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월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월역은 2005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시·종착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2012년 영남대역 연장 개통에 따라 중간역으로 전환된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역이다. 역명은 과거 이 지역의 지명이었던 사월에서 유래되었으며, 현재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신매동에 위치해 있다.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주변에는 신매교, 사월교, 대구교통공사 사월관리소 등이 있다. 2011년까지는 2호선에서 이용객이 많은 역이었으나, 영남대역 연장 이후 이용객이 감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수성구의 전철역 - 연호역
연호역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2005년 개통 이후 인근 군부대 위치로 인해 승객 수가 가장 적다. - 대구 수성구의 전철역 - 고산역 (대구)
고산역은 2005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하철역이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주변에 학교와 우체국 등이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 - 연호역
연호역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2005년 개통 이후 인근 군부대 위치로 인해 승객 수가 가장 적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 - 고산역 (대구)
고산역은 2005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하철역이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주변에 학교와 우체국 등이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서 운행되는 통근형 전동차이며, 2004년 10월부터 2005년 2월 사이에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어 6량 1편성으로 운행된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연호역
연호역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2005년 개통 이후 인근 군부대 위치로 인해 승객 수가 가장 적다.
사월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대구광역시 수성구 신매동 |
노선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구조 | 지하 |
승강장 | 1 |
선로 | 2 |
개업일 | 2005년 10월 18일 |
역 번호 | 241 |
운영 기관 | 대구교통공사 |
한국어 역명 | |
한글 | 사월역 |
한자 | 모래 달 역 |
로마자 표기 | Sawollyeok |
노선 정보 | |
소속 노선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이전 역 | 신매역 |
다음 역 | 정평역 (경산) |
역 간 거리 | 1.1km |
기점 역 | 문양역 |
역 위치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지하 3290 |
개업 연월일 | 2005년 10월 18일 |
2. 역사
- 2005년 10월 18일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시·종착역으로 영업 개시
- 2012년 9월 19일 : 영남대역 연장 개통에 따라 중간역으로 전환
- 2017년 5월 25일 : 스크린도어 설치
3. 역명의 유래
이 지역은 원래 경상북도 경산군 서면 지역으로, 과거에는 '''사토리(乍吐里), 사돌, 사월(沙月)''' 등으로 불렸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경산군 고산면 사월리가 되었고, 1981년에는 대구직할시 수성구 고산동으로 편입되었다(법정동: 사월동). 이후 사월동의 일부가 신매동으로 편입되면서, 역 이름과 달리 실제 역의 소재지는 신매동이 되었다. 사월동 방향 출구는 4번 출구만 해당한다.
4. 역 구조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기점인 문양역에서 정확히 28km 떨어져 있는 역이다.[1]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 1. 승강장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승강장 기둥은 파란색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역 주변 지형이 약간 언덕이며, 승강장은 지하 4층에 위치하여 깊이가 깊은 편이다.
역 이름은 사월역이지만, 사월동으로 연결되는 출구는 4번 출구 하나뿐이고 나머지 출구는 신매동에 있다. 이는 원래 모든 출구가 사월동에 있었으나, 행정구역 조정으로 사월동 일부가 신매동으로 편입되었기 때문이다.
유치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평상시에는 심야 운행 종료 후 선로 정비용 모터카가 이 유치선에 대기한다. 역 인근 신매교 근처에는 대구교통공사 사월관리소가 있다. 영남대 방면으로 노선이 연장된 후에도 전동열차 1개 편성이 이곳으로 와서 주박(밤샘 정차)하므로, 열차 운행 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승강장에서 바로 반대 방향 열차로 갈아탈 수 있다.
5. 역 주변
대구광역시 수성구 신매동·사월동과 경상북도 경산시 중산동의 시경계 인근에 위치하여, 대구와 경산을 오가는 시내버스 이용객이 많다. 2009년 1월 17일부터 경산시 시내버스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및 대구 도시철도 간 통합 환승 정책이 시행되면서 이용객이 증가했다. 2011년 6월 10일에는 사월역 작은도서관이 개관했다.
2012년 9월 19일 2호선 경산 구간이 개통된 후에는 수요가 분산되어 이용객이 크게 감소했다. 경산 연장 이후에는 정평역에서 환승하기 어려운 경산역, 경산시장, 경산오거리(경산시외버스정류장), 중산지구(펜타힐즈) 일대 주민들의 주된 도시철도 환승역으로 이용되고 있다. 과거 2호선 경산 연장 이전에는 이 역이 경산권 대학들의 셔틀버스 기점으로 활용되었으나, 이로 인한 차로 정체 및 소음 발생으로 주변 아파트 단지 주민들의 민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영남대역까지 전 구간이 개통된 후 일부 셔틀버스 기점이 임당역으로 이전되었다.[1]
이마트 경산점 인근에 경산시 중산동과의 경계가 있으며, 이 지점에서 달구벌대로가 끝나고 대학로가 시작된다. 사월역과 정평역 사이에 있는 중산삼거리 아래로는 경부선 철도가 교차하여 통과한다. 사월역을 경유하는 시내버스 노선들은 대부분 정평역 방면으로 직진하기보다는 중산삼거리에서 경산역·경산시장·경산오거리 방향으로 진입한다.
기점인 문양역과는 정확히 28km 떨어져 있다.
6. 이용객 변동
대구광역시 수성구와 경상북도 경산시의 경계 인근에 위치하여 대구 시내버스와 경산 시내버스 간 환승객이 많다. 특히 2009년 1월 17일부터 경산시 시내버스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및 대구 도시철도 간 통합 환승 제도가 시행되면서 이용객이 증가했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경산 연장 구간이 개통되기 전인 2011년까지 사월역은 2호선 전체 역 중에서 환승역인 반월당역 다음으로 승하차 인원이 많은 역이었다. 2011년에는 하루 평균 이용객이 9,939명에 달하며 최고치를 기록했다.[2]
그러나 2012년 9월 19일 2호선 종점이 영남대역으로 연장 개통되면서 상황이 크게 변했다. 경산 지역 주민들의 수요가 영남대역, 임당역, 정평역 등으로 분산되었고, 일부 경산권 대학교 셔틀버스 기점이 임당역 인근으로 이전하면서 이용객이 크게 감소했다.[1] 연장 개통 직후인 2012년 하루 평균 이용객은 8,598명으로 줄었고, 2013년에는 5,160명까지 급감했다.[2] 이로 인해 승하차량 순위도 영남대역과 용산역 등에 밀려 4위까지 하락했다.
2017년 이후로는 인근 경산시 중산동 중산지구(펜타힐즈) 개발의 영향으로 이용객이 조금씩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2020년에는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해 대중교통 이용객이 전반적으로 줄면서 사월역의 이용객 수도 다시 감소했다.
노선 | 승차 인원[2] | ||||||||||||||||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2호선 | 5,087 | 5,772 | 6,827 | 7,787 | 8,887 | 9,349 | 9,939 | 8,598 | 5,160 | 4,861 | 4,812 | 4,763 | 4,490 | 4,606 | 4,738 | 3,031 |
7. 인접한 역
(문양 방면)
사월
(영남대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