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쥐는 상하이에서 태어나 칭화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상하이에서 기술자로 시작하여 공장 당무에 참여했으며, 상하이 시 정부에서 여러 요직을 거쳐 상하이 시장과 시 당 서기를 역임했다. 장쩌민의 후원을 받아 상하이 정계에서 성장했으며, 푸둥 신구 개발을 주도했다. 2002년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었고, 2003년 국무원 상무부총리에 취임하여 경제, 금융 등을 담당했다. 2006년 췌장암 진단을 받고 투병하다가 2007년 사망했다. 그는 긍정적 평가와 함께, 부동산 및 상하이 연금 스캔들과 관련된 부정적 평가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하이 시장 - 장쩌민
    장쩌민은 1989년부터 2002년까지 중국 공산당 총서기를 역임하고 1993년 국가주석에 취임하여 13년간 중국 최고 지도자로 집권하면서 사회주의 시장경제로의 이행과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빈부격차, 부정부패, 환경오염 등의 문제와 파룬궁 탄압 논란도 있었다.
  • 상하이 시장 - 한정
    중화인민공화국 정치인 한정은 상하이시 시장과 당 서기를 거쳐 국무원 부총리를 역임하고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부주석을 맡고 있으며, 상하이 방파의 일원으로서 시진핑 지도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 자싱시 출신 - 마오둔
    마오둔은 중국 근현대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중국 공산당의 중요 인물로서,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을 통해 중국 현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에는 문화 정책을 이끌고 그의 업적을 기리는 마오둔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자싱시 출신 - 천싱선
    천싱선은 중국 출신의 수학자로, 미분기하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천-가우스-보네 정리 등을 통해 1975년 미국 과학상, 1983년 울프 수학상을 수상하고, 수학 과학 연구소(MSRI)를 설립하여 중국 수학 발전에 기여했다.
  • 칭화방 - 시진핑
    시진핑은 2012년부터 중국 최고지도자로, 반부패 운동 추진, '중국몽' 제시, 국가주석 임기 제한 철폐 및 '시진핑 사상' 당헌 명기 등을 통해 장기 집권 기반을 마련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 칭화방 - 후진타오
    후진타오는 칭화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공산당에서 경력을 쌓아 덩샤오핑 등의 지지로 최연소 상무위원이 되었으며, 장쩌민의 뒤를 이어 중국공산당 총서기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을 역임하면서 베이징 올림픽 개최와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황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황쥐
원어 이름}}
출생일1938년 9월 28일
출생지상하이 프랑스 조계, (현재의 중국 상하이)
사망일2007년 6월 2일
사망지베이징, 중국
정당중국 공산당 (1966–2007)
배우자위 후이원
자녀아들 1명, 딸 1명
직책
총리원자바오
임기 시작2003년 3월 17일
임기 종료2007년 6월 2일
이전리란칭
이후우이 (대행)
임기 시작1994년 9월 28일
임기 종료2002년 10월 22일
부서기쉬쾅디 (시장)
이전우방궈
이후천량위
임기 시작1991년 4월 29일
임기 종료1994년 2월 24일
지도자우방궈 (당 서기)
이전주룽지
이후쉬쾅디
학력
출신 학교칭화 대학

2. 초기 생애 및 경력

황쥐는 1938년 9월 상하이에서 5남매 중 둘째로 태어났다. 본적은 저장성 자싱시 자산현이며, 원래 이름은 황덕욱(黄徳鈺)이다. 어린 시절에는 저장성에서 오랜 시간을 보냈으며, 1944년부터 1950년까지 저장성 자산 이산소학교(浙江嘉善益善小学)와 치동소학교(启东小学)를 다녔다. 이후 1950년부터 1956년까지 자산 제2중학교(嘉善二中)와 자싱 제1중학교(嘉兴一中)에서 고등학교 과정을 마쳤다.

1956년부터 1963년까지 칭화대학교 전기공학부에서 수학했으며, 졸업 후 상하이의 공장에서 기술자로 근무했다. 1966년에는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2] 이후 공장 관리직을 거쳐 당무에 참여하게 되었고, 1982년 상하이시 제1기전공업국 부국장으로 임명되었다.[3]

이듬해인 1983년, 상하이시 당위원회 상무위원 겸 시위 공업공작당위 서기로 승진하며 본격적인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1984년에는 시 당위 서기장을 겸임했고, 1985년에는 상하이시 당위 부서기, 1986년에는 상하이시 부시장을 겸임했다. 이 시기 황쥐는 당시 상하이 시장이었던 장쩌민에게 충실히 봉사하며 정치적 입지를 다졌다.

