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어 음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일랜드어 음운론은 19세기 말부터 현대 이론 음운론에 이르기까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초기 연구는 고대 아일랜드어의 소리 변화에 초점을 맞췄으며, 20세기에는 아일랜드어 방언의 음운론에 대한 기술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론 음운론 연구는 1970년대부터 시작되어 최적성 이론, 정부 음운론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아일랜드어는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지며, 자음은 넓은 자음과 좁은 자음으로 구분된다. 모음은 방언에 따라 발음이 다르며, 강세와 관련된 특징도 존재한다. 아일랜드어의 음운론적 특징은 스코틀랜드 게일어, 맨어와 유사하며, 히베르노 영어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별 음운론 - 마케도니아어 음운론
마케도니아어 음운론은 마케도니아어의 발음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5개의 모음과 다양한 자음 음소를 가지며 단어 강세는 주로 끝에서 세 번째 음절에 위치하지만 예외도 존재하고, 모음 길이는 음소로 구별되지는 않는다. - 언어별 음운론 - 폴란드어 음운론
폴란드어 음운론은 폴란드어의 발음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구강 및 비모음, 복잡한 자음 체계, 환경에 따른 자음 변이음, 그리고 뒤에서 두 번째 음절에 오는 강세(일부 예외 존재) 등을 다룬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아일랜드어 음운론 | |
---|---|
개요 | |
언어 | 아일랜드어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 켈트어파 - 게일어군 |
사용 지역 | 아일랜드, 북아일랜드 |
음성학 | |
자음 개수 | 18 ~ 24개 |
모음 개수 | 9개 |
이중모음 개수 | 4 ~ 5개 |
자음 | |
순음 | 양순음: /bˠ/, /bʲ/, /fˠ/, /fʲ/, /mˠ/, /mʲ/ |
치음 | 치경음: /tˠ/, /tʲ/, /dˠ/, /dʲ/, /sˠ/, /sʲ/, /nˠ/, /nʲ/, /lˠ/, /lʲ/ |
연구개음 | 연구개음: /k/, /ɡ/ 경구개음: /c/, /ɟ/ |
성문음 | 성문음: /h/ |
기타 | R음: /ɾˠ/, /ɾʲ/ |
모음 | |
단모음 | 전설 모음: /ɪ/, /ɛ/, /æ/, /iː/, /eː/ 중설 모음: /ə/, /a/ 후설 모음: /ɔ/, /uː/ |
이중모음 | /əi/, /əu/, /iə/, /uə/ |
2. 연구 역사
19세기 말까지 아일랜드어에 대한 언어학적 논의는 전통 문법(명사, 동사, 형용사의 굴절)이나 역사적 관점에서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원시 켈트어를 거쳐 고대 아일랜드어에 이르기까지 소리의 발달에 초점을 맞추었다. 아일랜드어 방언의 음운론에 대한 최초의 기술적 분석은 Finck가 아란 제도에서 수행한 현장 연구를 기반으로 한 Die araner mundart. Ein beitrag zur erforschung des westirischen|아란 방언. 서부 아일랜드 연구 기여de이다.[1] Glenties 인근 Meenawannia, 도니골 주 방언에 대한 음성학적 설명을 담고 있는 An Irish dialect, the dialect of Torr|An Irish dialect, the dialect of Torr영어가 뒤따랐다.[2] De Hibernicorum lingua|De Hibernicorum linguala는 역사적인 내용이 주를 이루지만, 현대 방언에 대한 설명도 일부 포함하고 있다.[3]
Alf Sommerfelt는 얼스터 방언에 대한 초기 설명을 발표했으며, Gweedore의 Torr 마을[4][5]과 현재는 소멸된 아르마 주 남부 방언[6][7]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먼스터의 딩글 반도에 위치한 Dunquin 방언은 Description d'un parler irlandais de Kerry|케리 주 아일랜드어 방언에 대한 설명프랑스어에 기술되었다.[8]
1944년부터 1968년까지 더블린 고등연구소는 각 지역 방언의 음운론을 설명하는 일련의 모노그래프를 출판했다.
저자 | 연도 | 지역 | 주 | 비고 |
---|---|---|---|---|
Ó Cuívga | 1944 | 서부 머스커리 (Ballyvourney, Coolea 및 주변 지역) | 코크 주 | |
de Bhaldraithega | 1945 | Cois Fhairrge (Barna, Spiddal, Inverin 및 주변 지역) | 골웨이 주 | |
Breatnachga | 1947 | An Rinn | 워터포드 주 | |
de Búrcaga | 1958 | Tourmakeady | 메이요 주 | |
Wagnerga | 1959 | Teelin | 도니골 주 | |
Mhac an Fhailighga | 1968 | Erris | 메이요 주 |
아일랜드어의 대부분의 방언은 최소한 다음 표에 나와 있는 자음 음소를 포함한다(기호에 대한 설명은 국제 음성 기호 참조). 자음 는 넓지도 가늘지도 않다.
보다 최근의 기술 음운론은 도니골 북부의 Rosguill[9], Tangaveane 및 Commeen (역시 Glenties 근처)[10], 코네마라의 Iorras Aithneach (Kilkieran 및 주변 지역)[11], 케리 주의 딩글 반도[12]에 대해 출판되었다.
아일랜드어의 이론 음운론 연구는 Modern Irish: Grammatical structure and dialectal variation|현대 아일랜드어: 문법 구조와 방언 변이영어에서 시작되었으며,[13] 이 연구는 Chomsky와 Halle의 ''The Sound Pattern of English''의 원리와 실천을 따랐고, Irish dialects past and present|아일랜드어 방언의 과거와 현재영어의 음운론 섹션의 기초를 형성했다.[14] 이론적인 관점에서 아일랜드어 음운론을 검토한 논문으로는 Aspects of Palatalisation in Irish|아일랜드어 구개음화의 양상영어[15], 최적성이론에 대한 An optimality theoretic analysis of Irish syllabification|아일랜드어 음절화에 대한 최적성 이론 분석영어[16], 정부 음운론에 대한 Licensing constraints and vowel harmony in Irish|아일랜드어의 허가 제약과 모음 조화영어[17] 및 A Government Phonology Account of Vowel-Consonant Interaction in Irish|아일랜드어의 모음-자음 상호작용에 대한 정부 음운론적 설명영어[18] 등이 있다.
