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리아어 음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가리아어 음운론은 불가리아어의 음소, 자음, 모음, 강세 및 형태음운론적 교체에 대해 다룬다. 불가리아어는 6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며, 모음의 조음 위치에 따라 전설, 중설, 후설 모음으로 분류된다. 자음은 조음 위치와 방법에 따라 분류되며, 불가리아어 알파벳은 음소 표기에 가깝지만, 몇 가지 규칙에 따라 변형된다. 형태음운론적 교체는 원시 슬라브어에서 유래한 교체와 원시 슬라브어 이후에 발생한 교체로 나뉘며, 다양한 음운 현상과 관련된다. 불가리아어의 단어 강세는 역동적이며 어휘적이며, 강세의 위치는 단어의 굴절 및 파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가리아어 - 불가리아어 문법
불가리아어 문법은 명사, 형용사, 대명사, 동사, 수사 등 다양한 품사의 형태와 기능을 설명하며, 명사의 성, 수, 한정성, 격 등의 문법 범주와 동사의 시제, 상, 법, 태에 따른 활용, 그리고 자유로운 어순과 결합사 이중화와 같은 구문 현상을 특징으로 한다. - 불가리아어 - 불가리아어의 로마자
불가리아어의 로마자는 "Всички хора се раждат свободни и равни по достойнство и права. Те са надарени с разум и съвест и трябва да се отнасят помежду си в дух на братство."라는 불가리아어 문장을 로마자로 표기한 것으로, 세계 인권 선언 제1조의 불가리아어 번역본을 나타낸다. - 언어별 음운론 - 마케도니아어 음운론
마케도니아어 음운론은 마케도니아어의 발음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5개의 모음과 다양한 자음 음소를 가지며 단어 강세는 주로 끝에서 세 번째 음절에 위치하지만 예외도 존재하고, 모음 길이는 음소로 구별되지는 않는다. - 언어별 음운론 - 아일랜드어 음운론
아일랜드어 음운론은 아일랜드어의 발음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자음과 모음 체계, 넓고 좁은 자음 구별, 자음군 배열 방식 등을 연구하며, 다른 켈트어족 언어와 유사성을 보인다.
불가리아어 음운론 | |
---|---|
개요 | |
언어 유형 | 굴절어 |
사용 국가 | 불가리아 |
음운 | |
음소 수 | 모음 6개, 자음 30개 |
음절 구조 | (C)(C)(C)V(C)(C) |
강세 | 불규칙적 |
모음 | |
모음 종류 | 6개 |
단모음 | /i, ɛ, a, ɔ, u, ɤ/ |
키릴 문자 표기 | а, ъ, е, и, о, у |
발음 | /ɤ/는 영어 단어 "the bird"의 "ir"와 유사함 |
자음 | |
자음 종류 | 30개 이상 |
양순음 | /p, b, m/ |
순치음 | /f, v/ |
치음 | /t, d, t͡s, d͡z/ |
치경음 | /s, z, ʃ, ʒ, t͡ʃ, d͡ʒ, n, l, r/ |
경구개음 | /j/ |
연구개음 | /k, ɡ, x/ |
구개음화 자음 | 연구개음 /k, ɡ, x/의 변이음 [c, ɟ, ç]는 일부 차용어에서 나타남 |
비음 | /m, n/ |
유음 | /l, r/ |
음소 배열 | |
음절 구조 | (C)(C)(C)V(C)(C) |
가능한 최대 음절 구조 | consonant+consonant+consonant+vowel+consonant+consonant (CCCVCC) |
음운 현상 | |
자음 동화 | 유성음화, 무성음화, 경구개음화 |
모음 축약 | 강세가 없는 위치에서 모음이 약화되거나 사라짐 |
/j/ 삽입 | 특정 모음 조합 사이에 /j/가 삽입됨 |
2. 음소
불가리아어는 모음 6개와 자음 45개, 총 51개의 음소를 가지고 있다.
