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행계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행 계획은 항공기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항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담은 문서이다. 비행 경로는 항공로, 항행 안전 시설, 직항로 등으로 구성되며, SID와 STAR는 공항 이착륙 경로를 정의한다. 특별 사용 공역은 비행 계획 시 피해야 하는 구역이며, 비행 고도는 항공 교통 관제에서 항공기 간 수직 분리를 위해 사용된다. 비행 계획에는 대체 공항, 연료 정보, 제출 절차, 기타 고려 사항 등이 포함되며, FAA를 비롯한 각 국가 및 기관별로 양식이 존재한다. 일본의 경우, 방공식별구역 내 비행 시 비행 계획을 제출해야 하며, 항공법 시행규칙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명시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공기 운용 - 활주
    항공기가 이륙 전후에 자체 동력으로 지상에서 이동하는 활주는 프로펠러나 제트 엔진의 추력을 사용하며 조종사는 노즈 휠, 러더, 차동 제동 등으로 방향을 제어하고 헬리콥터는 호버 택싱을 수행하기도 하며 안전 규정 준수와 연료 효율성 향상을 위한 기술이 연구된다.
  • 항공기 운용 - 회송
    회송은 노선 시작/종료, 교대 근무 시 차량을 승객 없이 이동시키는 운행으로, 다양한 운송 분야에서 효율성 증진을 위해 회송 감소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승객을 태우지 않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특별한 활용 사례가 있다.
  • 계획 - 생산 계획
    생산 계획은 제품 생산을 위한 프로세스를 계획하고 관리하는 활동이며, 생산 능력 계획, 마스터 생산 일정, 자재 소요 계획 등으로 나뉘고 생산 통제와 관련되어 있으며, 전산화된 시스템이 널리 사용된다.
  • 계획 - 설계
    설계는 대상물의 기능, 구조, 형태를 구체화하는 과정 또는 결과물로, 건축, 소프트웨어, 창조적 문제 해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화된 설계론과 표준 설계가 활용되며, 이를 담당하는 주체를 설계사라고 한다.
  • 항공 교통 관제 - 영공
    영공은 국가 영토와 영해 상공에 주권이 미치는 공역으로, 국제 조약에서 주권이 명시되었으며, 수평적 경계는 영토 및 영해 경계와 일치하나 수직적 경계는 명확히 정의되지 않았고, 항공 교통 관리를 위해 관제구역과 비관제 공역으로 구분되며, 드론 기술 발전과 미사일 위협 등으로 새로운 관리 과제가 발생하고 있다.
  • 항공 교통 관제 - 노탐
    노탐은 항공 운항 관련 시설, 절차, 위험 요소 정보를 담은 공지로, 조종사에게 잠재적 위험 요소를 알리고 안전한 비행을 지원하며, 미국에서는 시스템 장애로 항공편 운행이 중단된 사례가 있고 일부 국가에서는 그래픽 노탐을 도입했다.
비행계획
개요
유형항공 교통 관제 문서
작성 주체조종사 또는 항공 교통 관제사
목적항공기 운항 계획 및 경로 정보 제공
포함 정보항공기 식별 부호
항공편 번호
출발지 및 목적지
예상 출발 시간
경로
고도
속도
연료량
비상 절차
목적 및 기능
주 목적항공기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항 지원
기능항공 교통 관제 기관에 항공기 운항 계획 통보
비행 중 항공기 위치 추적
비상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
수색 구조 시 정보 제공
종류
ICAO 비행 계획국제선 항공편에 사용되는 표준 양식
FAA 비행 계획미국 국내선 항공편에 사용되는 양식
간이 비행 계획시계 비행 (VFR) 항공편에 사용되는 간단한 양식
작성 절차
정보 수집기상 정보
항행 정보
공항 정보
경로 결정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최적 경로 설정
항공로 및 항법 보조 시설 이용
양식 작성해당 비행 계획 양식에 필요한 정보 입력
제출항공 교통 관제 기관에 비행 계획 제출
중요성
안전 운항비행 계획은 항공기의 안전 운항에 필수적인 정보 제공
효율적인 운항최적 경로 및 고도 설정을 통해 연료 절감 및 운항 시간 단축
비상 대응비상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 가능
법적 요구 사항대부분의 국가에서 특정 항공편에 대해 비행 계획 제출 의무화

2. 비행 경로

비행 계획에 사용되는 항로 유형에는 항공로, 항행 안전 시설, 직항로 등이 있다. 항로는 여러 유형의 구간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시카고에서 로마로 가는 항로는 미국유럽 상공에서는 항공로를 이용하고, 대서양 상공에서는 직항로를 이용할 수 있다.

