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티모르 국제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티모르 국제군은 1999년 동티모르 독립 국민투표 이후 발생한 폭력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파견된 다국적군이다. 1975년 동티모르를 침공한 인도네시아는 동티모르 특별 자치 국민투표 이후에도 친인도네시아 민병대의 폭력을 방치했고, 이에 국제 사회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1264호를 통해 동티모르 국제군의 파병을 결정했다. 호주가 주도하고 22개국이 참여했으며, 평화 및 안전 회복, 인도적 지원을 목표로 했다. 대한민국은 상록수 부대를 파병하여 유엔 평화유지군 활동에 참여했다.
1975년 인도네시아는 동티모르를 침공하여 강제 병합했지만, 국제 연합(UN)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1] 1979년 오스트레일리아는 이를 인정했으나, 동티모르 저항 운동 단체 팔린틸(Falintil)은 무장 투쟁을 지속했다.[1][2] 냉전 시기 서방 국가들은 인도네시아와의 관계를 중시하여 동티모르 독립 문제에 소극적이었다. 그러나 수하르토 퇴진 이후, 바하루딘 유숩 하비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동티모르에 특별 자치를 제안했다.[3]
1999년 9월 15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동티모르의 악화되는 상황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유엔 안보리 결의 1264호를 15개 이사국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10][11] 이 결의에서 유엔 동티모르 미션(UNAMET)을 보호하기 위한 동티모르 국제군(INTERFET)의 창설을 허가하였다. 결의안은 동티모르의 평화와 안보를 회복하고, UNAMET을 보호 및 지원하며, 인도적 지원 활동을 촉진하는 다국적군 파병을 승인했다.[10] 또한 호주가 다국적군을 주도하고 상당한 기여를 할 것이라는 제안을 환영했다.[11]
1999년 9월 20일, 동티모르 국제군(INTERFET)이 동티모르에 배치되기 시작했다. 호주가 5,500명의 병력과 사령관인 피터 코스그로브 소장을 파견하여 주도했으며, 평화와 안전을 회복하고, 동티모르 유엔 임무(UNAMET)을 보호 및 지원하며, 인도적 지원을 촉진하는 임무를 맡았다.[5] 태국 태스크포스 사령관 손키티 자가바트라 소장이 INTERFET 부사령관을 맡았다.[19]
동티모르 국제군(INTERFET)에는 22개국이 참여했으며, 총병력은 최대 11,500명 이상이었다.[3] 호주가 가장 큰 규모의 병력(최대 5,500명)과 장비를 제공했으며,[3] 뉴질랜드가 그 뒤를 이었다(최대 1,200명).
2. 배경
1998년 말, 존 하워드 오스트레일리아 총리는 하비비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장기간의 자치 후 국민투표를 통해 동티모르의 자기 결정권을 보장할 것을 제안했다. 이는 프랑스와 누벨칼레도니 간의 마티뇽 협약을 모델로 한 것이었다. 그러나 하비비는 이를 인도네시아를 식민 강국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받아들여 조기 국민투표를 결정했고,[3] 이는 친인도네시아 민병대의 폭력 사태를 야기했다. 하워드는 유엔 평화유지군 파견을 제안했으나 하비비는 이를 거부했다.[3]
2. 1. 동티모르 특별 자치 국민투표
1999년 8월 30일, 국제 연합 동티모르 미션(UNAMET)의 감독 하에 동티모르 특별 자치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4] 투표 결과는 인도네시아로부터의 독립에 대한 압도적인 지지를 보여주었다.[4] 그러나 9월 4일 결과 발표 이후, 친인도네시아 성향으로 의심되는 민병대가 폭력 충돌을 일으켜 인도주의적 및 안보 위기가 발생했고, 샤나나 구스마오는 같은 날 유엔 평화 유지군 파견을 요청했다.[4][5] 많은 동티모르인들이 사망했으며, 최대 50만 명이 이재민이 되고, 약 절반이 영토를 탈출했다.[5]
9월 6일,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공군(RAAF)의 C-130 허큘리스 항공기가 비무장 특수항공대대(SASR) 군인들의 보호를 받으며, UNAMET 직원, 외국인, 난민(벨루 주교 포함)을 딜리와 바우카우 비행장에서 다윈으로 대피시키는 작전 스핏파이어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폭력 사태는 국제사회의 분노를 불러일으켰고, 오스트레일리아, 포르투갈 등에서는 시민단체와 가톨릭 교회 등을 중심으로 자국 정부에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호주 야당(노동당, 현 더불어민주당)은 인도네시아군의 민병대 지원 의혹을 제기하며 유엔 평화유지군 파견을 촉구했다.
