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성 타워팰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성 타워팰리스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주상복합 아파트 단지이다. 1994년 삼성그룹의 신사옥 건설 계획이 무산된 후, 1998년 초고층 아파트 단지 건설로 계획이 변경되어 1999년부터 2004년까지 42~69층 규모의 7개 동이 건설되었다. 2010년까지 대한민국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였으며, 현재도 고가 아파트로 꼽힌다. 첨단 보안 시스템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2002년에 유비쿼터스 시스템이 최초로 도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완공된 건축물 - 총리대신 관저
    총리대신 관저는 일본 내각총리대신의 공식 관저로, 1929년에 완공된 구 관저와 2002년에 건설된 현재 관저가 있으며, 주요 회의 및 외국 수뇌 회담 장소로 사용되고, 지하에는 위기관리센터가 운영된다.
  • 2002년 완공된 건축물 - 페더레이션 광장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중심부에 위치한 페더레이션 광장은 연방 100주년 기념으로 조성된 탈구조주의 건축 양식의 복합 문화 공간으로, 논란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멜버른의 주요 랜드마크이자 시민 휴식 공간이다.
  • 2004년 완공된 건축물 - 유로파 타워
    빌뉴스 네리스강 우안에 위치한 유로파 타워는 유로파 광장 콤플렉스의 일부로, 건설 초기 층수 변경 논란과 알랭 로베르의 등반으로 화제가 된 고층 건물이다.
  • 2004년 완공된 건축물 - 트빌리시 성 삼위일체 대성당
    트빌리시 성 삼위일체 대성당은 조지아 정교회 자동두위 기념과 예수 탄생 기념을 위해 트빌리시에 건설된 대성당으로, 전통적인 조지아 건축 양식에 수직적 강조를 더했으며, 건설 부지 선정 및 성화 속 스탈린 묘사로 논란이 있었다.
  • 삼성물산 - 최중경
    최중경은 행정고시 합격 후 재정경제부, 기획재정부, 지식경제부 등에서 주요 보직을 거쳐 장관까지 역임한 경제관료 출신으로, 공직 퇴임 후에는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 기업 사외이사, 한미협회 회장 등으로 활동하는 기업인이자 대학교수이다.
  • 삼성물산 - 삼성에버랜드 전환사채 저가 배정 사건
    삼성에버랜드 전환사채 저가 배정 사건은 삼성그룹이 이건희 회장 일가에게 에버랜드 전환사채를 저가로 배정하여 이익을 얻게 한 사건으로, 회계 및 주가 조작 의혹, 정관계 로비 시도 폭로, 검찰 수사 공정성 논란을 야기하며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삼성 타워팰리스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이름삼성 타워팰리스
로마자 표기Samseong Tawo Paelliseu
한자 표기三星 타워팰리스
위치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30길
건축 시작2002년
완공2004년
용도주거
건축 정보
최고 높이264m
층수69층
연면적100,000m²
엘리베이터 수101
건축가삼성건설(현 삼성물산 건설부문)
건축 설계삼우토건
건축 엔지니어스키드모어, 오윙스 앤드 메릴
시공사삼성물산
개발사삼성건설(현 삼성물산 건설부문)
소유주삼성물산
상세 정보
A동 완공2002년
B동 완공2002년
C동 완공2002년
D동 완공2002년
E동 완공2003년
F동 완공2003년
G동 완공2004년
G동 최고 높이263m
B동 최고 높이234m
A동, C동 최고 높이209m
E동, F동 최고 높이191m
D동 최고 높이153m
G동 층수지상 69층 지하 6층
B동 층수지상 65층 지하 5층
A동, C동 층수지상 59층 지하 5층
E동, F동 층수지상 55층 지하 6층
D동 층수지상 42층 지하 4층
이미지
양재천에서 본 타워팰리스
양재천에서 본 타워팰리스

2. 역사

삼성그룹1994년공군사관학교 부지를 매입하여 신사옥 건설을 추진했으나, 주민 반발과 IMF 외환 위기로 무산되었다.[3][4] 이후 주상복합 아파트 단지로 계획을 변경, 서울특별시와의 협의를 거쳐 1999년부터 2004년까지 3차에 걸쳐 타워팰리스를 완공했다.

2. 1. 계획

1994년 무렵부터 삼성그룹공군사관학교 소속이었던 부지를 사들여 신사옥을 지을 계획을 세웠다. 2002년까지 강남구 도곡동 일원에 지상 102층, 396m짜리 초고층 건물을 지어 상업, 업무, 쇼핑, 거주 복합 단지로 세우자는 계획이었고, 이 때 가칭 '삼성 타운'이라는 계획을 세웠다.[3][4] 이 계획은 삼성 시너지 타워였다.