3. 자음
고대 아일랜드어에서 공명음은 넓음과 좁음뿐만 아니라 강음과 연음으로도 구분되었다. 현대 아일랜드어에서 R음은 모든 방언에서 두 개로 줄었고, L음과 비음은 일부 방언에서는 네 개를 모두 구별하지만, 다른 방언에서는 세 개 또는 두 개의 음소로 줄었다.고대 아일랜드어 얼스터 코노트 먼스터 로스길[34] 글렌티스[35] 메이요[36] 코네마라[37] 아란[38] 딩글 반도[39] 서머스커리[40] rowspan="3" colspan="7" | colspan="7" | rowspan="2" | colspan="2" | rowspan="2" | | rowspan="2" colspan="2" | colspan="2" | rowspan="2" | | colspan="3" | rowspan="2" colspan="2" | colspan="5" | rowspan="2" | colspan="2" | rowspan="2" | | rowspan="2" colspan="2" | colspan="2" | rowspan="2" | | colspan="3" | rowspan="2" | | colspan="5" | 단어 처음
그 외고: 치경구개음이다.
3. 1. 경과음
넓은(또는 연구개음화된) 자음이 전설 모음 앞에 오면 뚜렷한 연구개 경과음(모음과 유사한 매우 짧은 소리)이 발생한다. 입술을 둥글게 말지 않고 영어 'w'를 발음하는 것과 비슷한 소리이며, 국제음성기호는 [ɰ]이다. 예를 들어 '아홉(nine)'을 의미하는 아일랜드어 naoi|나오이ga [n̪ˠɰiː]와 '수단, 방법(way, manner)'을 의미하는 caoi|카오이ga [kɰiː]는 각각 느이[n̪ˠɰiː] 및 크이[kɰiː]로 발음된다.[110][111] 이 연구개 경과음은 순음 뒤에서는 순음화(''w''처럼 입술을 둥글게 발음)된다. 그래서 '노란색(yellow)'을 의미하는 buí|부이ga [bˠwiː]는 부이[bˠwiː]로 발음된다.[111][112]
이와 비슷하게, 좁은(또는 구개음화된) 자음이 후설 모음 앞에 오면 경구개 경과음(영어의 'y'와 유사한 소리)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두꺼운(thick)'을 의미하는 tiubha|티우바ga [tʲjuː]는 트유[tʲjuː]로 발음된다.[113]
넓은 자음이 전설 모음 뒤에 나오면 매우 짧은 모음 [ə̯] (삽입 경과음)이 그 자음 바로 앞에 발생한다. 예를 들어 '팔다(sell)'라는 뜻인 díol|디올ga [dʲiːə̯l̪ˠ]는 디얼[dʲiːə̯l̪ˠ]로 발음한다. 좁은 자음이 후설 모음 뒤에 나오면 그 자음 앞에 삽입 경과음 [i̯]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장소(place)'를 의미하는 áit|아이티ga [aːi̯tʲ]는 아이트[aːi̯tʲ]로 발음하고,[114][115] '음주의(drinking)'(소유격)라는 뜻인 óil|오일ga [oːi̯lʲ]는 오일[oːi̯lʲ]로 발음하고,[116] '이해(understanding)'(理解)라는 뜻인 meabhair|메아와르ga [mʲəui̯ɾʲ]는 머우이르[mʲəui̯ɾʲ]로 발음하고,[117] '우리에게(to us)'라는 의미의 dúinn|두인ga [d̪ˠuːi̯n̠ʲ]는 두인[d̪ˠuːi̯n̠ʲ]으로 발음한다.[118]
3. 2. 이음
는 기본적인 이음 두 개를 가진다. 양순 연구개 접근음 와 연구개음화한 유성 순치 마찰음 가 그것이다. 이 이음의 분포는 방언마다 제각각 다르다. 먼스터에서는 일반적으로 로 발음되고,[119] 얼스터에서는 일반적으로 로 발음된다.[120] 코노트에서는 모음 바로 앞에 나오면 로 발음되고(예: ‘있다, 이다’를 의미하는 bhfuil|브휠ga) 다른 위치에서는 로 발음된다(예: ‘성스러운’이라는 뜻의 naomh|니브ga, ‘가을’이라는 뜻의 fómhar|푸와르ga, ‘서두르는’이라는 뜻의 bhrostaigh|브로스티ga).[121][122]
넓은 자음(넓은 또는 연구개음화된)은 앞 모음 앞에서 눈에 띄는 연구개 오프글라이드(매우 짧은 모음과 유사한 소리)를 가지며, 이는 영어 와 유사하지만 둥글림은 없다. 따라서 naoi|늬ga ('아홉')와 caoi|키ga ('방법, 방식')는 각각 및 로 발음된다.[1][2] 이 연구개 오프글라이드는 순음 뒤에서 순음화되어([w]로 발음) buí|븨ga ('노란색')는 로 발음된다.[3][4]
마찬가지로 좁은 자음(경구개 또는 구개음화된)은 뒤 모음 앞에서 구개 오프글라이드(영어 와 유사)를 가지며, 예를 들어 tiubh|튜ga ('두꺼운')는 로 발음된다.[5]
넓은 자음이 앞 모음을 따를 때, 자음 바로 앞에 의 매우 짧은 모음 소리(온글라이드라고 함)가 있으며, 예를 들어 díol|딜ga ('판매')는 로 발음된다. 마찬가지로 좁은 자음이 뒤 모음을 따를 때, 자음 앞에 온글라이드 가 있으며, 예를 들어 áit|아트ga ('장소')는 로 발음되고,[6][7] óil|올ga ('마시는' 소유격)는 로 발음되며,[8] meabhair|먀우르ga ('이해')는 이고,[9] dúinn|둔ga ('우리에게')는 로 발음된다.[10]
(로 표기)는 두 개의 기본적인 변이음을 가지고 있다. 순치 접근음 와 연구개화된 유성 순치 마찰음 이다. 이 변이음들의 분포는 방언에 따라 다르다. 먼스터에서는 일반적으로 만 나타나며,[11] 얼스터에서는 일반적으로 만 나타난다.[12] 코노트에서는 가 모음 앞에서 단어의 시작 부분에 나타나고(예: bhfuil|윌ga 'is') 다른 위치에서는 가 나타난다(예: naomh|니브ga '성자', fómhar|푸와르ga '가을', bhrostaigh|브로스티ga '서둘렀다').[13][14]
나머지 순음 마찰음은 전형적으로 순치음 이지만, 의 마찰음 변이음 과 마찬가지로 많은 방언에서 양순음 변이음 을 가지고 있다. 분포는 환경(양순음은 둥근 모음 옆에서 더 흔히 발견됨)과 개별 화자에 따라 부분적으로 달라진다.[15]
대부분의 설단음은 치경음이지만, 넓은 파열음과 접근음은 전형적으로 치음 이며, 가느다란 마찰음은 전형적으로 후치경음 이다. 는 투어메이키디,[16] 에리스,[17] 그리고 텔린[18]을 포함한 여러 방언에서 치경구개음 파찰음 으로 실현될 수 있다.
