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은 러시아 황족으로, 1847년에 태어나 1909년에 사망했다. 그는 러시아-튀르크 전쟁에 참전하고 황립 미술 아카데미 회장, 루먄체프 박물관 대리인 등을 역임하며 군사, 예술, 사회 분야에서 활동했다. 예술 후원자이자 수집가였으며, 세르게이 디아길레프의 발레 뤼스를 지원하기도 했다. 1905년 피의 일요일 사건 이후 아들의 결혼 문제로 니콜라이 2세와 갈등을 겪기도 했다. 그의 아들 키릴은 망명 후 황위를 주장했고, 블라디미르는 현재 황위 요구자의 조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러시아-튀르크 전쟁 (1877년-1878년) 참전 군인 - 미하일 스코벨레프
    미하일 스코벨레프는 '하얀 장군'으로 불린 19세기 러시아 제국 군인으로, 투르키스탄과 발칸 반도에서 뛰어난 지휘 능력을 보이며 러시아 제국 영토 확장에 기여했고,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공을 세웠으며, 범슬라브주의를 지지했으나 갑작스러운 죽음과 기념비 철거로 논란이 되었다.
  • 러시아의 러시아-튀르크 전쟁 (1877년-1878년) 참전 군인 - 지노비 로제스트벤스키
    지노비 페트로비치 로제스트벤스키는 러시아 제국의 해군 제독으로, 포술 전문가로서 해군 근대화에 기여했으나 러일 전쟁 당시 발트 함대 사령관으로서 쓰시마 해전에서 패배했다.
  • 마리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녀 - 알렉산드르 3세
    알렉산드르 3세는 19세기 후반 러시아 제국의 황제로, 전제 군주제 강화, 자유주의 억압, 중앙 집권 체제 공고화, 소수 민족 탄압 등의 반동 정치를 펼쳤으며 프랑스와 동맹을 맺고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을 추진했다.
  • 마리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녀 - 마린스키 극장
    마린스키 극장은 1783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설립된 러시아 대표 극장으로, 제정 러시아 시대에는 황실 극장으로서 오페라와 발레의 중심이었으며, 현재는 마린스키 발레단, 마린스키 오페라, 마린스키 극장 관현악단이 상주하고, 건물은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 알렉산드르 2세 - 알렉산드르 3세
    알렉산드르 3세는 19세기 후반 러시아 제국의 황제로, 전제 군주제 강화, 자유주의 억압, 중앙 집권 체제 공고화, 소수 민족 탄압 등의 반동 정치를 펼쳤으며 프랑스와 동맹을 맺고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을 추진했다.
  • 알렉산드르 2세 - 크림 전쟁
    크림 전쟁은 1853년부터 1856년까지 러시아와 오스만 제국, 프랑스, 영국, 사르데냐 연합군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오스만 제국 쇠퇴, 러시아 남하 정책, 종교적 갈등이 원인이 되었으며, 1856년 파리 조약으로 러시아의 흑해 해군력 제한 등의 결과를 낳고 근대 간호 발전 등에 영향을 주었다.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1894년경
이름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원어 이름Влади́ми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러시아어)
칭호러시아 대공
출생일1847년 4월 22일
출생지겨울 궁전,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사망일1909년 2월 17일
사망지블라디미르 궁,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매장지대공 묘, 성 베드로와 바울 요새,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종교러시아 정교회
가족 관계
배우자마리 (1874년 8월 28일 결혼)
자녀알렉산드르 블라디미로비치 대공
키릴 블라디미로비치 대공
보리스 블라디미로비치 대공
안드레이 블라디미로비치 대공
엘레나 블라디미로브나 대공녀, 그리스 니콜라스 왕자비
아버지알렉산드르 2세
어머니마리아 알렉산드로브나
기타 정보
왕가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 왕조

2. 생애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은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2세 황제와 마리 황후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형 니콜라이 황태자의 요절로 황위 계승 서열에 가까워졌으나, 둘째 형 알렉산드르가 황위를 계승했다.

1874년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마리(결혼 후 마리야 파블로브나)와 결혼하여 슬하에 4남 1녀를 두었다. 부부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사교계의 중심 인물이었으며, 블라디미르 궁전에서 거주했다.

그는 군인으로서 러시아-튀르크 전쟁에 참전했으며, 황립 미술 아카데미 회장을 역임하는 등 예술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동하며 예술가들을 후원했다.