1996년 10월부터 본격적으로 공사를 진행하려 했으나,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발과 이듬해인 1997년에 불어닥친 IMF 외환 위기 등으로 인해 신사옥 건설은 사실상 무산되었다.

1998년 그룹의 상황이 어느 정도 나아지자, 삼성그룹은 이 곳에 대한민국 최초의 주상복합 아파트 단지를 계획하게 되었다. 지상 93층, 323m의 초고층 아파트를 지어 고급화된 아파트를 제공한다는 계획이었다. 이에 따라 42층부터 93층까지 약 7개의 다양한 건물들을 짓기로 하고 허가를 기다렸으나, 서울특별시는 93층 아파트 건설에 매우 부정적이었다.

2. 2. 건설

1999년 42층~65층 규모의 A, B, C, D 4개 동이 우선 착공되었다. 2000년 55층 규모의 E, F동이 착공되었을 때도 G동의 규모에 대해서 서울특별시삼성그룹이 극심한 의견 대립을 겪었고, 결국 지상 69층 규모로 건설하는 데에 합의하고 가장 높은 G동은 2001년 착공했다.[3][4] 1차는 2002년에 완공되었고, 2차는 2003년에, 3차는 2004년에 완공되었다.

3. 구성

타워팰리스는 2001년에서 2004년 사이에 건축된 7개의 마천루 단지로 구성되어 있다. 모두 고급 주상복합 아파트로 사용되며, 한국인들과 부유층들이 주로 거주하고, 외국인도 거주 가능하다.[5]

1차(A, B, C, D동), 2차(E, F동), 3차(G동)는 각기 다른 외관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3차(G동)는 3개의 둥근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가장 높은 건물이다.

모든 건물 옥상에는 헬기장이 설치되어 있다.

보안을 위해 카드키나 지문 인식을 사용하며, 건물 내부는 자동화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인 "홈비타"를 통해 휴대전화로 제어 가능하다. (예: 온돌 작동, 문 잠금, 특정인 출입 허용)

3. 1. 건물 목록

B동 65층
C동 59층
D동 42층A동 209m
B동 234m
C동 209m
D동 153m삼성 타워팰리스 2차--2000년2003년E동, F동 55층E동, F동 191m삼성 타워팰리스 3차--2001년2004년G동 69층G동 265m


4. 특징 및 구조

2002년부터 2004년에 걸쳐 건설된 타워팰리스는 A동부터 G동까지 총 7개의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G동은 높이 264m, 73층으로 동북아시아 무역타워 완공 전까지 한국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 다른 동들의 높이는 B동 234m, A동과 C동 209m, E동과 F동 191m, D동 153m이다.

보안을 위해 첨단 기술이 도입되어 현관과 출입구에서 카드키나 지문 인식으로 문을 열 수 있다. 건물 내부 전체는 자동화되어 있으며, 자동화된 홈 네트워크를 "홈비타"라고 부른다. 거주자는 휴대전화로 방 전체를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겨울철 귀가 전에 온돌 전원을 켜거나 문을 잠글 수 있다. 또한 특정인을 등록하여 일정 시간 동안만 지문 인식 등으로 현관문을 열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4. 1. 서비스

2002년 최초 입주 당시부터 대한민국에서는 거의 처음으로 유비쿼터스 시스템이 갖추어져 당시 기준으로 매우 파격적이었다.[4]

보안에는 첨단 기술이 도입되어 현관과 출입구에서 카드키나 지문 인식으로 문을 열 수 있다. 건물 내부 전체가 자동화되어 있으며, 자동화된 홈 네트워크를 "홈비타"라고 부른다. 방 전체를 거주자의 휴대전화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겨울에 거주자가 방에 돌아오기 전에 온돌의 전원을 켜서 방을 따뜻하게 하거나, 문을 잠글 수 있다. 또한 특정인을 등록하면 일정 시간 동안만 지문 인식 등으로 현관문을 열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4. 2. 구조 개요와 특성

삼성 타워팰리스는 초고층 건물로, R.C 코어, 아웃리거(Outrigger), 벨트 트러스(Belt Truss) 및 SRC 기둥의 합성 구조를 사용하여 구조적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였다.[1]