는 진정한 구개음 또는 구개연구개음 일 수 있다.[19]
는 대부분의 방언에서 세 개의 변이음을 가지고 있다. 모음 앞( 제외)과 음절 마지막(예: dheas|야스ga '멋진', beidh|베ga '될 것이다')의 구개 접근음 , 자음 앞의 유성 구개 마찰음 (예: ghrian|이언ga '태양'), 그리고 앞의 중간 음 (보다 마찰이 많지만 보다 마찰이 적음)(예: dhírigh|이리ga '똑바로').[20][21][22][23]
는 주요 변이음 을 가진다.[24]
많은 방언에서 와 는 다양한 상황에서 와 번갈아 나타난다. 예를 들어, 와 의 연음화로, 는 뒤쪽 모음 앞에서 로 대체된다. 예를 들어, thabharfainn|후어헌ga ('나는 줄 것이다'), sheoil|홀ga ('운전했다').[25] 먼스터에서는 가 모음 뒤에서 가 된다. 예를 들어, fiche|피허ga ('스무').[26] 링에서는, 단음절 단어에서 마지막 가 가 된다. 예를 들어, scáth|스카ga ('두려움').[27] 일부 얼스터 방언, 예를 들어 토리 아일랜드에서는, 가 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ha|하ga ('아니다'), 단어의 마지막이나 앞에 삭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antach|산타ga ('탐욕스러운'), seacht|샤트ga ('7').[28][29]
3. 3. 공명음
고대 게일어에서는 공명음(철자 ''l n r m'')이 넓은/좁은 개념뿐 아니라 경음/연음 개념으로도 분류된다. 이 개념의 엄밀한 음성적 정의는 다소 불분명하지만, 추측하건대 설단 경음(철자 ''l n r'')은 연음에 비해 음절 길이가 더 길고 혀와 구개가 접촉하는 면적도 더 넓었을 것이다. 경음 ''m''의 발음은 , 연음 ''m''의 발음은 비음화된 반모음 였고, 구개음화되었을 때는 비음화된 마찰음 또는 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관례상 설단 경음은 대문자 ⟨⟩로, 연음은 소문자 ⟨⟩로 표기한다(다만 Stifter 등 일부 저자는 경음은 라틴 문자 ⟨⟩로, 연음은 그리스 문자 ⟨⟩로 표기한다).[123]
고대 게일어에는 R음화 음소 네 개, 설측 음소 네 개, 설단 비강 음소 네 개가 있었다. 고대 게일어에서 음소가 모음들 사이에 있거나, 모음의 뒤이자 단어 맨 끝이면 공명 경음과 공명 연음은 서로 대비되었다. 예컨대, ‘그가 깎는다’를 의미하는 ''berraid''|베라드sga 와 ‘그가 운반할 수도 있다’라는 의미의 ''beraid''|베라드sga , ‘개암나무’를 의미하는 ''coll''|콜sga 와 ‘죄’를 의미하는 ''col''|콜sga , ‘말뚝’을 의미하는 ''sonn''|손sga 과 ‘소리’를 의미하는 ''son''|손sga 들이 이렇게 서로 대비되는 쌍이다.[124]
현대 아일랜드어 방언에서 이 음소들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는 아래 표와 같다.
4. 모음
아일랜드어의 모음 발음은 방언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코노트 방언과 먼스터 방언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가진다.
얼스터 아일랜드어 모음은 여기서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해당 문서를 참조해야 한다.
4. 1. 모음 전후
모음의 전후(혀의 최고점이 수평으로 어디에 위치하는지)는 주로 인접한 자음의 강약(연구개음인지 구개음인지)에 따라 결정된다. 일부 연구자들은 /ɪ/와 /ʊ/, /ɛ/와 /ɔ/가 실제로는 같은 음소의 변이음이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이 음소들이 전설 모음이나 후설 모음으로 명확히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주변 자음의 영향을 받아 전설 또는 후설로 결정된다고 본다. 그러나 본 문서에서는 /ɪ, ʊ, ɛ, ɔ/를 별개의 음소로 보는 전통적인 이론을 따른다.이 섹션의 내용은 Ó Sé의 하버드 논문을 바탕으로 딩글 반도의 먼스터 방언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먼스터의 다른 지역과 코노트 방언도 이와 유사하다.
넓은 자음(넓거나 연구개음화된 자음)은 앞 모음 앞에서 뚜렷한 연구개 오프글라이드([ɰ], 영어의 /w/와 비슷하지만 입술을 둥글게 하지 않는 소리)를 동반한다. 예를 들어, naoiga (, '아홉')는 로, caoiga (, '방법, 방식')는 로 발음된다.[1][2] 이 연구개 오프글라이드는 순음 뒤에서는 순음화되어 [w]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buíga (, '노란색')는 로 발음된다.[3][4]
마찬가지로, 좁은 자음(경구개 또는 구개음화된 자음)은 뒤 모음 앞에서 구개 오프글라이드([j], 영어의 'y'와 유사)를 동반한다. 예를 들어, tiubhga (, '두꺼운')는 로 발음된다.[5]
넓은 자음이 앞 모음 뒤에 올 때는, 자음 바로 앞에 의 매우 짧은 모음 소리(온글라이드)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díolga (, '판매')는 로 발음된다. 좁은 자음이 뒤 모음 뒤에 올 때는, 자음 앞에 온글라이드 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áitga (, '장소')는 로,[6][7] óilga (, '마시는'의 소유격)는 로,[8] meabhairga (, '이해')는 로,[9] dúinnga (, '우리에게')는 로 발음된다.[10]
이러한 현상은 러시아어와 같은 특정 슬라브어와 리투아니아어에서도 나타난다.