불가리아어 모음은 조음 위치에 따라 전설 모음 ⟨'''е'''⟩와 ⟨'''и'''⟩, 중설 모음 ⟨'''а'''⟩와 ⟨'''ъ'''⟩, 후설 모음 ⟨'''о'''⟩와 ⟨'''у'''⟩의 세 쌍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а'''⟩, ⟨'''е'''⟩, ⟨'''о'''⟩는 "저모음"이고 ⟨'''и'''⟩, ⟨'''ъ'''⟩, ⟨'''у'''⟩는 "고모음"이다.
불가리아어 모음 축소에 대한 지배적인 이론은, 불가리아어 모음이 '''강세''' 위치에서만 음소적 가치를 가지며, 무강세 모음일 때는 하위 모음이 상승하고 상위 모음이 낮아지는 중간 중심화된 위치에서 중화된다는 것이다. 이는 중앙 모음 ⟨'''ъ'''⟩와 ⟨'''а'''⟩에만 해당되며, 이들은 ⟨'''ъ'''⟩로 중화되고, 후설 모음 ⟨'''о'''⟩와 ⟨'''у'''⟩는 ⟨'''у'''⟩로 중화된다. ⟨'''о'''⟩와 ⟨'''у'''⟩의 병합은 공식적인 발화에서는 허용되지 않으며 지방 (동 불가리아어) 방언 특징으로 간주된다. 대신, 무강세 ⟨'''е'''⟩는 상승하고 중심화되어 슈와에 접근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무강세 저모음 ⟨'''а'''⟩, ⟨'''е'''⟩ 및 ⟨'''о'''⟩가 실제로 상승하지만, 무강세 고모음 ⟨'''и'''⟩ 및 ⟨'''у'''⟩도 다소 상승하고, ⟨'''ъ'''⟩는 동일한 위치에 유지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8] 무강세 ⟨'''ъ'''⟩와 강세 및 무강세 ⟨'''а'''⟩ 사이의 명확한 구별이 유지되며, 무강세 ⟨'''о'''⟩와 ⟨'''у'''⟩는 무강세 ⟨'''у'''⟩에 매우 가깝게 접근하고 상당한 정도로 겹치지만, 평균적인 실제 발음은 약간 더 개방적으로 유지된다. 모든 강세 모음과 무강세 ⟨'''а'''⟩와 ⟨'''ъ'''⟩ 사이의 차이는 거의 모든 경우에 들을 수 있지만, 무강세 후설 및 중설 모음은 최소 쌍에서 지각적으로 중화된다.[8]
양순음 | 순치음 | 치경음 | 치경구개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
---|---|---|---|---|---|---|
폐쇄음 | p p´ b b´ | t t´ d d´ | k´ g´ | k g | ||
마찰음 | f f´ v v´ | s s´ z z´ | š ž | x | ||
파찰음 | c c´ | č ǯ | ||||
비음 | m m´ | n n´ | ||||
설측음 | l l´ | |||||
전동음 | r r´ | |||||
활음 | j |
