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란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란더는 알바니아 남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알바니아 리비에라의 비공식적인 수도로 여겨진다. 고대에는 온케스모스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그리스와 로마 시대에 중요한 항구 도시였다. 중세 시대에는 동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이후 오스만 제국, 이탈리아의 점령을 거쳐 알바니아에 귀속되었다. 현재는 관광 산업이 발달하여, 알바니아의 주요 관광 도시 중 하나이며, 부트린트 국립공원, 크사밀 등의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바니아의 항구 도시 - 두러스
알바니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아드리아 해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인 두러스는 역사적으로 지정학적 요충지에 위치하여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았으며, 현재는 알바니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관광지로 기능한다. - 알바니아의 항구 도시 - 블로러
블로러는 알바니아 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부터 중요한 항구 도시로 발전했으며, 알바니아 독립 선언이 이루어진 곳으로, 현재는 주요 항구 및 상업 중심지이다. - 북이피로스 - 지로카스터르
지로카스터르는 알바니아 남부에 위치한 "돌의 도시"로, 중세 시대에 중요한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오스만 제국 시대를 거쳐 알바니아 독립 운동의 중심지였고, 공산 정권 시대를 지나 2005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북이피로스 - 델비너
델비너는 알바니아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에는 카오니아인이 거주하고 중세 시대에는 에피루스 전제군주국의 일부였으며, 오스만 제국 시기 델비너 산자크가 설치되었고, 20세기 초 알바니아 민족 부흥 운동의 중심지였다. - 알바니아의 도시 - 티라나
티라나는 알바니아의 수도이자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오스만 제국 지배와 공산주의 시대를 거쳐 현재 급속한 경제 성장과 함께 발전하고 있지만, 인구 과밀에 따른 환경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알바니아의 도시 - 라치
라치는 알바니아어로 습지대를 의미하며, 오스만 제국 시대에 기록되었고 성 안토니오 교회가 위치하며, 축구 선수 카짐 라치와 알바니 가문 등이 이 지역과 관련되어 있다.
| 사란더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 |
![]() | |
![]() | |
| 다른 이름 | Άγιοι Σαράντα (Agioi Saranta) |
| 유형 | 도시 |
| 위치 | 알바니아 남부 |
| 소속 주 | 블로러 주 |
| 좌표 | 39° 52.5′ N, 20° 0.6′ E |
| 면적 (지방 자치 단체) | 29.12 제곱킬로미터 |
| 인구 (2023년) | 22613명 |
| 인구 (19882년) | 22613명 |
| 지역 번호 | (0)85 |
| 우편 번호 | 9701–9703 |
| 웹사이트 | 사란더 시 공식 웹사이트 |
| 로마자 표기 | Sarandë |
| 그리스어 표기 | Άγιοι Σαράντα (Agioi Saranta) |
| 인구 밀도 | 26.7 명/제곱킬로미터 |
| 정치 | |
| 시장 | 올티온 차치 |
| 소속 정당 | 알바니아 사회당 |
| 역사적 정보 | |
| 고대 이름 | 온케스모스, 안키아스모스 |
| 2차 세계 대전 시 이름 | 포르토 에다 |
| 추가 이미지 | |
![]() | |
![]() | |
![]() | |
![]() | |
![]() | |
2. 역사
사란더는 비잔틴 제국 시대 '아기오이 사란다'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그리스어로 "40명의 성인"을 의미하며, 세바스테의 40 성인을 기리기 위해 지어졌다.[3] 오스만 제국 지배하에서 이 도시는 터키어로 '아야 사란디'로 불리다가 '사란도즈'로 변경되었다. 베네치아의 영향으로 서방 지도에서는 이탈리아어 이름인 '산티 콰란타'로 자주 표기되었다.[4] 이러한 사용은 알바니아 공국 설립 이후, 이 지역에 대한 이탈리아의 첫 번째 점령으로 인해 지속되었다.
