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궁 (점성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궁은 전통 점성술에서 네 가지 고대 원소(불, 흙, 공기, 물)에 따라 별자리를 묶는 개념이다. 각 삼궁은 세 개의 별자리로 구성되며, 불의 삼궁은 양자리, 사자자리, 사수자리, 흙의 삼궁은 황소자리, 처녀자리, 염소자리, 공기의 삼궁은 쌍둥이자리, 천칭자리, 물병자리, 물의 삼궁은 게자리, 전갈자리, 물고기자리로 이루어진다. 각 삼궁은 주간과 야간에 따라 다른 주인 행성의 지배를 받으며, 이는 천궁도에서 행성의 영향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실제 계절에 따라 삼궁을 구성하기도 하며, 서양 점성술에서는 같은 삼궁의 별자리들이 삼분위각(120도)을 이루어 조화로운 관계를 나타낸다고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궁 (점성술) | |
|---|---|
| 삼궁 | |
![]() | |
| 기본 정보 | |
| 정의 | 점성술에서 동일한 원소(불, 흙, 공기, 물)를 공유하는 별자리 세 개로 구성된 그룹 |
| 특징 | 각 삼궁 내의 별자리들은 서로 조화롭고 상호 지원적인 에너지 특성을 가짐 |
| 종류 | 불의 삼궁: 양자리, 사자자리, 사수자리 흙의 삼궁: 황소자리, 처녀자리, 염소자리 공기의 삼궁: 쌍둥이자리, 천칭자리, 물병자리 물의 삼궁: 게자리, 전갈자리, 물고기자리 |
| 각 삼궁의 특성 | |
| 불의 삼궁 | 열정적이고 창의적이며 활동적인 에너지. 강한 의지와 리더십을 나타냄 |
| 흙의 삼궁 | 실용적이고 안정적이며 현실적인 에너지. 인내심과 책임감을 나타냄 |
| 공기의 삼궁 | 지적이고 사교적이며 소통적인 에너지. 분석력과 객관성을 나타냄 |
| 물의 삼궁 | 감정적이고 직관적이며 공감적인 에너지. 깊은 이해심과 보호 본능을 나타냄 |
| 점성술적 의미 | |
| 개인적 특성 | 특정 삼궁에 속하는 별자리가 개인의 성격과 행동 방식에 미치는 영향 |
| 관계 | 서로 다른 삼궁에 속하는 사람들 간의 관계 역학 및 조화 가능성 |
| 운세 | 특정 삼궁의 에너지가 특정 시기에 운세에 미치는 영향 |
2. 구성 방식
전통적인 점성술에서 삼궁은 네 가지 고대 원소와 관련된 여러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었으며, 특히 중요하게 여겨졌다. 고대 원소 외에도 계절과 주인지위 유형으로도 삼궁을 구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대 점성가들은 이 두 가지 구성 방식에 큰 비중을 두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절에 따른 삼궁은 현대 신이교주의, 드루이드교, 위카를 실천하는 점성가들에게 채택되고 있다.
2. 1. 고대 원소
전통적인 서양 점성술에서는 고대 원소에 기초하는 네 개의 삼궁이 있다. 점성학적 별자리는 양자리(불), 황소자리(흙), 쌍둥이자리(공기), 게자리(물) 순서로 시작하여 불, 흙, 공기, 물의 순서로 이어진다. 이 순환은 물고기자리에서 끝나고 다시 반복된다.
마르쿠스 마닐리우스에 따르면, 각 원소와 별자리는 다음과 같이 짝지어진다.
| 원소 | 별자리 | 성향 |
|---|---|---|
| 불 | 양자리, 사자자리, 사수자리 | 더움, 건조함, 열렬함 |
| 흙 | 황소자리, 처녀자리, 염소자리 | 추움, 건조함, 무거움 |
| 공기 | 쌍둥이자리, 천칭자리, 물병자리 | 더움, 습함, 가벼움 |
| 물 | 게자리, 전갈자리, 물고기자리 | 추움, 습함, 부드러움 |
2. 1. 1. 불의 삼궁
양자리, 사자자리, 사수자리는 불의 삼궁에 속하며, 더움, 건조함, 열정적인 성향을 나타낸다.2. 1. 2. 흙의 삼궁
황소자리, 처녀자리, 염소자리는 흙의 삼궁에 속하며, 추움, 건조함, 무거움, 현실적인 성향을 나타낸다.2. 1. 3. 공기의 삼궁
쌍둥이자리, 천칭자리, 물병자리는 공기의 삼궁에 속하며, 더움, 습함, 가벼움, 지적인 성향을 나타낸다.2. 1. 4. 물의 삼궁
게자리, 전갈자리, 물고기자리는 물의 삼궁에 속하며, 추움, 습함, 부드러움, 감성적인 성향을 나타낸다.2. 2. 주인지위
전통 점성술에서 각 삼궁(三宮, triplicity)은 몇 개의 주인 행성을 갖는데, 이는 천궁도가 주간의 것인지 야간의 것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시돈의 도로테우스[8]와 같은 헬레니즘 점성가들은 삼궁의 주인지위를 가장 강력하고 명백한 본질적 위계로 여겼다.과거에는 개인의 생애를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각 시기에 해당하는 주인 행성을 통해 운명을 점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생애 초기는 주간의 주인 행성, 중기는 야간의 주인 행성, 후기는 관여 주인 행성을 검토하는 방식이었다.