4. 2. 1. 프레임 시스템

타워부는 R.C 코어(Core), 아웃리거(Outrigger), 벨트 트러스(Belt Truss) 및 SRC 기둥의 합성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1] 지하부는 기둥, 보, 거더, 평판 등이 P.C 구조(일부 R.C)로 형성되어 있다.[2]

4. 2. 2. 평판 시스템

타워부는 두께 135mm의 상하현 철근 복합 데크플레이트 평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별도의 지지대 없이 시공(Non Support)되었다.[1] 지하부는 두께 70mm의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Half P.C)에 100mm 콘크리트를 덧씌워 총 두께 170mm로 구성되어 중력과 횡력(토압 및 수압)에 저항하는 구조이다.[1]

4. 3. 구조 형식

타워팰리스는 코어월, 아웃트리거, 벨트 트러스, 기둥, 바닥, 기초 등의 주요 구조 요소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 요소들의 상호 작용을 통해 타워팰리스는 높은 안정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고 있다.

4. 3. 1. 코어월

코어월은 두께 500mm로 층에 따라 두께를 효율적으로 변화시켰으며, 콘크리트 강도는 500kg/cm2 ~ 300kg/cm2로 변화시켰다. 코어월 오픈 부분에는 연결보(Lintel Beam)를 설치하여 코어의 횡력 저항을 극대화했으며, 작업의 반복성 등을 고려하여 코어월은 클라이밍 폼을 사용하여 시공성을 향상시켰다.[1]

4. 3. 2. 아웃트리거, 벨트 트러스

타워팰리스 1차는 철근 콘크리트(R.C) 코어와 아웃트리거, 벨트 트러스가 중력 및 횡력에 저항하는 주요 구조체이다. R.C 코어는 전 층에 설치되었으며(B동 기준), 지상 3층, 4층 기계실과 6층, 2층 바닥에 아웃트리거 및 벨트 트러스를 설치하여 R.C 코어의 횡변형을 억제하고 구조물 상부의 모멘트를 감소시켰다.[1] 이와 같이 구조물은 하부 뿐만 아니라 상부에서 구속되기 때문에 그 처짐 형상이 순수 캔틸레버 기둥이 아닌 변곡점을 가진 S형 곡선 형상을 보인다.[1] 이러한 합성 작용으로 코어의 휨 모멘트와 구조물의 처짐을 줄이게 되었다.[1]

4. 3. 3. 기둥

기둥은 주 간격을 8.4m × 8.4m 모듈로 유지하며, 공간 활용성을 고려하여 사각형의 합성기둥(S.R.C)으로 설계하였다. 합성기둥은 SSRC(Structural Stability Research Council)로 설계하며, 단면 크기는 R.C: 850 × 850 + STEEL: 내경 3, 5, 8의 H형강 크기를 유지하고, 층수에 따라 철골 두께를 조정하였다. 합성 기둥의 콘크리트 강도는 500kg/m2 ~ 240kg/m2까지 사용하였으며, 철골은 두께 40mm 초과시 SM520 TMCP 강(Fy|에프와이영어 = 3600kg/m2)을 사용하여 중력하중 및 횡하중에 저항하도록 설계하였다.[1]

4. 3. 4. 바닥

바닥 평판은 두께 135mm의 상하현 철근 복합데크 평판을 사용하여 시공성을 높였으며, 바닥 평판이 다이아프램 역할을 충분히 하여 코어부로 횡력을 전달시킬 수 있도록 코어부와 만나는 평판에는 철근을 보강 설계했다.[1] A, B, C동의 모든 내부의 단순보(Shear Connection)는 합성보(Composite Beam)로 설계하여 물량 절감 및 층고를 최소화했다(보 최대 크기는 H - 400임 : 기준층 바닥).[1] 보 및 평판에 대해서는 진동 등 사용성에 관련하여 검토 설계하였다.[1] D동의 경우 동 내부의 다이아프램 결손부(중정)와 편심 코어 등으로 야기되는 건물의 불규칙 변형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자 기둥과 내부 보의 연결을 강접(Moment Connection)으로 설계하여 건물의 전체 강성을 향상시켰다.[1]

4. 3. 5. 기초

고층부 기초는 경암층(Fresh Sound Rock) 위에 놓이도록 하였다. 파쇄대를 고려하여 지반의 정확한 Rock 용수철을 구해 기초 해석에 적용하였다(설계 지내력은 200t/m2 이상으로 설계). 저층부 기초는 경암층 위 또는 연암층(Partly Weathered Rock) 위에 놓이도록 계획하였다(정확한 지질조사에 근거하여 지반 상태에 따라 200t/m2, 90t/m2, 50t/m2으로 계획). 기초의 최대 침하는 30mm 이내로 하고, 부동침하는 20mm 이내로 유지하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기초 시스템의 기초 평판 하부에는 Pubic Drain Board Type의 영구 배수 장치(Dewatering System)를 설치하여 기초 평판에 어떤 양압(Buoyancy)도 작용하지 않도록 설계에 적용하였다.