1191년의 중세 연대기에는 이 정착지가 버려진 것으로 나타나며, 이전 이름(안키아스모스)은 더 이상 언급되지 않는다. 그 해부터 지명은 현대 도시에서 동남쪽으로 약 1km 떨어진 곳에 있는 6세기에 세워진 인근 정교회 바실리카인 '아기오이 사란타' 교회의 이름을 따왔다.[23]
19세기 초, 알리 파샤 통치 시대에 영국의 외교관 윌리엄 마틴 리크는 항구 옆에 스칼라 또는 스칼로마라는 작은 정착지가 존재한다고 보고했다.[24] 1867년 오스만 행정 개혁 이후, 델비네 카자 (구역) 내에 다른 마을이 없는 사란더의 뮈두를룩(독립 단위)이 창설되었다.[45] 발칸 전쟁 (1912-1913) 이전 오스만 제국 말기 사란더는 영구적인 거주자나 제도적 공동체 조직이 없는 단순한 상업 기지였을 뿐인 항구였다.[45] 사란다 뮈두를룩의 창설은 오스만 당국이 항구를 개선하고 지역의 경제적 의존도를 이오안니나와 프레베자에서 줄이려는 열망과 관련이 있었다.[45] 1878년, 그리스 반란이 일어나 혁명가들이 사란더와 델비네를 장악했으나, 오스만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고, 그들은 이 지역의 20개 마을을 불태웠다.[25]
발칸 전쟁 중 그리스군이 이곳을 점령했다. 이후 1913년 12월 17일 피렌체 의정서에 따라 새로 형성된 알바니아 국가에 포함되었다.[27] 이 결정은 지역 그리스인에 의해 거부되었고, 그리스 군대가 새로운 국경으로 철수하면서 북에피루스 자치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1914년 5월, 북에피루스 임시 정부와 알바니아 대표 간의 협상이 사란더에서 시작되었고, 인근 코르푸에서 계속되어 북에피루스 자치 인정으로 끝났다.[28]
1916년부터 1920년까지 이탈리아에 의해 남부 알바니아에 대한 이탈리아 보호령의 일부로 점령되었다.[29] 1926년부터 1939년까지 전쟁 사이 기간 동안, 이탈리아는 사란더 항구 개선에 자금을 지원했다.[30] 1938년에는 작은 루마니아 연구소가 설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알바니아의 이탈리아 점령 기간 동안 베니토 무솔리니는 자신의 장녀를 기리기 위해 이름을 '포르토 에다'로 변경했다.[5][6] 1939년 이탈리아군에 다시 점령되었고, 그리스 침공에 대한 이탈리아의 개입 동안 전략적 항구였다. 그리스-이탈리아 전쟁 중, 1940년 12월 6일 그리스군이 사란더를 점령했다.[31] 1941년 4월 독일의 그리스 침공으로 이탈리아 통제 하에 돌아갔다. 1944년 10월 9일, 톰 처칠 준장 휘하의 영국 코만도 부대와 이슬람 라도비카 휘하의 LANÇ 지역 파르티잔이 도시를 점령했으나, 영국군은 곧 철수하여 알바니아 공산주의 세력에게 지역을 넘겨주었다.[32] 알바니아 독립 회복 후, 도시는 다시 알바니아어 이름인 '사란다'로 돌아왔다.[7]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 (1945-1991) 정책으로 북부 알바니아의 무슬림 알바니아인들이 이 지역에 정착하여, 지역 기독교인은 더 이상 사란다의 유일한 공동체가 아니게 되었다.[33] 이 기간 동안 국가 무신론 캠페인으로 성 스피리돈 교회가 철거되었다. 알바니아 민주화 이후 (1991), 교회 자리에 작은 신사가 세워졌다.[33]
1992년, 알바니아 남부의 그리스계 공동체에 대한 폭력 사태가 격화되는 동안, 그리스 상점 방화 및 오모노이아 조직 사무실 파괴 사건이 발생했다.[34] 1997년 알바니아 내란 중, 지역 그리스 소수 민족 부대가 정부 탱크를 점령하여 야당에 최초의 군사적 성공을 안겨주었다.[35]
2. 1. 고대