4. 1. 1. 협모음
아일랜드어의 협모음에는 완전 협모음인 와 , 그리고 근협모음인 와 가 있다. 이 모음들의 정확한 발음은 주변 자음의 특성(좁은 자음인지 넓은 자음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발음:
- 좁은 자음 사이: 전설모음 (예: tír|티르ga '나라').
- 좁은 자음과 넓은 자음 사이: 혀가 뒤로 이동하여 (예: díol|디올ga '판매', caoire|키레ga '산딸기의').
- 넓은 자음 사이: 혀가 더 뒤로 이동하여 거의 중설모음인 (예: caora|키라ga '양').
- 발음:
- 넓은 자음 사이: 완전 후설모음 (예: dún|둔ga '요새').
- 넓은 자음과 좁은 자음 사이: 혀가 앞으로 이동하여 (예: triúr|트루르ga '세 사람', súil|술ga '눈').
- 좁은 자음 사이: 혀가 더 앞으로 이동하여 거의 중설모음인 (예: ciúin|퀸ga '조용한').
- 발음:
- 좁은 자음 사이: 전설모음 (예: tigh|티ga '집'(여격)).
- 좁은 자음 뒤, 넓은 자음 앞: 근전설모음 (예: giota|기타ga '평화').
- 넓은 자음 뒤, 좁은 자음 앞: 혀가 뒤로 이동하여 (예: tuigeann|티건ga '이해한다').
- 넓은 자음 사이: 중설모음 (예: goirt|괴르트ga[138] '짠 맛의').
- 발음:
- 넓은 자음 사이: 근후설모음 (예: dubh|두브ga '검은').
- 좁은 자음 뒤: 중설모음화되어 (예: giobal|궤발ga '넝마조각').
4. 1. 2. 중모음
반협 장모음 와 의 발음은 주위 자음의 성질에 따라 달라진다.는 좁은 자음 두 개 사이에 있으면 로 발음되고(예: ‘소리치다(yell)’라는 의미의 ''béic''|베크ga ), 넓은 자음과 좁은 자음 사이에 있으면 중모음화되어 로 발음되고(예: ‘부르다(call)’라는 의미의 ''glaoigh''|글리ga ), 넓은 자음 두 개 사이에 있으면 더욱 중모음화되어 로 발음된다(예: ‘위험(danger)’을 의미하는 ''baol''|발ga ).
는 넓은 자음 두 개 사이에 있으면 후설모음 로 발음된다(예: ‘잔디(turf)’를 의미하는 ''fód''|포드ga ). 또한 넓은 자음과 좁은 자음 사이에 있을 때는 앞으로 조금 나와서 로 발음되고(예: ‘잔디의(turf)’(소유격)를 의미하는 ''fóid''|포드ga ), 좁은 자음 두 개 사이에 있으면 전설모음화되어 로 발음된다(예: ‘음악의(music)’(소유격)을 의미하는 ''ceoil''|켈ga ).
반광 단모음 역시 주위 환경에 따라 발음이 변한다.
단모음 는 좁은 자음 두 개 사이에 있으면 전설모음 로 발음되고(예: ‘그러할 것이다(will be)’라는 의미의 ''beidh''|베그ga ), 넓은 자음과 좁은 자음 사이에 있으면 혀가 뒤로 들어가서 로 발음되고(예: ‘나는 그러할 것이다(I will be)’라는 의미의 ''bead''|바드ga , ‘-했다(was)’라는 의미의 ''raibh''|레브ga ), 인접한 자음이 넓은 자음 뿐일 때는 중설모음 로 발음된다(예: ‘십자가에(cross)’(여격)라는 의미의 ''croich''|크레흐ga ).
단모음 은 넓은 자음 두 개 사이에 있으면 보통 후설모음 로 발음되지만(예: ‘돌(stone)’이라는 의미의 ''cloch''|클로흐ga ), 비강자음 또는 순자음과 인접하면 중설모음화되어 로 발음된다(예: ‘거기(there)’라는 의미의 ''ansan''|안산ga , ‘부드러운(soft)’이라는 의미의 ''bog''|보그ga ). 넓은 자음과 좁은 자음 사이에 있으면 보다 광모음화하여 로 발음된다(예: ‘학교(school)’를 의미하는 ''scoil''|스콜ga , ‘마시다(drink)’를 의미하는 ''deoch''|됴흐ga ).
강세가 없는 는 경구개음(좁은 모음)과 인접하면 반협 근전설모음 로 발음되고(예: ‘장창(pike)’을 의미하는 ''píce''|피커ga ), 다른 좁은 모음도 옆에 붙으면 중설 중모음화하여 가 된다(예: ‘소금물(salt water)’을 의미하는 ''sáile''|살러ga ). 넓은 모음들과 인접하면 보통 중설 중모음 로 발음되지만(예: ‘정보(information)’를 의미하는 ''eolas''|올라스ga ), 바로 앞의 음절에 후설 협모음 중 하나가 포함되어 있으면 중설모음화된 후설 중모음 로 발음된다(예: ‘폐쇄(closing)’를 의미하는 ''dúnadh''|두나ga , ‘돼지들(pigs)’을 의미하는 ''muca''|무커ga ).
4. 1. 3. 광모음
아일랜드어의 오픈 모음 음소에는 장모음 /aː/와 단모음 /a/가 있다. 이 모음들의 발음은 주변 자음의 특성(굵은 자음 또는 가는 자음)에 따라 달라지며, 먼스터 방언과 코나흐트 방언 사이에도 차이가 있다.먼스터 방언먼스터 방언에서 장모음 /aː/와 단모음 /a/는 발음되는 범위가 거의 같다. 두 모음 모두 굵은 자음과 함께 발음될 때는 비교적 혀의 위치가 뒤쪽이고, 가는 자음과 함께 발음될 때는 비교적 앞쪽이다.
