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럼 2세 판 오라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럼 2세 판 오라녜는 오라녜 공 프레데리크 헨드릭의 아들이자, 1647년부터 1650년 사망할 때까지 네덜란드 연방 공화국의 총독이었다. 1641년 잉글랜드 왕 찰스 1세의 딸 메리 헨리에타 스튜어트와 결혼했으며, 80년 전쟁 종결을 반대하고 프랑스와의 동맹을 통해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려 했다. 1650년, 홀란트 주와 갈등을 겪으며 암스테르담을 포위했으나, 천연두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그의 죽음으로 무총독 시대가 시작되었고, 아들 윌리엄 3세가 잉글랜드 왕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랑주 공 - 오라녜 공
오라녜 공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의 작위로 시작되었고, 오라녜-나사우 가문의 네덜란드 왕실 기원이자, 현재 네덜란드 왕위 계승자가 사용하는 칭호이다. - 오랑주 공 - 빌럼 1세
빌럼 1세는 네덜란드와 룩셈부르크의 통치자였으며, 나폴레옹 몰락 후 네덜란드 연합 왕국의 초대 국왕으로 즉위하여 경제 발전을 추진했으나 벨기에 독립을 인정하고 퇴위 후 사망했다. - 17세기 개신교도 - 조지 2세
조지 2세는 하노버 왕조의 두 번째 국왕이자 하노버 선제후로서 대브리튼과 아일랜드를 통치하며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과 7년 전쟁을 겪었고, 헨델을 후원했으며, 그의 통치는 영국의 국제적 위상 강화와 입헌 군주제의 유지를 특징짓지만 평가가 다양하다. - 17세기 개신교도 - 조지 1세
조지 1세는 하노버 선제후 출신으로 1714년 잉글랜드와 아일랜드의 국왕이 되었으며, 휘그당을 중용하고 로버트 월폴을 기용하여 내각을 이끌게 했고, 1727년 하노버에서 사망했다. - 1626년 출생 - 리처드 크롬웰
올리버 크롬웰의 아들인 리처드 크롬웰은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호국경으로 재임했으나, 짧은 통치 후 사임하여 크롬웰 정권 붕괴를 가속화시킨 17세기 잉글랜드의 정치인이자 군인이다. - 1626년 출생 - 프란체스코 레디
프란체스코 레디는 곤충이 알에서 발생함을 증명하고 "모든 생명은 생명에서 비롯된다"라는 격언으로 유명한 이탈리아의 의사이자 과학자, 시인으로, 독성학, 기생충학 연구와 문학 활동도 했다.
빌럼 2세 판 오라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빌럼 2세 |
출생일 | 1626년 5월 27일 |
출생지 | 헤이그, 네덜란드 공화국 |
사망일 | 1650년 11월 6일 (24세) |
사망지 | 헤이그, 네덜란드 공화국 |
매장일 | 1651년 3월 8일 |
매장지 | 델프트 신교회 |
배우자 | 메리, 프린세스 로열 (1641년 결혼) |
자녀 | 빌럼 3세 |
가문 | 오라녜-나사우 가문 |
아버지 | 프레데리크 헨드리크 |
어머니 | 아말리아 폰 졸름스-브라운펠스 |
종교 | 칼뱅주의 |
오라녜 공 | |
계승 | 오라녜 공 |
재위 기간 | 1647년 3월 14일 – 1650년 11월 6일 |
이전 | 프레데리크 헨드리크 |
이후 | 빌럼 3세 |
