov/[...]
FDA
2006-11-17
[116]
웹사이트
Statistical Evaluation of Suicidality in Adults Treated with Antidepressants
https://www.fda.gov/[...]
FDA
2006-11-17
[117]
논문
Antidepressant drug therapy and suicide in severely depressed children and adults: A case-control study
2006-08
[118]
웹사이트
Review and evaluation of clinical data. Relationship between psychiatric drugs and pediatric suicidal behavior
https://www.fda.gov/[...]
FDA
2004-08-16
[119]
웹사이트
Antidepressant Use in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20]
웹사이트
FDA Medication Guide for Antidepressants
https://www.fda.gov/[...]
[121]
논문
Psychological therapies versus antidepressant medication, alone and in combination for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14-11
[122]
웹사이트
Overview | Depression in adults: recognition and management | Guidance | NICE
https://www.nice.org[...]
2009-10-28
[123]
논문
Meta-analysis of aggression and/or hostility-related event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reated with fluoxetine compared with placebo
2007-10
[124]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depressant prescription rates and rate of early adolescent suicide
2006-11
[125]
웹사이트
Report of the CSM expert working group on the safety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antidepressants
http://www.mhra.gov.[...]
Medicines and Healthcare products Regulatory Agency
2004-12-01
[126]
웹사이트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s): Overview of regulatory status and CSM advice relating to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cluding a summary of available safety and efficacy data
http://www.mhra.gov.[...]
Medicines and Healthcare products Regulatory Agency
2005-09-29
[127]
논문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s) and suicide in adults: meta-analysis of drug company data from placebo controlled,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submitted to the MHRA's safety review
2005-02
[128]
논문
Association between suicide attempts and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2005-02
[129]
논문
Do antidepressants t(h)reat(en) depressives? Toward a clinically judicious formulation of the antidepressant-suicidality FDA advisory in light of declining national suicide statistics from many countries
2006-08
[130]
논문
How have the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antidepressants affected suicide mortality?
[131]
논문
Ten years after the FDA black box warning for antidepressant drugs: A critical narrative review
[132]
논문
The Mortality and Myocardial Effects of Antidepressants Are Moderated by Preexisting Cardiovascular Disease: A Meta-Analysis
2017
[133]
논문
Prenatal exposure to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nd infant outcome
2012-12
[134]
논문
Pregnancy outcomes following exposure to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 meta-analysis of clinical trials
[135]
논문
Increasing the risk of spontaneous abortion and major malformations in newborns following use of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during pregnancy: A systematic review and updated meta-analysis
[136]
논문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 use during pregnancy and risk of preterm bir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11
[137]
논문
Risks of using SSRI / SNRI antidepressants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2017-09
[138]
논문
Do findings differ across research design? The case of antidepressant use in pregnancy and malformations
[139]
논문
The fetal safety of fluoxetin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3-04
[140]
논문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nd malformations: case closed?
2013-02
[141]
웹사이트
Breastfeeding Update: SDCBC's quarterly newsletter
http://www.breastfee[...]
Breastfeeding.org
2010-07-10
[142]
웹사이트
Using Antidepressants in Breastfeeding Mothers
http://www.kellymom.[...]
kellymom.com
2010-07-10
[143]
논문
SSRIs during breastfeeding: spotlight on milk-to-plasma ratio
[144]
논문
Paediatric outcomes following intrauterine exposure to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 systematic review
2011-09
[145]
논문
The use of psychotropic medication during pregnancy: how about the newborn?
[146]
EMedicine
Persistent Newborn Pulmonary Hypertension
[147]
논문
Prenatal exposure to antidepressants and 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of the newbor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148]
논문
Antidepressant use in pregnancy and 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of the newborn (PPHN): a systematic review
2012-11
[149]
논문
Prenatal antidepressant exposure and the risk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children. Are we looking at the fall of Gods?
2015-08
[150]
논문
Use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during pregnancy and risk of autism
2013-12
[151]
논문
Gestational Exposure to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nd Offspring Psychiatric Disorders: A National Register-Based Study
2016-05
[152]
뉴스
Antidepressants in Bipolar II Disorder
https://www.psychiat[...]
psychiatrictimes.com
2019-05-14
[153]
논문
Antidepressants in bipolar depression: an enduring controversy
2018-12
[154]
논문
The risk of switch to mania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during treatment with an antidepressant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a mood stabilizer
2014-10
[155]
논문
Complications of SSRI treatment
2001
[156]
논문
Serotonin syndrome and other serotonergic disorders
2003-03
[157]
논문
The serotonin syndrome
2005-03
[158]
서적
The Maudsley prescribing guidelines in psychiatry
Wiley-Blackwell
[159]
논문
Antidepressant effects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s) are attenuated by antiinflammatory drugs in mice and humans
2011-05
[160]
서적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McGraw Hill Professional
[161]
서적
Pharmacotherapy of Depression
https://archive.org/[...]