도시의 고대 그리스어 이름인 온케스모스(Ὄγχεσμος|links=nogrc) (라틴어 형식: Onchesmus)와 주변 지역의 지형에서 발견되는 낡은 특징들로 미루어 보아, 이 지역은 기원전 3천년 말에서 2천년 초 사이에 원시 그리스 지역의 일부였던 것으로 보인다.[8] 사란더에서는 기원전 1400년에서 1100년경에 제작된 미케네 그리스 시대의 청동기 도구들이 발굴되었다.[9] 고대에는 이 도시가 ''온케스무스''(Onchesmus) 또는 ''온케스모스''(Onchesmos)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으며, 코르키라의 북서쪽 지점 맞은편, 파노르무스 남쪽 해안의 다음 항구였던 차오니아의 항구 도시였다.[10][11] 이곳에는 고대 그리스 부족인 차오니아인들이 거주했다.[12][13] 온케스모스는 차오니아의 수도인 포이니케[14][15](오늘날의 피니크)의 항구로서 번성했다. 키케로 시대에도 중요한 장소였던 것으로 보이며, 에피루스에서 이탈리아로 가는 일반적인 출발 지점 중 하나였다. 키케로는 그 항해에 유리한 바람을 "온케스미테스"라고 불렀다.[16]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에 따르면, 이 장소의 실제 이름은 아이네아스의 아버지인 안키세스의 이름을 딴 안키세스의 항구(Ἀγχίσου λιμήν)였다고 한다.[17] 아마도 이러한 전설 때문에, 온케스무스라는 이름은 비잔틴 제국 시대에 ''안키아스무스''(Anchiasmus) 또는 ''안키아스모스''(Anchiasmos, Ἀγχιασμόςel) 형태로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18][19]당시 온케스모스라는 이름으로 불리던 사란다는 알바니아 최초의 유대교 회당이 있던 곳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4세기[21] 또는 5세기에 지어졌다. 이 회당은 제1차 유대-로마 전쟁 중인 서기 70년경, 알바니아 남부 해안에 도착한 유대인 포로들의 후손들에 의해 건설된 것으로 추정된다.[20] 온케스모스의 유대교 회당은 6세기에 교회로 대체되었다.[21]
이 도시는 아마도 551년에 동고트족에게 공격을 받았으며,[23] 이 시기에 고트족 선박의 해적 공격 대상이 되기도 했다.[22]
2. 2. 중세 및 근대
비잔틴 제국 시대에 ''아기오이 사란다''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그리스어로 "40명의 성인"을 의미하며, 세바스테의 40 성인을 기리기 위해 지어졌다.[3] 오스만 제국 지배하에서 이 도시는 터키어로 ''아야 사란디''로 불리다가 ''사란도즈''로 변경되었다. 베네치아의 영향으로 서방 지도에서는 이탈리아어 이름인 ''산티 콰란타''로 자주 표기되었다.[4] 이러한 사용은 알바니아 공국이 설립된 후에도, 이 지역에 대한 이탈리아의 첫 번째 점령으로 인해 지속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알바니아의 이탈리아 점령 기간 동안 베니토 무솔리니는 자신의 장녀를 기리기 위해 이름을 ''포르토 에다''로 변경했다.[5][6] 알바니아 독립이 회복된 후, 도시는 다시 알바니아어 이름인 ''사란다''로 돌아왔다.[7]19세기 초, 알리 파샤의 통치 시대에 영국의 외교관 윌리엄 마틴 리크는 항구 옆에 스칼라 또는 스칼로마라는 작은 정착지가 존재한다고 보고했다.[24] 1867년 오스만 행정 개혁 이후, 델비네 카자 (구역) 내에 다른 마을이 없는 사란더의 뮈두를룩(독립 단위)이 창설되었다.[45] 발칸 전쟁 (1912-1913) 이전의 오스만 제국 말기 사란더는 영구적인 거주자나 제도적 공동체 조직이 없는 단순한 상업 기지였을 뿐인 항구로 구성되었다.[45] 사란다 뮈두를룩의 창설은 오스만 당국이 항구를 개선하고 지역의 경제적 의존도를 이오안니나와 프레베자에서 줄이려는 열망과 관련이 있었다.[45] 1878년, 그리스 반란이 일어나 혁명가들이 사란더와 델비네를 장악했다. 이 반란은 오스만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으며, 그들은 이 지역의 20개 마을을 불태웠다.[25]
