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로디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로디아는 헤롯 대왕의 손녀로, 신약성서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그녀는 헤롯 2세와 결혼하여 딸 살로메를 낳았으며, 이후 이복 삼촌인 헤롯 안티파스와 재혼했다. 헤로디아는 세례자 요한의 처형에 깊이 관여한 것으로 묘사되며, 딸 살로메를 통해 헤롯 안티파스에게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요구하게 했다. 이후 안티파스가 유배되면서 함께 갈리아로 유배되었고, 그곳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헤로디아는 예술 작품의 소재로도 자주 사용되었으며, 중세 유럽에서는 마녀와 관련된 인물로 여겨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세기 여자 - 살로메
살로메는 요세푸스의 기록으로 가계와 결혼 관계가 알려졌으며, 복음서에서 헤로데 안티파스를 위해 춤을 추고 세례자 요한의 목을 요구한 헤로디아의 딸로 묘사되고, 예술 작품, 특히 오스카 와일드 희곡과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오페라를 통해 팜 파탈 이미지로 알려진 인물이다. - 기원전 15년 출생 - 게르마니쿠스
게르마니쿠스는 로마 제국의 장군이자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주요 인물로, 게르마니아 지역에서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독살설 등 여러 추측을 낳으며 로마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유대의 역사 - 살로메
살로메는 요세푸스의 기록으로 가계와 결혼 관계가 알려졌으며, 복음서에서 헤로데 안티파스를 위해 춤을 추고 세례자 요한의 목을 요구한 헤로디아의 딸로 묘사되고, 예술 작품, 특히 오스카 와일드 희곡과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오페라를 통해 팜 파탈 이미지로 알려진 인물이다. - 유대의 역사 - 카이바르 전투
카이바르 전투는 628년 무함마드가 이끄는 무슬림 군대가 유대인들이 거주하던 카이바르 오아시스를 공격하여 이슬람 세력의 영향력을 확대한 전투이다.
헤로디아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헤로디아 |
로마자 표기 | Herodia |
가문 | |
왕조 | 헤로데 왕조 |
아버지 | 아리스토불루스 4세 |
어머니 | 베레니케 |
배우자 | 헤로데 2세 헤로데 안티파스 |
자녀 | 살로메 |
생애 | |
사망 | 39년 이후 히스파니아에서 사망 |
2. 생애
헤로디아는 헤로데 대왕과 그의 세 번째 아내인 대제사장 시몬의 딸 마리암네 사이에서 태어난 헤로데 2세(복음서에서는 빌립)와 결혼하여 딸 살로메를 낳았다. 그러나 남편의 이복 형제인 헤로데 안티파스와 연애하게 되어 헤로데 2세와 이혼하고 헤로데 안티파스와 결혼했다.
세례자 요한은 이 결혼이 모세의 율법에 어긋난다며 비난했고, 이 때문에 투옥되었다. 헤로디아는 요한을 원망하여 남편 헤로데 안티파스를 부추겨 처형하도록 했다.[15]
『유대 고대사』에 따르면, 헤로데 안티파스는 나바테아의 왕 아레타스와 우호 관계를 맺기 위해 그의 딸과 결혼했으나 헤로디아와 결혼하기 위해 이혼했다. 아레타스의 딸은 화가 나서 친정으로 돌아갔고, 이는 아레타스와 헤로데 사이에 전쟁을 일으켰다. 헤로데 측은 참패했는데, 로마 제국의 개입으로 전쟁 확대는 막을 수 있었다. 요세푸스는 패전한 곳이 "세례자 요한의 처형을 행한 곳 근처였다"는 일화를 전한다.
2. 1. 출생과 가계
헤로디아는 헤로데 대왕의 손녀이며, 헤로데 대왕과 마리암네 1세 사이에서 태어난 헤로데 아리스토불루스의 딸이다. 헤로데 아그리파 1세는 그녀의 남자 형제이다.2. 2. 두 번의 결혼과 이혼
헤로디아는 헤로데 2세(헤로데 빌립보 1세)와 결혼하여 딸 살로메를 낳았다. 23년경 이혼하고, 또 다른 삼촌인 분봉왕 헤로데 안티파스와 결혼했다.[2] 이 결혼은 하스몬 왕조 후손인 헤로디아와 왕위를 노리는 헤로데 안티파스 모두에게 유리했지만, 모세의 율법에 어긋나는 것이어서 세례자 요한을 비롯한 많은 유대인의 반감을 샀다.[3]마태오 복음서[4]와 마르코 복음서[5]는 헤로디아가 빌립과 결혼했다고 기록했지만, 일부 학자들은 루카 복음서[6]에 빌립의 이름이 생략된 점을 들어[7][8] 이것이 오류라고 주장한다.[9] 요세푸스는 헤로디아가 시몬 보에투스의 손자인 헤롯과 결혼했다고 기록했다.
