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천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천군은 경상남도에 위치했던 옛 행정 구역으로, 사물의 옛 이름을 가지며 물가 마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삼천포라는 지명은 고려 시대 조창인 통양창에서 유래되었거나, 인근 인구가 많아 삼천리(三千里)로 불린 데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사천 지역은 청동기 시대부터 가야 시대,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역사를 겪었다. 특히 임진왜란 당시 사천 해전에서 거북선이 처음 실전에 투입되었으며, 1895년 이후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95년 삼천포시와 통합되어 사천시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천시의 역사 - 곤양군
    곤양군은 삼한 시대 군미국에서 시작하여 가야 연맹에 속했으며, 고려 시대 곤명현을 거쳐 조선 시대 곤양으로 개칭되어 경상남도에 편입되었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하동군과 사천군에 분할 편입된, 현재의 사천시와 하동군 일부 지역에 해당하는 옛 군이다.
  • 사천시의 역사 - 사천 해전
    사천 해전은 1592년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 수군이 거북선을 처음 실전에 투입하여 왜선 13척을 격침시키고 일본군의 수륙 병진 계획에 차질을 초래, 한산도 대첩의 발판을 마련한 해전이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마산시
    마산시는 경상남도 남부 해안에 위치했던 도시로, 창원시와 통합되어 마산회원구와 마산합포구로 개편되었으며, 3·15 마산 의거와 부마민주항쟁의 배경이 되었고, 아구찜이 대표적인 음식이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기장군
    기장군은 부산광역시 동해안에 위치한 농촌적 특징을 가진 지역으로, 멸치와 미역이 유명한 어업 중심지이며, 해동용궁사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군 - 청원군
    청원군은 충청북도 중서부에 위치했던 군으로,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삼한시대에는 마한, 삼국시대에는 백제, 고구려, 신라의 영토였고, 2014년 청주시에 통합되기 전 3읍 10면으로 구성되어 문의문화재단지, 대청댐 등의 주요 시설이 있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군 - 양주군
    양주군은 1895년부터 2003년까지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양주시, 동두천시, 의정부시, 남양주시, 구리시 일부 지역을 포함하며, 1963년 의정부읍의 시 승격, 1980년 남양주군 분리, 1981년 동두천읍의 시 승격 이후 2003년 양주시 승격으로 폐지되었다.
사천군
개요
사천시 지도
사천시 지도
기본 정보
국가대한민국
광역자치단체경상남도
면적398.25km²
인구109,887명 (2023년 12월 기준)
시장박동식 (무소속)
시청 소재지경상남도 사천시 읍내동
지역번호055
웹사이트사천시청
역사
시대조선 시대
1914년사천군, 곤양군 통합 → 사천군
1918년군청을 사천면으로 이전
1956년사천면 → 사천읍 승격
1995년사천군, 삼천포시 통합 → 사천시
행정 구역
3읍
7면
6동
산업
주요 산업항공우주산업
농업
어업
교통
철도경전선
공항사천공항
관광
주요 관광지실안해안도로
남일대해수욕장
사천미술관
선진리성
다솔사
자매 도시
국내서울특별시 강남구
경기도 안산시
전라남도 고흥군
국외일본 미야자키현 구시마시
중국 장쑤성 화이안시

2. 유래

사천의 옛 이름은 사물(史勿, 四水)이며, 물가 마을이라는 의미로 여겨진다. 현재의 사천은 중세에 "사가람"이라고도 불렸다. 사천시 시가지의 옛 이름인 삼천포고려 시대의 조창인 통양창(通陽倉)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하는데, 그 유래는 불분명하다. 조선 초에는 왜구의 침공을 막기 위해 삼천진(三千鎭)이 설치되기도 했다.