그리스군은 발칸 전쟁 중 이곳을 점령했다. 이후 이 도시는 1913년 12월 17일 피렌체 의정서에 따라 새로 형성된 알바니아 국가에 포함되었다.[27] 이 결정은 지역 그리스인에 의해 거부되었고, 그리스 군대가 새로운 국경으로 철수하면서 북에피루스 자치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1914년 5월, 북에피루스 임시 정부의 대표와 알바니아 대표 간의 협상이 사란더에서 시작되었고, 인근 코르푸에서 계속되어 새로 수립된 알바니아 국가 내 북에피루스 자치의 인정으로 끝났다.[28]
이후 1916년부터 1920년까지 이탈리아에 의해 남부 알바니아에 대한 이탈리아 보호령의 일부로 점령되었다.[29] 1926년부터 1939년까지의 전쟁 사이 기간 동안, 이탈리아는 사란더 항구에 대한 광범위한 개선을 자금 지원했다.[30] 1938년에 작은 루마니아 연구소가 설립되었다.
2. 3. 현대
발칸 전쟁 중 그리스군이 사란더를 점령했다. 이후 1913년 12월 17일 피렌체 의정서에 따라 알바니아에 포함되었으나, 지역 그리스인들은 이에 반발하여 북에피루스 자치 공화국을 수립했다. 1914년 5월, 사란더에서 북에피루스 임시 정부와 알바니아 대표 간 협상이 시작되어 코르푸 의정서를 통해 북에피루스 자치가 인정되었다.[28]1916년부터 1920년까지 이탈리아에 점령되었다.[29] 1926년부터 1939년까지 이탈리아는 사란더 항구 개선에 자금을 지원했다.[30] 1938년에는 루마니아 연구소가 설립되었다. 1939년 이탈리아군에 다시 점령되었고, 그리스 침공에 대한 이탈리아의 개입 동안 전략적 항구였다. 이탈리아 점령 기간 동안 베니토 무솔리니의 장녀를 기리기 위해 "포르토 에다"라고 불렸다.
그리스-이탈리아 전쟁 중, 1940년 12월 6일 그리스군이 사란더를 점령했다.[31] 1941년 4월 독일의 그리스 침공으로 이탈리아 통제 하에 돌아갔다. 1944년 10월 9일, 영국 코만도 부대와 LANÇ의 지역 파르티잔이 도시를 점령했다. 그러나 영국군은 곧 철수하여 알바니아 공산주의 세력에게 지역을 넘겨주었다.[32]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 (1945-1991) 정책으로 북부 알바니아의 무슬림 알바니아인들이 이 지역에 정착하여, 지역 기독교인은 더 이상 사란다의 유일한 공동체가 아니게 되었다.[33] 국가 무신론 캠페인으로 성 스피리돈 교회가 철거되었다. 알바니아 민주화 이후 (1991), 교회 자리에 작은 신사가 세워졌다.[33]
1992년, 알바니아 남부의 그리스계 공동체에 대한 폭력 사태가 격화되는 동안, 그리스 상점 방화 및 오모노이아 조직 사무실 파괴 사건이 발생했다.[34]
1997년 알바니아 내란 중, 지역 그리스 소수 민족 부대가 정부 탱크를 점령하여 야당에 최초의 군사적 성공을 안겨주었다.[35]
3. 지리
사란더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고온 여름 지중해성 기후(Csa)를 보인다.[40] 온화한 지중해성 기후와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풍경, 다양한 식물상 덕분에 사란다는 휴양지로 발전하여 중요한 관광지가 되었다. 특히 21세기 초부터 신혼여행지로 각광받으며 허니문 도시로도 알려져 있다.