Springer
[162]
논문
Dose-dependent inhibition of CYP1A2, CYP2C19 and CYP2D6 by citalopram, fluoxetine, fluvoxamine and paroxetine
[163]
논문
Opioid pharmacokinetic drug-drug interactions
https://www.ajmc.com[...]
2011-09
[164]
웹사이트
Paroxetine hydrochloride – Drug Summary
https://www.pdr.net/[...]
Physicians' Desk Reference, LLC
2018-09-17
[165]
논문
Opioid metabolism
2009-07
[166]
논문
Immunisation and pregnancy – who, what, when and why?
2017-08
[167]
논문
New FDA black box warning for codeine: how will this affect dentists?
[168]
논문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nd breast cancer mortality in women receiving tamoxifen: a population based cohort study
2010-02
[169]
논문
Relative toxicity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s) in overdose
[170]
논문
Acute fluoxetine overdose: a report of 234 cases
[171]
논문
Fatal overdose with citalopram
[172]
논문
The serotonin syndrome. Implicated drugs, pathophysiology and management
1995-08
[173]
서적
Veterinary Toxicology : Basic and Clinical Principles
Academic Press
[174]
서적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https://psychiatry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0-10
[175]
논문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antidepressant treatment discontinuation syndrome: a review of the clinical evidence and the possible mechanisms involved
[176]
서적
Goodman and Gilman's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McGraw-Hill
[177]
서적
An Introduction to Brain and Behavior
Worth Publishers
[178]
논문
P-glycoprotein inhibition increases the brain distribution and antidepressant-like activity of escitalopram in rodents
2013-10
[179]
논문
Neuroprotective Effects of Antidepressants via Upregulation of Neurotrophic Factors in the MPTP Model of Parkinson's Disease
2018-01
[180]
논문
Cognition and depression: the effects of fluvoxamine, a sigma-1 receptor agonist, reconsidered
2010-04
[181]
서적
Sigma Receptors: Their Role in Disease and as Therapeutic Targets
[182]
논문
The opposite effects of fluvoxamine and sertraline in the treatment of psychotic major depression: a case report
2010-05
[183]
논문
Separation of ascorbic acid and 2-keto-L-gulonic acid
1972-08
[184]
논문
The serotonergic system in the neurobiology of depression: Relevance for novel antidepressants
2016-01
[185]
논문
Peripheral Alterations in Cytokine and Chemokine Levels After Antidepressant Drug Treatment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kclpure.kcl.[...]
2018-09-17
[186]
논문
Effect of antidepressant treatment on peripheral inflammation markers – A meta-analysis
2018-01
[187]
논문
Association of depressive disorders, depression characteristics and antidepressant medication with inflammation
2012-02
[188]
논문
Antidepressant therapies inhibit inflammation and microglial M1-polarization
2016-07
[189]
논문
The role of macrophages in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ntidepressant drugs
2017-06
[190]
논문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s a novel class of immunosuppressants
2014-05
[191]
논문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meliorate MEGF10 myopathy
2019-07
[192]
논문
Genetic screening for SSRI drug response among those with major depression: great promise and unseen perils
[193]
논문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versus tricyclic antidepressants: a meta-analysis of efficacy and tolerability
2000-04
[194]
논문
Pharmacokinetic considerations for current state-of-the-art antidepressants
2019-10
[195]
논문
Serotonin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http://primarypsychi[...]
2017-08-26
[196]
논문
Tolerability of serotonin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antidepressants
2008-07
[197]
서적
Med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E-Book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198]
서적
Women's Mental Health, An Issue of Psychiatric Clinics – E-Book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7-08-26
[199]
논문
The Role of Levomilnacipran in the Manage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 Comprehensive Review
[200]
논문
New-Generation, non-SSRI Antidepressants: Therapeutic Drug Monitoring and Pharmacological Interactions. Part 1: SNRIs, SMSs, SARIs
[201]
서적
Lexicon of Psychiatry, Neurology, and the Neurosciences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7-08-26
[202]
서적
Progress in Drug Research
https://books.google[...]
Birkhäuser
[203]
논문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the corner stone in treatment of depression for half a century{{snd}}a medicinal chemistry survey
[204]
논문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s) Past, Present and Future. Edited by S. Clare Standford, R.G. Landes Company
[205]
논문
Selective publication of antidepressant trials and its influence on apparent efficacy
2008-01
[206]
논문
Meta-analyses with industry involvement are massively published and report no caveats for antidepressants
2016-02
[207]
논문
Antidepressant drug use & the risk of suicide
2005-06
[208]
논문
Suicidality with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Valid claim?