2. 1. 삼천포로 빠지다

사천의 옛 이름은 사물(史勿, 四水)이다. 물가 마을이라는 의미로 여겨진다. 현재의 사천은 중세에 "사가람"이라고 읽히기도 했다. 사천시의 시 지역의 옛 이름인 "삼천포"는 고려시대의 조창인 통양창(通陽倉)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데, 이것이 수도인 개경에서 수로(水路)로 삼천리 떨어져서라고도 하고, 인근 인구가 3000명이나 될 정도로 많이 모여서 삼천리(三千里)라고 불렀다는 데서 유래되었다고도 하는데 불분명하다. 조선 초에 왜구의 침공을 방어하기 위해 삼천진(三千鎭)이 설치된 적이 있다. 여담으로 옛 속어 중에 "삼천포로 빠지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경전선 철도에서 옛 진삼선 철도가 분기하는 개양역에서 열차를 잘못 타면 삼천포행 열차를 타게 되는 경우가 있어서였다. 이 속담 때문에 지역 주민들이 "삼천포"라는 이름을 싫어해 지명 개명 요구까지 있었다고 한다.

3. 역사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사천군 군내면, 북면, 하서면읍내면
사천군 상서면, 근남면, 남양면읍서면
사천군 중남면, 하남면읍남면
사천군 상주내면, 동면읍동면
사천군 수남면, 문선면삼천포면
사천군 남양면남양면
곤양군 가리면, 동부면곤양면
곤양군 서부면, 양포면서포면
곤양군 소곡면, 초량면, 성방면, 곤명면(昆明面)곤명면
진주군 축동면(杒洞面), 부화곡면축동면


  • 1918년 7월 수남면, 문선면을 삼천포면으로 통합하였다. (10면)
  • 1925년 읍내면을 사천면으로 개칭하였다.
  • 1931년 4월 1일 읍동면을 정동면으로, 읍서면을 사남면으로, 읍남면을 용현면으로 각각 개칭하였다.
  • 1931년 11월 1일 삼천포면이 삼천포읍으로 승격하였다. (1읍 9면)
  • 1956년 7월 8일 삼천포읍과 남양면을 관할로 '''삼천포시'''(三千浦市)가 설치되어 사천군에서 분리되었다. 사천면을 사천읍으로 승격하였다. (1읍 7면)
  • 1983년 2월 15일 곤양면 가화리 일부를 진양군 내동면에 편입, 서포면 무고리, 맥사리를 곤양면에 편입하였다.
  • 1995년 5월 10일 삼천포시와 사천군을 '''사천시'''로 통합하였다.

3. 1. 선사시대 ~ 통일신라


  • 늑도에서 조개무지 등 청동기 유적이 대거 발굴되었다.
  • 가야 시대에 '''사물국'''(史勿國)이라는 나라가 있었다. 당시에 늑도는 사물국의 관문이자 국제무역항이었다.
  • 3세기경 포상팔국에 가맹해 가야 연맹의 맹주였던 금관가야에 대항했다.
  • 5세기경 금관가야가 패망하여 전기 가야가 와해되자 반파국 중심의 대가야에 합류했다.
  • 6세기 중반 가야가 남북으로 분단되자 안라국 중심의 남가야에 들어갔다가 559년 신라에 저항없이 합병되었다.
  • 신라에 의해 '''사물현'''(史勿縣)이 설치되었다.
  • 757년 경덕왕 16년에 전국의 행정 체제 및 행정 단위 명칭을 개혁하면서 사물현을 '''사수현'''(泗水縣)으로 개명하고 고성군의 영현이 되었다.

3. 2. 고려 ~ 조선

가야 시대에 '''사물국'''(史勿國)이라는 나라가 있었다. 당시에 늑도는 사물국의 관문이자 국제무역항이었다.[1]

995년 성종 14년에 산남도의 진주목에 소속되었다.[1]

1015년 현종 9년 州로 승격되어 사주(泗州)가 되었다.[1]

조선시대인 1413년, 태종 13년 현으로 강등당해 사천현(泗川縣)으로 고쳐졌다.[1]

1415년 태종 15년 사천진이 설치되어 병마사가 현령을 겸임했다.[1]

1468년 세조 16년 사천진이 폐지되어 병마절제사가 현감을 겸임하였다.[1]

1592년 임진왜란 발발. 모리 요시시로(毛利吉城)가 선진리에 왜성을 축조했다. 5월에 이순신의 전라좌수영 수군이 구루시마 미치유키를 격파했다. 이 해전에서 거북선이 처음으로 실전에 투입되었다.[1]