헤로디아는 헤로데 2세와 이혼하고, 헤로데 안티파스와 재혼했다.[10] 헤로데 안티파스는 나바테아 왕 아레타스 4세 필로파트리스의 딸 파사엘리스와 이혼하고 헤로디아를 선택했다. 마태오 복음서[11]와 루카 복음서[12]에 따르면, 세례자 요한은 이 결혼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안티파스의 이혼은 아레타스와의 갈등을 심화시켰고,[13][14] 결국 전쟁으로 이어졌다. 이 전쟁에서 안티파스는 패배했고, 칼리굴라에 의해 로마 갈리아로 유배되어 헤로디아와 함께 생을 마감했다.[15] 헤로디아가 헤로데 안티파스와의 사이에서 자녀를 낳았는지는 불분명하다.
2. 3. 세례자 요한의 처형
신약성서의 복음서인 마태복음서와 마르코 복음서에 따르면, 헤로디아는 세례자 요한의 처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헤로데 안티파스가 세례자 요한의 처형을 주저하자 헤로디아는 딸(살로메)로 하여금 헤로데 안티파스 앞에서 춤을 추게 하고, 이에 반한 안티파스는 무슨 소원이든지 들어준다고 맹세한다. 헤로디아의 딸은 어머니의 사주를 받아 요한의 목을 요구하고 결국 안티파스는 요한을 처형했다고 한다.(마태복음 14장, 마가복음 6장).[15]
헤로디아 왕비가 공주인 딸로 하여금 춤을 추도록 한 것은 헤로데 괴뢰정권이 성윤리에서도 문란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 고대에서 춤은 창녀들이 추는 것이었기 때문에 공주가 춤을 추었다는 것은 헤로데 괴뢰정권의 왕족들의 삶이 창녀같았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요세푸스에 따르면, 세례자 요한의 처형은 정치적인 이유라고 한다. 세례자 요한은 온전한 덕성과 가르침으로 유대 민중의 신망을 받고 있었고, 그를 따르는 군중이 많아지자 헤로데 안티파스는 민중 봉기의 두려움을 느꼈다. 그래서 세례자 요한이 봉기를 일으키기 전에 먼저 선수쳐서 요한을 제거하기로 결정하고 마르켈누스 성채로 붙잡아 와서 처형했다는 것이다.
안티파스는 나바테아의 왕 아레타스 4세 필로파트리스의 딸인 그의 첫 번째 아내 파사엘리스와 이혼하고 헤로디아를 선택했다. 성경 학자들에 따르면, 마태오 복음서[11]와 루카 복음서[12]는 세례자 요한이 공개적으로 비판한 것은 바로 이 결혼 제안 때문이었다. 이 테트라크(분봉왕)의 이혼은 침례교인과의 갈등을 촉발시키는 것 외에도, 페레아와 나바테아 경계 지역의 영토를 놓고 아레타스와 벌였던 이전의 분쟁에 개인적인 불만을 더했다.
마태오 복음서와 마르코 복음서에서 헤로디아는 세례자 요한의 처형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그녀는 자신의 딸의 춤을 안티파스와 그의 잔치 손님들 앞에서 선보이게 하여,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요구하는 대가로 삼았다. 마르코 복음서에 따르면, 안티파스는 세례자 요한을 죽이고 싶어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안티파스는 세례자 요한의 설교를 듣는 것을 좋아했기 때문이다(마르 6:20). 게다가 안티파스는 만약 세례자 요한을 죽인다면, 그의 추종자들이 폭동을 일으킬까 두려워했을 수도 있다. 루카 복음서는 이러한 세부 사항들을 생략함으로써 헤로디아의 역할을 강조한다.
헤로디아는 헤로데 대왕과 그의 세 번째 아내이자 대제사장 시몬의 딸인 마리암네 사이에서 태어난 헤로데 2세와 결혼하여 딸 살로메를 낳았다. 그러나 남편의 이복 형제인 헤로데 안티파스와 연애하게 되어 헤로데 2세와 이혼하고 헤로데 안티파스와 결혼했다.
세례자 요한은 이 결혼이 부당하다고 비난했기 때문에 투옥되었다. 헤로디아는 요한을 원망하여 남편 헤로데 안티파스를 부추겨 처형하도록 했다.