4. 3. 6. 고충부 및 기초부 설계

고층부와 코어 기둥은 온통기초(Mat Foundation)로 설계되었고, 기초부 설계는 중력하중 및 횡하중에 의해 생기는 압축 및 인장력의 가능한 모든 하중 조합을 통하여 기초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타워팰리스 1차의 변형된 형태로 조합되어 현재와 미래의 이미지를 가진다.[1]

4. 4. 건축 시공

타워팰리스 1차는 65층 1개 동, 59층 2개 동, 42층 1개 동으로 구성된 총 연면적 138000m2 규모의 도심형 초고층 빌딩이다. 3일에 1개 층씩 골조공사를 진행하여 39개월 만에 완공해야 했다.

이를 위해 분당 90m를 운행하는 초고속 호이스트, 13기의 대형 타워크레인, 초고압 콘크리트 펌프 등 하드웨어적인 방안과 함께, 인터넷을 이용한 인원, 자재, 도면 관리 등의 물류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초고층 공사의 최단 기간 달성을 지원하였다.

4. 4. 1. 공사 스케줄 및 공정 관리

국내 초고층 주거형 건물은 일반적인 초고층 건축공사와 달리 방바닥 미장공사라는 습식공사가 마감공사 중간에 있어, 부동 침하로 인한 벽체와 바닥과의 높이 차이 및 추가 처짐을 고려한 공사 일정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초고층 주거형 건물의 주공정선은 다음과 같이 수립한다.

타워팰리스 현장은 2차 동절기(2001년 12월~ 2002년 2월)에 최종 인테리어 공사의 주작업인 도장, 도배, 온돌마루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동절기 습식공사 진행 및 화재 위험 등을 고려하여 지역난방을 이용한 동절기 난방을 결정하였다. 고층부는 2001년 11월경 방바닥 타설이 가능하도록 부동침하량이 계산되었다. 이에 따라 방바닥 미장 양생 및 건조를 위한 별도의 보온 시설이 필요하나, 열풍기 등을 이용할 경우 화재 위험성이 있고, 사면이 커튼월로 막혀있는 초고층 건물의 특성상 자연 화기에 의한 제습이 불가능하여 방바닥 미장 건조 기간이 최소 4개월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자연 건조 시 후속 공사인 도배/도장 등의 최종 인테리어 공사가 실내 고습도로 인해 하자 발생이 예상되었다.

이에 따라 2차 동절기 공사 진행을 위해 지역난방 조기 인입을 검토하였으며, 내부적으로 난방 주배관이 통과하는 2단계 구간 주차장 골조공사를 3차 주공정선으로 정하여 일정 계획을 하였다. 외부적으로는 지역난방공사와 2000년 10월부터 협의하여 발전소 증설 기간 및 예산 확보를 거쳐 2001년 11월 지역난방을 인입하게 되었다.

4. 4. 2. 커튼 월 시스템

초고층 건물 시공에 필수적인 단결된 커튼 월 시스템(Curtain Wall System)을 적용하였다. 이 시스템을 통해 커튼월의 품질을 높이고 층당 3일의 주기로 시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Open Joint 시스템을 적용하여 커튼월의 수밀성을 높였다. 커튼월을 구성하는 기본 유닛으로는 개폐창(Opening), 고정창(Fixed), 루버(Louver), 패널(Panel) 유닛 등이 있다. 개폐창 유닛은 개폐창의 구조적 문제를 고려하여 폭을 915mm 정도로 최소화하였고, 고정창 유닛은 입주자의 조망을 위해 폭을 1830mm로 최대한 넓게 설계하였다. 루버 유닛은 에어컨 실외기실에, 패널 유닛은 기둥 부위에 설치되었다.[1]

커튼월 유닛의 이음매(Joint) 폭은 설치 전후 유닛에 가해지는 변위를 흡수할 수 있도록 수직 8mm, 수평 20mm 폭으로 설계되었다. 공장 유약 시스템(Factory Glazing System)은 커튼월 유닛에 유리 끼우는 작업을 유닛 제작 공장에서 완료 후 현장에 반입하는 방식으로, 커튼월 품질 향상 및 설치 일정 단축에 기여하였다.[1]