- 장모음 /aː/:
- 단어 시작 위치나 굵은 자음 뒤에서는 뒤쪽 모음 로 소리난다. (예: áit|아이트|IPA=[ɑːtʲ]ga '장소', trá|트라|IPA=[t̪ˠɾˠɑː]ga '해변')
- 가는 자음과 굵은 자음 사이에서는 뒤로 당겨진 앞쪽 모음 로 소리난다. (예: gearrfaidh|갸르히|IPA=[ˈɟa̠ːɾˠhəɟ]ga '자르다')
- 두 개의 가는 자음 사이에서는 완전한 앞쪽 모음 로 소리난다. (예: a Sheáin|아 한|IPA=[ə çaːnʲ]ga '존' 호격)
- 딩글 지역에서는 굵은 순음 뒤에서 로 둥글게 발음된다. (예: bán|반|IPA=[bˠɒːn̪ˠ]ga '하얀색')
- 워터포드 주 링 지역에서는 가는 자음 사이를 제외한 모든 환경에서 둥근 모음 로 소리나며, 가는 자음 사이에서는 중앙 모음 로 발음된다.[44]
- 단모음 /a/:
- 두 개의 가는 자음 사이에서 앞쪽 모음 로 소리난다. (예: gairid|가리드|IPA=[ɟaɾʲədʲ]ga '짧은')
- 굵은 자음과 가는 자음 사이에서는 대부분 뒤로 당겨진 모음 로 소리난다. (예: fear|퍄르|IPA=[fʲa̠ɾˠ]ga '남자', caite|카터|IPA=[ˈka̠tʲə]ga '닳은')
- 굵은 순음과 뒤에서는 중앙 앞쪽 모음 로 소리난다. (예: baile|발러|IPA=[bˠälʲə]ga '마을', loit|로트|IPA=[l̪ˠätʲ]ga '부상')
- 굵은 자음에만 인접해 있을 때는 중앙 뒤쪽 모음 로 소리난다. (예: mac|마크|IPA=[mˠɑ̈k]ga '아들', abair|아바르|IPA=[ɑ̈bˠəɾʲ]ga '말하다')
코나흐트 방언코나흐트 방언에서는[45][46][47] 단모음 /a/의 변이음이 장모음 /aː/의 변이음보다 일관되게 앞쪽에서 발음된다.
- 단모음 /a/:
- 에리스 지역에서는 가는 자음 앞에서 근개 전설 모음 (예: sail|살|IPA=[sˠælʲ]ga '귀지'), 가는 자음 뒤에서는 오픈 모음 (예: geal|걀|IPA=[ɟalˠ]ga '밝은'), 굵은 자음 사이에서는 중앙 뒤쪽 모음 (예: capall|카팔|IPA=[ˈkɑ̈pˠəl̪ˠ]ga '말')로 다양하게 소리난다.
- 장모음 /aː/:
- 굵은 자음 사이에서는 뒤쪽 모음 (예: bád|바드|IPA=[bˠɑːd̪ˠ]ga '보트'), 가는 자음 앞에서는 전진된 뒤쪽 모음 (예: fáil|팔|IPA=[fˠɑ̟ːlʲ]ga '얻다'), 가는 자음 뒤에서는 중앙 뒤쪽 모음 (예: breá|브랴|IPA=[bʲɾʲɑ̈ː]ga '좋은')로 다양하게 소리난다.
- 투르메이키디 지역에서는[48] 굵은 순음 뒤의 뒤쪽 변이음이 로 둥글게 발음된다. (예: bán|반|IPA=[bˠɒːn̪ˠ]ga '하얀색')
- 코네마라 지역에서는 의 변이음이 지속 시간이 길어져서, 모음의 음질만으로 의 변이음과 의 변이음을 구별하게 된다.[49]
4. 1. 4. 이중모음
/əi/의 시작점은 넓은 자음 뒤에서 근개중설 모음(ɐ)부터 가늘어진 자음 뒤에서 개중설 전설 모음(ɛ̈)까지이며, 종점은 가늘어진 자음 앞에서 근폐전설 모음(ɪ)부터 넓은 자음 앞에서 중설 모음(ɪ̈)까지이다.[50] 예시로는 cladhaire|클라더레ga('악당'), gadhar|가하르ga('개'), cill|킬ga('교회'), leigheas|레아스ga('치료')가 있다./əu/의 시작점은 넓은 자음 뒤에서 근개중설 모음(ɐ)부터 가늘어진 자음 뒤에서 개중고 중심 전설 모음(ɜ̟)까지이며, 종점은 넓은 자음 앞에서 근폐후설 모음(ʊ)부터 가늘어진 자음 앞에서 중설 모음(ʊ̈)까지이다.[51] 예시로는 bodhar|보하르ga('귀머거리'), feabhas|파바스ga('개선'), labhairt|라우르트ga('말하다'), meabhair|마우르ga('기억')이 있다. 그러나 서무스커리와 딩글 반도에서는 /əu/의 시작점이 넓은 자음 뒤에서 둥글고 더 뒤쪽에 위치한다.[52][53] 예: gabhar|고우르ga('염소').
/iə/의 시작점은 가늘어진 자음 뒤에서 폐전설 모음(i)부터 단어 시작의 넓은 /ɾˠ/ 뒤에서 후퇴된 [i̠]까지이다(넓은 자음 뒤에 나타나는 유일한 맥락). 종점은 넓은 자음 앞에서 중설 모음(ə)부터 가늘어진 자음 앞에서 중고 중심 전설 모음(ë)까지이다.[54] 예시로는 ciall|키얼ga('의미'), riamh|리우ga('결코'), diabhail|디얼ga('악마')가 있다.
/uə/의 시작점은 일관적으로 폐후설 모음(u)이며, 종점은 ɐ에서 ɪ̽까지이다:[55] thuas|후어스ga('위에'), uan|우언ga('어린 양'), buail|부얼ga('치다').
