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톨트 후레비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톨트 후레비치는 폴란드 출신의 유대인 수학자로, 위상수학, 특히 차원론과 호모토피 이론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고차 호모토피 군을 발견하고, 호모토피 긴 완전열과 후레비치 정리를 증명하여 호몰로지 대수 발전에 기여했다. 1941년 헨리 월만과 함께 저술한 《차원론》은 차원론 연구의 고전으로 평가받으며, 1936년 미국으로 이민하여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채플힐과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1956년 멕시코에서 열린 학회 참석 중 사고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수학자 - 스타니스와프 울람
    폴란드계 미국인 수학자이자 핵무기 개발자인 스타니스와프 울람은 르비우 수학파의 일원으로서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여 수소 폭탄 개발에 기여했으며 몬테카를로 방법 개발, 텔러-울람 설계 고안 등 현대 과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폴란드의 수학자 - 브누아 망델브로
    브누아 망델브로는 프랙탈 기하학의 창시자로서 자연 현상의 불규칙성과 자기 유사성을 설명하는 '프랙탈' 개념을 도입하고 금융 시장 변동성 분석에 프랙탈 이론을 적용한 폴란드 태생의 프랑스-미국 수학자이자 과학자이다.
  • 유대계 폴란드인 - 에릭 홉스봄
    에릭 홉스봄은 영국 출신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로, 《혁명의 시대》, 《자본의 시대》, 《제국의 시대》, 《극단의 시대》 등 저술을 통해 근대와 20세기를 분석했으며, 공산주의에 대한 옹호적 시각과 소련의 범죄에 대한 침묵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유대계 폴란드인 - 지그문트 바우만
    폴란드 출신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은 반유대주의를 피해 폴란드를 떠난 후 영국 리즈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유동하는 근대' 이론을 발전시키고 근대성, 홀로코스트, 포스트모더니티, 소비주의 등 현대 사회의 주요 쟁점들을 다룬 저명한 학자이다.
  • 1956년 사망 - 뤼시앵 페브르
    뤼시앵 페브르는 마르크 블로크와 함께 아날 학파를 창시하여 총체적 역사와 심성사를 개척하고 다양한 사료 활용 및 학문 간 협력을 강조하며 20세기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친 프랑스의 역사학자이다.
  • 1956년 사망 - 김창룡
    김창룡은 일제강점기 관동군 헌병으로 항일 조직 색출에 참여한 군인으로, 해방 후 대한민국 육군에서 정보 및 방첩 업무를 담당하며 숙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특무부대장으로서 인권 침해 및 사건 조작 의혹, 김구 암살 사건 연루 의혹 등 각종 논란 속에 암살당해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비톨트 후레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비톨트 후레비치
출생일1904년 6월 29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폴란드 우치
사망일1956년 9월 6일
사망지멕시코 유카탄주 우슈말()
국적폴란드, 미국
학력
출신 대학빈 대학교
지도교수한스 한, 카를 멩거(de: Karl Menger)
박사 학위 지도 학생펠릭스 브라우더
앨런 쉴즈
야엘 다우커
제임스 두군지
배럿 오닐
학위 논문 제목Über eine Verallgemeinerung des Borelschen Theorems (보렐 정리의 일반화에 대하여)
학위 논문 발표 연도1926년
경력
소속암스테르담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채플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연구 분야
주요 업적호모토피 군
후레비치 올뭉치
후레비치 준동형
알려진 업적후레비치 정리
후레비치 공간

2. 생애

1904년 러시아 제국 폴란드 우치에서 유대인 가정에 태어났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모스크바로 피난했다가, 종전 뒤 1919년 우치로 돌아왔다. 1921년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으로 유학했다.

빈 대학교에서 1926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27년부터 1936년까지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 연구했고, 1936년 미국으로 이민하여 1939년 시민권을 취득했다.