네덜란드 총독 | |
총독 지역 | 홀란트, 제일란트, 위트레흐트, 헬데를란트, 오버레이설 |
재위 기간 | 1647년 3월 14일 – 1650년 11월 6일 |
이전 | 프레데리크 헨드리크 |
이후 | 제1차 스타트허우더리스 시대 |
흐로닝언 총독 | |
재위 기간 | 1647년 3월 14일 – 1650년 11월 6일 |
이전 | 프레데리크 헨드리크 |
이후 | 빌럼 프레데리크 |
2. 유년 시절과 혼인
1641년, 14세의 빌럼 2세는 잉글랜드 왕 찰스 1세의 장녀 메리 헨리에타와 결혼했다. 아버지 프레데리크 헨드릭은 네덜란드의 대 스페인 독립 전쟁(팔십 년 전쟁)에서 큰 공을 세워 오라녜 가문의 위상을 높였으며, 프랑스풍 궁전을 조성하고 잉글랜드의 스튜어트 가문 및 독일 제후들과 혼인 관계를 맺는 등 왕조적 외교를 펼쳤다.[9]
2. 1. 유년 시절 (1626-1640)

빌럼 2세는 1626년 5월 27일에 오라녜 공 프레데리크 헨드릭과 아말리아 폰 솔름스브라운펠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 프레데리크 헨드릭은 침묵공 빌럼의 막내 아들이자 나사우의 모리츠의 이복 형제로, 1625년부터 1647년까지 스타트홀더(총독)였다.[2] 빌럼 2세는 8명의 형제자매가 있었지만, 나사우 백작부인 루이세 헨리에테, 나사우의 알베르티네 아그네스, 나사우 백작부인 헨리에테 카타리나, 마리아만이 성년까지 생존하였다. 그의 누이들은 모두 독일 귀족과 결혼했다. 스타트홀더는 7개 주 대표로 구성된 네덜란드 연방 의회와 함께 통치했지만, 가장 크고 부유한 주인 홀란트가 주로 지배했다.
2. 2. 메리 헨리에타 스튜어트와의 혼인 (1640-1641)
1640년 1월, 오라녜 공 빌럼은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국왕 찰스 1세의 장녀인 메리 공주에게 청혼했다. 당시 메리 공주는 겨우 8세였다.[3] 찰스 1세는 처음에는 이 청혼을 거절하고, 자신의 딸을 스페인의 아스투리아스 공 발타자르 카를로스와 결혼시키려 했다.[3] 그러나 메리 공주가 가톨릭으로 개종하는 것을 원치 않아 이 결혼은 무산되었다.[3]1640년 말에서 1641년 초, 찰스 1세는 오라녜 공 프레데리크 헨리와 다시 협상을 시작했다. 1641년 2월 10일, 찰스 1세는 의회에 딸의 약혼이 성사되었음을 발표하며, 비상시에 오라녜 공이 잉글랜드 왕권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1641년 5월 2일, 런던 화이트홀 궁전의 왕립 예배당에서 두 사람의 소규모 결혼식이 거행되었다.[4] 당시 빌럼은 15세, 메리는 9세였다.[4] 결혼식 후 빌럼은 네덜란드로 돌아갔고,[4] 1643년 11월 헤이그에서 두 번째 결혼식이 열렸다. 1644년 2월, 메리는 남편의 궁정 생활에 완전히 융합되었다.
3. 총독 재임과 사망 (1647-1650)
빌럼 2세는 오라녜-나사우 가문 출신 답게 군사적 재능과 기질을 보였다. 찰스 1세의 딸 메리 헨리에타와의 혼인으로 친영 정책을 펼쳤으나, 1649년 청교도 혁명으로 찰스 1세가 처형되고 잉글랜드에 공화정이 들어서자 스튜어트 왕조 복위에 힘썼다.[10] 그러나 네덜란드 공화국 내 홀란트 주의 반대와 빌럼 2세 지지파 간 대립이 발생했다.[10]
1650년, 빌럼 2세는 반대파를 굴복시키려다 천연두로 24세에 급사했다.[10] 그의 사후 8일 뒤 외아들 윌리엄 3세가 태어났고,[10] 무총독 시대가 시작되며 오라녜-나사우 가문의 영향력은 크게 약화되었다.