4. 2. 비모음
일반적으로 아일랜드어의 모음은 비강자음과 인접하면 비음화한다. 일부 발화자들에서는 비모음과 구강모음 사이에 최소 대립쌍이 발견된다. 이것은 주로 아주 옛날에 비음화된 반모음(역사적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연음화된 )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아일랜드어에서 비모음도 독립된 하나의 음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현대의 그 어느 방언에서도 이 대조성은 뚜렷하게 남아있지 않다. 대부분의 출판저작물에 따르면, 현재 이런 비모음은 일부 (보통 연배가 있는) 발화자들만 사용하고 있을 뿐이다.[139][140][141][142] 잠재적 최소 대립쌍은 다음 표에 나타냈다.비모음 | 구강모음 | ||||
---|---|---|---|---|---|
철자 | 발음 | 해석 | 철자 | 발음 | 해석 |
amhrasga | ‘의심’ | abhrasga | ‘실타래’ | ||
áthga | ‘여울’ | ádhga | ‘행운’ | ||
comhairga | (os comhairga로 구를 이루어 ‘앞에, 반대쪽’) | cóirga | ‘정확히, 올바른’ | ||
cumhaga | ‘비애’ | cúga | ‘사냥개’ | ||
deimhisga | ‘가위 한 짝’ | dísga | ‘두 사람’ | ||
fómhairga | ‘가을의’(소유격) | fóirga | ‘경계, 한계’ | ||
lámhaga | ‘손’ | lága | ‘낮’ | ||
lámhachga | ‘사격’ | láchga | ‘관대한’ | ||
nimhega | ‘독의’(소유격) | níga | ‘세탁’ | ||
rámhaga | ‘노의’(소유격) | rága | ‘격언’ |
덧붙여, 모음이 비강자음과 인접하여 비음화되었는데, 그 자음이 비음이 아니게 되었을 경우, 일반적으로 모음은 비음화 상태를 유지한다. 예컨대, ‘어머니’를 의미하는 아일랜드어 ''máthair''ga 의 비음 은 ‘그의 어머니’라는 의미의 구절 ''a mháthair''ga 에서 비음이 아닌 로 대체된다. 하지만 모음은 비음화된 그대로다.[139] 이와 유사하게, ‘눈’을 의미하는 ''sneachta''ga 를 보면 뒤에 오는 모음이 비음화하는데, 이때 북부 지방 일각의 방언에서는 ‘눈의’(소유격)를 의미하는 ''an tsneachta''ga 에서 이 로 대체되지만 모음은 비음화된 그대로 남는다.[143]
5. 음소 배열
아일랜드어 음소배열론에서 가장 흥미로운 특징은 자음군의 양태에 관한 것이다. 자음군은 단어의 첫 부분에 나오는 경우와 모음 바로 뒤에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두 경우 모두에서 나타나는 형태가 있긴 하지만 이 둘을 구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19세기 말까지 아일랜드어에 대한 언어학적 논의는 전통 문법(명사, 동사, 형용사의 굴절)이나 역사언어학적인 관점에서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원시 켈트어를 거쳐 고대 아일랜드어에 이르기까지 소리의 발달에 초점을 맞추었다. 아일랜드어 방언의 음운론에 대한 최초의 기술적 분석은 Finck (1899)의 저서로, 아란 제도에서 수행한 현장 연구를 기반으로 했다.[62] 이어서 Quiggin (1906)은 도니골 주 Glenties 인근 Meenawannia 방언에 대한 음성학적 설명을 담고 있다.[63] Pedersen (1909)는 역사적인 내용이 주를 이루지만, 현대 방언에 대한 설명도 일부 포함하고 있다.[64] Alf Sommerfelt는 얼스터 방언에 대한 초기 설명을 발표했으며, Sommerfelt (1922, 1965)는 Gweedore의 Torr 마을에 대한 내용,[65] Sommerfelt (1927, 1929)는 현재는 소멸된 아르마 주 남부 방언에 대한 내용이다.[66] Sjoestedt (1931)는 먼스터의 딩글 반도에 위치한 Dunquin 방언을 기술했다.[67]
1944년부터 1968년까지 더블린 고등연구소는 각 지역 방언의 음운론을 설명하는 일련의 모노그래프를 출판했다. Ó Cuív (1944)는 코크 주의 서부 머스커리 (Ballyvourney, Coolea 및 주변 지역)에 대한 내용,[68] de Bhaldraithe (1966, 1945년 초판)는 골웨이 주의 Cois Fhairrge (Barna, Spiddal, Inverin 및 주변 지역)에 대한 내용,[69] Breatnach (1947)는 워터포드 주의 An Rinn에 대한 내용,[70] de Búrca (1958)는 메이요 주의 Tourmakeady에 대한 내용,[71] Wagner (1959)는 도니골 주의 Teelin에 대한 내용,[72] Mhac an Fhailigh (1968)는 메이요 주의 Erris에 대한 내용이다.[73]
보다 최근의 기술 음운론은 Lucas (1979)가 도니골 북부의 Rosguill에 대해,[74] Hughes (1986)는 Tangaveane 및 Commeen (역시 Glenties 근처)에 대해,[75] Ó Curnáin (1996)은 코네마라의 Iorras Aithneach (Kilkieran 및 주변 지역)에 대해,[76] Ó Sé (2000)는 케리 주의 딩글 반도에 대해 출판했다.[77]
아일랜드어의 이론 음운론 연구는 Ó Siadhail, Wigger (1975)에서 시작되었으며,[78] 이 연구는 Chomsky와 Halle의 ''The Sound Pattern of English''의 원리와 실천을 따랐고, Ó Siadhail (1989)의 음운론 섹션의 기초를 형성했다.[79] 이론적인 관점에서 아일랜드어 음운론을 검토한 논문으로는 Ní Chiosáin (1991),[80] 최적성이론에 대한 Green (1997),[81] 정부 음운론에 대한 Cyran (1997) 및 Bloch-Rozmej (1998) 등이 있다.[82]
5. 1. 단어 첫글자 자음군
아일랜드어 단어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자음군으로 시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음군 내의 모든 자음은 음질(넓거나 가늘거나)이 일치한다.두 자음군은 폐쇄음 다음에 유음 또는 비음이 오는 형태이다. 단, 순음 폐쇄음 뒤에는 비음이 올 수 없다. 예를 들어 bleánga ('젖 짜기'), breága ('훌륭한'), cnaipega ('단추'), dlíga ('법'), gnáthga ('일반적인') 등이 있다. 또한, 와 는 무성 파열음 뒤에 올 수 있는데, sparánga ('지갑'), scéalga ('이야기') 등이 그 예시이다. 자음군 는 mnága ('여자')와 같은 일부 단어에서 나타난다.
세 자음군은 또는 다음에 무성 파열음, 그 다음에 유음이 오는 형태이다. 예를 들어 scliúchasga ('소란'), screadga ('비명'), splancga ('번개') 등이 있다.
음질 일치에는 예외가 있는데, 넓은 가 가느다란 순음 앞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있다. 일부 화자의 경우 코네마라와 딩글에서는 앞에서도 발견된다.[62][63] 예를 들어 sméaraga ('베리'), spealga ('낫') 등이 있다.