관광 외에도 서비스업, 어업, 건설업 등이 도시의 주요 산업이다. 2001년 기준 실업률은 12.58%였으나, 여름철에는 실업률이 크게 하락한다.
3. 1. 위치 및 지형
알바니아 리비에라의 일부인 사란더는 알바니아 남서부의 고르마티 언덕과 베르데네시 언덕, 그리고 알바니아 이오니아 해안 사이에 있는 사란더의 아치형 만에 위치해 있다.[36] 사란더 시는 알바니아 남부의 일부로 블로러 주에 포함되어 있으며, 크사밀과 사란더 인접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38][47][37] 총 면적은 58.96km2이다.[38][39]3. 2. 기후
사란더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고온 여름 지중해성 기후 (Csa)를 보인다.[40] 1991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후 자료는 다음과 같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최고 기온 기록 (°C) | 24 | 25 | 27 | 29 | 36 | 39 | 42 | 42 | 38 | 30 | 27 | 25 |
| 평균 최고 기온 (°C) | 13.6 | 14.1 | 16.5 | 19.2 | 23.6 | 28.4 | 31.0 | 31.1 | 28.2 | 22.4 | 17.3 | 15.0 |
| 평균 최저 기온 (°C) | 4.7 | 5.2 | 6.8 | 10.6 | 16.1 | 19.7 | 22.4 | 22.3 | 19.1 | 10.5 | 7.5 | 6.1 |
| 최저 기온 기록 (°C) | -5 | -4 | 0 | 3 | 8 | 12 | 16 | 15 | 6 | 1 | -2 | -5 |
| 강수량 (mm) | 125 | 122 | 98 | 65 | 39 | 20 | 5 | 9 | 48 | 125 | 161 | 169 |
| 강수 일수 | 14 | 12 | 9 | 7 | 5 | 2 | 1 | 1 | 5 | 9 | 12 | 15 |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풍경과 다양한 식물상, 그리고 온화한 지중해성 기후 덕분에 사란다는 휴양지로 발전하여 중요한 관광지가 되었다.
4. 경제
사란더는 알바니아 공산주의 붕괴 이후 해안 접근성과 지중해성 기후를 바탕으로 중요한 관광 명소가 되었다. 가디언은 사란더와 나머지 알바니아 리비에라를 "과밀한 지중해의 새로운 '미발견 보석'"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41]
관광은 사란더의 주요 경제 자원이며, 그 외에 서비스, 어업, 건설 등이 있다. 2008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실업률은 8.32%였지만, 가족 관광과 여름철 계절 노동이 실제 실업률을 완화하는 데 기여한다는 의견이 있다. 최근 사란더는 통제되지 않은 건설 붐을 겪고 있는데, 이는 도시의 미래 관광 잠재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2012년부터 사란다 항구는 터미널에서 크루즈선을 수용하기 위해 확장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4. 1. 관광
사란더는 알바니아 리비에라의 비공식적인 수도로 여겨지며, 리비에라를 따라 관광을 위한 거점으로 사용될 수 있다.[42] 크사밀은 해변과 섬으로 유명하다.[43]


이 지역은 자연과 야생동물과 관련된 다양한 볼거리와 활동으로 번성하고 있다. 주요 명소로는 고대 유적지인 부트린트와 푸른 눈 샘이 있다.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풍경과 다양한 식물상, 그리고 온화한 지중해성 기후 덕분에 사란다는 휴양지로 발전하여 중요한 관광지가 되었다. 1990년대 말부터 21세기 초에 걸쳐 사란다는 관광지로서 발전을 이루었으며, 21세기 초에는 신혼여행지로 사란다를 방문하는 커플이 급증하여 허니문 도시로도 알려져 있다.
관광은 도시의 주요 산업이며, 사란다만을 따라 많은 리조트와 호텔이 건설되어 있다. 여름 관광 시즌에는 그리스를 중심으로 유럽 각국에서 많은 관광객이 찾아온다. 세계 유산인 부트린트 국립공원으로 관광을 떠나는 기점이기도 하다. 그 외의 산업으로는 서비스업, 어업, 건설업 등이 중심이다. 2001년 기준 실업률은 12.58%이나, 하계에는 실업률이 대폭 하락한다.