말년에는 1905년 혁명의 도화선이 된 피의 일요일 사건 당시 상트페테르부르크 군관구 사령관으로서의 역할과 관련하여 비판을 받기도 했다. 또한 장남 키릴니콜라이 2세의 허락 없이 결혼하자 이에 항의하며 모든 공직에서 사임하는 등 조카와의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 1909년 뇌출혈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은 1847년 4월 22일 상트페테르부르크겨울 궁전에서 태어났다.[5] 그는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2세와 그의 아내 마리 황후(헤센 대공녀 마리) 사이에서 태어난 8명의 자녀 중 넷째이자, 아들로는 셋째였다.

그의 할아버지 러시아의 니콜라이 1세가 사망하고 아버지 알렉산드르 2세가 러시아 차르로 즉위했을 때 블라디미르는 8살이었다. 그는 좋은 교육을 받았으며 평생 문학과 예술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하지만 로마노프 가문의 다른 남성 황족들처럼 군 복무는 피할 수 없는 의무였다. 셋째 아들이었기에 초기에는 러시아 황위 계승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러나 1865년, 그의 맏형인 황태자 니콜라이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상황이 변했다. 블라디미르는 둘째 형인 알렉산드르 다음으로 황위 계승 서열에 예상치 못하게 가까워졌다. 새로운 황태자가 된 알렉산드르와는 달리, 블라디미르는 재치 있고 야심 찬 성격의 소유자였다. 당시 일각에서는 아버지 알렉산드르 2세가 소극적인 알렉산드르 대신 블라디미르를 후계자로 삼으려 한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알렉산드르 황태자 본인도 귀천상혼을 원하며 황위 계승권을 포기하고 싶어 했으나, 결국 가족의 압력에 못 이겨 황족에 걸맞은 신부를 맞이했다.[6] 두 형제의 관계는 표면적으로는 우호적이었으나, 깊은 유대감을 형성하지는 못했다.

2. 2. 결혼

180px


1871년 6월, 가족과 함께 독일을 여행하던 중 당시 24세였던 블라디미르 대공은[9]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마리(1854년 5월 14일 ~ 1920년 9월 6일)를 만났다. 그녀는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프리드리히 프란츠 2세 대공과 로이스-쾨스트리츠의 아우구스타의 딸로,[9] 당시 17세였으며 이미 먼 친척인 슈바르츠부르크-루돌슈타트의 게오르크 알베르트 공과 약혼한 상태였다.[9] 두 사람은 서로에게 즉시 매력을 느꼈다. 블라디미르는 마리의 아버지인 프리드리히 프란츠 2세 대공의 사촌이었고, 러시아의 엘레나 파블로브나 대공녀의 손자였다. 또한, 두 사람은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의 후손으로서 사촌 관계이기도 했다. 블라디미르와 결혼하기 위해 마리는 이전 약혼을 파기했지만, 러시아 정교회로의 개종은 거부했다.[10] 이 문제로 인해 두 사람의 약혼은 거의 2년 동안 지연되었다. 결국 알렉산드르 2세 황제는 마리가 자신의 루터교 신앙을 유지하는 것을 허락했고, 블라디미르는 러시아 왕위 계승권을 잃지 않으면서 그녀와 결혼할 수 있게 되었다. 약혼은 1874년 4월에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10]

결혼식은 1874년 8월 28일 상트페테르부르크겨울 궁전에서 열렸다.[10] 블라디미르의 아내는 결혼 후 러시아식 이름인 '마리야 파블로브나'를 사용하게 되었으며, 로마노프 가문 내에서는 '미첸'이라는 애칭으로 불렸다. 수십 년이 흐른 뒤, 남편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가 사망하기 직전인 1908년 4월 10일, 그녀는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했다.[11] 1908년 4월 13일, 니콜라이 2세 황제는 그녀에게 "정교 대공녀(Благоверная Великая Княгиняru)"라는 칭호를 사용할 것을 명했다.[12][13]

블라디미르 대공과 그의 아내 마리야 파블로브나 대공녀는 모두 재치 있고 야심만만한 성격이었다. 그들은 연회를 즐겼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그들의 저택은 러시아 제국 수도 사교계의 중심지가 되었다. 서로에게 잘 어울리는 한 쌍으로, 길고 행복한 결혼 생활을 했다.[14]