1598년 사쓰마(薩摩)군 7천명이 명나라 군대 4만을 패퇴시키면서 임진왜란이 종료되었다.[1]

3. 3. 1895년 이후 (근현대)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사천군 군내면, 북면, 하서면읍내면
사천군 상서면, 근남면, 남양면읍서면
사천군 중남면, 하남면읍남면
사천군 상주내면, 동면읍동면
사천군 수남면수남면
사천군 문선면문선면
사천군 남양면남양면
곤양군 가리면, 동부면곤양면
곤양군 서부면, 양포면서포면
곤양군 소곡면, 초량면, 성방면, 곤명면(昆明面)곤명면
진주군 축동면(杒洞面), 부화곡면축동면


  • 1918년 7월 수남면, 문선면을 삼천포면으로 통합하였다. (10면)[3]
  • 1925년 읍내면을 사천면으로 개칭하였다.
  • 1931년 4월 1일 읍동면을 정동면으로, 읍서면을 사남면으로, 읍남면을 용현면으로 각각 개칭하였다.[4]
  • 1931년 11월 1일 삼천포면이 삼천포읍으로 승격하였다.[5] (1읍 9면)
  • 1956년 7월 8일 삼천포읍과 남양면을 관할로 '''삼천포시'''(三千浦市)가 설치되어 사천군에서 분리되었다.[6] 사천면을 사천읍으로 승격하였다.[7] (1읍 7면)
  • 1983년 2월 15일 곤양면 가화리 일부를 진양군 내동면에 편입, 서포면 무고리, 맥사리를 곤양면에 편입하였다.[8]
  • 1995년 5월 10일 삼천포시와 사천군을 '''사천시'''로 통합하였다.[9]

4. 행정 구역 변천


  • 1895년 23부제 시행으로 행정구역이 재편되면서 진주부 관할 사천군으로 편입되었다.
  • 1896년 13도제 실시로 경상남도에 속하게 되었으며, 이때 곤양군을 합병하였다가 다시 분리하였다.
  • 1912년 진주군 문선면과 고성군 남양면을 편입하였다.
  • 1914년 4월 1일 진주군 축동면, 부화곡면, 곤양군[1]을 사천군으로 통폐합하였다.[2]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사천군 군내면, 북면, 하서면읍내면
사천군 상서면, 근남면, 남양면 일부읍서면
사천군 중남면, 하남면읍남면
사천군 상주내면, 동면읍동면
사천군 수남면, 남양면 일부수남면
사천군 문선면, 남양면 일부문선면
곤양군 가리면, 동부면곤양면
곤양군 서부면, 양포면서포면
곤양군 소곡면, 초량면, 성방면, 곤명면곤명면
진주군 축동면, 부화곡면축동면


  • 1918년 7월 수남면, 문선면을 삼천포면으로 통합하였다.[3]
  • 1925년 읍내면을 사천면으로 개칭하였다.
  • 1931년 4월 1일 읍동면을 정동면으로, 읍서면을 사남면으로, 읍남면을 용현면으로 각각 개칭하였다.[4]
  • 1931년 11월 1일 삼천포면이 삼천포읍으로 승격하였다.[5]
  • 1956년 7월 8일 삼천포읍과 남양면을 관할로 삼천포시가 설치되어 사천군에서 분리되었고, 사천면을 사천읍으로 승격하였다.[6][7]
  • 1983년 2월 15일 곤양면 가화리 일부를 진양군 내동면에 편입, 서포면 무고리, 맥사리를 곤양면에 편입하였다.[8]
  • 1995년 5월 10일 삼천포시 일원과 사천군 일원을 사천시로 통폐합하였다.[9]

참조

[1] 문서 서면, 금양면은 하동군으로 편입
[2]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3] 법령 도령 제7호
[4] 법령 도령 제5호 1931-03-31
[5]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32호 1931-10-20
[6] 법률 법률 제390호 시설치와군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6-07-08
[7] 법률 법률 제393호 읍·면설치와행정구역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56-07-08
[8]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1027호 1983-01-10
[9] 법률 법률 제4948호 경기도평택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