5. 인구
발칸 전쟁 (1912~1913) 이전 오스만 제국 말기 사란더는 항구로만 구성되어 있었고, 정착된 거주민은 없었다.[45] 1912년, 알바니아 독립 선언 직후 이 정착촌의 인구는 110명에 불과했다.[46] 1927년 인구 조사에서 810명의 인구를 기록했지만, 아직 도시라고 불릴 정도는 아니었다.[46] 1930년대에 인구 통계학적으로 좋은 발전을 보였으며, 이 시기에 최초의 공공 건물과 주요 도로가 건설되었다.[46] 1957년에는 8,700명의 인구를 가진 도시가 되었고, 한 지역의 중심지가 되었다.[46]
사란더의 인구는 전적으로 기독교인이었다.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 (1945~1991) 시대의 재정착 정책의 일환으로 무슬림 공동체가 도시에 정착했다.[33] 2011년 인구 조사에서 이전 지방 자치 단체의 인구는 17,233명이었다.[48] 해외에 거주하는 시민을 포함한 모든 시민을 기록하는 민원 사무소에 따르면 인구는 41,173명(2013년 추정)이다.[50]
알바니아 헬싱키 위원회의 조사에 따르면, 1990년 사란더의 인구는 17,000명이었으며, 그 중 7,500명이 그리스 소수 민족에 속했다.[51] 1992년 그리스 학자 레오니다스 칼리브레타키스가 이 지역에서 수행한 현장 조사에서 사란다의 혼합된 언어적 구성(1992년 총 인구: 17,555명)은 8,055명의 무슬림 알바니아인, 6,500명의 그리스인, 3,000명의 정교회 알바니아인으로 구성되었다.[52] 같은 연구의 통계에 따르면, 주변 마을을 포함하여 사란데 코뮌의 인구는 알바니아 무슬림 43%, 알바니아 기독교인 14%, 그리스 기독교인 41%, 아로마니아 기독교인 2%로 구성되었다.[53] 1990년대 초, 지역 정교회 알바니아인들은 주로 사란다 지역에 기반을 둔 그리스 소수 민족의 정당에 투표했다.[52]
사란더는 알바니아의 그리스 소수 민족의 두 중심지 중 하나로 여겨진다.[2][54] 그리스 소수 민족 대표에 따르면, 도시 인구의 42%가 지역 그리스 공동체에 속한다.[55] 1990년대 이후 사란더의 인구는 거의 두 배로 증가했다. 2013년 공식 추정에 따르면, 도시의 인구는 41,173명이다.[50] 알바니아 헬싱키 위원회의 조사에 따르면, 2001년 알바니아 인구는 약 26,500명이었고, 그리스인은 약 3,400명과 소수의 블라흐족 및 로마와 함께 나머지 인구를 형성했다.[51][56] 알바니아 헬싱키 위원회에 따르면, 이 도시는 1991년부터 2001년까지 그리스로의 대규모 이민으로 인해 절반 이상을 잃었다.[51] 2014년 공식 추정에 따르면, 이전 지방 자치 단체의 그리스 공동체 인구는 7,920명이다. 2014년 현재 사란다 지방 자치 단체에는 총 217명의 학생이 다니는 그리스어로 된 학교/학급 두 곳이 있었다.[58] 다른 소수 민족으로는 아로마니아인, 로마, 아슈칼리가 있다.
21세기 초, 사란다의 인구는 대부분이 알바니아인이며, 그 외 소수 민족으로는 그리스인, 아루마니아인 등이 있다.[67][68] 사란다의 인구는 1989년 15,700명에서 2001년에는 27,553명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특히 1997년 이후 인구가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6. 국제 관계
사란더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59]
7. 교통
| 교통 수단 | 소요 시간 | 빈도 |
|---|---|---|
| 티라나발 장거리 버스 | 약 8~13시간 | 하루 수 편 |
| 티라나발 합승 택시 | 약 7~10시간 | 하루 수 편 |
| 지로카스트라발 장거리 버스 | 약 2시간 | 하루 수 편 |
| 지로카스트라발 합승 택시 | 약 2시간 | 수 시간에 한 대 |
| 그리스 아테네발 장거리 버스 | 약 12시간 | 하루 수 편 |
| 그리스 케르키라발 페리 | 약 1~2시간 | 하루 수 편 |
참조
[1]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www.instat.g[...]