2. 1. 초기 경력

1963년 칭화대학교 전기공학부를 졸업한 후, 상하이 인조판 기계공장(上海人造板机器厂) 주조 부서에서 기술원으로 근무하며 경력을 시작했다 (1963년 ~ 1967년).[2][3] 1966년에는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2]

1967년부터 1982년까지는 상하이 중화야금공장(上海中华冶金厂)에서 근무했다. 처음에는 동력 부서 기술원으로 일하며 생산 당 그룹 부책임자를 맡았고(1967년 ~ 1977년), 문화대혁명 기간에는 공장의 혁명위원회 부주임과 공장 부장을 역임했다. 이후 1977년부터 1980년까지는 엔지니어로 근무했다.[3]

기술자로서 경력을 쌓던 황쥐는 점차 관리직으로 이동했다. 1980년부터 1982년까지 상하이 석유화학 일반기계회사(上海市石化通用机械制造公司) 부매니저를 역임했고,[3] 1982년부터 1983년까지는 상하이 제1기계전기공업국(上海市第一机电工业局) 부국장을 지냈다.[3] 이 시기를 거치며 공장의 기술자에서 시작하여 시의 주요 공업 부문을 관리하는 위치까지 올랐다.

3. 상하이 정치

황쥐는 1980년대 초부터 상하이시 정부에서 경력을 쌓기 시작하여[4] 시 당위원회 상무위원, 서기장, 부서기 등 여러 주요 직책을 거쳤다. 그는 당시 상하이 시장이었던 장쩌민에게 충성을 다하며 신임을 얻었다. 1987년 상하이 시장 후보로 추천되었으나 시 인민대표대회에서 득표수가 부족하여 낙선하고 주룽지가 시장으로 선출되었다.[4]

이후 주룽지우방궈가 중앙 정부로 이동하면서 황쥐는 1991년 상하이 시장, 1994년에는 상하이시 당위원회 서기 겸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으로 승진했다.[4] 이러한 그의 정치적 성장은 장쩌민의 강력한 후원이 있었기에 가능했으며, 황쥐는 장쩌민의 핵심 측근 중 한 명으로 여겨졌다.[4] 황쥐는 2002년 10월까지 상하이시 당서기직을 유지하며 장기간 상하이 정치의 실권을 장악하고 장쩌민을 지지하는 기반을 다졌다.

상하이 재임 시절, 그는 시 당 조직을 장악했으며,[5] 푸둥 신구 개발과 같은 경제 성장을 이끌어 상하이 주민들의 소득 증대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6] 그러나 그의 리더십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며, 일부에서는 상하이의 성공을 주룽지나 쉬광디의 공으로 돌리기도 한다.[7] 특히 대중적 인기가 높았던 쉬광디 시장을 견제하고 비판하면서 시민들 사이에서 평판이 나빠지기도 했다.[7] 황쥐는 상관과의 관계 형성에 능숙하다는 평판도 있었다.[4] 그의 후임인 천량위와 장쩌민은 황쥐가 상하이의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4]

3. 1. 주요 직책

1983년부터 1984년까지 상하이시 당위원회 상무위원 겸 공업사무위원회 서기를 역임했고, 1984년부터 1985년까지는 상하이시 당위원회 서기장을, 1985년부터 1986년까지는 선전 담당 부서기장을 지냈다.[4] 1986년에는 상하이시 부시장을 겸임했다. 당시 상하이 시장이었던 장쩌민에게 충실히 봉사하며 그의 신임을 얻었다.[4]

1987년, 장쩌민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상하이시 당위 서기로 승진하면서 황쥐는 후임 상하이 시장 후보로 추천되었으나, 시 인민대표대회에서 득표수가 부족하여 낙선했다. 대신 당 중앙의 결정에 따라 주룽지가 시장으로 선출되었다.[4]