9월 12일, 국제적인 평화 유지군의 입국을 인정하도록 요구하는 국제 사회의 압력을 받아, 인도네시아 대통령유수프 하비비는 이를 인정한다는 뜻을 표명했다.
9월 15일,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는 악화되는 동티모르의 정세에 우려를 표명하고, 동티모르에 평화와 안전을 되찾고, 국제 연합 동티모르 미션을 방호·지원하며, 유엔의 평화 유지군이 인정되어 전개될 때까지의 인도적 지원 활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국적군을 요청하는 결의(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1264)를 채택했다.
9월 20일, 동티모르 국제군이 동티모르에 들어갔다.
3. 유엔 안보리 결의
폭력 사태는 호주, 포르투갈 등지에서 광범위한 대중의 분노를 불러일으켰고, 여러 국가에서 활동가들은 자국 정부에 조치를 취할 것을 압박했다.[6][7] 오스트레일리아 가톨릭 교회는 호주 정부에 무장 평화 유지군 파견을 촉구했고,[7] 다윈과 캔버라에서 시위가 벌어졌다.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인도네시아 군이 민병대의 폭력을 방조하고 있다고 비난하며 군사 협력 중단을 선언했다.[8] 그는 인도네시아 정부와 군에 폭력 중단과 인도적 지원 허용을 촉구하며, 호주가 주도하는 다국적군을 지원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밝혔다.[8]
아시아 금융 위기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던 인도네시아는 국제적 압력에 굴복했다. B. J. 하비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9월 12일 국제 평화유지군 파병을 수용한다고 발표했다.[3][9]
4. 군사 작전
작전 초기, 로열 오스트레일리아 공군(RAAF)은 인도네시아군의 개입을 억제하고 INTERFET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F/A-18, F-111 전투기, P-3C 오라이언 해상 초계기 등을 노던 테리토리의 틴달 기지에 배치했다.[12]
INTERFET은 특수 항공 연대(SASR), 뉴질랜드 특수 항공대(NZSAS), 영국 특수 보트 부대(SBS) 등으로 구성된 대응 부대(RESPFOR)를 중심으로 딜리 공항과 항구를 확보했다. 이후 서부 지역으로 작전을 확대했다.[14] 저비스 베이가 딜리에 도착하여 작전을 지원했다.
INTERFET은 '오일 스폿' 개념에 따라 핵심 지역을 우선 확보하고,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민병대의 활동을 억제했다. 바카우의 대규모 비행장은 9월 22일 제2 연대, 로열 오스트레일리아 연대(2 RAR)의 두 소대에 의해 확보되었다.[15]
INTERFET과 민병대 간의 주요 교전으로는 수아이 전투, 아이더바살라 전투 등이 있었다. 수아이 전투에서는 SASR 요원 여러 명이 매복 공격을 받아 호주군 2명이 부상을 입었고, 민병대 2명이 사망했다.[13] 아이더바살라 전투에서는 호주군이 20명이 넘는 민병대와 교전을 벌여 민병대 5명이 사망했다.[16] 이 과정에서 호주군과 뉴질랜드군, 그리고 민병대 양측에 사상자가 발생했다. 특히 아이더바살라 전투 이후 인도네시아군의 민병대 지원 의혹이 더욱 커졌다.[17]

2000년 2월 28일, INTERFET는 군사 작전 지휘권을 동티모르 유엔 과도 행정부(UNTAET)에 이양했다.[5]
5. 참여 국가
참여 국가는 다음과 같다: 방글라데시, 브라질, 캐나다, 덴마크, 이집트, 피지,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이탈리아, 요르단, 케냐, 말레이시아, 노르웨이, 필리핀, 포르투갈, 싱가포르, 대한민국, 태국, 영국, 미국.[3]
대한민국은 상록수 부대를 파병하여 인도적 지원 및 재건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이는 김대중 정부의 적극적인 국제 평화 유지 활동 참여 사례 중 하나로, 대한민국 최초의 유엔 평화유지군 파병 사례 중 하나로 기록된다.
