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하이방은 1989년 톈안먼 사건 이후 장쩌민이 중국 공산당 총서기로 추대되면서 형성된 정치 파벌이다. 장쩌민의 상하이 시 당서기 시절 부하들과 총서기 취임 이후 측근들로 구성되었으며, 우방궈, 쩡칭훙, 자칭린 등이 주요 인물로 꼽힌다. 1990년대 개혁개방으로 혜택을 받은 기득권층의 성격을 띠며, 후진타오 집권 시기 공청단과의 권력 투쟁을 벌였다. 시진핑 집권 이후 반부패 운동을 통해 세력이 급격히 쇠퇴했으며, 저우융캉, 궈보슝 등 핵심 인물들이 숙청되었다. 상하이방은 공청단, 시진핑파 등 다른 정치 파벌과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상하이방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명칭 | 상하이방 |
로마자 표기 | Shanghai Bang |
중국어 간체 | 上海帮 |
중국어 병음 | Shànghǎi Bāng |
개요 | |
설명 | 중국 공산당 내의 정치 파벌 |
결성 시기 | 1989년 |
해체 시기 | 2022년 |
중심지 | 상하이 및 베이징 |
이념 | 중국 특색 사회주의 3개 대표 |
주요 인물 | |
지도자 | 장쩌민 |
주요 구성원 | 우방궈 황쥐 쩡칭훙 자칭린 천량위 천즈리 자팅안 |
2. 역사
6·4 천안문 사건 이후 장쩌민이 총서기로 취임한 이유 중 하나는 중앙에서의 연고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앙에 진출한 후 기반이 없던 장쩌민은 상하이 시대의 부하들을 중앙으로 진출시킨 것으로 보인다.
상하이방의 구성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상하이 시 당서기 시대의 부하: 우방궈, 쩡칭훙, 황쥐, 천즈리, 천량위
- 총서기 취임 이후: 자칭린, 리창춘, 우관정, 류치, 쩡페이옌, 장더장, 저우융캉, 류윈산, 후이량위, 한정, 화젠민
주룽지는 장쩌민이 상하이 시 당서기 시절 시장이었으나, 중앙 진출 요청을 여러 번 고사했고, 부총리, 총리 시절에도 장쩌민과 한마음이라고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상하이방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6]
쩡칭훙은 톈안먼 사건 직후 중앙판공청 부주임에 임명되어 장쩌민의 오른팔로서 정적을 제거하고 그의 지위를 확고히 했다. 쩡칭훙은 1992년에는 중앙위원 후보에 불과했지만, 1997년에는 정치국 위원 후보, 장쩌민이 은퇴한 2002년에는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빠르게 출세했다.
하지만 상하이방은 사상적인 집단이 아니라 1990년대 이후의 개혁개방으로 은혜를 받은 기득권층이었고, 편의상 상하이방으로 불린 사람도 많았다. 장쩌민 은퇴 후 구성원 대부분이 후진타오 파로 전향하여 점차 축소되었고, 2006년 9월 천량위가 실각하면서 쇠퇴가 가속화되었다. 쩡칭훙은 장쩌민을 버리고 독자적인 파벌을 형성하여 현재도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2. 1. 기원
장쩌민이 톈안먼 사건 이후 중국 공산당 총서기로 추대되면서 상하이방이 시작되었다.[6] 그러나 초기에는 덩샤오핑, 천윈 등 당 원로들의 영향력이 강했다. 이 시기 장쩌민은 쩡칭훙을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판공청 부주임으로 임명했다.[6]1992년 제14차 당대회 이후, 리란칭, 우방궈 등 장쩌민의 측근들이 정치국에 진입했다.[6] 우방궈는 1994년 부총리가 되었고, 황쥐는 상하이 당 서기와 정치국원을 겸임했다.[6] 자칭린은 1993년 푸젠성 당 서기가 되었다.[6] 쩡칭훙은 1993년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판공청 주임이 되어 당 중앙을 장악했다.[6]
6·4 천안문 사건 이후 장쩌민이 총서기로 취임한 이유 중 하나는 중앙에서의 연고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앙 진출 후 기반이 없던 장쩌민은 상하이 시절 부하들을 중앙으로 진출시킨 것으로 보인다.