커튼월 시스템 관련 수치[1]
항목내용
수평 이음매(Joint)20mm
수직 이음매(Joint)8mm
온도 편차에 의한 변위수평 9mm, 수직 5mm
열 단축3mm
평판 처짐5mm
가공, 조립 오차수평, 수직 1mm
설치 오차수평, 수직 2mm


4. 4. 3. 코어 골조 공법

타워팰리스 1차의 코어 골조는 코어골조공법(Automatic Climbing System)으로 이루어져 있다.[1] 코어골조공법은 유압 유닛와 양중용 윤곽을 이용하여 1개 층 높이로 제작된 폼을 1개 층씩 상승시키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이다.[1]

장점
단점슬립 폼에 비해 공정이 다소 복잡함.[1]


4. 4. 4. 철골 설치 공법

철골 설치 공법(N공법)은 층 단위로 설치되는 공법으로, 기둥의 이음 위치를 층별로 분산하여 용접, 수직도 조정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작업량 분산을 통해 투입 인원이 줄어들고 순환 공정 진행을 통해 연속 작업이 가능하다. 1층 이상의 작업을 없앰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며, 후속 공정의 조기 착수로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

4. 4. 5. 공장 유약 시스템

공장 유약 시스템(Factory Glazing System)은 커튼월 유닛에 유리 끼우는 작업을 유닛 제작 공장에서 완료한 후 현장에 반입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커튼월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설치 일정을 단축하는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1] 커튼월 유닛의 Joint 폭은 설치 전후 유닛에 가해지는 각종 변위를 흡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

Joint 폭 설계 기준[1]
항목내용
수평 Joint20mm
수직 Joint8mm
온도 편차에 의한 변위수평 9mm, 수직 5mm
열 단축3mm
평판 처짐5mm
가공, 조립 오차수평, 수직 1mm
설치 오차수평, 수직 2mm


4. 5. 엘리베이터

타워팰리스 1차에는 동양엘리베이터(현 티센크루프)[1], 2차에는 LG-오티스엘리베이터(현 오티스)[1], 3차에는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1]의 제품이 설치되었으며, 저층용, 고층용, 비상용, 상가 및 주차장 셔틀용으로 구분된다. 모든 세대용 엘리베이터는 카드리더기가 있으며, 카드키를 태그해야 작동된다.[1]

5. 사건 및 사고

다음은 삼성 타워팰리스에서 발생한 주요 사건 및 사고이다.

발생일사건 및 사고 내용
2015년 10월 3일타워팰리스 쓰레기장에서 1억원 수표 발견[1]
2023년 10월 5일타워팰리스 G동 실외기 화재 발생


5. 1. 타워팰리스 쓰레기장 1억원 수표 사건

2015년 10월 3일 오전 11시 55분쯤, 타워팰리스에서 근무하는 청소부 김모(63)씨가 쓰레기 집하장에서 100만 원짜리 수표 100장(총 1억 원)이 든 봉투를 발견하고 경찰에 신고했다.[1] 언론 보도 후, 10월 5일 50대 사업가 A씨가 주인이라고 주장하며 나타났고, 경찰 조사 결과 실제 주인으로 확인되었다.[1] A씨는 유실물법에 따라 5~20% 사이의 보상금을 김씨에게 지급하고 수표를 찾아갔으나, 정확한 보상금 액수는 양측 모두 밝히지 않았다.[1]

5. 2. 실외기 화재

2023년 10월 5일 타워팰리스 G동에서 실외기 화재가 발생하여 입주민들이 대피하였다.

6. 대중문화

7. 평가

2013년 동아일보와 건축전문잡지 SPACE가 건축가 100명을 조사한 해방 이후 최악의 건물들 랭킹 9위에 올랐다.[1]

8. 교통

3호선·분당선 도곡역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9.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Samsung Tower Palace, Seoul http://www.emporis.c[...] 2006-02-07
[2] 뉴스 <타워팰리스10년> 타워팰리스는? http://biz.heraldm.c[...] 해럴드경제 2017-03-21
[3] 뉴스 삼성 百2층빌딩 건축 추진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6-04-13
[4] 뉴스 江南 도곡동에 102층 빌딩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6-04-08
[5] 뉴스 [부자들의 집] <1>도곡동 타워팰리스, 대한민국 성공인생의 상징 http://www.etoday.co[...] 이투데이 2017-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