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르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르섬은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해안에 위치한 섬이다. 1069년 크로아티아 왕 페타르 크르시미르 4세의 헌장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이후 헝가리, 베네치아, 프랑스, 오스트리아-헝가리, 이탈리아, 유고슬라비아의 지배를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되었다가 유고슬라비아 해체 후 크로아티아의 일부가 되었다. 비르섬은 관광 명소로, 2018년에는 70개국 이상에서 온 8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다르주의 지형 - 파그섬
파그섬은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제도에 속하는 섬으로, 암석 지대가 많고 포도, 채소, 과일 재배와 파그 치즈, 파그 레이스가 유명하며, 소금 생산과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자다르주의 지형 - 우글랸섬
우글랸섬은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해안에 위치한 섬으로, 신석기 시대부터 로마 시대, 베네치아 공화국 시대를 거쳐 16~17세기 오스만 제국 난민들의 영향을 받아 현재는 관광, 어업, 농업을 주요 산업으로 하며, 석회암 지형과 다양한 만, 성 미카엘 요새 등의 유적지를 보유하고 있다. - 크로아티아의 섬 - 코르나트섬
- 크로아티아의 섬 - 비셰보섬
비셰보섬은 아드리아해의 크로아티아 섬으로, 석회암 지형과 모드리 드보르, 포르투흐, 푸른 동굴, 승려 물범 동굴 등 다양한 동굴, 그리고 과거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 아드리아해의 섬 - 코르나트섬
- 아드리아해의 섬 - 비셰보섬
비셰보섬은 아드리아해의 크로아티아 섬으로, 석회암 지형과 모드리 드보르, 포르투흐, 푸른 동굴, 승려 물범 동굴 등 다양한 동굴, 그리고 과거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비르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비르 |
로마자 표기 | Bi-reu |
이탈리아어 이름 | 푼타두라 |
위치 | 아드리아해 |
면적 | 22.38 제곱킬로미터 |
최고봉 | 반디라 |
해발고도 | 112 미터 |
국가 | 크로아티아 |
현 | 자다르현 |
최대 도시 | 비르 |
인구 | 3,045명 (2021년) |
인구 밀도 | 136 명/제곱킬로미터 |
추가 정보 |
2. 역사
나폴레옹 전쟁 시기인 1809년부터 1814년까지 나폴레옹의 군대는 프랑스 제1 제국의 일부로 비르섬을 포함한 달마티아 지역에 일리리아 주를 설립했다. 프랑스군이 패배한 후 이 지역은 오스트리아 제국에 속했다가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개편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가 해체되면서 비르섬은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영토가 되었고, 인접한 자다르는 이탈리아 왕국의 월경지로 남았다. 1941년, 베니토 무솔리니 치하의 파시스트 이탈리아는 달마티아의 나머지 지역을 정복했고, 비르섬은 나치 독일의 괴뢰 국가인 크로아티아 독립국에 의해 통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군대가 이탈리아군을 몰아내고 1945년까지 자다르와 비르섬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 편입시켰다.