1991년, 주룽지국무원 부총리로 임명되자 황쥐는 상하이 시장으로 승격했다. 1994년 9월, 제14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에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같은 해 우방궈가 부총리가 되면서 그의 뒤를 이어 상하이시 당위원회 서기로 취임하여 2002년 10월까지 재임했다.[4] 황쥐의 이러한 승진 배경에는 장쩌민의 강력한 후원이 있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장쩌민은 1989년 톈안먼 사건 이후 당 총서기가 되기 전까지 상하이시 당 서기를 역임했으며, 황쥐는 장쩌민의 상하이 시절 가장 신뢰받는 측근 중 한 명이었다.[4] 황쥐는 장쩌민의 후원에 대해 매우 감사했다고 전해지는데, 상하이 시장 재임 중 뉴욕 출장 시 공항을 나서자마자 곧바로 장쩌민의 아들 장몐헝과 함께 만찬을 즐겼다는 일화도 있다.[9]

2002년 11월, 제16기 1중전회에서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어 최고 지도부에 진입했다. 이듬해 2003년 3월에는 국무원 상무부총리에 취임하여 공업, 경제, 국방과학기술, 노동, 사회보장, 철도, 통신산업, 금융, 민간항공 등 주요 분야를 담당했다. 후진타오 지도부 하에서도 황쥐는 자칭린과 함께 장쩌민에게 충성하는 입장을 유지했다.

아래는 황쥐의 주요 직책을 요약한 표이다.

연도직책
1983년상하이시 당위원회 상무위원, 시 공업공작당위 서기
1984년상하이시 당위원회 상무위원, 시 당위원회 서기장
1985년상하이시 당위원회 부서기
1986년상하이시 부시장 (겸임)
1987년상하이 시장 후보 추천 (낙선, 주룽지 선출)
1991년상하이 시장 (주룽지 후임)
1994년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상하이시 당위원회 서기 (우방궈 후임)
2002년중앙정치국 상무위원
2003년중앙정치국 상무위원, 국무원 상무부총리


3. 2. 장쩌민과의 관계

황쥐의 상하이 정계에서의 부상은 주로 장쩌민(江澤民)의 후원 덕분이었다. 장쩌민은 1989년 천안문 사건 이후 총서기로 임명되기 전까지 상하이시 당위원회 서기를 역임했는데, 황쥐는 당시 장쩌민이 가장 신뢰하는 측근 중 한 명으로 여겨졌다. 장쩌민이 당의 최고 지도자가 되면서 황쥐가 당 내에서 더 높은 지위에 오를 수 있는 길이 열렸다.[4] 황쥐는 장쩌민을 중심으로 한 정치 세력인 상하이방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으로 꼽힌다.

황쥐는 장쩌민의 후원에 대해 매우 감사하게 생각했다고 전해진다. 일례로 상하이 시장 재임 중 미국 뉴욕으로 출장을 갔을 때, 공항에 도착하자마자 장쩌민의 아들인 장몐헝(江綿恒)과 만나 저녁 식사를 함께 했다고 한다.[9]

황쥐는 상하이에서 오랫동안 주요 직책을 맡으면서 장쩌민을 지지하는 정치적 기반을 다졌다. 이후 후진타오(胡錦濤)가 집권한 시기에도 자칭린(賈慶林)과 함께 장쩌민에게 충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황쥐가 상하이시 당서기를 지내는 동안 그의 후임인 천량위(陳良宇)와 장쩌민 모두 황쥐의 시대를 칭찬하며, 황쥐가 상하이의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4]

3. 3. 상하이 시장 및 당 서기 시절 업적과 논란

황쥐는 주룽지의 뒤를 이어 1991년 상하이 시장이 되었고, 우방궈가 부총리가 된 후 1994년에는 상하이시 당서기로 임명되어 2002년 10월까지 재임했다.[4] 1994년에는 중앙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그의 정치적 성장은 장쩌민 전 상하이시 당서기의 강력한 후원에 힘입은 바가 컸으며, 장쩌민의 가장 신뢰받는 측근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4] 황쥐는 장쩌민의 후원에 매우 감사했으며, 상하이 시장 재임 중 미국 뉴욕 출장 시 공항을 나서자마자 장쩌민의 아들 장몐헝과 만찬을 가졌다는 일화가 있다.[9]