/t d s z c l/은 치음~치경음이고, /n r/은 치경음이다. acute 악센트(´)는 순음과 치경음의 구개음화를 표시한다. 치경구개음은 구개음화되는 정도가 작다. 많은 불가리아인들은 구개음화된 순음을 [Cj]와 같이 발음한다. 특히 /n´ l´ r´/의 치음~치경음은 구개음화된 경우 치경구개음에 가깝게 변동이 일어난다.[42] /n/은 연구개음 앞에서 연구개음 /ŋ/로 변이된다.[42] /l/은 전설모음 앞에 있을 때를 제외하고는 연구개음화된다.[42] /c/와 /x/는 유성음 앞에서(/v v´/ 제외) 유성 변이음 /ʒ/와 /ɣ/을 갖는다. /x/는 전설 모음 앞에서 연구개 변이음 /x´/를 갖는다.[42] 장애음은 공명음이나 /v v´/ 앞에서 유성음과 대립된다. 이외의 경우에는 어말이나 무성음 앞에서 무성음화되며, 유성음 앞에서 유성음화된다.[42]
А A | Б B | В V | Г G | Д D | Е E | Ж Ž | З Z | И I | Й J |
---|---|---|---|---|---|---|---|---|---|
К K | Л L | М M | Н N | О O | П P | Р R | С S | Т T | У U |
Ф F | Х X | Ц C | Ч Č | Ш Š | Щ ŠT | Ъ Ǎ | Ь ´ | Ю JU | Я JA |
불가리아어 알파벳은 다음 규칙들에 의한 변화를 제외하면 음소표와 가깝게 발음된다.[43]
- /št/는 щ로 표기되며, 음소 /ǯ/는 дж, /ʒ/는 дз로 표기된다.[43]
- 철자는 형태론적인 유-무성 장애음의 변별적 요소를 반영하지 않는다.[43]
- 경구개음과 구개음화된 자음이 전설모음이 아닌 모음 앞에서는 /j/와 뒤따르는 모음이 합쳐져 я, ю, ьо로 표기된다. 이외의 경우 /j/는 й로 표기된다.[43]
2. 1. 모음
/i e o u/는 이완음이다. /ă/는 [a]보다 긴장도와 혀의 위치가 높지만, 러시아어의 [ɨ]보다는 낮은 위치에서 조음된다. 어두의 모음은 성문 파열음을 갖는다.[41]강세를 받지 않는 모음은 강세를 받는 모음보다 짧고 약하게 발음되고, /i-e a-ă u-o/ 짝에 서로 가깝게 발음된다. 강세를 받지 않는 어말의 모음은 종종 묵음이 된다.[41]
모음+비음+마찰음 형태에서 모음은 비음화되고, 비음은 종종 탈락된다.[41]
본래 불가리아어에서 모음이 연속되는 경우는 형태론적 변화에서만 일어난다(знаеш). 외래어에서는 모음 연속이 흔하다(театър).[41]
불가리아어 모음은 조음 위치에 따라 세 쌍으로 나눌 수 있다. 즉, 전설 모음: ⟨'''е'''⟩와 ⟨'''и'''⟩, 중설 모음: ⟨'''а'''⟩와 ⟨'''ъ'''⟩, 후설 모음: ⟨'''о'''⟩와 ⟨'''у'''⟩이다. 여기서 , 및 는 "저모음"이고 , 및 는 "고모음"이다.
불가리아어 모음 축소에 대한 지배적인 이론은 불가리아어 모음이 '''강세''' 위치에서만 음소적 가치를 가지며, 무강세 모음일 때는 하위 모음이 상승하고 상위 모음이 낮아지는 중간 중심화된 위치에서 중화된다는 것이다. 이는 중앙 모음 ''''''와 ''''''에만 해당되며, 이들은 ''''''로 중화되고, 후설 모음 ''''''와 ''''''는 ''''''로 중화된다.