유고슬라비아의 해체 이후 크로아티아는 독립을 선언했고,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이 발발했다. 세르비아군과 유고슬라비아군은 자다르 지역을 공격했지만 저지되었다. 비르섬은 크로아티아의 영토로 남았으며, 1995년에 끝난 전쟁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2. 1. 초기 역사
비르섬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크로아티아의 왕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의 1069년 헌장인 ''Mare Nostrum Dalmaticum''에서 나타나며, 이 섬은 "목초지"를 의미하는 고대 지중해 기원으로 추정되는 단어인 ''Ueru'' (''Veru'')로 언급되었다.[4] 1102년 Pacta conventa의 일부로, 헝가리와의 개인 연합 하의 크로아티아의 지위를 정의하면서 비르섬과 그 지역은 헝가리 왕국과의 연합의 일부가 되었다.[5] 1241년 몽골의 유럽 침공 동안 헝가리 왕 벨러 4세는 남쪽으로 도망쳤고, 몽골 제국의 카단이 이끄는 몽골군은 그를 따라 달마티아까지 이르렀고, 그곳에서 크로아티아군에 의해 격퇴되었다. 그 후 헝가리 통치는 빠르게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1313년, 베네치아 공화국은 섬을 주장하며 3천 명의 병사를 파견하여 인근 도시 자다르를 공격하고 정복하는 기지로 삼았다. 이는 이 지역에 대한 베네치아의 통치 시대의 시작을 알린다.[5]
16세기에는 오스만 제국의 유럽 정복이 달마티아 해안을 위협하기 시작했고, 베네치아는 오스만 제국의 침공에 대비하여 카스텔리나 요새를 건설했다. 지역 문서에 따르면 1579년에는 비르섬에 36명이, 1603년에는 130명이 살고 있었다고 한다.[5]
2. 2. 중세 시대
비르섬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크로아티아의 왕 페타르 크르시미르 4세의 1069년 헌장인 ''Mare Nostrum Dalmaticum''에서 나타나며, 이 섬은 "목초지"를 의미하는 고대 지중해 기원으로 추정되는 단어인 ''Ueru'' (''Veru'')로 언급되었다.[4] 1102년 Pacta conventa의 일부로, 헝가리와의 개인 연합 하의 크로아티아의 지위를 정의하면서 비르섬과 그 지역은 헝가리 왕국과의 연합의 일부가 되었다.[5] 1241년 몽골의 유럽 침공 동안 헝가리 왕 벨라 4세는 남쪽으로 도망쳤고, 몽골 제국의 카단이 이끄는 몽골군은 그를 따라 달마티아까지 이르렀고, 그곳에서 크로아티아군에 의해 격퇴되었다. 그 후 헝가리 통치는 빠르게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1313년, 베네치아 공화국은 섬을 주장하며 3천 명의 병사를 파견하여 인근 도시 자다르를 공격하고 정복하는 기지로 삼았다. 이는 이 지역에 대한 베네치아의 통치 시대의 시작을 알린다.[5]2. 3. 오스만 제국 시대
16세기 오스만 제국의 유럽 정복이 달마티아 해안을 위협하기 시작했고, 베네치아 공화국은 오스만 제국의 침공에 대비하여 카스텔리나 요새를 건설했다. 지역 문서에 따르면 1579년에는 비르섬에 36명이, 1603년에는 130명이 살고 있었다고 한다.[5]2. 4. 근대
비르섬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크로아티아의 왕 페타르 크르시미르 4세의 1069년 헌장인 ''Mare Nostrum Dalmaticum''에서 나타나며, 이 섬은 "목초지"를 의미하는 고대 지중해 기원으로 추정되는 단어인 ''Ueru'' (''Veru'')로 언급되었다.[4] 1102년 Pacta conventa의 일부로, 헝가리와의 개인 연합 하의 크로아티아의 지위를 정의하면서 비르섬과 그 지역은 헝가리 왕국과의 연합의 일부가 되었다.[5] 1241년 몽골의 유럽 침공 동안 헝가리 왕 벨라 4세는 남쪽으로 도망쳤고, 몽골 제국의 카단이 이끄는 몽골군은 그를 따라 달마티아까지 이르렀고, 그곳에서 크로아티아군에 의해 격퇴되었다. 그 후 헝가리 통치는 빠르게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1313년, 베네치아 공화국은 섬을 주장하며 3천 명의 병사를 파견하여 인근 도시 자다르를 공격하고 정복하는 기지로 삼았다. 이는 이 지역에 대한 베네치아의 통치 시대의 시작을 알린다.[5]16세기에는 오스만 제국의 유럽 정복이 달마티아 해안을 위협하기 시작했고, 베네치아는 오스만 제국의 침공에 대비하여 카스텔리나 요새를 건설했다. 지역 문서에 따르면 1579년에는 비르섬에 36명이, 1603년에는 130명이 살고 있었다고 한다.[5] 나폴레옹 전쟁 동안, 나폴레옹의 군대는 1809년부터 1814년까지 프랑스 제1 제국의 직접 통치의 일부로 비르섬을 포함한 달마티아의 광대한 지역에 일리리아 주를 설립했다. 프랑스군의 패배 이후 이 지역은 오스트리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고, 1867년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로 개편되었다.