Institute of Statistics Albania
[2]
간행물
The Greek Minority in Albania – In the Aftermath of Communism.
http://www.da.mod.uk[...]
2009-06-20
[3]
서적
Albanien: Ein Archäologie- und Kunstführer von der Steinzeit bis ins 19. Jahrhundert
https://books.google[...]
Vandenhoeck & Ruprecht
[4]
문서
Turkey II: Containing the Northern Part of Greece
http://www.davidrums[...]
Baldwin & Cradock
1829-11-01
[5]
서적
Returning Home to Rome – The Basilian Monks of Grottaferrata in Albania
https://books.google[...]
Analekta Kryptoferris
[6]
서적
Albania and King Zog: independence, republic and monarchy 1908–1939
https://books.google[...]
I.B.Tauris
[7]
문서
Albania, Greece
http://www.davidrums[...]
Pergamon Press, Ltd. & P.W.N. Poland
1967
[8]
서적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Indo-Europe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Publishing House of the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1981
[9]
논문
Mycenaean Presence and Influence in Albania
https://books.google[...]
Kniževni Krug
2002
[10]
문서
The Geography
https://www.perseus.[...]
Strabo
[11]
문서
Cite Ptolemy
[12]
문서
Philip of Macedon
Duckworth
1994
[13]
논문
Sacred Places, Territorial Economy and Cultural Identity in Northern Epirus (Chaonia)
https://books.ub.uni[...]
2020
[14]
문서
Barrington Atlas of the Greek and Roman World
2000
[15]
문서
Oracles, Curses, and Risk Among the Ancient Greek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16]
문서
Att.
[17]
문서
Ant. Rom.
[18]
서적
Epirus Vetus: The Archaeology of a Late Antique Province
Duckworth
2003
[19]
문서
Saranda – Ancient Onchesmos: A Short History and Guide
Butrint Foundation
2007
[20]
웹사이트
Albania Virtual Jewish History Tour
http://www.jewishvir[...]
[21]
서적
The Jewish-Greek Tradition in Antiquity and the Byzantine Empi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0-20
[22]
문서
Epirus, 4000 years of Greek history an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Ekdotike Athenon
[23]
문서
Epirus, 4000 years of Greek history an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Ekdotike Athenon
[24]
서적
Saranda, Ancient Onchesmos: A Short History and Guide
https://books.google[...]
Migjeni Publishing House
2007
[25]
문서
Epirus, 4000 years of Greek history an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Ekdotike Athenon
[26]
서적
Saranda – Ancient Onchesmos: A Short History and Guide
https://www.academia[...]
Butrint Foundation
2007-07
[27]
서적
Albania's Captives
https://books.google[...]
Argonaut
[28]
학위논문
Greece and Albania: 1908–1914
http://phdtheses.ekt[...]
Institute for Balkan Studies, New York University
[29]
문서
Southern Albania or northern Epirus in European international affairs, 1912–1923
Stanford University Press
[30]
서적
East Central Europe between the Two World War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31]
서적
The Defence and Fall of Greece 1940–1941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2013
[32]
서적
Albania at war : 1939–1945
https://books.google[...]
Hurst
[33]
서적
Monuments of Orthodoxy in Albania
https://books.google[...]
Doukas School
1996
[34]
서적
Border and Territorial Disputes
https://books.google[...]
Longman Group
1992
[35]
웹사이트
The Greek Minority in Albanian in the Aftermath of Communism
https://www.files.et[...]
[36]
웹사이트
Rraporti Paraprak i Vlerësimit të Ndikimit në Mjedis Furnizimi me Ujë të Pijshëm i Lagjeve "Lugu i Dardhës" dhe "Baba Rexhepi"
http://www.akm.gov.a[...]