5. 2. 모음 직후 자음군과 삽입음
rˠ, rʲga, l̪ˠ, lʲga, 또는 n̪ˠ, nʲga 자음군이 순음 또는 연구개 자음(무성 파열음 pˠ, pʲga, k, cga 제외) 다음에 오면 분절 모음 에 의해 분리된다.[69]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단어 | 발음 | 뜻 |
---|---|---|
borbga | 갑작스러운 | |
gormga | 파란색 | |
dearmadga | 실수 | |
dearfaga | 확실한 | |
seirbhísga | 서비스 | |
feargga | 분노 | |
dorchaga | 어두운 | |
dalbaga | 대담한 | |
colmga | 비둘기 | |
soilbhirga | 쾌적한 | |
gealbhanga | 참새 | |
binbga | 독 | |
Banbhaga | 아일랜드의 이름 | |
ainmga | 이름 | |
meanmaga | 마음 | |
ainmhíga | 동물 |
그러나 자음군 앞의 모음이 장모음 또는 이중 모음인 경우에는 분절이 없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단어 | 발음 | 뜻 |
---|---|---|
fáirbrega | 주름 | |
téarmaga | 용어 | |
léargasga | 통찰력 | |
dualgasga | 의무 |
또한 최소 3음절 길이의 단어에도 분절이 없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단어 | 발음 | 뜻 |
---|---|---|
firmimintga | 창공 | |
smiolgadánga | 목구멍 | |
caisearbhánga | 민들레 | |
Cairmilíteachga | 카르멜회원 |
6. 강세
아일랜드어 단어는 일반적으로 첫 음절에 강세가 온다. d'imigh|디미ga ('떠났다'), easonóir|아사노르ga ('불명예') 등이 그 예이다.[92] 그러나 부사나 차용어처럼 일부 단어는 첫 음절이 아닌 다른 음절에 강세가 오기도 한다. amháin|아완ga ('오직'), tobac|터박ga ('담배') 등이 그러한 예이다.
합성어의 경우, 대부분 첫 번째 구성 요소에 1차 강세, 두 번째 구성 요소에 2차 강세가 온다. lagphortach|라그포르터흐ga ('소모된 늪')가 그 예이다. 일부 합성어는 첫 번째와 두 번째 구성 요소 모두에 1차 강세를 받기도 하는데, deargbhréag|댜러그브레그ga ('끔찍한 거짓말')이 그러한 예이다.
먼스터어에서는 장모음이나 이중 모음이 단어의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음절에 있으면 그 음절로 강세가 이동한다. cailín|칼린ga ('소녀'), achainí|아허니ga ('요청') 등이 그 예이다.[93] 과거 동메이요 방언에서도 먼스터 방언과 비슷하게 장모음이나 이중 모음에 강세가 오는 현상이 있었다. 또한, 발화 마지막에 오는 단어 끝 음절 앞의 단모음에도 강세가 왔다.[94][95][96] 예를 들어 capall|카팔ga ('말')은 문장 마지막에 올 때는 강세가 뒤로 이동했지만, 문장 중간에서는 첫 음절에 강세가 왔다.
먼스터 방언에서는 특정 조건에서 두 번째 음절의 뒤에 가 오면 강세가 이동한다. 첫 번째 음절과 세 번째 음절(존재하는 경우)에 단모음이 있다면, bacach|바카흐ga ('절름발이'), slisneacha|슬리슈나허ga ('감자 튀김')처럼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온다. 하지만 첫 번째 또는 세 번째 음절에 장모음이나 이중 모음이 있다면, 강세는 해당 음절로 이동하고 는 로 약화된다. éisteacht|에슈타흐트ga ('듣다'), moltachán|몰터한ga ('거세한 수양') 등이 그 예이다.[97]
6. 1. 강세 배치의 전반적 사실
아일랜드어에서 단어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강세 음절(ˈ◌)만을 가지며, 이는 단어의 첫 번째 음절이다. 예를 들어 d'imigh|디미ga ('떠났다' [동사])와 easonóir|아사노르ga ('불명예')가 있다.[92] 그러나 일부 단어, 특히 부사와 차용어는 첫 음절이 아닌 다른 음절에 강세를 받는다. 예를 들어 amháin|아완ga ('오직'), tobac|터박ga ('담배')가 있다.대부분의 합성어에서, 1차 강세는 첫 번째 구성 요소에, 2차 강세(ˌ◌)는 두 번째 구성 요소에 떨어진다. 예를 들어 lagphortach|라그포르터흐ga ('소모된 늪')가 있다. 그러나 일부 합성어는 첫 번째와 두 번째 구성 요소 모두에 1차 강세를 받는다. 예를 들어 deargbhréag|댜러그브레그ga ('끔찍한 거짓말')이 있다.