2. 5. 제2차 세계 대전과 유고슬라비아 시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가 해체되면서 비르섬은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인접한 자다르는 이탈리아 왕국의 월경지로 남았다. 1941년, 베니토 무솔리니가 통치하던 파시스트 이탈리아는 달마티아의 나머지 지역을 정복했고, 비르섬은 나치 독일의 괴뢰 국가인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통제를 받았다.[5] 제2차 세계 대전 후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군대는 이탈리아군을 몰아내고 1945년까지 자다르와 비르섬을 새로 형성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 편입시켰다.[5]2. 6. 현대 크로아티아
나폴레옹 전쟁 동안, 나폴레옹의 군대는 1809년부터 1814년까지 프랑스 제1 제국의 직접 통치 아래 비르섬을 포함한 달마티아의 광대한 지역에 일리리아 주를 설립했다. 프랑스군의 패배 이후 이 지역은 오스트리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고, 1867년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로 개편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해체 이후 비르섬은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인접한 자다르는 이탈리아 왕국의 월경지로 남았다. 1941년, 베니토 무솔리니가 통치하는 파시스트 이탈리아는 달마티아의 나머지 지역을 정복했고, 비르섬은 나치 독일의 괴뢰 국가인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통제를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군대는 이탈리아군을 몰아내고 1945년까지 자다르와 비르섬을 새로 형성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 편입시켰다. 유고슬라비아의 해체 후 크로아티아는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했고,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이 격화되었다. 세르비아군과 유고슬라비아군은 자다르 지역을 공격했지만 저지되었다. 비르섬은 새롭게 주권을 가진 크로아티아의 일부가 되었고, 1995년에 종전된 전쟁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3. 관광
비르는 관광 명소이다. 2018년 공식 통계에 따르면, 7월 말까지 이미 70개국 이상에서 온 8만 명이 넘는 관광객이 이 섬을 방문했다. 같은 해 슬로베니아, 독일, 헝가리, 슬로바키아, 체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폴란드, 오스트리아, 스웨덴, 스위스에서 온 외국인 관광객이 가장 많았다. 관광객 1인당 평균 12.6박으로 비르는 크로아티아에서 관광객 체류 시간이 가장 긴 기록을 가지고 있다.[6]
참조
[1]
간행물
Croatia Yearbook 2015
[2]
논문
Coastline lengths and areas of islands in the Croatian part of the Adriatic Sea determined from the topographic maps at the scale of 1 : 25 000
https://hrcak.srce.h[...]
2019-12-17
[3]
웹사이트
Novi asfalt za Lozice i Torove, a javna rasvjeta u svim virskim naseljima
https://www.antenaza[...]
Antena Zadar
2018-08-19
[4]
웹사이트
Privatni otok - jučer, danas i sutra
http://www.zadarskil[...]
2014-02-22
[5]
웹사이트
Povijest Vira
https://www.vir.hr/i[...]
2021-10-03
[6]
웹사이트
S MILIJUN NOĆENJA OSTVARENIH U SRPNJU JE ZA 14 DANA OBOREN PROŠLOGODIŠNJI REKORD Vir ima najveće povećanje dolazaka i noćenja u Hrvatskoj!
https://zadarski.slo[...]
zadarski.hr
2018-08-19
[7]
서적
Medicinska mikrobiologija
Medicinska naklada
2013
[8]
논문
High prevalence of antibodies to lymphocytic choriomeningitis virus in a murine typhus endemic region in Croat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