블라디미르 대공 부부는 슬하에 5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름생몰년비고
알렉산드르 블라디미로비치1875년–1877년유아기에 사망
키릴 블라디미로비치1876년–1938년1922년부터 황위 계승 서열 1위를 선언, 1924년부터 "전 러시아 황제"를 칭하며 로마노프 가문의 망명 황제가 됨.
보리스 블라디미로비치1877년–1943년
안드레이 블라디미로비치1879년–1956년
엘레나 블라디미로브나1882년–1957년그리스 국왕 게오르기오스 1세의 셋째 아들 그리스와 덴마크의 왕자 니콜라오스와 결혼


2. 3. 자녀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은 1874년에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 프리드리히 프란츠 2세의 딸이자 사촌 여동생인 마리 알렉산드리네(마리아 파블로브나 대공녀)와 결혼하여 다섯 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름생몰년배우자자녀비고
알렉산드르 블라디미로비치 대공1875년 8월 31일 – 1877년 3월 16일유아기에 사망
키릴 블라디미로비치 대공1876년 10월 12일 – 1938년사촌 작센코부르크고타의 빅토리아 멜리타 공주3명1924년부터 로마노프가 망명 황제("전 러시아 황제")를 자처함
보리스 블라디미로비치 대공1877년 – 1943년지나이다 라셰프스카야없음적법한 후손 없음
안드레이 블라디미로비치 대공1879년 – 1956년마틸다 크셰신스카야아들 1명
옐레나 블라디미로브나 대공녀1882년 – 1957년그리스의 니콜라스 왕자딸 3명남편은 그리스의 게오르기오스 1세와 러시아의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대공녀의 셋째 아들


2. 4. 군 경력 및 사회 활동

120px


1867년 블라디미르 대공은 러시아 민족지학회의 명예 회장으로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 아버지 알렉산드르 2세와 형 알렉산드르와 함께 파리 세계 박람회에 참석했다. 이 박람회에서 그의 아버지는 폴란드 민족주의자에게 총격을 당하는 사건이 있었다. 1871년에는 아버지와 형제들과 함께 조지아, 체첸, 다게스탄 등 코카서스 지역을 방문했고, 1872년에는 아버지와 함께 을 방문하여 러시아, 독일, 오스트리아 3개 제국 황제의 회동에 참석했다.

유럽 사교계의 일원이었던 그는 파리를 자주 방문했다. 젊은 시절에는 다소 통통했으나 나중에는 살이 빠졌다. 그는 뛰어난 화가였으며 중요한 서적 컬렉션을 수집하기도 했다. 또한 유명한 미식가로서, 식사 후 메뉴를 수집하고 음식에 대한 감상을 기록하는 것을 즐겼다.

190px


블라디미르 대공은 아버지 알렉산드르 2세, 형 알렉산드르 3세, 조카 니콜라이 2세의 세 차례 통치 기간 동안 중요한 군사적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1877-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에 아버지와 형제 알렉산드르, 세르게이와 함께 참전했다.[21] 이 전쟁에서 그는 러시아 제국군 제12 군단의 지휘관으로서 오스만 제국군과 싸웠다. 그러나 그의 군 경력은 예술과 문학에 대한 관심만큼 두드러지지는 않았다.[22]

1880년, 아버지 알렉산드르 2세는 그를 황립 미술 아카데미의 회장으로 임명했다. 그는 또한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고 루먄체프 박물관의 대리인 역할도 맡았다.[23] 1881년 아버지가 암살당하고 형 알렉산드르 3세가 즉위했을 때, 블라디미르는 제국의 수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었다. 그는 형보다 먼저 침착함을 되찾아 아버지의 죽음을 대중에게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역할을 했다.[24] 블라디미르는 아버지의 개인 서재를 물려받았고, 자신의 방대한 장서를 더해 블라디미르 궁전의 세 개 서재를 채웠다.[25] (이 책들은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무게 단위로 무작위 판매되어 현재 여러 미국 대학 도서관 컬렉션의 일부가 되었다.)