2. 2. 후진타오 시기
2004년 장쩌민이 퇴임했을 때, 그는 정치국 상무위원회를 '자신의 사람들'로 채워 후진타오와 원자바오가 독자적인 정책을 수행하기 어렵게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았다.[6] 원자바오의 인프라 성장 둔화와 부동산 부문의 전국적인 과열을 목표로 한 거시 경제 조치는 2006년 9월 천량위가 실각하기 전까지 큰 반대에 직면했다.그러나 장쩌민은 제16기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 회의에서 모든 직위에서 물러났기 때문에 후진타오가 합법적인 최고 지도자가 되었다. 상하이방의 주요 구성원들이 후진타오 진영으로 전향하여 후진타오의 입지를 강화했다. 2006년 9월, 후진타오는 부패 혐의로 상하이시 전 중국 공산당 위원회 서기이자 상하이 시장이었던 경쟁자 천량위를 숙청하여 중국 공산당 내에서 자신의 입지를 강화했다.[6] 천량위가 몰락한 후, 후진타오는 장쩌민 재임 기간에 임명된 다른 일부 관료들도 제거했다.
2009년 7월 위구르 자치구 폭동 이후 후진타오는 왕러취안을 1994년부터 재임하고 장쩌민이 임명한 신장 위구르 자치구 당 서기직에서 해임했다.
2006년 9월 24일, 상하이방의 핵심 인물인 천량위가 상하이 사회보장 기금 사건 연루로 해임되었다. 해외 언론은 이를 "후진타오 당시 중공 중앙 총서기를 수장으로 하는 공산주의 청년단(공청단)이 반부패를 명분으로 상하이방을 공격한 결과"라고 보도했다.[4]
2007년 6월 2일, 당시 중공 중앙 정치국 상무위원 겸 국무원 부총리였던 황쥐가 사망하면서 상하이방은 또 다른 큰 타격을 입었다.[7] 대만의 중앙통신사는 황쥐가 상하이방의 핵심 인물이며, 그의 죽음에는 정치적 함의가 가득하며, 이는 당시 중공 총서기 후진타오와 그의 전임자 장쩌민의 세력을 관찰하는 중요한 지표라고 보도했다.[7]
2007년 10월 15일, 중국 공산당 제17차 전국대표대회가 열렸다. 이후 상하이방의 핵심 인물로 여겨졌던 쩡칭훙이 은퇴하고, 공산주의 청년단 중앙위원회 전 제1서기 리커창이 중국 공산당 중앙 정치국 상무위원회에 진입하면서 공청단파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2011년, 커먼웰스 잡지는 후진타오와 원자바오가 통제하는 중국 공산당 중앙 정부와 장쩌민이 이끄는 상하이 지역 세력 간의 권력 투쟁이 격화되었다고 보도했는데, 상하이방이 농촌 지역 개발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이 연안 지역의 경제 발전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9]
상하이방은 사상적인 집단이 아니라 1990년대 이후의 개혁개방으로 은혜를 받은 기득권층이었고, 편의상 상하이방으로 불린 사람도 많았으며, 장쩌민 은퇴 후 구성원의 대부분이 후진타오 파로 전향하여 점차 축소되었고, 2006년 9월 천량위가 실각하면서 쇠퇴가 가속화되었다.
2. 3. 시진핑 시기
2012년 시진핑이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를 맡은 이후, 상하이방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시진핑 정부는 반부패 운동을 강력하게 추진하여 상하이방 핵심 인물들을 대거 숙청했다.[4]인물 | 직책 및 사건 | 비고 |
---|---|---|
저우융캉 |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전 멤버, 2014년 조사 후 실각[4] | 장쩌민 측근 |
궈보슝, 쉬차이허우 |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전 부주석, 반부패 운동으로 숙청 | |
왕종난 | 상하이 광명식품그룹 전 회장, 2014년 입건[4] | 장쩌민 측근 |
상하이방의 주요 인물로는 중국 공산당 중앙 정치국 상무위원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은 해안 지역 도시 사업 이익을 대변하는 경향이 있으며, 태자당 출신이 많고 상업 분야에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는 특징을 보인다.[1]
2014년 중앙 검사팀이 상하이에 파견된 이후, 상하이방에 대한 압박은 더욱 거세졌다.[4] 중앙기율검사위원회는 상하이 관료 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일부 지도 간부들의 비리 단서를 관련 부서에 넘겼다.
2017년 중국 공산당 제19차 전국대표대회 이후, 장더장, 류윈산, 장가오리, 위정성 등 상하이방 주요 인사들이 대거 퇴임하면서 상하이방의 영향력은 더욱 약화되었다.
하지만, 한정과 같이 상하이방 출신으로 분류되는 일부 인사들은 여전히 정치적으로 생존하고 있다. 쩡칭훙의 경우, 장쩌민을 버리고 독자적인 파벌을 형성하여 현재까지도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시진핑 집권 이후 상하이방은 크게 쇠퇴했지만,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일부 인사들은 여전히 권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상하이방의 영향력은 여전히 남아있다고 볼 수 있다.
3. 주요 인물
6·4 천안문 사건 이후 장쩌민이 총서기로 취임한 이유는 중앙에서의 연고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앙 진출 후 기반이 없던 장쩌민은 상하이 시절 부하들을 중앙으로 진출시킨 것으로 보인다.