그는 상하이시 당 조직을 이끌었으며,[5] 재임 기간 동안 푸둥 신구가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었고 상하이 주민들의 소득이 증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6] 황쥐의 후임인 천량위와 장쩌민 역시 황쥐가 상하이의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4]

그러나 상하이의 경제 성장은 주룽지나 쉬광디 시장의 공으로 돌리는 시각도 많으며,[7] 황쥐는 20세기 후반 상하이 시장들 중 인기가 낮은 편이었다. 특히 대중적 인기가 높았던 쉬광디 시장을 견제하고 비판하면서 시민들 사이에서 평판이 나빠지기도 했다.[7] 그는 상관들과의 관계를 잘 관리하는 능력으로 정계에서 평판을 얻기도 했다.[4]

재임 중 여러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그의 아내 유회문(兪慧文)과 측근들이 기업 재벌들로부터 기부금을 받아 자금 세탁을 목적으로 하는 자선단체를 설립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으며,[8] 상하이 부동산 스캔들과[9] 상하이 연금 기금 횡령 의혹에도 연루되었다.[5] 또한 그의 형제가 푸둥 개발 회사 고위직에 있으면서 공금을 유용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10]

3. 3. 1. 부동산 스캔들

황쥐는 상하이의 기업 재벌 중 한 명인 주정의(周正毅)가 연루된 상하이 부동산 스캔들에 연루된 것으로 여겨진다.[9] 그는 상하이 부동산 시장의 급성장 속에서 독과점을 억제하기 위한 조치를 거의 취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았다. 신축 공사를 위해 주민들이 보상을 거의 받지 못하거나 전혀 받지 못한 채 삶의 터전에서 쫓겨나면서 주민들의 공개적인 항의가 발생하기도 했다. 주정의는 결국 여러 건의 사기 혐의로 기소되었지만, 3년의 징역형이라는 비교적 가벼운 처벌을 받았는데, 분석가들은 이것이 황쥐가 시 당국에 영향력을 행사한 결과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9]

3. 3. 2. 상하이 연금 스캔들

황쥐의 아내 유회문(兪慧文)은 상하이 연금 기금을 관리했으며, 연금 기금 횡령 의혹의 중심 인물이었던 장룽쿤(張榮坤)과 관련이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5]

4. 중앙 정치 진출

장쩌민 총서기가 2002년 당 지도부에서 물러나고 후진타오가 이끄는 새로운 세대로 권력이 넘어갈 예정인 가운데, 중국 공산당 제16차 전국대표대회를 앞두고 장쩌민은 자신의 측근들을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에 진출시키려 노력했다. 황쥐는 상하이시 당서기 등 오랜 기간 상하이에서 요직을 역임하며 장쩌민의 핵심 지지 기반 역할을 했다.

처음에는 딩관건의 후임으로 중앙선전부장직이나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직 등이 거론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상무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4] 그의 중앙 진출은 상하이 시절의 좋지 않은 평판과 장쩌민과의 개인적인 관계로 인한 것이라는 비판과 논란이 있었다.[9] 실제로 그는 1997년 제15기 중앙위원회 선거와 2002년 제16기 중앙위원회 선거에서 모두 최저 수준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내 지지 기반이 취약함을 드러냈다.[11][12] 당시 퇴임하는 총리였던 주룽지 역시 황쥐의 승진에 반대했던 것으로 알려졌다.[4]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2002년 11월 15일 황쥐는 공식적으로 9명으로 구성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어, 자칭린, 쩡칭훙, 리창춘 등 다른 장쩌민계 인사들과 함께 최고 지도부에 합류했다. 이로써 그는 상하이를 기반으로 활동하던 지역 정치인에서 중국 정치의 핵심부로 진입하게 되었다.

4. 1. 국무원 상무부총리

장쩌민 총서기는 2002년 당 지도부에서 물러날 예정이었고, 후진타오 주석과 원자바오 총리가 이끄는 후진타오-원자바오 체제로 권력이 이양될 예정이었다. 장쩌민은 중국 공산당 제16차 전국대표대회를 앞두고 자신의 측근들을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에 진출시키려 노력했다. 황쥐는 처음에는 딩관건의 후임으로 중앙선전부장직을 제안받았으나 거절했다.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직 역시 제안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리란칭의 뒤를 이어 원자바오 총리를 보좌하는 국무원 상무부총리 겸 상무위원으로 임명되었다.[4]