알렉산드르 3세는 블라디미르와 그리 가깝지 않았고, 그들의 부인들 사이에도 경쟁 관계가 있었지만, 동생의 경력을 지원했다. 아버지의 죽음 다음 날, 그는 블라디미르를 군정 장관으로 임명했는데, 이 자리는 이전에 삼촌인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이 맡고 있었다.[23] 블라디미르는 국가 평의회에서도 활동했으며, 아버지 알렉산드르 2세가 암살된 장소에 세워진 피의 구세주 교회 건설(1883-1907)을 감독하는 공식 위원회의 의장을 맡았다.[23]

블라디미르 대공은 열정적인 박애주의자였으며, 재능 있는 화가이자 유명한 예술 후원가였다. 그는 많은 예술가들과 친분을 쌓았고, 귀중한 그림과 오래된 성화(이콘) 컬렉션을 수집했다.[26] 그는 나중에 발레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고, 디아길레프의 발레 뤼스 해외 공연을 후원하기도 했다.

알렉산드르 3세에게 세 아들이 태어나면서 블라디미르와 그의 아들들은 러시아 황위 계승 서열에서 멀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888년 알렉산드르 3세와 그의 가족 전체가 보르키(현재 우크라이나 추후이우 구의 비르키)에서 열차 사고를 당했을 때, 블라디미르가 예기치 않게 황제가 될 뻔한 상황이 발생했다. 당시 파리에 있던 블라디미르와 그의 부인은 러시아로 급히 돌아오지 않았는데, 이는 알렉산드르 3세를 불쾌하게 만들었다. 알렉산드르 3세는 만약 자신과 자녀들이 모두 죽었다면 블라디미르가 황제가 되기 위해 서둘러 러시아로 돌아왔을 것이라고 비꼬기도 했다.[27] 1894년 알렉산드르 3세가 사망했을 때, 군대가 조카 니콜라이 2세 대신 블라디미르 대공을 황제로 추대하려 한다는 근거 없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28] 블라디미르는 특히 니콜라이 2세의 통치 초기에 새로운 황제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시도했다.[29]

블라디미르 대공은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견해를 가졌지만, 인간의 미덕 자체를 크게 신뢰하지는 않았다. 다소 자유분방한 면모를 지녔던 그는 이념이나 배경에 상관없이 재미있고 재치 있는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선호했다. 러시아 사회의 보다 자유로운 성향의 인사들도 그의 저택에서 열리는 호화로운 파티에 초대받곤 했다. 그는 종종 거친 말투, 무례함, 격한 성미로 주변 사람들을 위협하기도 했다. 한편,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는 헌신적인 가장이었으며 자녀들과 매우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다.

2. 5. 블라디미르 궁전

블라디미르 대공이 결혼할 무렵 그의 저택 건설이 이미 완료되어 아내와 함께 그곳으로 이사했다. 블라디미르 궁전으로 명명된 이곳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건설된 마지막 황실 궁전 중 하나였다. 블라디미르 대공은 고대 러시아 건축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건축가 알렉산드르 레자노프를 프로젝트 책임자로 임명했다.[15] 바실리 케넬, Андрей Леонтьевич Гун|안드레이 레온티예비치 군ru, Иероним Севастьянович Китнер|이에로님 세바스티야노비치 키트너ru 및 블라디미르 슈레터가 레자노프를 도왔다. 1867년 7월 15일에 초석이 놓였으며,[16] 건설 작업은 1867년부터 1872년까지 5년 동안 진행되었다. 가구는 건축가 빅토르 슈뢰터가 디자인했다.

궁전 부지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중심부의 겨울 궁전 근처 제방으로 선택되었다. 이전에는 Воронцов-Дашков|보론초프-다슈코프ru 백작의 집이 있었는데, 국고에서 매입했다. 이 부지는 인접한 카라틴가 부인의 집을 매입하여 확장되었다. 블라디미르 궁전의 총 건설 및 가구 비용은 82만러시아 루블로, 10년 전 다른 대공들을 위해 지어진 이전 궁전에 비해 훨씬 적은 금액이었다.

블라디미르 궁전은 네바강변의 궁전 제방에 있는 겨울 궁전 및 대리석 궁전과 나란히 서 있다.[17] 스투코 러스티케이션으로 풍부하게 장식된 정면은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의 궁전을 본떠서 만들어졌다. 브레멘 사암으로 지어진 정문에는 그리핀, 문장, 주철 랜턴이 장식되어 있다. 다른 세부 사항은 포틀랜드 시멘트로 주조되었다.