2. 4. 유배와 죽음
37년 헤로디아의 남자 형제인 헤로데 아그리파 1세가 바타나이아와 트라코니티스의 분봉왕으로 봉해지자, 헤로디아는 이를 시기했다. 남편 안티파스를 부추겨 로마 제국의 황제 칼리굴라에게 헤로데 아그리파 1세를 모함하게 하였으나 실패했다. 결국 헤로데 아그리파의 역공을 받아 안티파스는 실각하고 헤로디아와 함께 갈리아(불란서)로 유배되었다.[15] 헤로데 아그리파 1세는 헤로디아에게 유대로 돌아올 것을 제안했지만, 헤로디아는 이를 거부하고 남편을 따라 유배를 자청했고, 갈리아의 유배지에서 죽은 것으로 추정된다.3. 신약성서와 헤로디아
신약성서의 마태복음서와 마가복음서에 따르면, 헤로디아는 세례자 요한의 처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헤로데 안티파스가 세례자 요한의 처형을 주저하자 헤로디아는 딸 살로메로 하여금 헤로데 안티파스 앞에서 춤을 추게 하고, 이에 반한 안티파스는 무슨 소원이든지 들어준다고 맹세한다. 헤로디아의 딸은 어머니의 사주를 받아 요한의 목을 요구하고 결국 안티파스는 요한을 처형했다고 한다(마태복음 14장, 마가복음 6장).
헤로디아 왕비가 공주인 딸로 하여금 춤을 추도록 한 것은 헤로데 괴뢰정권이 성윤리에서도 문란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 고대에서 춤은 창녀들이 추는 것이었기 때문에 공주가 춤을 추었다는 것은 헤로데 괴뢰정권의 왕족들의 삶이 창녀같았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요세푸스에 따르면, 세례자 요한의 처형은 정치적인 이유라고 한다. 세례자 요한은 온전한 덕성과 가르침으로 유대 민중의 신망을 받고 있었고, 그를 따르는 군중이 많아지자 헤로데 안티파스는 민중 봉기의 두려움을 느꼈다. 그래서 세례자 요한이 봉기를 일으키기 전에 먼저 선수쳐서 요한을 제거하기로 결정하고 마르켈누스 성채로 붙잡아 와서 처형했다는 것이다.
마태복음와 마가복음에서 헤로디아는 세례자 요한의 처형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그녀는 자신의 딸의 춤을 안티파스와 그의 잔치 손님들 앞에서 선보이게 하여,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요구하는 대가로 삼았다. 마가복음에 따르면, 안티파스는 세례자 요한을 죽이고 싶어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안티파스는 세례자 요한의 설교를 듣는 것을 좋아했기 때문이다(마르 6:20). 게다가 안티파스는 만약 세례자 요한을 죽인다면, 그의 추종자들이 폭동을 일으킬까 두려워했을 수도 있다. 루카 복음서는 이러한 세부 사항들을 생략함으로써 헤로디아의 역할을 강조한다.
4. 요세푸스의 기록
요세푸스의 기록에 따르면, 헤로디아는 시몬 보에투스의 손자인 헤롯과 결혼했고 살로메는 빌립과 결혼했다. 이 헤롯은 텍스트에서 헤롯이라고만 불렸다.[2]
그러나 많은 학자들은 이것이 오류라고 주장하며, 루카 복음서[6]가 빌립이라는 이름을 생략한다는 사실에 의해 뒷받침되는 이론이다.[7][8] 그는 대제사장 시몬 보에투스의 손자였기 때문에 때때로 헤롯 보에투스라고 묘사되지만, 그가 그런 이름으로 불렸다는 증거는 없다.[9]
이 결혼에서 한 딸, 살로메가 태어났다. 헤로디아는 나중에 헤롯 2세와 이혼했는데, 그들이 언제 이혼했는지는 불분명하다. 역사가 요세푸스에 따르면:
헤로디아는 우리 나라의 법을 어기고, 그녀의 남편이 살아 있는 동안 그와 이혼하고 헤롯 안티파스와 결혼했다.[10]
또한 복음서 이외의 자료에서는 『유대 고대사』 제18권 5장에서 헤로데 안티파스가 대립 관계에 있던 나바테아의 왕 아레타스와 우호 관계를 맺기 위해 그의 딸을 아내로 삼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헤로디아를 마음에 들어 하여 아레타스의 딸이 화가 나서 친정으로 돌아가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아레타스와 헤로데 사이에 전쟁이 일어나 헤로데 측이 참패하고 (로마 제국의 개입으로 전황의 확대는 억제됨), 게다가 지기 시작한 곳이 "세례자 요한의 처형을 행한 곳 근처였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5. 예술 작품 속 헤로디아
헤로디아와 딸 살로메, 세례자 요한의 처형 이야기는 많은 예술 작품의 모티브가 되었다. 헤로디아는 살로메와 함께 중세 후기와 르네상스 시대에 여성의 힘 주제를 묘사하는 빈번한 소재였다. 헤로디아가 등장하는 가장 흔한 장면은 헤롯의 연회로, 살로메가 헤로디아와 남편, 다른 이들과 식사하는 자리에서 요한의 잘린 머리를 접시에 담아 바치는 모습이다.