상하이방 구성원은 장쩌민의 상하이 시 당서기 시절 부하 (우방궈, 쩡칭훙, 황쥐, 천즈리, 천량위)와 총서기 취임 이후 등용한 인물(자칭린, 리창춘, 우관정, 류치, 쩡페이옌, 장더장, 저우융캉, 류윈산, 후이량위, 한정, 화젠민)로 나뉜다.[1]
주룽지는 상하이 시장 시절 장쩌민과 함께 일했지만, 중앙 진출을 고사했고, 부총리와 총리 시절에도 장쩌민과 긴밀한 관계는 아니었기에 상하이방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상하이방은 1990년대 개혁개방으로 은혜를 받은 기득권층에 가까웠고, 장쩌민 은퇴 후 구성원 대부분이 후진타오 파로 전향하여 점차 축소되었다. 2006년 9월 천량위가 실각하면서 상하이방은 몰락했다. 쩡칭훙은 장쩌민을 버리고 독자적인 파벌을 형성하여 영향력을 유지했다.[1]
다음은 상하이방으로 언급되나, '핵심 인물'과 '기타 인물' 섹션에 모두 포함되지 않은 인물들이다.3. 1. 핵심 인물
장쩌민 전 중국 공산당 총서기를 중심으로 한 상하이방의 핵심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들은 장쩌민의 개인적인 지원에 힘입어 경력을 발전시켰으며, 장쩌민의 핵심 측근으로 자주 언급된다.[1]
인물 | 비고 |
---|---|
장쩌민 | 전 중국 공산당 총서기[1] |
쩡칭훙 | 6·4 천안문 사건 직후 중앙판공청 부주임에 임명되어 장쩌민의 오른팔 역할을 함. 정치국 상무위원 역임.[1] |
우방궈 | [1] |
황쥐 | [1] |
자칭린 | [1] |
리창춘 | |
저우융캉 | 실각[1] |
천량위 | 2006년 9월 실각[1] |
천즈리 | [1] |
자팅안 | [1] |
장더장 | |
류윈산 | |
장가오리 | |
양슝 | |
한정 | [13] |
쩡페이옌 | |
후이량위 | |
류치 | |
화젠민 | |
우관정 |
멍젠주는 저우융캉의 후임으로 상하이에서 요직을 역임했지만, 장쩌민과 긴밀한 관계가 없어 일반적으로 상하이방으로 언급되지 않는다. 주룽지 전 총리 역시 상하이에서 경력을 쌓았지만, 장쩌민과 개인적으로 밀접한 관계는 아니었다.
상하이방은 사상적인 집단이라기보다는 1990년대 이후 개혁개방으로 은혜를 받은 기득권층에 가까웠다. 장쩌민 은퇴 후 구성원 대부분이 후진타오 파로 전향하여 점차 축소되었고, 2006년 천량위의 실각으로 운명이 결정되었다. 쩡칭훙은 장쩌민을 버리고 자오쯔양의 임종에 달려가는 등 독자적인 파벌을 형성하여 현재도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
3. 2. 기타 인물
- 贾廷安|자팅안중국어: 장쩌민의 비서 출신으로, 장쩌민의 측근으로 활동했다.[1]
- 陈至立|천즈리중국어: 장쩌민의 측근으로, 여성 정치인이다. 교육부장 등을 역임했다.[2]
- 回良玉|후이량위중국어: 장쩌민 집권 당시 농업 분야에서 활동했다. 후이족 출신이다.[3]
- 唐家璇|탕자쉬안중국어: 장쩌민 집권 시기 외교부장, 국무위원을 역임하며 외교 분야에서 활동했다.[4]
- 华建敏|화젠민중국어: 장쩌민 집권 시기 국무위원을 역임했다.[5]
- 张文康|장원캉중국어: 장쩌민의 주치의 출신으로, 위생부장 등을 역임했다.[6]
- 孙家正|쑨자정중국어: 장쩌민 집권 시기 문화부장 등을 역임했다.[7]
- 刘淇|류치중국어: 장쩌민 집권 시기 베이징 시장을 역임했다.[8]
- 白克明|바이커밍중국어: 장쩌민 집권 시기 허베이성 서기를 역임했다.[9]
- 周明伟|저우밍웨이중국어: 장쩌민 집권 시기 대외선전 분야에서 활동했다.[10]
- 王光涛|왕광타오중국어: 장쩌민 집권 시기 건설부장 등을 역임했다.[11]
- 杜青林|두칭린중국어: 장쩌민 집권 시기 농업부장, 쓰촨성 서기 등을 역임했다.[12]
- 曹建明|차오젠밍중국어: 장쩌민 집권 시기 최고인민검찰원 검찰장을 역임했다.[13]
4. 평가 및 비판
상하이방은 사상적인 집단이라기보다는 1990년대 이후 개혁개방으로 혜택을 받은 기득권층에 불과하다는 평가가 있다.[1] 장쩌민 은퇴 후 구성원 대부분이 후진타오 파로 전향하면서 점차 축소되었고, 2006년 9월 천량위가 실각하면서 그 운명이 결정되었다.[1]
4. 1. 부정적 평가
