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록수부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록수부대는 대한민국 국군이 유엔 평화유지군 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파병된 부대의 명칭으로, 소말리아(1993-1994), 앙골라(1995-1996), 동티모르(1999-2003)에 파병되었다. 소말리아에는 건설공병대대가, 앙골라에는 제101야전공병대가, 동티모르에는 제522평화유지단이 파병되었으며, 각 지역의 평화 유지 활동, 인도주의적 지원, 재건 지원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 동티모르 파병은 대한민국 최초의 전투 부대 파병 사례였으며, 상록수부대는 유엔 평화 유지 작전의 모범적인 부대로 평가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앙골라 관계 - 주한 앙골라 대사관
    주한 앙골라 대사관은 2008년 10월 서울에 개설되었으며, 대한민국과 앙골라는 1992년 1월 6일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 대한민국-앙골라 관계 - 주앙골라 대한민국 대사관
    주앙골라 대한민국 대사관은 2007년 7월 19일에 설치되어 앙골라에서 정무, 경제 통상, 영사, 문화 교류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동티모르 관계 - 맨발의 꿈
    김태균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맨발의 꿈》은 전직 축구선수 김원광이 동티모르 아이들에게 축구를 가르치며 꿈과 희망을 심어주는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꿈과 희망,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는 영화이다.
  • 대한민국-동티모르 관계 - 주한 동티모르 대사관
    주한 동티모르 대사관은 대한민국 서울에 위치하며, 대한민국과의 외교, 투자 유치, 자국민 보호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상록수부대
부대 정보
명칭상록수부대
원어 이름常綠樹部隊
활동 기간1993. 7. ~ 1994. 3. 15.
활동 기간1995. 10. 5. ~ 1996. 12. 23.
활동 기간1999. 10. 28. ~ 2003. 10. 23.
국가대한민국
소속대한민국 국방부
종류유엔 평화유지군
역할소말리아와 앙골라에 대한 건설 지원
역할동티모르 독립 정부의 수립 지원 및 선거 감시
참전UNSOM II
참전UNAVEM III
참전UNAMET

2. 소말리아 파병 (1993. 7 ~ 1994. 3. 15)

1991년 유엔 가입 후 대한민국은 평화유지군 활동 참여를 위해 소말리아에서 진행된 제2차 유엔 소말리아 임무(UNSOM II)에 상록수부대를 파병하였다. 정식 명칭은 '''제189건설공병대대'''로, 건설공병대대 252명(공병 190명, 장교 30명, 부사관 32명) 규모였다.[14] 1993년 7월 소말리아에 도착한 상록수부대는 소말리아 평화유지활동 사령부의 지시에 따라 도로 보수와 민사 활동을 전개하였고, 1994년 3월 15일에 철수하였다.[15]

2. 1. 파병 배경

1991년 유엔에 가입한 대한민국은 평화유지군 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소말리아에서 진행된 제2차 유엔 소말리아 임무(UNSOM II)에 건설공병대대를 파병하였다.[14]

아프리카의 뿔에 위치한 소말리아소말리아 내전으로 인해 150만 명의 난민이 발생하며 심각한 인도적 위기를 겪고 있었다. 소말리아는 1960년 영국과 이탈리아로부터 독립했지만, 1969년 쿠데타 이후 크고 작은 내전이 계속되었다. 1991년 1월, 소말리아 연합 회의(USC)는 시아드 바레 정권을 축출했지만, USC 내 갈등으로 무정부 상태의 내전이 지속되었다.[1]

국제 연합은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733에 따라 1992년 4월 유엔 소말리아 작전 I (UNOSOM I)을 설립했으나, 내전은 계속되었다. 1992년 12월, 미국 주도의 다국적군이 파견되었고, 1993년 3월에는 유엔 소말리아 작전 II (UNOSOM II)가 설립되었다.[1]

대한민국은 UN 평화 유지 노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국제적 위상을 높이기 위해 1993년 2월 현지 조사와 세 개 부처의 회의를 거쳐 병력 파견을 결정했다.[1]