3. 1. 총독 취임과 80년 전쟁 종전 (1647-1648)
1647년 3월 14일, 아버지 프레데리크 헨드릭이 오랜 지병으로 사망하자, 빌럼 2세는 21세의 나이로 오라녜 공작위와 7개 주 중 6개 주(홀란트, 제이란드, 위트레흐트, 헬러르트, 오버레이셀, 흐로닝언)의 총독직을 계승했다.[1]당시 네덜란드는 스페인과 80년 전쟁을 벌이고 있었다. 프레데리크 헨드릭 통치 하에 네덜란드는 전쟁에서 상당한 승리를 거두었고, 1646년부터 전쟁 종결 조건에 대해 스페인과 협상해 왔다. 협상가들은 1648년 뮌스터 조약에 합의했지만, 빌럼 2세는 이 조약이 (북부) 네덜란드의 독립을 인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조약 수용을 반대했다. 그 이유는 이 조약으로 남부 네덜란드가 스페인 왕가의 수중에 남게 되었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별도의 평화 조약은 1635년에 체결된 프랑스와의 동맹을 위반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6개 주의 의회가 이를 수용하기로 투표하여 80년 전쟁은 종결되었다.
3. 2. 홀란트 주와의 갈등과 암스테르담 포위 (1650)
1650년, 빌럼 2세는 홀란트 주와 암스테르담의 유력 가문인 코르넬리스, 안드리에스 비커르 형제 및 코르넬리스 데 흐라프 등과 심각한 갈등을 겪었다. 이들은 뮌스터 조약 체결 이후 군대 감축을 통해 비용 절감을 추구했는데, 이는 빌럼 2세의 권한 약화로 이어질 수 있었다.[5]빌럼 2세는 이에 반발하여 야코프 데 비트를 포함한 홀란트 주 의회 의원 8명을 뢰베슈타인 성에 투옥했다.[5] 또한, 사촌인 나사우-디에츠의 빌럼 프레데리크에게 1만 명의 군대를 주어 암스테르담을 무력으로 점령하려 했으나, 악천후로 인해 실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암스테르담은 결국 빌럼 2세에게 굴복했다.[5]
빌럼 2세는 중앙 집권적인 정부를 통해 자신의 영토를 확장하고자 프랑스와 비밀 협상을 시작했다.[1] 또한 망명 중이던 매제 찰스 2세의 잉글랜드 왕정 복고를 지원했다.[1]
3. 3. 갑작스러운 죽음 (1650)
1650년 10월 말에서 11월 초, 빌럼은 천연두에 걸려 암스테르담을 점령하려 했던 시도 직후인 11월 6일에 사망했다.[6] 빌럼은 3년 동안만 총독으로 재임했다. 그의 외아들 윌리엄은 그의 죽음 8일 후인 11월 14일에 태어났다.[7][10]빌럼 2세의 죽음으로 반 오라녜 파는 세력을 회복했고, 주요 주가 총독을 두지 않게 되어, 무총독 시대가 시작되었다. 또한, 각 주의 주권이 확대되어 연방 의회의 권한은 약해졌으며, 군 총사령관도 두지 않게 되어, 오라녜-나사우 가문의 영향력이 대폭 줄어들게 되었다.
4. 가족 관계
1641년 5월 2일, 빌럼 2세는 잉글랜드 국왕 찰스 1세와 프랑스 출신 왕비 앙리에타 마리아의 차녀이자 장녀인 메리 공주와 결혼했다.[9] 1643년에 그들은 두 번째 결혼식을 올렸다. 빌럼과 메리는 슬하에 다음 자녀를 두었다.
5. 문장
참조
[1]
웹사이트
William II (prince of Orange), Encyclope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8-16
[2]
웹사이트
Frederick Henry, prince of Orange, count of Nassau, Encyclope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8-16
[3]
서적
The English Royal Family of America, from Jamestown to the Americ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03-01-01
[4]
간행물
Werken Historisch Genootschap, 3e serie
[5]
서적
The Island at the Centre of the World
[6]
웹사이트
Royal renegades: the forgotten children of Charles I
https://www.panmacmi[...]
2024-09-03
[7]
웹사이트
William III (king of England, Scotland, and Ireland), Encyclope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8-16
[8]
서적
Armorial general
Genealogical Publishing Co.
[9]
논문
[10]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