와 의 병합은 공식적인 발화에서는 허용되지 않으며 지방 (동 불가리아어) 방언 특징으로 간주된다. 대신, 무강세 는 상승하고 중심화되어 슈와에 접근한다. 불가리아어 모음은 다른 슬라브어에는 음소로 존재하지 않지만, 로 표기된 유사한 축소 모음이 나타난다. 이 이론은 또한 이러한 중화가 항상 발생하지는 않을 수 있다고 가정한다. 모음은 강조 또는 의도적으로 뚜렷한 발음에서는 구별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축소는 구어체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모음과 저모음이 공통의 중심화된 모음으로 중화된다는 가설은 실제 환경에서 제대로 연구되거나 증명된 적이 없다. 현대 표준 불가리아어를 사용하는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한 불가리아와 외국 연구원의 최근 연구에서, 예상대로 무강세 저모음 , 및 가 실제로 상승하지만, 무강세 고모음 및 도 다소 상승하고, 는 동일한 위치에 유지된다는 것을 확인했다.[8]
세 연구 모두 무강세 와 강세 및 무강세 사이의 명확한 구별이 유지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무강세 와 의 상황은 더 복잡하지만, 모든 연구에서 두 모음이 무강세 와 에 매우 가깝게 접근하고 상당한 정도로 겹치지만, 평균적인 실제 발음은 약간 더 개방적으로 유지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 연구에서는 무강세 가 강세 와 실질적으로 구별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다른 연구에서는 와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세 번째 연구에서는 한 쌍의 형태소에서만, 다른 쌍의 혀 위치에서만 결합이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모든 강세 모음과 무강세 와 사이의 차이는 거의 모든 경우에 들을 수 있지만, 무강세 후설 및 중설 모음은 최소 쌍에서 지각적으로 중화되어 무강세 를 62%, 무강세 및 를 59%, 그리고 무려 57%의 무강세 를 식별한다.[8]
2. 2. 자음
양순음 | 순치음 | 치경음 | 치경구개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
---|---|---|---|---|---|---|
폐쇄음 | p p´ b b´ | t t´ d d´ | k´ g´ | k g | ||
마찰음 | f f´ v v´ | s s´ z z´ | š ž | x | ||
파찰음 | c c´ | č ǯ | ||||
비음 | m m´ | n n´ | ||||
설측음 | l l´ | |||||
전동음 | r r´ | |||||
활음 | j |
/t d s z c l/은 치음~치경음이고, /n r/은 치경음이다. acute 악센트(´)는 순음과 치경음의 구개음화를 표시한다. 치경구개음은 구개음화되는 정도가 작다. 많은 불가리아인들은 구개음화된 순음을 [Cj]와 같이 발음한다. 특히 /n´ l´ r´/의 치음~치경음은 구개음화된 경우 치경구개음에 가깝게 변동이 일어난다.[42]
/n/은 연구개음 앞에서 연구개음 /ŋ/로 변이된다.[42]
/l/은 전설모음 앞에 있을 때를 제외하고는 연구개음화된다.[42]
/c/와 /x/는 유성음 앞에서(/v v´/ 제외) 유성 변이음 /ʒ/와 /ɣ/을 갖는다. /x/는 전설 모음 앞에서 연구개 변이음 /x´/를 갖는다.[42]
어떤 음소표는 /x´ʒ ʒ´/를 포함하고 있는데, /x´ʒ´/는 오로지 외국어에 대해서만 쓰인다. /ʒ/는 외국어뿐만 아니라 방언에도 쓰이는 경우가 있다.[42]
장애음은 공명음이나 /v v´/ 앞에서 유성음과 대립된다. 이외의 경우에는 어말이나 무성음 앞에서 무성음화되며, 유성음 앞에서 유성음화된다.[42]
구개음화된 음가와 구개음화되지 않은 음소는 전설 모음이 아닌 모음 앞에서만 대립되며, 고유어에서는 형태론적 변화에 의해서만 /ă u o/ 앞에서 대립된다.[42]
연구개음과 경구개음은 전설 모음이 아닌 모음 앞에서 대립된다. 다만 연구개음은 외국에서 유래한 단어가 아니라면 일반적으로 전설 모음 앞에만 자리하며, 나머지 모음 앞에는 경구개음만이 자리한다.[42]
모음 뒤의 /j/는 어말이나 자음 앞에 자리한다. 전설 모음이 아닌 모음 앞에 있을 때는 어두나 모음 뒤에 자리한다. 몇몇 차용어를 제외하고는 자음 뒤나 전설 모음 앞에는 오지 않는다.[42]
자음은 형태론적 변화에 의해서만 연속해서 나타날 수 있다. 자음군은 별개의 규칙을 따른다.[42]
2. 3. 알파벳 전사
AB
V
G
D
E
Ž
Z
I
J
K
L
M
N
O
P
R
S
T
U
F
X
C
Č
Š
ŠT
Ǎ
´
JU
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