프린스턴 고등연구소를 거쳐 1939년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채플힐 교수가 되었고, 1945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1956년 멕시코시티에서 열린 국제 대수적 위상수학 학회 참석 중 유카탄주 우슈말(Uxmales)의 피라미드에서 추락하여 9월 6일 52세로 사망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1904년 당시 러시아 제국에 속했던 폴란드 우치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미에치스와프 후레비치(Mieczysław Hurewiczpl)는 빌뉴스 출신의 공업가였고, 어머니 카타지나 핀켈슈타인(Katarzyna Finkelsztainpl)은 빌라체르크바 출신이었다.[1]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후레비치 가족은 모스크바로 피난하였고, 종전 후 1919년에 다시 우치로 돌아왔다. 후레비치는 1921년에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같은 해 7월 16일 으로 유학하였다.

빈 대학교에서 한스 한과 카를 멩거에게 배워 1926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2. 유럽에서의 활동

빈 대학교에서 1926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27년~1936년에는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 있었다. 요약에 따르면, 1927년부터 1928년까지는 록펠러 재단의 지원을 받아 암스테르담에서 연구했고, 1928년부터 1936년까지는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 L. E. J. 브라우어의 조교로 일하며 고차 호모토피 군을 연구했다.

2. 3. 미국 이민과 학문적 업적

1936년에 미국으로 이민하였고, 1939년에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였다.[2]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에서 일한 뒤, 1939년에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채플힐 교수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응용 수학, 특히 서보 기구에 대한 연구를 통해 연합군에 기여했으며, 이 연구는 군사 기밀로 분류되었다.[2] 1945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일했다.[2]

후레비치는 집합론과 위상 수학에 관한 초기 연구를 시작으로, 일반 위상 수학 분야에서 차원론에 집중적으로 기여하였다. 1941년 헨리 월만과 함께 저술한 《차원론》(Dimension Theory)은 "깊이, 명확성, 정확성, 간결함, 포괄성이라는 불가능해 보이는 조합으로 분리 가능한 거리 공간에 대한 차원론을 제시한 진정한 고전이다."라는 평가를 받았다.[2]

후레비치는 1935-36년에 고차 호모토피 군을 발견하였고, 1941년에 올올림에 대한 긴 완전 호모토피 열을 발견했으며, 호모토피와 호몰로지 군을 연결하는 후레비치 정리를 발견하는 등 세 가지 뛰어난 업적으로 가장 잘 기억된다. 그의 연구는 호몰로지 대수로 이어졌다. 후레비치가 암스테르담에서 브라우어의 조수로 일하는 동안 고차 호모토피 군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는데, "그 아이디어는 새로운 것이 아니었지만 후레비치 이전에는 아무도 그것을 제대로 추구하지 않았다. 연구자들은 명백히 가환으로부터 많은 새로운 정보를 기대하지 않았다."[2]

1940년대 후반, 그는 야엘 다우커의 박사 학위 지도교수였다.

1958년(사후)에 출판된 《상미분 방정식 강의》(Lectures on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는[3] 그의 명확한 사고와 글쓰기 품질을 반영하는 상미분 방정식 입문서이다.[3]

2. 4. 죽음

1956년에 멕시코시티에서 열린 국제 대수적 위상수학 학회에 참석하였다. 이 동안 유카탄주의 고대 마야 문명 도시 우슈말(Uxmales)의 피라미드를 등반하다가 추락하여 9월 6일 5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3. 주요 업적

후레비치는 집합론과 위상 수학에 대한 초기 연구를 시작으로, 일반 위상 수학 분야에서 차원론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헨리 월만과 함께 1941년에 출판한 ''차원론''(Dimension Theory)은 이 분야의 고전으로 평가받는다.[2]