궁전과 부속 건물에는 약 360개의 방이 있으며, 모두 절충주의적 역사 양식으로 장식되어 있다. 네오 르네상스 (응접실, 응접실), 고딕 리바이벌 (식당), 러시아 리바이벌 (오크 홀), 로코코 (화이트 홀), 비잔틴 건축 (서재), 루이 14세 양식, 다양한 오리엔탈 스타일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내부 장식은 1881년부터 1891년까지 막시밀리안 메스마허에 의해 더욱 증대되었으며, 니콜라이 푸닌과 같은 미술사학자들은 19세기 역사주의에 대한 열정의 주요 기념물로 간주한다.[18] 블라디미르 대공은 자신의 아파트를 일리야 레핀, 이반 아이바조프스키, 표도르 브루니, 바실리 베레샤긴, 이반 크람스코이, 미하일 브루벨, 니콜라이 스베르치코프 및 Рудольф Фердинандович Френц|루돌프 페르디난도비치 프렌츠ru와 같은 당대 최고의 예술가들의 러시아 그림 컬렉션으로 장식했다.[19]

2. 6. 피의 일요일 사건과 말년

1905년 1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파업의 물결이 일어났다.[31] 1월 9일(구력)/22일(신력), 게오르기 가폰 신부가 이끄는 노동자들의 평화 시위대가 개혁을 요구하는 청원을 직접 니콜라이 2세 황제에게 전달하기 위해 도시의 여러 지점에서 겨울 궁전을 향해 행진했다.[32] 그러나 차르는 수도에 없었다.[33] 상트페테르부르크 주지사 이반 풀론 장군이 행진을 막으려 했다.[32] 많은 노동자들이 겨울 궁전 광장에 도착했을 때, 근위대 사령관 세르게이 바실치코프 공작의 직접적인 명령을 받은 군대가 시위대에 발포했다. 100명 이상의 행진 참가자가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당했다.[33] 블라디미르 대공은 그 비극에 직접적인 책임이 없다고 주장했지만, 그 역시 도시 외부에 있었기에 그의 명성은 훼손되었다. 피의 일요일로 알려진 이 학살 이후, 다른 도시에서 일련의 파업, 시골에서의 농민 봉기, 그리고 군대의 반란이 이어졌고, 이는 차르 정권을 심각하게 위협하며 1905년 혁명으로 알려지게 되었다.[33] 피의 일요일 한 달 후, 블라디미르의 형제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모스크바에서 테러리스트의 폭탄 공격으로 사망했다.[34]

1905년 10월, 블라디미르의 장남이자 상속자인 키릴 블라디미로비치 대공은 사촌이자 블라디미르의 여동생 마리아의 딸인 작센코부르크고타의 빅토리아 멜리타 공주와 결혼했다. 니콜라이 2세는 그의 허락 없이 이루어진 결혼이었고, 러시아 정교회의 사촌 간 결혼 금지령을 위반했기에 격분했다. 니콜라이는 키릴에게서 황실 칭호를 박탈하고 그를 추방했다.[35] 블라디미르는 아들이 받은 처우에 항의하며 모든 직책에서 사임했다.[36] 블라디미르는 "조카에게 너무 격렬하게 소리쳐 문 밖에 있던 궁정 시종이 주인의 안전을 걱정하여 황실 근위대를 소환하려 달려갈 뻔했다."[37] 블라디미르는 니콜라이의 책상을 주먹으로 치고 제복에서 군사 훈장을 뜯어내며 "저는 당신의 아버지, 할아버지, 그리고 당신을 섬겼습니다. 하지만 이제 당신이 제 아들을 깎아내렸으니 더 이상 당신을 섬기고 싶지 않습니다."라고 소리쳤다.[38] 결국, 니콜라이 2세는 마음을 누그러뜨리고 그의 동의 없이 결혼한 사촌들을 용서했지만, 그들이 러시아로 돌아오는 것은 허락하지 않았다.[36] 완전한 사면은 블라디미르 본인을 포함한 가족 구성원의 여러 죽음이 발생한 후에야 이루어졌고, 이는 키릴을 황위 계승 서열 3위로 만들었다.[36]