황쥐의 임명은 상하이 시절의 부정적 평판, 강한 당파성, 그리고 장쩌민과의 관계로 인한 특혜 승진이라는 인식 때문에 논란이 되었다.[9] 당시 퇴임하던 주룽지 총리는 상하이에서 황쥐와 함께 일했지만 그의 승진에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4] 실제로 황쥐는 1997년 제15기 중앙위원회 선거에서 2,074표 중 1,455표의 찬성만을 얻었으며,[11] 약 300표의 반대표를 받아 중국 정치에서는 이례적으로 낮은 지지율을 보였다. 2002년 중앙위원회 선거에서도 최저 득표율을 기록하여 상무위원회 진입이 불투명할 정도였다.[12]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2년 11월 15일 제16기 1중전회에서 9명의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 중 한 명으로 공식 임명되었고, 자칭린, 쩡칭훙, 리창춘 등 다른 장쩌민계 인사들과 함께 최고 지도부에 합류했다. 이듬해인 2003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국무원 상무부총리로 정식 임명되었다.

그의 상무부총리직은 이전의 야오이린, 주룽지, 리란칭 등 전임자들에 비해 실권이 거의 없는 명목상의 직책으로 여겨졌다. 공식 업무는 재정과 금융을 감독하는 것이었다.[4] 황쥐는 중앙재경영도소조의 위원으로도 활동했다. 후진타오 지도부 하에서도 자칭린과 함께 장쩌민에게 충성했다.

2006년, 그의 측근이었던 천량위가 상하이 연금 스캔들과 관련하여 부패 혐의로 조사를 받게 되면서 황쥐의 정치적 운명은 불확실해졌다. 당시 황쥐는 이미 건강 악화로 공식 석상에 모습을 잘 드러내지 않았으며, 황쥐가 이 스캔들에 연루되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었다.[13]

5. 투병과 사망

2006년 초부터 황쥐의 건강 이상설이 제기되었으며, 홍콩 언론을 중심으로 그가 췌장암을 앓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14][15] 이후 투병 생활을 이어가면서 건강이 악화되어 공식 활동에 제약을 받았고, 여러 차례 사망설이 제기되기도 했다.[16][21][22] 그는 2007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에 허약한 모습으로 참석한 것을[13] 마지막으로 공식 석상에서 모습을 감추었으며, 같은 해 6월 2일 베이징의 301 군 병원에서 췌장암으로 사망했다.[19][25] 향년 68세였다.

5. 1. 투병 과정

2006년 초, 황쥐의 건강 이상설이 불거졌다. 1월 주요 회의 불참 이후, 2월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언론에서 그가 췌장암을 앓고 있으며 사퇴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14][15] 일부 정부 관계자들은 그가 췌장암을 앓고 있다고 언급했지만, 당시 중국 공산당은 그의 병명을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3월 한때 위독설이 돌았으나[16] 6월 5일 베이징에서 열린 과학기술 포럼에 참석하며 건재를 과시했다.[17]

그러나 같은 해 9월 24일, 상하이시 당 서기 천량우(陳良宇)가 상하이시 사회보험기금 사건과 관련하여 해임되면서, 황쥐 역시 아내, 동생 및 관련 기업과의 불투명한 관계에 대한 의혹에 휩싸였다. 10월 말부터 "시찰 활동" 명목으로 상하이에 장기 체류하며 11월 베이징시 인민대표 선거에도 불참하자, 정치 생명이 사실상 끝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2007년 들어 황쥐의 건강은 급격히 악화되었다. 1월 1일 전국정치협상회의 신년 다례회 불참을 시작으로,[18] 같은 달 5일 국유기업(SOE) 경영진 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한 이후[18] 중앙 금융업무 회의와 당 원로 보이보(薄一波)의 장례식에도 참석하지 못했다.[19] 이는 그의 건강 상태가 공식 업무 수행을 불가능하게 할 정도로 심각하다는 추측을 낳았다. 홍콩 언론은 그가 상하이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고 추측했다. 이미 1월에 금융 업무 감독 역할은 총리 웬자바오(溫家寶)에게 이관된 상태였다.[18]