항공로, 항행 안전 시설, 직항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하위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2. 1. 항공로 (Airway)

항공로는 비행 경로라고 하는 미리 정의된 경로를 따라 비행기가 다니는 길이다. 항공로는 항공기를 위한 3차원 고속도로로 생각할 수 있다. 세계 대부분의 육지 지역에서 항공기는 출발 공항과 도착 공항 사이의 항공로를 비행해야 한다. 항공로 경로를 규제하는 규칙은 고도, 속도 및 항공로 진입 및 이탈 요건을 포함한다(SID 및 STAR 참조). 대부분의 항공로는 너비가 8nmi이며, 항공로 비행 고도는 상하 비행 고도의 항공기 간에 최소 약 304.80m의 수직 거리를 유지한다. 항공로는 일반적으로 항행 안전 시설에서 교차하며, 이는 한 항공로에서 다른 항공로로 변경할 수 있는 허용된 지점을 지정한다. 항공로의 이름은 하나 이상의 문자로 시작하고 하나 이상의 숫자가 뒤따른다.

항공로 구조는 고고도와 저고도로 나뉜다. VOR 항행 안전 시설을 사용하여 항해할 수 있는 미국의 저고도 항공로는 문자 V로 시작하는 이름을 가지며, 따라서 빅터 항로(Victor Airways)라고 불린다. 이들은 지상에서 약 약 365.76m에서 평균 해수면(MSL) 위 약 5486.10m까지의 고도를 커버한다. T 경로는 VOR 항행 안전 시설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저고도 RNAV 전용 경로이다. 미국의 고고도 항공로는 문자 J로 시작하는 이름을 가지며 제트 경로 또는 Q 경로의 경우 Q라고 불린다. 미국의 Q 경로는 RNAV 전용 고고도 항공로인 반면, J 경로는 V 경로와 같은 방식으로 VOR 항행 안전 시설을 사용한다. J & Q 경로는 약 5486.40m에서 약 13716.00m까지 운행된다. 저고도 및 고고도 항공로 구조를 분리하는 고도는 국가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스위스에서는 약 5943.60m이고 이집트에서는 약 7772.40m이다.

2. 2. 항행 안전 시설 (Navaid)

Navaid 라우팅은 항공로와 항상 연결되지 않는 Navaid(항행 보조 시설의 약자, VOR 참조) 사이에서 발생한다. Navaid 라우팅은 일반적으로 미국 본토에서만 허용된다. 비행 계획이 항공로를 통해 연결된 두 개의 Navaid 간의 Navaid 라우팅을 지정하는 경우, 해당 항공기가 해당 두 Navaid 사이에서 항공로 라우팅을 비행하는 것처럼 해당 항공로에 대한 규칙을 따라야 한다. 허용 고도는 비행 고도에서 다룬다.

2. 3. 직항로 (Direct)

직선 항로는 항로 구간의 양쪽 끝점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계기 비행 항법 시설(NAVAID)에 위치하지 않은 위도/경도에 있을 때 발생한다. 일부 비행 계획 기관에서는 직선 항로에 대해 생성된 체크포인트 간의 거리를 제한하거나 체크포인트 간 비행 시간을 제한하도록 지정한다(예: 빠른 항공기에서는 느린 항공기보다 직선 체크포인트 간 거리가 더 멀 수 있다).

2. 4. SID 및 STAR

표준 계기 이륙 절차(SID)는 공항에서 항공로 구조로 나가는 경로를 정의한다. SID는 때때로 이륙 절차(DP)라고도 불리며, 관련 공항에 고유하다.[1]

표준 터미널 도착 경로(STAR)는 항공로 구조에서 공항으로 들어가는 경로를 정의한다. STAR는 둘 이상의 도착 공항과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샌프란시스코와 산호세처럼 두 개 이상의 공항이 근접해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1]

3. 특수 사용 공역 (Special Use Airspace)

일반적으로 비행 계획자는 비행 계획 시 특별 사용 공역(SUA)이라고 하는 구역을 피해야 한다. 미국에는 제한 구역, 경고, 금지, 경계 및 군사 작전 구역(MOA)을 포함한 여러 유형의 SUA가 있다. 특별 사용 공역의 예로는 워싱턴 D.C.백악관 주변 지역과 쿠바가 있다. 정부 및 군용 항공기는 특정 SUA 구역에 대해 다른 요구 사항을 가질 수 있거나 이 지역을 통과하기 위한 특별 허가를 획득할 수 있다.