2. 2. 부대 구성 및 임무

1991년 유엔에 가입한 대한민국은 평화유지군 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소말리아에 진행된 제2차 유엔 소말리아 임무(UNSOM II)에 '''제189건설공병대대'''(공병 190명, 장교 30명, 부사관 32명)를 파병하였다.[14] 1993년 7월 창설된 상록수부대는 소말리아 평화유지활동 사령부의 지시에 따라 도로 보수, 민사 활동을 수행하였고, 1994년 3월 15일에 철수하였다.[15]

상록수부대는 보호 시설, 상수도 및 하수도 시설, 전기 시설, 도로, 교량 등 다양한 시설을 보호·복구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또한, 주민들이 5000ha의 농지를 경작하고 면 공장을 재가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섬유 농장 재개를 도왔다. 국가 의식과 독립심을 심어줄 수 있는 기술 학교 설립은 현지 주민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었다. 소말리아에서 상록수부대의 활동은 어려운 여건을 극복하고 기대를 뛰어넘는 유엔 평화 유지 활동의 첫 번째 사례였다. 이를 통해 한국 국군은 세계 어느 곳에서든 어떤 임무라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2][3][4]

2. 3. 활동 및 의의

1991년 대한민국은 유엔에 가입하고 평화유지군 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소말리아에서 진행된 제2차 유엔 소말리아 임무(UNSOM II)에 건설공병대대 252명(공병 190명, 장교 30명, 부사관 32명)을 파병하였다. 정식 명칭은 '''제189건설공병대대'''이다.[14] 1993년 7월 창설되어 소말리아에 도착한 상록수부대는 소말리아 평화유지활동 사령부의 지시에 따라 도로를 보수하고 민사 활동을 하였다. 1994년 3월 15일에 철수하였다.[15]

3. 앙골라 파병 (1995. 10. 5 ~ 1996. 12. 23)

대한민국앙골라 내전 종식과 평화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상록수부대를 파병하였다. 앙골라에서 제3차 유엔 앙골라 검증 임무(UNAVEM III)에 참여한 상록수부대는 1995년 10월부터 1996년 12월 23일까지 활동하고 철수하였다. 상록수부대는 건설공병대대 198명(장교 22명, 부사관 16명, 공병 16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정식 명칭은 '''제101야전공병대'''이다.[16][15]

3. 1. 파병 배경

앙골라는 1975년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한 이후 내전이 발생하였다. 1991년 5월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 연합의 중재 하에 실시된 국민 투표에서 패배한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UNITA)은 다시 내전을 일으켰다.[6] 국제 연합은 유엔 앙골라 검증단 (UNAVEM)과 유엔 앙골라 옵서버 미션 (MONUA)을 설립하였다. 1995년 2월, 국제 연합은 대한민국에 유엔 앙골라 검증단 III (UNAVEM III)에 참여할 것을 요청했고, 대한민국은 이에 동참하여 상록수부대를 파병했다.[6][7]

3. 2. 부대 구성 및 임무

제101야전공병대대를 주축으로 구성된 상록수부대는 교량, 비행장, 숙소 등 시설 복구 및 기술 지원을 제공하고, 인도주의적 구호 활동을 전개했다.[8][15][16]

상록수부대는 보호 시설, 상수도 및 하수도 시설, 전기 시설, 도로, 교량 등 다양한 시설을 보호하고 복구하는 평화 유지군으로 활동했다. 또한 주민들이 약 5000ha의 농지를 경작하고 면 공장을 재가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섬유 농장의 재개를 도왔으며, 국가 의식과 독립심을 심어줄 수 있는 기술 학교의 설립은 현지 주민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었다.[2][3][4]

앙골라 오밤보의 르완다에 파병되어 인도주의적 구호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했으며, 유엔으로부터 할당받은 임무와 시설 보수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8] 치피파 지역의 교량 8개, 오밤보 지역의 비행장 2곳과 숙소 등 5개 시설의 복구를 완료하고 기술 지원을 제공했다. 인도주의적 구호 활동의 일환으로, 분수대, 고아원, 성당, 학교 등의 설립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지원을 제공했다.[9][10]