병력 파견이 법적으로 금지된 일본은 1억 달러의 상당한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다.[18][19] 참가자들은 호주 정부로부터 동티모르 국제군 훈장을 수여받았다.[20]
6. 대한민국과 동티모르 파병
6. 1. 상록수 부대 파병
대한민국은 1999년 동티모르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상록수 부대'를 창설하여 파병하였다. 이는 대한민국 국군 역사상 최초로 전투병을 중심으로 편성된 유엔 평화유지군 파병이었다. 상록수 부대는 419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으며, 보병, 공병, 의무, 수송 등 다양한 병과로 이루어졌다. 이들은 동티모르 동부 지역에서 INTERFET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치안 유지, 재건 지원, 인도적 구호 활동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동티모르 국제군(INTERFET)은 대부분 호주군으로 구성되었고, 시설 등은 뉴질랜드가 지원했다. 그 외에도 방글라데시, 브라질, 캐나다,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이탈리아, 케냐, 말레이시아, 노르웨이, 필리핀, 포르투갈, 싱가포르, 대한민국, 태국, 영국, 미국 등이 참가했다.
6. 2. 파병의 의의
6. 3. 논란과 비판
참조
[1]
논문
Midwifing a New State: The United Nations in East Timor
https://www.mpil.de/[...]
2024-08-05
[2]
논문
The International Force in East Timor - Legal Aspects of Maritime Operations
https://classic.aust[...]
2024-08-05
[3]
웹사이트
The Howard Years: Episode 2: "Whatever It Takes"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mmission
2014-10-19
[4]
뉴스
Timor chooses independence
http://news.bbc.co.u[...]
1999-09-04
[5]
웹사이트
Australians and Peacekeeping
http://www.awm.gov.a[...]
Australian War Memorial
2015-01-11
[6]
웹사이트
ALP wants commission to gather evidence of war crimes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mmission
2015-09-13
[7]
뉴스
Australia churches, unions rally against Indonesia
http://www.library.o[...]
1999-09-06
[8]
웹사이트
Remarks to American and Asian Business Leaders in Auckland
http://www.presidenc[...]
2018-09-09
[9]
뉴스
Habibie accepts Timor peacekeepers
http://news.bbc.co.u[...]
1999-09-12
[10]
뉴스
UN approves Timor force
http://news.bbc.co.u[...]
1999-09-15
[11]
뉴스
Security Council authorises multinational force in East Timor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1999-09-15
[12]
웹사이트
RAAF units in East Timor
http://www.awm.gov.a[...]
Australian War Memorial
2014-10-19
[13]
뉴스
AUSCDT4 Clears Beaches and Conducts Clandestine Ops in East Timor
http://www.navy.gov.[...]
[14]
팟캐스트
Clearance Diving the RAN (Part 3) From Vietnam War to 2019
https://www.youtub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2019-08-19
[15]
논문
UN blue 5/7RAR in East Timor
https://www.awm.gov.[...]
2024-04-03
[16]
뉴스
New Zealand soldier is shot dead in East Timor
https://www.independ[...]
2015-01-11
[17]
웹사이트
The World Today Archive - The UN's first combat casualty in East Timor
http://www.abc.net.a[...]
2015-01-16
[18]
웹사이트
Financial and Diplomatic Costs Mount : Australia Presses UN To Send Timor Force
https://www.nytimes.[...]
1999-10-05
[19]
웹사이트
East Timor/Timor-Leste: Background
http://www.army.gov.[...]
[20]
웹사이트
International Force East Timor Medal
http://www.itsanhono[...]
Government of Australia
2008-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