4. 비행 고도 (Flight Levels)

비행 고도(FL)는 항공 교통 관제사가 항공기의 수직 분리를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도 단위이며, 합의된 기압 수준을 기준으로 100피트마다 존재한다. 국가마다 다르고 심지어 국가 내에서도 다를 수 있는 과도 고도 이상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합의된 기압 기준인 1013.25hPa(ICAO 표준 대기의 해수면 기압, 101.325kPa) 또는 29.92인치 수은을 고도계에 입력하고, 이 고도를 비행 고도로 표시한다. 고도계 판독값은 뒤의 두 자릿수를 제거하여 비행 고도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29,000피트는 FL290이 된다. 해수면 기압이 우연히 국제 표준과 같으면 비행 고도는 고도와 같아진다. 혼란을 피하기 위해, 과도 고도 아래에서는 고도를 숫자 고도로 지칭한다. 예를 들어 '5000피트 하강'과 같이 표현하고, 과도 고도 이상에서는 '비행 고도 250 상승'과 같이 표현한다.

항로에는 항로를 이용할 때 사용해야 하는 일련의 표준화된 비행 고도("비행 모델"이라고도 함)가 있다. 양방향 항로에서는 각 방향마다 자체 비행 고도 세트가 있다. 유효한 비행 계획에는 항공기가 항로를 따라 비행할 법적 비행 고도가 포함되어야 하며, 항로 변경 시 비행 고도 변경이 필요할 수 있다.

미국, 캐나다 및 유럽에서 동쪽(방위각 0–179도) IFR 비행의 경우, 비행 계획은 FL190부터 시작하여 2,000피트 간격으로 "홀수" 비행 고도를 나열해야 한다(예: FL190, FL210, FL230 등). 서쪽(방위각 180–359도) IFR 비행은 FL180부터 시작하여 2,000피트 간격으로 "짝수" 비행 고도를 나열해야 한다(예: FL180, FL200, FL220 등). 그러나 항공 교통 관제(ATC)는 교통 상황에 따라 고도 변경이 필요할 경우 언제든지 모든 비행 고도를 할당할 수 있다.

항공기 효율은 고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한다. 연료 소모는 항공기 무게를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연료 소비를 더 개선하기 위해 비행 고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항공기는 비행 초기에 FL290에 도달할 수 있지만, 연료 소모로 인해 무게가 감소한 후 경로 후반에 단계 상승하여 FL370으로 상승할 수 있다.

5. 대체 공항 (Alternate Airports)

대체 공항은 목적지 공항의 기상 악화와 같이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착륙할 수 있는 공항이다. 비행 계획 과정에서는 예상되는 연료 탑재량과 총 항공기 중량으로 도달 가능하며, 운항하는 항공기 유형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대체 공항만 포함해야 한다.[1]

캐나다에서는 회사 운영 증명서에 의해 특별히 면제되지 않는 한, IFR 비행 계획에 예상 목적지 기상 상태와 관계없이 대체 공항을 지정해야 한다.[1] 법적으로 유효한 대체 공항으로 간주되려면, 해당 공항은 예상 도착 시간에 특정 기상 최저치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어야 한다.[1] 이 최소 기상 조건은 대체 공항에서 사용 가능한 접근 방식 유형에 따라 다르며, 캐나다 항공 조종사(CAP) 일반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1]

6. 연료 (Fuel)

비행 계획에는 특정 비행에 필요한 연료량을 추정하여 포함해야 한다. 연료 소모율은 항공기 제조사의 비행 성능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된다. 계획가는 예상 기상 조건과 항공기 중량을 비행 성능 데이터에 입력하여 목적지까지 필요한 연료를 추정한다. 연료 소모량은 일반적으로 부피(갤런 또는 리터)가 아닌 연료의 무게(보통 파운드 또는 킬로그램)로 표시되는데, 이는 항공기 중량이 중요하기 때문이다.[2]

표준 연료 요구량 외에도 일부 조직에서는 특정 조건이 충족될 경우 비행 계획에 예비 연료를 포함하도록 요구한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보다 긴 해상 비행의 경우 비행 계획에 예비 연료를 포함해야 할 수 있다. 예비 연료는 목적지에 항공기에 남아있는 추가 연료로 계획하거나, 비행 중에 소모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실제 항공기와 비행 성능 데이터 간의 설명되지 않은 차이로 인해).[2]