- Hérodiade프랑스어 - 쥘 마스네의 오페라
- Hérodias프랑스어 -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소설
- 살로메 (희곡) - 오스카 와일드의 희곡
- 살로메 (오페라)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 ''Hérodias프랑스어'' -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단편 소설, 1877년에 출판된 ''세 가지 이야기''(Trois contes) 중 하나.
- ''살로메''(Salomé) - 오스카 와일드의 희곡, 프랑스어 초판(1894), 로드 앨프레드 더글러스에 의해 영어로 번역됨, 1895년.
- ''살로메: 방황하는 유대 여인. 나의 첫 2,000년의 사랑''(Salome: The Wandering Jewess. My First 2,000 Years of Love) - 조지 실베스터 비에레크 저, 1930년.
- ''에로디아드'' - 쥘 마스네의 오페라,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함.
- ''살로메''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오스카 와일드의 희곡을 헤드비히 라흐만(마이크 니컬스의 할머니)이 번역한 독일어 번역본을 바탕으로 함.
- ''살로메'' - 프랑스 작곡가 앙투안 마리옷의 오페라, 오스카 와일드의 희곡을 바탕으로 한 프랑스어 대본을 사용.
- 리하르트 바그너의 오페라 ''파르지팔''에서, 쿤드리의 여성 주인공은 2막에서 헤로디아스로 밝혀진다. 오페라에서 그녀는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히는 것을 보고 비웃어 불멸의 저주를 받았다고 전해진다. 그녀는 결국 파르지팔의 행동을 통해 구원을 받는다.
- "Salome" - 아일랜드 록 밴드 U2의 노래.
- ''헤로디아'' - 파울 힌데미트의 발레.
- ''헤로디아'' - 에메 모로의 유화.
- 미국의 영화, ''살로메''에서 헤로디아는 주디스 앤더슨이 연기했다.
- 미국의 영화 ''가장 위대한 이야기''에서 헤로디아는 마리안 셀데스가 연기했다.
- 켄 러셀의 영화 ''살로메의 마지막 춤''은 오스카 와일드의 희곡 공연을 배경으로 하며, 헤로디아 역은 글렌다 잭슨이 연기했다.
- ''나사렛 예수''에서 헤로디아는 발렌티나 코르테세가 연기했다.



6. 중세 유럽의 헤로디아
중세 유럽에서 헤로디아 또는 그 이름 자체는 마녀에 대한 믿음과 연관되었으며, 특히 밤에 그들과 합류하여 "놀이"나 다른 모임에서 함께 타거나 방문하는 초자연적인 지도자와 연관되었다. 따라서 헤로디아는 디아나, 홀다, 아분디아와 같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인물과 동의어가 되었다.[18]
참조
[1]
웹사이트
Strabo, Geography, Book XVI, Chapter II, section 34
https://www.perseus.[...]
2019-04-21
[2]
서적
The Herodian Dynasty
[3]
웹사이트
Herod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3-12-25
[4]
성경
Matthew 14:3
[5]
성경
Mark 6:17
[6]
성경
Luke 3:19
[7]
서적
Herod Antipas: A Contemporary of Jesus Christ
Zondervan
[8]
간행물
Behind the New Testament
https://www.jstor.or[...]
1970-04-01
[9]
서적
Herodias: at home in that fox's den
Liturgical Press
[10]
웹사이트
Antiquities of the Jews
http://www.gutenberg[...]
2001-10-01
[11]
성경
Matthew 14:3–12
[12]
성경
Luke 3:18–20
[13]
서적
The Antiquities of the Jews
[14]
서적
History of Armenia
[15]
서적
The Antiquities of the Jews
[16]
서적
A Marginal Jew: Rethinking the Historical Jesus, Volume Two: Mentor, Message and Miracles
Doubleday
[17]
서적
Herodias: At Home In That Fox's Den
Liturgical Press
[18]
서적
Ecstasies: Deciphering the witches' sabbath
Hutchinson Radi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