2007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에 마지막으로 모습을 드러냈으나 눈에 띄게 허약한 모습이었다.[13] 정부는 그의 사퇴 요청을 공식적으로는 거부했지만, 그의 직무는 사실상 의례적인 것으로 축소되었다. 이후 공식 석상에서 사라졌고,[20] 4월 상하이를 떠나 베이징 301 군 병원에 입원했으나 상태는 계속 나빠졌다.[19]

5월 초, 황쥐의 사망설이 보도되었으나 오보로 밝혀졌다. 당국은 추가적인 추측을 막기 위해 5월 9일 그가 입원한 301 군 병원 일부를 폐쇄하고 관련 보도를 신화통신사의 공식 발표로 제한하는 등 언론 통제를 강화했다.[21][22] 이후에도 두 차례 더 사망 오보가 나왔으며, 일각에서는 그의 투병 상황이 인터넷상에서 사회·정치적 불만을 표출하는 통로로 이용되었다는 분석도 제기되었다.[23] 와병 중임에도 5월 29일 제17차 당 대회 상하이 대표로 선출되었으나,[24] 결국 2007년 6월 2일 베이징 시내 병원에서 췌장암으로 사망했다. 향년 68세였다.

5. 2. 사망

2006년 2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황쥐가 중병을 앓고 있으며 사퇴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일부 정부 관계자들은 그가 췌장암을 앓고 있다고 전했으나, 당시 당국은 그의 병명을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았다.[14][15] 같은 해 3월 17일에는 그가 임종 직전이라는 소식이 전해졌지만,[16] 6월 5일 베이징에서 열린 과학기술 포럼에 참석하면서 임박한 죽음에 대한 추측은 잠시 수그러들었다.[17]

2007년 1월 5일, 국유기업 경영진 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한 이후, 같은 달 말 열린 중앙 금융업무 회의에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18] 또한 고인이 된 당 원로 보이보(薄一波)에게 조의를 표했으나, 상무위원으로서 참석이 예상되었던 장례식에는 불참했다. 이러한 불참은 그의 건강 상태가 위중하여 공식 업무 수행이 어렵다는 추측을 낳았다.[19] 홍콩 언론은 그가 상하이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고 추측하기도 했다. 황쥐는 2007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에 허약한 모습으로 나타났으며,[13] 정부는 그의 사퇴 요청을 거부했지만, 이후 그의 직책은 사실상 의례적인 것이 되었다. 그는 이미 1월에 금융 업무 감독 역할을 총리 웬자바오(溫家寶)에게 넘겨준 상태였다.[18] 2007년 3월 이후 황쥐는 대중의 시야에서 완전히 사라졌고,[20] 4월에는 상하이를 떠나 베이징의 301 군 병원에 입원했으며, 이후 그의 건강 상태는 계속 악화되었다.[19]

5월 초, 일부 언론에서 황쥐의 사망을 보도했으나 이는 오보로 밝혀졌다. 추측을 잠재우기 위해 5월 9일 당국은 301 군 병원의 남서쪽 병동을 폐쇄하고, 텔레비전과 인터넷에서 황쥐 관련 모든 뉴스는 신화통신사의 공식 발표만을 따르도록 지시했다.[21][22] 이후에도 그의 사망에 대한 허위 보도가 두 차례 더 있었으며, 일각에서는 그의 병이 인터넷 사용자들이 사회적, 정치적 불만을 표출하는 기회로 이용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23] 활동이 불가능한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황쥐는 5월 29일 제17차 당 대회에 상하이 지역 대표 중 한 명으로 선출되었다.[24]

2007년 6월 2일 오전 2시 3분, 황쥐는 베이징에서 췌장암으로 사망했다. 향년 68세였다.[25] 그의 사망 소식은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사망 몇 시간 후(베이징 시간 오전 6시 30분경) 중국어와 영어로 동시에 국내외에 전파되었다.[23] 중국 관영 통신사인 신화사는 황쥐가 68세의 나이로 알려지지 않은 질병으로 사망했다고 보도했으며,[25] 국영 뉴스 프로그램인 신문롄보(Xinwen Lianbo)는 이를 최대 뉴스로 다루며 검은 정장을 입은 앵커가 155자의 간결하고 침착한 어조로 소식을 전달했다. 화면에는 "황주 동지가 서거하셨습니다"라는 자막만 표시되었다.[23]