National Environment Agency
2021-09-26
[37]
웹사이트
Law nr. 115/2014
https://www.vendime.[...]
2022-02-25
[38]
웹사이트
Pasaporta e Bashkisë Sarandë
https://portavendore[...]
Porta Vendore
2021-09-24
[39]
웹사이트
Bashkia Sarandë
https://aam.org.al/e[...]
Albanian Association of Municipalities (AAM)
2021-09-24
[40]
웹사이트
Climate: Sarandë
https://en.climate-d[...]
Climate-Data
2021-09-26
[41]
뉴스
2009's hot new beach destination: Albania
https://www.theguard[...]
www.guardian.co.uk
[42]
웹사이트
Introducing Saranda
https://web.archive.[...]
[43]
웹사이트
Welcome to Saranda
https://web.archive.[...]
[44]
웹사이트
Cities of Albania
http://pop-stat.mash[...]
[45]
서적
"Το ύστερο Γιαννιώτικο Πασαλίκι: χώρος, διοίκηση και πληθυσμός στην τουρκοκρατούμενη Ηπειρο (1820–1913) [The late Pashalik of Ioannina: Space, administration and population in Ottoman ruled Epirus (1820–1913)]"
http://helios-eie.ek[...]
EIE-ΚΝΕ
[46]
웹사이트
Historiku i Qytetit
https://web.archive.[...]
2010-07-28
[47]
웹사이트
A new Urban–Rural Classification of Albanian Population
https://web.archive.[...]
Institute of Statistics (Albania)
2014-05
[48]
웹사이트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 Vlorë 2011
http://www.instat.go[...]
Institute of Statistics (Albania)
2019-09-25
[49]
웹사이트
Correspondence table LAU – NUTS 2016, EU-28 and EFTA / available Candidate Countries
https://ec.europa.eu[...]
Eurostat
2019-09-25
[50]
웹사이트
Vlora's communes
http://www.observato[...]
2016-01-13
[51]
웹사이트
Report Submitted by Albania
http://www.coe.int/t[...]
2010-07-28
[52]
간행물
Η ελληνική κοινότητα της Αλβανίας υπό το πρίσμα της ιστορικής γεωγραφίας και δημογραφίας [The Greek Community of Albania in terms of historical geography and demography].
[53]
간행물
Η ελληνική κοινότητα της Αλβανίας υπό το πρίσμα της ιστορικής γεωγραφίας και δημογραφίας [The Greek Community of Albania in terms of historical geography and demography]
[54]
서적
Human rights in post-communist Albania
https://books.google[...]
Human Rights Watch
[55]
서적
Managing a global workforc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internat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06
[56]
간행물
The Greek Minority in Albania – In the Aftermath of Communism.
[57]
웹사이트
Fourth Report submitted by Albania pursuant to Article 25, paragraph 2 of the Framework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Minorities
https://rm.coe.int/1[...]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Albania
2018-12-28
[58]
웹사이트
Fourth Report submitted by Albania pursuant to Article 25, paragraph 2 of the Framework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Minorities
https://rm.coe.int/1[...]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Albania
2018-12-28
[59]
웹사이트
Binjakëzime
https://bashkiasaran[...]
Sarandë
2021-03-09
[60]
서적
地球の歩き方 2017〜18 中欧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61]
서적
Epirus Vetus: The Archaeology of a Late Antique Province
Duckworth
[62]
서적
Saranda - Ancient Onchesmos: A Short History and Guide
Butrint Foundation
[63]
간행물
Barrington Atlas of the Greek and Roman World
[64]
서적
Philip of Macedon
Duckworth
[65]
간행물
The Geography
[66]
서적
Oracles, Curses, and Risk Among the Ancient Greeks
Oxford University Press
[67]
간행물
The Greek Minority in Albania - In the Aftermath of Communism.
[68]
간행물
The Greek Minority in Albania - In the Aftermath of Communism.
[69]
서적
Dictionary of Albanian Literature
Greenwood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