3. 3. 활동 및 의의

앙골라에서 제3차 유엔 앙골라 검증 임무(UNAVEM III)에 참여한 상록수부대는 1995년 10월부터 1996년 12월 23일까지 건설 공병 지원 활동을 펼쳤다. 상록수부대의 정식 명칭은 제101야전공병대이며, 총 198명(장교 22명, 부사관 16명, 공병 160명)으로 구성되었다.[16][15]

4. 동티모르 파병 (1999. 10. 28 ~ 2003. 10. 23)

1999년 9월 국회에서 〈국군부대의 동티모르 다국적군 파병동의안〉이 통과되면서 대한민국 최초의 전투부대인 상록수부대가 창설되었다. 특수전사령부 및 해병대 제1사단 예하 해안개척대대, 경찰청, 해양경찰청에서 차출된 인원들로 구성되었으며, 총 419명(보병 201명, 지원대 172명, 지휘부 46명) 규모였다.[17][18] 이 부대에는 장교 66명, 준사관 1명, 부사관 189명, 병사 163명이 참여하였다.[15] 1999년 10월 28일부터 2003년 10월 23일까지 동티모르 국제군(INTERFET)의 일원으로서 동티모르 독립 정부 수립 지원, 선거 감시 등의 임무를 수행했으며, 정식 명칭은 '''제522평화유지단'''이다.[17][18] 상록수부대는 태권도와 새마을운동을 전파하고, 4년간 총 148회의 대민지원 및 구호활동을 통해 의류 4만여 점, 학용품 4만 5천여 점, 체육기구 2,300여 점, 생필품 6만여 점을 주민들에게 제공하였다.[19]

4. 1. 파병 배경

1999년 동티모르에서는 인도네시아로부터의 독립을 결정하기 위한 국민투표가 유엔의 감시 아래 실시되었다. 투표 결과, 78.5%의 주민들이 독립을 지지하였으나, 이를 반대하는 민병대의 폭력 사태로 인해 수많은 난민과 사망자가 발생했다. 심지어 국민투표 지원을 위해 파견되었던 유엔 동티모르 지원단(UNAMET)마저 오스트레일리아로 철수해야 했다.[11]

인도네시아 정부는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사태를 수습하려 했으나, 결국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UNSC)는 1999년 9월 15일 동티모르의 치안 유지를 위한 다국적군 파병을 승인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1999년 10월 25일에는 유엔 동티모르 임시행정기구(UNTAET) 설립을 승인하는 결의안 1272호가 채택되었고, 2000년 2월에는 8,300명 이상의 유엔 평화 유지군이 다국적군을 대체했다.[11]

1999년 9월 15일, 대한민국유엔이 다국적군에 부여한 유엔 평화 유지 활동에 기여하기 위해 최초로 전투 부대 파병을 결정했다.[11]

4. 2. 부대 구성 및 임무

특수전사령부, 해병대 제1사단 예하 해안개척대대, 경찰청, 해양경찰청에서 차출된 총 419명(보병 201명, 지원대 172명, 지휘부 46명)으로 구성된 제522평화유지단 상록수부대는[17][18] 장교 66명, 준사관 1명, 부사관 189명, 병사 163명이 참여하였다.[15] 1999년 10월 28일부터 2003년 10월 23일까지 동티모르 국제군(INTERFET)의 일원으로서 활동했다.[17][18]

상록수부대는 치안 유지, 평화 정착, 민사 작전, 재건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12] 로스팔로스 주둔 병력은 인근 지역, 특히 도로와 인구 밀집 지역에서 하루 세 번 순찰을 실시하고 24시간 경계를 섰으며, 연합군 헬리콥터 방문 및 주요 인력 이동 시 경호 및 호송 서비스를 제공했다.[12] 평화 유지를 위해 순찰 활동을 통해 불법 무기 소지자 등 잠재적 위협 요소를 단속하고, 촌장 및 학교장과의 면담을 통해 지역 주민과의 신뢰를 형성했다.[12]

또한, 상록수부대는 태권도와 새마을운동을 전파하고, 4년 동안 총 148회에 걸쳐 대민 지원 및 구호 활동을 전개하여 의류 4만여 점, 학용품 4만 5천여 점, 체육기구 2,300여 점, 생필품 6만여 점을 주민들에게 제공했다.[19] 갑작스러운 기상 변화, 민병대와 독립군 간의 갈등, 난민 유입 등 다양한 환경 속에서도 활동을 펼쳐 유엔으로부터 유엔 평화 유지 작전의 가장 모범적인 부대로 평가받았다.[12][13]

상록수 부대의 군의관이 현지 주민에게 의료 봉사를 하고 있다.