블라디미르 대공은 1909년 2월 4일(구력)/17일(신력) 갑작스러운 뇌출혈로 사망했다.[39] 블라디미르의 미망인과 네 자녀는 1917년 러시아 혁명에서 살아남았다. 1924년 망명 중에 키릴은 스스로를 황제로 선포했고, 블라디미르의 계통은 황실의 수장 지위를 주장했다. 블라디미르는 1917년에 태어난 미래의 칭호 요구자 블라디미르 키릴로비치 대공의 아버지이자 조부였다. 그의 손녀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리나 공주는 1934년 조지 5세메리 여왕의 넷째 아들인 켄트 공작 조지와 결혼하여 영국 공주가 되었다.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의 증손녀인 마리아 블라디미로브나 대공녀는 현재의 칭호 요구자이며, 그의 증손자인 켄트의 마이클 공자는 로마노프 가문 협회의 명예 회원이다.[40]

참조

[1] 웹사이트 Comte Paul Vasili, La Sainte Russie : la cour, l'armée, le clergé, la bourgeoisie et le peuple https://archive.org/[...] Libraire de Firmin-Didot et Cie, Paris 1890
[2] 서적 The Flight of the Romanovs
[3] 서적 Once a Grand Duke
[4] 서적 Romanov Autumn
[5] 서적 The Grand Dukes
[6] 서적 The Grand Dukes
[7] 서적 Romanov Autumn
[8] 서적 The Camera and the Tsars
[9] 서적 Romanov Autumn
[10] 서적 Romanov Autumn
[11] 서적 From Splendor to Revolution: The Romanov Women, 1847--1928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ublishing Group 2011-02-15
[12] 서적 From Splendor to Revolution: The Romanov Women, 1847--1928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ublishing Group 2011-02-15
[13] 간행물 «Правительственный вестник» 1908-04-26
[14] 서적 The Romanovs 1818–1959
[15] 서적 The Romanov Legacy
[16] 서적 The Romanov Legacy
[17] 서적 The Flight of the Romanovs
[18] 서적 The Romanov Legacy
[19] 서적 The Romanov Legacy
[20] 서적 The Camera and the Tsars
[21] 서적 The Romanovs 1818–1959
[22] 서적 Once a Grand Duke
[23] 서적 The Camera and the Tsars
[24] 서적 The Romanovs 1818–1959
[25] 서적 The Flight of the Romanovs
[26] 서적 Once a Grand Duke
[27] 서적 The Grand Dukes
[28] 서적 The Flight of the Romanovs
[29] 서적 The Flight of the Romanovs
[30] 서적 The Camera and the Tsars
[31] 서적 The Romanovs
[32] 서적 The Romanovs
[33] 서적 The Romanovs
[34] 서적 The Romanovs
[35] 서적 The Flight of the Romanovs
[36] 서적 The Flight of the Romanovs
[37] 서적 From Splendor to Revolution
[38] 서적 From Splendor to Revolution
[39] 서적 The Romanovs 1818–1959
[40] 웹사이트 The Romanov Family Association http://www.romanovfa[...] The Romanov Family Association 2018-03-24
[41] 웹사이트 Russian Imperial Army – Grand Duke Vladimir Alexandrovich http://regiment.ru/b[...]
[42]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Hessen https://archive.org/[...] 1879
[43] 간행물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https://babel.hathit[...]
[44] 서적 Slava i čast: Odlikovanja među Srbima, Srbi među odlikovanjima Službeni Glasnik
[45]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s Oldenburg: für das Jahr 1872/73 https://books.google[...]
[46]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 Württemberg https://archive.org/[...] 1907
[47] 서적 Riddere af Elefantordenen, 1559–2009 https://books.google[...] Syddansk Universitetsforlag
[48] 서적 Les Grand'Croix de la Légion d'honneur de 1805 à nos jours. Titulaires français et étrangers Archives & Culture 2009
[49] 서적 Notizia storica del nobilissimo ordine supremo della santissima Annunziata. Sunto degli statuti, catalogo dei cavalieri https://books.google[...] Eredi Botta 2019-03-04
[50] 간행물 Sveri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8-01-06
[51]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https://digital.blb-[...] 1876
[52] 간행물 Staatshandbücher für das Herzogtum Sachsen-Coburg und Gotha https://zs.thulb.uni[...] 1884
[53] 간행물 Guía Oficial de España 2020-06-04
[54]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 Bayern https://archive.org/[...] 1908
[55] 논문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http://meijiseitoku.[...]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56] 뉴스 The London Gazette https://www.thegazet[...] The London Gazet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