6. 2. 강세 없는 모음의 특성
아일랜드어에서 강세를 받지 않는 음절의 단모음은 일반적으로 슈와(ə)로 약화된다.하지만 예외도 존재한다. 먼스터어에서는 세 번째 음절에 강세가 있고 앞의 두 음절이 짧은 경우, 첫 번째 강세 없는 음절은 /ə/로 약화되지 않고 이차 강세를 받는다. 예를 들어 '낫을 든 사람'을 뜻하는 spealadóirga는 로 발음된다.[98] 또한, 먼스터어에서는 강세가 있는 또는 가 뒤따르는 음절이 있는 경우, 강세 없는 단모음은 /ə/로 약화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예술'을 뜻하는 ealaíga는 로, '수집'을 뜻하는 bailiúga는 로 발음된다.[99]
얼스터어에서는 강세 없는 음절의 장모음이 단축되지만 /ə/로 약화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소녀'를 뜻하는 cailínga은 로, '갤런'을 뜻하는 galúnga은 로 발음된다.[100][101] 또한, 얼스터어에서는 앞의 강세 없는 는 슈와로 약화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축'을 뜻하는 eallachga은 로 발음된다.[102]
7. /x/에 관하여
무성 연구개 마찰음 /x/|흐ga는 아일랜드어에서 "ch"로 표기된다. 이 음소는 많은 아일랜드어 방언에서 발견되는 몇 가지 특이한 패턴과 관련이 있다. /x/|흐ga는 모음 /a/|ㅏga 뒤에 위치하면 단모음의 변칙적 성질을 일으키며, 구개음화된 /ç/ga는 무성 성문 마찰음 /h/ga와 상호작용하여 탈락되기도 한다.[1]
7. 1. /ax/의 양태
무성 연구개 마찰음 /x/|흐ga는 아일랜드어에서 'ch'로 철자된다. 이 음소는 많은 아일랜드어 방언에서 발견되는 몇 가지 특이한 패턴과 관련이 있다. 우선 한 가지는, 이것이 모음 /a/|ㅏga 뒤에 위치하면 단모음의 변칙적 성질을 촉발시킨다는 것이다. 또 다른 한 가지는, /x/|흐ga 및 그것이 구개음화된(즉, 좁은 자음인) /ç/ga가 무성 성문 마찰음 /h/ga와 다양한 형태로 상호작용하며 어떤 때는 통째로 탈락되기도 하는 점이다.[1]8. 다른 언어와의 비교
아일랜드어는 스코틀랜드 게일어 및 맨어와 음운론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많이 공유한다. 예를 들어, 세 언어 모두 "넓은" 자음과 "가느다란" 자음을 대조하지만,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맨어에서는 입술소리(순음)를 제외한 위치에서만 나타난다. 등이 등으로 변화하는 현상, 강한 공명음 앞에서의 모음 장음화 또는 이중 모음화 역시 세 언어 모두에서 발견된다.[104][105] 강세 패턴을 보면,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코나트와 얼스터 아일랜드어와 동일하며, 맨어의 경우 강세는 비초성 음절의 장모음과 이중 모음에 끌리지만, 먼스터보다는 더 제한적인 조건에서 발생한다.[106][107] 맨어와 많은 스코틀랜드 게일어 방언은 얼스터 아일랜드어와 마찬가지로 무강세 모음 앞에서 로 축약되지 않는다.[108]
히베르노 영어의 대부분의 모음( /ɔɪ/|/오이/ga 제외)은 아일랜드어의 모음 음성에 해당한다.[109] 아일랜드어 파열음 [t̪ˠ d̪ˠ]|[/t̪ˠ d̪ˠ/]ga은 영어 음소 /θ ð/|/θ ð/영어의 일반적인 실현이다. 히베르노 영어는 또한 아일랜드어에서는 허용되지만 다른 영어 방언에서는 제외되는 /h/|/h/영어를 허용하는데, 예를 들어 무강세 모음 앞과 단어의 끝에서 그렇다. ''film'' [ˈfɪləm]|[/ˈfɪləm/]영어 및 ''form'' [ˈfɒːɹəm]|[/ˈfɒːɹəm/]영어과 같은 단어에는 삽입음이 있다.[109]
8. 1. 스코틀랜드 게일어 및 맨어
아일랜드어에서 발견되는 많은 음운론적 과정은 가장 가까운 친척인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맨어에서도 발견된다. 예를 들어, 두 언어 모두 "넓은" 자음과 "가느다란" 자음을 대조하지만, 이는 관상 및 배부 발음 위치에서만 나타난다.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맨어는 모두 순음 자음의 구별을 잃었다. 등이 등으로 변화하는 현상은 맨어와 대부분의 스코틀랜드 게일어 방언에서 발견된다. 필사본 증거에 따르면 16세기 초 스코틀랜드 게일어에서 시작되어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까지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맨어에서 확립되었다.[104] 강한 공명음 앞에서의 모음 장음화 또는 이중 모음화 역시 두 언어 모두에서 발견된다.[105] 스코틀랜드 게일어의 강세 패턴은 코나트와 얼스터 아일랜드어와 동일하며, 맨어의 경우 강세는 비초성 음절의 장모음과 이중 모음에 끌리지만, 먼스터보다는 더 제한적인 조건에서 발생한다.[106][107]맨어와 많은 스코틀랜드 게일어 방언은 얼스터 아일랜드어와 마찬가지로 무강세 가 앞에서 로 축약되지 않는다는 특징을 공유한다.[108]
8. 2. 히베르노 영어
Hiberno-English의 대부분의 모음( /ɔɪ/|/오이/ga 제외)은 아일랜드어의 모음 음성에 해당한다.[109] 아일랜드어 파열음 [t̪ˠ d̪ˠ]|[/t̪ˠ d̪ˠ/]ga은 영어 음소 /θ ð/|/θ ð/영어의 일반적인 실현이다. Hiberno-English는 또한 아일랜드어에서는 허용되지만 다른 영어 방언에서는 제외되는 /h/|/h/영어를 허용하는데, 예를 들어 무강세 모음 앞(예: ''Haughey'' /ˈhɑhi/|/ˈ하히/영어)과 단어의 끝(예: ''McGrath'' /məˈɡɹæh/|/məˈ그래흐/영어)에서 그렇다. ''film'' [ˈfɪləm]|[/ˈfɪləm/]영어 및 ''form'' [ˈfɒːɹəm]|[/ˈfɒːɹəm/]영어과 같은 단어에는 삽입음이 있다.[109]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참고
[37]
참고
[38]
참고
[39]
참고
[40]
참고
[41]
참고
[42]
참고
[43]
참고
[44]
참고
[45]
참고
[46]
참고
[47]
참고
[48]
참고
[49]
참고
[50]
참고
[51]
참고
[52]
참고
[53]
참고
[54]
참고
[55]
참고
[56]
참고
[57]
참고
[58]
참고
[59]
참고
[60]
참고
[61]
참고
[62]
참고
[63]
참고
[64]
참고
[65]
참고
[66]
참고
[67]
참고
[68]
참고
[69]
참고
[70]
참고
[71]
간행물
[72]
간행물
[73]
간행물
[74]
간행물
[75]
간행물
[76]
간행물
[77]
간행물
[78]
간행물
[79]
간행물
[80]
간행물
[81]
간행물
[82]
간행물
[83]
간행물
[84]
간행물
[85]
간행물
[86]
간행물
[87]
간행물
[88]
간행물
[89]
간행물
[90]
간행물
[91]
간행물
[92]
간행물
[93]
간행물
[94]
간행물
[95]
간행물
[96]
간행물
[97]
간행물
[98]
간행물
[99]
간행물
[100]
간행물
[101]
간행물
[102]
간행물
[103]
간행물
[104]
간행물
[105]
간행물
[106]
Harvcolnb
[107]
Harvcolnb
[108]
Harvcolnb
[109]
Harvcolnb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137]
서적
[138]
문서
Pronounced as if spelled guirt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1944
[142]
서적
2000
[143]
서적
196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