쩡칭훙은 천안문 사건 직후 중앙판공청 부주임에 임명되어 장쩌민의 오른팔로서 정적을 제거하고 그의 지위를 확고히 했다.[1] 1992년부터 1997년까지 제14기에는 중앙위원 후보에 불과했지만, 중앙판공청 주임에 취임한 1997년부터 2002년까지 제15기에는 정치국 위원 후보, 장쩌민이 은퇴한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제16기에는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맹렬한 속도로 출세해 갔다.[1]하지만 상하이방은 사상적인 집단이 아니라 1990년대 이후의 개혁개방으로 은혜를 받은 기득권층에 불과했고, 편의상 상하이방으로 불린 사람도 많았다. 장쩌민 은퇴 후 구성원의 대부분이 후진타오 파에 "전향"하여 점차 축소되었고, 2006년 9월 천량위가 실각하면서 운명이 결정되었다.[1] 특히, 쩡칭훙은 자신을 중앙군사위원회에 꽂지 못한 장쩌민을 버리고 장쩌민의 정적이자 전임 총서기였던 자오쯔양의 임종에도 달려갔다.[1] 또한, 스스로 파벌을 형성하여 현재도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1]
5. 다른 정치 파벌과의 관계
6·4 천안문 사건 이후 장쩌민이 총서기로 취임한 이유 중 하나는 중앙에서의 연고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앙에 진출한 후 기반이 없던 장쩌민은 상하이 시절 부하들을 중앙으로 진출시킨 것으로 보인다.
상하이방의 구성원은 상하이 시 당서기 시절 부하와 총서기 취임 이후로 나뉜다. 전자는 우방궈, 쩡칭훙, 황쥐, 천즈리, 천량위가 해당되며, 후자는 자칭린, 리창춘, 우관정, 류치, 쩡페이옌, 장더장, 저우융캉, 류윈산, 후이량위, 한정, 화젠민 등으로 추정된다. 장쩌민이 상하이 시 당서기 시절 시장이었던 주룽지는 상하이방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1]
다른 정치 파벌로는 공청단(단파)과 베이징 방이 있었다. 공청단(단파)에는 후진타오, 원자바오, 리커창, 자오쯔양, 후야오방, 후치리, 후춘화가 있으며, 베이징 방에는 천시퉁, 왕바오썬이 있다.[1]
참조
[1]
서적
China's Leadership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Rise of the Fourth Gener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
간행물
The "Shanghai Gang": Force for Stability or Cause for Conflict?*
https://www.hoover.o[...]
Hoover Institution
2002-04-30
[3]
웹사이트
This is how Xi Jinping gang sidelined CCP deep factions
https://theprint.in/[...]
2022-07-27
[4]
웹사이트
分析:习近平欲清盘"上海帮"?
https://www.bbc.com/[...]
2014-09-23
[5]
웹사이트
江澤民退休十餘年 「上海幫」已成明日黃花?
https://www.hk01.com[...]
2023-12-02
[6]
뉴스
Top China leader fired for graft
http://news.bbc.co.u[...]
BBC
2006-09-25
[7]
웹사이트
RFI - 中国国务院副总理黄菊病逝,上海帮势力消长引人关注
http://www1.rfi.fr/a[...]
2023-12-02
[8]
웹사이트
上海申能副总王维工被捕_国内财经_新浪财经_新浪网
http://finance.sina.[...]
2023-12-02
[9]
웹사이트
胡錦濤鞏固權力,持續對決江澤民的「上海幫」|天下雜誌
https://www.cw.com.t[...]
2023-12-02
[10]
웹사이트
江澤民上海幫 習近平獵物 - 國際
https://news.ltn.com[...]
2014-08
[11]
웹사이트
中央第四巡视组巡视上海市工作动员会召开————要闻——中央纪委国家监委网站
https://www.ccdi.gov[...]
2023-12-02
[12]
뉴스
One party, two coalitions - China's factional politics
https://edition.cnn.[...]
CNN
[13]
웹사이트
Shanghai mayor Han Zheng at the crossroads
http://www.scmp.com/[...]
2012-09-22
[14]
서적
China's Leadership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Rise of the Fourth Generation
Routledge
[15]
뉴스
One party, two coalitions - China's factional politics
https://edition.cnn.[...]
CN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