4. 3. 활동 및 의의

1999년 9월 국회에서 통과된 〈국군부대의 동티모르 다국적군 파병동의안〉에 따라 대한민국 최초의 전투부대로 상록수부대가 창설되었다. 특수전사령부 및 지원부대, 해병대 제1사단 예하 해안개척대대, 경찰청, 해양경찰청에서 차출된 총 419명(보병 201명, 지원대 172명, 지휘부 46명)으로 구성되었으며,[17][18] 장교 66명, 준사관 1명, 부사관 189명, 병사 163명이 참여하였다.[15]

1999년 10월 28일부터 2003년 10월 23일까지 동티모르 국제군(INTERFET)의 일원으로서 동티모르의 독립 정부 수립을 지원하고 선거를 감시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정식 명칭은 '''제522평화유지단'''이다.[17][18]

상록수부대는 치안 유지 및 인도적 구호활동 외에도 태권도와 새마을운동을 전파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4년 동안 총 148회에 걸쳐 대민지원과 구호활동을 전개하여 의류 4만여 점, 학용품 4만 5천여 점, 체육기구 2,300여 점, 생필품 6만여 점을 주민들에게 제공하였다.[19]

참조

[1] 웹사이트 육군 상록수부대 본진 소말리아 모가디슈 도착[이진숙] http://imnews.imbc.c[...] 2017-12-11
[2] 웹사이트 소말리아 한국공병대대 상록수부대, 긍지와 보람[이진숙] http://imnews.imbc.c[...] 2017-12-11
[3] 뉴스 해외 파병사 ① 우리군의 첫 평화유지군, 소말리아 상록수부대 - 블루투데이 http://www.bluetoday[...] 2017-12-11
[4] 뉴스 소말리아 상록수부대/17일 완전 철군 http://news.joins.co[...] 2017-12-11
[5] 웹사이트 제101 야전공병대대기 : PKO 앙골라 http://wmk.kr/ko/nod[...]
[6] 뉴스 앙골라에 PKF파병-정부,공병 198명 1陳 27일 출발 http://news.joins.co[...] 2017-12-11
[7] 웹사이트 <20>앙골라 공병부대 파병 http://kookbang.dema[...] 2017-12-11
[8] 웹사이트 PKO 앙골라 공병대대 출발[백지연] http://imnews.imbc.c[...] 2017-12-11
[9] 뉴스 앙골라 PKO 활동 육군 공병대대 귀국 http://news.hankyung[...] 2017-12-11
[10] 뉴스 해외 파병사 ③ 사막에 꽃을 피우는 앙골라 공병부대 - 블루투데이 http://www.bluetoday[...] 2017-12-11
[11] 웹사이트 e영상역사관 » 사진보기 http://film.ktv.go.k[...] 2017-12-11
[12] 웹사이트 <22>동티모르 상록수부대 파병 (하) http://kookbang.dema[...] 2017-12-11
[13] 웹사이트 東티모르 派兵 상록수 부대원의 手記 : 월간조선 http://monthly.chosu[...] 2017-12-11
[14] 웹인용 소말리아 유엔 평화유지군(PKO) 파견 http://contents.arch[...] 국가기록원 2011-01-20
[15] 저널 유엔 PKO 현황 http://www.mofat.go.[...] 외교통상부 2012-01-20
[16] 저널 국군공병부대의「앙골라유엔평화유지단」참여동의안 http://www.mofat.go.[...] 외교통상부 2012-01-20
[17] 웹인용 동티모르에 평화유지군 파견 http://contents.arch[...] 국가기록원 2011-01-20
[18] 저널 국군부대의동티모르 다국적군 파견동의안(1999) http://www.mofat.go.[...] 외교통상부 2012-01-20
[19] 논문 한국군의 동티모르 평화유지활동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