2003-09
[209]
논문
Suicide rates in clinical trials of SSRIs, other antidepressants, and placebo: analysis of FDA reports
2003-04
[210]
논문
Do antidepressants cause suicidality in children? A Bayesian meta-analysis
[211]
논문
Suicidal thoughts and behavior with antidepressant treatment: reanalysis of the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ies of fluoxetine and venlafaxine
2012-06
[212]
논문
Ranking of crop plants according to their potential to uptake and accumulate contaminants of emerging concern
Elsevier BV
2019-03
[213]
논문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exposure
https://pubmed.ncbi.[...]
2013-02
[214]
뉴스
抗うつ薬服用で攻撃性増す症状、厚労省が注意改訂へ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09-05-08
[215]
서적
臨床精神薬理ハンドブック 第2版
医学書院
2009-11
[216]
논문
Questionable Advertising of Psychotropic Medications and Disease Mongering
http://journals.plos[...]
[217]
문서
トピックス:SSRIの化学構造は薬剤ごとで大きく異なる
グラクソ・スミスクライン株式会社
[218]
논문
Antidepressant Drug Effects and Depression Severity
http://jama.ama-assn[...]
2010-01-06
[219]
웹사이트
Annals of Internal Medicine | Comparative Benefits and Harms of Second-Generation Antidepressants for Treating Major Depressive Disorder: An Updated Meta-analysis
http://www.annals.or[...]
Annals.org
2012-09-23
[220]
논문
Initial Severity and Antidepressant Benefits: A Meta-Analysis of Data Submitted to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21]
뉴스
The creation of the Prozac myth
http://www.guardian.[...]
2008-02-27
[222]
뉴스
Prozac does not work in majority of depressed patients
http://www.newscient[...]
2008-02-26
[223]
뉴스
Anti-depressants 'no better than placebo'
http://www.nursingti[...]
2008-02-26
[224]
뉴스
Antidepressants Hardly Help
http://www.time.com/[...]
2008-02-26
[225]
뉴스
Anti-depressants' 'little effect'
http://news.bbc.co.u[...]
BBC
2008-02-26
[226]
논문
Placebo, Prozac and PLoS: significant lessons for psychopharmacology
[227]
논문
Efficacy of antidepressants: a re-analysis and re-interpretation of the Kirsch data
[228]
뉴스
Antidepressants: Do They "Work" or Don't They?
http://www.scientifi[...]
2010-03-02
[229]
서적
[230]
문서
Selective publication of antidepressant trials and its influence on apparent efficacy.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8, 252–60.
2008
[231]
서적
かくれ躁うつ病が増えている ~なかなか治らない心の病気
法研
2010
[232]
기타
NHKスペシャル~うつ病治療・常識が変わる
2009年2月放送
[233]
웹사이트
SSRI・SNRIによる自殺企図のリスク
https://medical.nikk[...]
日経メディカルオンライン
2006-04-03
[234]
웹사이트
日本うつ病学会治療ガイドライン 『Ⅰ.双極性障害 2011』
http://www.secretari[...]
[235]
웹사이트
SSRIの問題点、動き
https://www.yakugai.[...]
2005-03-01
[236]
서적
[237]
웹사이트
抗うつ薬で自殺が増加するか? 日本うつ病学会 理事長 野村総一郎
http://www.info.pmda[...]
[238]
웹사이트
http://www.medscape.[...]
[239]
웹사이트
自殺予防のために薬物療法によってできることは何か 渡邊衡一郎
http://www.secretari[...]
[240]
기타
対応に苦悩するアメリカの教育現場
[241]
웹사이트
自殺を助長する危険な投薬を違法促進した製薬会社が、史上最高額30億ドルの損害賠償支払いへ NPO法人再チャレンジ東京
http://www.jigyo-sai[...]
[242]
웹사이트
英グラクソ、医薬品の不正販売巡り30億ドルの支払いへ CNN.co.jp
http://www.cnn.co.jp[...]
[243]
뉴스
「抗うつ薬で攻撃性」副作用の疑い42件 厚労省調査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09-03-07
[244]
웹사이트
抗うつ薬の死角 - NHK クローズアップ現代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
[245]
서적
なぜうつ病の人が増えたのか
[246]
뉴스
18歳未満「効果確認できず」=抗うつ剤の注意改訂要請—厚労省
http://jp.wsj.com/ar[...]
The Wall Street Journal 日本語版(時事通信社配信)
2013-03-29
[247]
웹사이트
SSRIなど抗うつ薬6種類の「使用上の注意」改訂を要請 |報道発表資料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3-11-16
[248]
서적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pringer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