7. 비행 계획 제출

비행 계획은 출발 전에 제출할 수 있으며, 항공기가 비행 중일 때도 제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음성 또는 데이터 링크를 통해 출발 120시간 전까지 제출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출발 몇 시간 전에 작성하거나 제출하는 것이 좋다. 국내선의 경우 출발 1시간 전, 국제선의 경우 출발 3시간 전까지 제출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는 항공기가 출발하는 국가에 따라 다르다.[1]

8. 기타 고려 사항

대기는 목적지 또는 예비 공항에서 일부 비행 계획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예상치 못한 기상 상황이나 공항의 혼잡으로 인해 (관제탑에서 지정한 패턴으로 선회하는) 대기가 필요할 수 있다. 비행 계획에 대기 계획이 포함되어 있다면, 추가 연료 및 대기 시간은 비행 계획에 표시되어야 한다.

정규 항로는 해양 지역을 횡단하는 항공로와 유사한 일련의 경로이다. 일부 정규 항로 시스템은 고정되어 있으며 항법 차트에 표시된다(예: 북태평양 상의 NOPAC 항로). 다른 시스템은 날씨, 서쪽 또는 동쪽 방향 및 기타 요인에 따라 매일 변경되므로 인쇄된 차트에 표시될 수 없다(예: 대서양 상의 북대서양 항로 (NAT)).

9. 비행 계획 양식 (FAA 기준)

표준 FAA 비행 계획 양식


FAA(미국 연방항공청) 표준 비행 계획 양식은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항목내용
비행 유형VFR, IFR, DVFR 또는 복합 유형
항공기 식별항공기 등록 번호 (비행 또는 꼬리 번호)
항공기 유형/특수 장비항공기 유형과 장비 (예: 고도 보고 트랜스폰더GPS를 갖춘 미쓰비시 MU-2는 MU2/G). 장비 코드는 FAA 항공사 정보 매뉴얼에서 확인 가능.
실제 대기 속도계획된 항공기의 순항 실제 대기 속도(노트)
출발 지점항공기가 출발하는 공항의 식별자
출발 시간제안 및 실제 출발 시간 (협정 세계시)
순항 고도계획된 순항 고도 또는 비행 고도
경로제안된 비행 경로 (항공로, 교차점, 항행 보조 시설 또는 직접 경로)
목적지착륙 예정 지점 (목적지 공항의 식별자)
예상 비행 시간출발과 목적지 도착 사이의 계획된 경과 시간
비고PIC가 관제소에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정보 (예: "SSNO"는 PIC가 IFR 비행에서 SID 또는 STAR를 수락/거부한다는 의미)
탑재 연료항공기에 탑재된 연료량 (비행 시간, 시, 분)
대체 공항목적지 공항의 대체 공항 (계획된 목적지에 악천후 예상 시 IFR 비행 계획에 필요)
조종사 정보수색 및 구조 목적의 조종사 연락처 정보
탑승 인원항공기 탑승 총 인원
항공기 색상수색 및 구조 요원이 항공기를 식별하는 데 도움
목적지 연락처 정보비행 계획 미종료, 연착, 위험에 처한 항공기 추적을 위해 조종사에게 연락할 수단

[1]

비행 계획은 전 세계적으로 운항되는 항공기를 위해 공통 형식으로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행 규칙에 규정된 순서대로 작성되지 않는다. 각 항목(필드)은 문서로 통보할 때 해당 항목에 기입하지만, 시스템 처리에서는 하이픈(-)으로 각 필드를 구분한다.[1]


  • 제7항 "항공기 식별": 무선 호출 부호를 7자 이내로 표시.
  • 제8항 "비행 방식 및 비행 종류":
  • 비행 방식:
  • I: 계기 비행 방식(IFR) 비행
  • V: 시계 비행 방식(VFR) 비행
  • Y: IFR 출발 후 도중 변경
  • Z: VFR 출발 후 도중 변경
  • 비행 종류:
  • S 또는 N: 항공 운송 사업
  • G: 사용 사업, 훈련, 시험 비행, 공수 및 자가용
  • M: 군용기
  • 제9항 "항공기 수 및 기종 및 후방 난류 구분"
  • 제10항 "사용하는 무선 설비"
  • 제13항 "출발 비행장 및 이동 시작 예정 시각"
  • 제15항 "순항 속도, 순항 고도, 경로"
  • 제16항 "목적 비행장 및 소요 시간, 그리고 대체 비행장"
  • 제18항 "기타 정보"
  • 제19항 "보충 정보"
[1]