중세 점성술에서는 본질적 위계에 다른 비중을 두었는데, 거주지의 주인 행성에 5점, 고양의 행성에 4점, 삼궁의 주인 행성에 3점을 부여했다.[12]
2. 2. 1. 주간/야간 주인 행성
전통적인 점성술에서 각 삼궁은 천궁도가 주간인지 야간인지에 따라 다른 주인 행성을 갖는다. 이러한 삼궁의 주인 지위는 본질적 위계의 중요한 요소로, 행성의 힘과 유효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었다. 헬레니즘 점성가들은 삼궁의 주인 지위를 가장 강력한 본질적 위계로 여겼다.[8][9]다음은 도로테우스의 체계를 사용한 삼궁의 주인 지위를 나타낸 표이다.
| 삼궁 | 주간의 주인 행성 | 야간의 주인 행성 | 관여 주인 행성 |
|---|---|---|---|
| 불 (양자리, 사자자리, 사수자리) | 태양 | 목성 | 토성 |
| 공기 (쌍둥이자리, 천칭자리, 물병자리) | 토성 | 수성 | 목성 |
| 흙 (황소자리, 처녀자리, 염소자리) | 금성 | 달 | 화성 |
| 물 (게자리, 전갈자리, 물고기자리) | 금성 | 화성 | 달 |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10]와 윌리엄 릴리[11]는 물의 삼궁의 주인 행성을 화성으로 변경하여 주야간 모두 화성이 지배하도록 하였다.
과거에는 개인의 생애를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각 시기에 해당하는 주인 행성을 통해 운명을 점치기도 했다.
중세 점성술에서는 본질적 위계에 따라 다른 비중 점수를 부여했는데, 거주지의 주인 행성에 5점, 고양의 행성에 4점, 삼궁의 주인 행성에 3점을 부여했다.[12]
2. 3. 실제 계절
전통 점성술에서는 황도대가 태양과 함께 나타나는 실제 계절에 따라서 삼궁을 구성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봄에는 양자리, 황소자리, 쌍둥이자리가 태양과 함께 뜨는데, 이 중 황소자리가 확실한 봄을 나타내므로 황소자리가 봄의 삼궁을 구성한다. 북반구와 계절이 반대인 남반구는 삼궁의 구성도 반대가 된다.2. 3. 1. 북반구의 계절별 삼궁
전통적인 점성술에서는 황도대가 태양과 함께 나타나는 실제 계절에 따라서 삼궁을 구성하기도 한다.[1] 예를 들어, 봄에는 양자리, 황소자리, 쌍둥이자리가 태양과 함께 뜨는데, 이 중 황소자리가 확실한 봄을 나타내므로 황소자리가 봄의 삼궁을 구성한다.고대 점성술에서 사용된 북반구의 계절별 원소의 삼궁은 다음과 같다.
| 계절 | 별자리 (시작일 ~ 종료일) |
|---|---|
| 봄 | 양자리 - 황소자리 - 쌍둥이자리 (3월 21일 ~ 6월 20일) |
| 여름 | 게자리 - 사자자리 - 처녀자리 (6월 21일 ~ 9월 21일) |
| 가을 | 천칭자리 - 전갈자리 - 궁수자리 (9월 22일 ~ 12월 20일) |
| 겨울 | 염소자리 - 물병자리 - 물고기자리 (12월 21일 ~ 3월 19일) |
2. 3. 2. 남반구의 계절별 삼궁
남반구의 계절별 삼궁은 다음과 같다.- 봄: 천칭자리 - 전갈자리 - 궁수자리 (9월 23일 및 12월 21일)
- 여름: 염소자리 - 물병자리 - 물고기자리 (12월 22일 및 3월 20일)
- 가을: 양자리 - 황소자리 - 쌍둥이자리 (3월 21일 및 6월 21일)
- 겨울: 게자리 - 사자자리 - 처녀자리 (6월 22일 및 9월 22일)
3. 삼분위각 (Trine)
서양 점성술에서 같은 삼궁에 속하는 별자리들은 서로 120도씩 떨어져 있는데, 이는 원의 360도를 3으로 나눈 삼분위각에 해당한다.[1] 삼분위각은 매우 강력하면서도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연결로 여겨진다.[1] 같은 원소의 별자리들은 서로 잘 어울리고 조화로우며, 공통적인 특성을 공유하는 경향이 있다.[1]
참조
[1]
서적
Carmen Astrologicum
Ascella Publications
1993
[2]
웹사이트
A.R.H.A.T. Publications
http://www.robhand.c[...]
2009-03-15
[3]
웹사이트
Tetrabiblos
https://penelope.uch[...]
Harvard University Press
1940
[4]
서적
Christian Astrology, Book 3: An Easie And Plaine Method Teaching How to Judge upon Nativities
1647
[5]
서적
A Practical Guide to Traditional Astrology
ARHAT publications
1997
[6]
문서
[7]
서적
Essential Dignities
Whitford Press
1989
[8]
서적
Carmen Astrologicum
Ascella Publications
1993
[9]
웹인용
A.R.H.A.T. Publications
http://www.robhand.c[...]
2007-10-02
[10]
웹사이트
Tetrabiblos
http://penelope.uchi[...]
Harvard University Press
1940
[11]
서적
Christian Astrology, Book 3: An Easie And Plaine Method Teaching How to Judge upon Nativities
1647
[12]
서적
Essential Dignities
Whitford Press
19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