그는 호모토피 이론과 호몰로지 대수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고차 호모토피 군(1935-36년), 올올림에 대한 긴 완전 호모토피 열(1941년) 발견, 후레비치 정리를 통해 호모토피와 호몰로지 군을 연결했다.[2]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응용 수학 연구로 군사적 노력에 기여했으며, 서보 기구 연구는 기밀로 분류될 정도로 중요했다. 1940년대 후반에는 야엘 다우커의 박사 학위 지도를 맡았다. 사후 1958년에는 ''상미분 방정식 강의''(Lectures on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가 출간되었다.[3]

3. 1. 고차 호모토피 군 발견 (1935-1936)

후레비치는 1935~1936년에 고차 호모토피 군을 발견하였다.[2] 브라우어의 조수로 암스테르담에서 일하면서 고차 호모토피 군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는데, "...그 아이디어는 새로운 것이 아니었지만 후레비치 이전에는 아무도 그것을 제대로 추구하지 않았다. 연구자들은 명백히 가환인 으로부터 많은 새로운 정보를 기대하지 않았다..."[2]

3. 2. 호모토피 긴 완전열 발견 (1941)

후레비치는 1941년에 올올림에 대한 긴 완전 호모토피 열을 발견했다.[2] 이는 호모토피 이론 연구에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3. 3. 후레비치 정리

후레비치는 수학에 기여한 세 가지 뛰어난 업적으로 가장 잘 기억된다. 그것은 1935-36년에 고차 호모토피 군을 발견한 것, 1941년에 올올림에 대한 긴 완전 호모토피 열을 발견한 것, 그리고 호모토피와 호몰로지 군을 연결하는 후레비치 정리이다.[2] 그의 연구는 호몰로지 대수로 이어졌다. 후레비치가 암스테르담에서 브라우어의 조수로 일하는 동안 고차 호모토피 군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는데, "...그 아이디어는 새로운 것이 아니었지만 후레비치 이전에는 아무도 그것을 제대로 추구하지 않았다. 연구자들은 명백히 가환으로부터 많은 새로운 정보를 기대하지 않았다..."[2]

3. 4. 저서


  • Dimension Theory영어, 1941, 헨리 월만 공저[2]
  • Lectures on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영어, 1958, 사후 출간[3]

4. 평가 및 영향

후레비치는 집합론과 위상 수학에 대한 초기 연구를 통해 일반 위상 수학 분야, 특히 차원론에 큰 기여를 했다.[2] 헨리 월만과 함께 1941년에 출판한 ''차원론''(Dimension Theory)은 "깊이, 명확성, 정확성, 간결함, 포괄성이라는 불가능해 보이는 조합으로 분리 가능한 거리 공간에 대한 차원론을 제시한 진정한 고전"이라는 평가를 받았다.[2]

후레비치는 특히 다음 세 가지 업적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 1935-36년 고차 호모토피 군 발견
  • 1941년 올올림에 대한 긴 완전 호모토피 열 발견
  • 호모토피와 호몰로지 군을 연결하는 후레비치 정리 발견


그의 연구는 호몰로지 대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차 호모토피 군에 대한 연구는 암스테르담에서 브라우어의 조수로 일하는 동안 이루어졌는데, 당시에는 가환군으로부터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없을 것이라는 인식이 있었지만, 후레비치는 이 아이디어를 꾸준히 추구하여 중요한 결과를 얻었다.[2]

사후 1958년에 출판된 ''상미분 방정식 강의''(Lectures on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는 그의 명확한 사고와 글쓰기 능력을 보여주는 상미분 방정식 입문서이다.[3]

참조

[1] 서적 Samuel Eilenberg, Witold Hurewicz (personal reminiscences) https://books.google[...]
[2] 간행물 Review: ''Dimension Theory'', by W. Hurewicz and H. Wallman http://www.ams.org/j[...]
[3] 간행물 Review: ''Lectures on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by W. Hurewicz http://www.ams.org/j[...]
[4] 웹인용 Symposium Internacional de Topologia Algebraica https://www.google.c[...] 2024-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