10. 영공 침범 및 방공 식별 구역 (ADIZ)

외국 항공기가 영공국의 허가 없이 영공에 진입하는 것은 영공 침범에 해당한다.[4] 영공 침범에 대해서는 경고, 진로 변경, 퇴거, 착륙 명령 등의 대응 조치가 취해지며,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에는 격추를 포함한 실력 행사가 이루어진다.[4]

영공 침범에 미리 대비하고, 우발적 분쟁이나 군사적 긴장을 피하기 위해 영공 외부에 방공 식별 구역이 설정되어 있으며, 항공기가 타국의 방공 식별 구역 내를 비행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비행 계획을 제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4] 국제선 운항의 경우에는 관계국에 비행 계획이 통보되며, 해당국의 공군 방공 부문과 정보가 연계된다. 일본의 경우 비행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처리된 비행 계획 등이 방위성의 비행 관리 정보 처리 시스템(FADP Flight Service & AMIS Data Processing System영어)으로 연계된다.

11. 일본의 비행 계획

일본의 경우, 항공기가 일본의 방공식별구역에서 비행할 때(영공 통과 포함)는 항공법 제97조에 따라 원칙적으로 비행 계획을 항공 교통 관제 기관에 통보해야 한다.[5] 계기비행방식(IFR)으로 비행하는 경우에는 통보한 비행 계획에 대한 관제 승인을 항공 교통 관제사로부터 받아야 하지만, 시계비행방식(VFR)으로 비행하는 경우에는 관제 승인이 필요 없으며, 출발지의 반경 9킬로미터 이내를 비행하고 그 범위 내에 착륙하는 경우에는 통보 의무도 없다. 또한, 통보는 문서 또는 구두로 한다(항공법 시행규칙 제203조 제2항).[5]

후쿠오카 비행정보구역(FIR)에 관한 비행 계획은 국토교통성항공국의 비행 정보 관리 시스템(FACE ; Flight Object Administration Center System영어)으로 처리된다.[5]

항공법 시행규칙 제203조에는 다음 항목에 대해 밝혀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5]

항목
항공기의 국적 기호, 등록 기호 및 무선 호출 부호
항공기의 형식 및 기수
기장(단, 편대 비행의 경우에는 편대 지휘자)의 성명
계기비행방식 또는 시계비행방식의 구분
출발지 및 이동 시작 시각
순항 고도 및 항로
최초 착륙지 및 이륙 후 해당 착륙지 상공에 도착하기까지의 소요 시간
순항 고도에서의 진대기속도
사용하는 무선 설비
대체 비행장
지속 시간으로 표시된 연료 탑재량
탑승하는 총 인원
그 외 항공 교통 관제 및 수색 구조에 참고가 되는 사항


12. 용어 및 약어


  • '''지상 고도(AGL)'''

: 특정 육상 지역의 고도 또는 "높이"를 측정한 값이다. 평균 해수면(MSL)도 참조.
: 국제 민간 항공의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질서 있는 발전을 보장하는 임무를 가진 유엔의 전문 기구이다. ICAO 회원국에서 수용된 표준은 안전, 인적 자격, 항공기 운용, 비행장, 항공 교통 서비스, 사고 조사 및 환경과 같은 국제 민간 항공의 모든 기술 및 운영 측면을 포괄한다. ICAO의 책임에 대한 간단한 예는 항법 보조 시설, 항공로, 공항 및 국가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고유한 전 세계 이름이다.

  • '''노트(Kt)'''

: 항해에 사용되는 속도 단위로, 시간당 1해리에 해당한다.

  • '''평균 해수면(MSL)'''

: 모든 조석 단계에 대한 바다 표면의 평균 높이. 고도 참조로 사용된다.( 지상 고도(AGL)도 참조).

  • '''해리(NM)'''

: 항공 및 해상 항해에 사용되는 거리 단위로, 대원에서 위도의 약 1분에 해당한다. 정확히 1852미터, 즉 약 1.15법정 마일로 정의된다.

  • '''경로 예보(ROFOR)'''

: 기상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형식이다.

  • '''무연료 중량(ZFW)'''

: 승무원, 화물 및 승객을 포함하지만 연료는 제외한 항공기의 중량이다.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Frederick Fell, Inc. 1974
[2] 간행물 Air Clues UK 1952-07
[3]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Osprey, Frederick Fell, Inc. 1973
[4] 서적 地図と年表で見る 日本の領土問題
[5] 잡지 エアライン イカロス出版 2017-05
[6]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Osprey, Frederick Fell, Inc. 197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