간결한 공식 부고에서 그는 "오랫동안 검증된 충실한 공산주의 투사이자 당과 국가의 뛰어난 지도자"로 칭송받았다.[26][27] 이는 중국 공산당의 고위 지도자들에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후 칭호였다. 중국 관영 매체는 황쥐를 "당과 국가 발전에 헌신하고 모든 지적 능력과 힘을 그 대의에 바친 후진타오(Hu Jintao) 총서기 휘하 중앙위원회 지도부의 중요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공식 영상에서는 전 당 총서기 장쩌민(江沢民)이 황쥐의 미망인 위후이웬(Yu Huiwen)의 손을 잡고 눈물을 흘리는 모습이 방영되었다.[28]

황쥐의 사망을 보도하는 웹사이트에서는 관련 토론이 금지되었고, 인터넷 포럼에서는 그의 정치 생활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이나 추측이 검열되었다.[23] 그가 시장을 역임했던 상하이에서는 그의 사망에 대한 반응이 비교적 차가웠다.[29] 상하이 시민들 사이에서 황쥐는 역대 시장 중 주룽지(朱鎔基)나 쉬광디(Xu Kuangdi)에 비해 낮은 평가를 받았으며, 그의 사망에 대해 공개적으로 애도를 표하는 행사는 없었다.[23]

황쥐는 1976년 9월 마오쩌둥(毛澤東) 주석 사망 이후 30년 만에 재직 중 사망한 최초의 정치국 상무위원이었으며, 1978년 경제 개혁 이후 재직 중 사망한 최고위급 공산당 지도자였다. 또한 역대 부총리 중 재직 중에 사망한 유일한 인물이기도 하다.[24]

5. 3. 장례

황쥐(黃菊)의 장례식은 1997년 덩샤오핑의 국장 이후 중국공산당 지도자 사망에 대한 최고위급 의례 중 하나로 주목받았다.[30] 2007년 6월 5일 저녁 7시 CCTV의 ''신문련보'' 전국 뉴스 방송에서 톱 뉴스로 다루어졌으며, 30분 프로그램 중 10분 이상을 할애했다.[30]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황쥐의 장례식은 이전 지도자들의 장례식보다 눈에 띄게 간소화되었다.[30] 고인이 된 지도자들에게 사용되던 공식적인 "장례식"(追悼会|zhuidaohuizho)이라는 명칭 대신 "송별식"(告别仪式|gaobie yishizho)이라고 불렸다.[30] 분석가들은 황쥐의 장례식이 향후 다른 지도자들의 장례식을 간소화하는 선례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30]

일반적으로 엄격한 의전 규칙과 달리, 장례식 뉴스 보도에서는 후진타오가 아닌 쩡칭훙이 병원에서 황쥐의 장례 행렬을 기다리는 모습으로 시작되었다.[30] 장례식에는 총서기 겸 국가주석 후진타오, 총리 원자바오, 전 최고지도자 장쩌민, 전 총리 주룽지를 포함한 모든 최고위급 중국 지도자들이 참석했다.[30]

6. 정치적 유산 및 평가

황쥐는 사후 "중국 공산당의 뛰어난 당원이자, 오랫동안 시험받은 공산주의 사업의 충실한 투사이며, 당과 국가의 특출한 지도자"로 공식 추모되었다. 그의 상하이 재임 기간은 높은 경제 성장과 도시 기반 시설의 극적인 변화로 요약되며, 특히 푸둥 지역 개발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35] 2012년에는 그의 업적을 기리는 사진집 ''황주''가 발간되기도 했다.[35]

그러나 황쥐는 재임 중 상당한 비판에도 직면했다. 특히 부동산 거물 주정이에게 "정치적 보호"를 제공하여 불법적인 개발 사업을 방조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으며,[32] 이와 관련된 강제 퇴거 문제[32] 및 수사 방해 의혹[34] 등은 그의 정치적 유산에 논란을 남겼다.

6. 1. 긍정적 평가

황쥐는 상하이시 당 서기 재임 시절 시 당 조직을 이끌었으며,[5] 상하이 주민들의 소득 증대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그가 재임하던 시기에 푸둥 신구는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었다.[6] 상하이의 성공을 주룽지나 쉬광디의 공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7] 황쥐의 후임자인 천량위와 그의 정치적 후원자였던 장쩌민은 황쥐가 상하이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4]

사후 황쥐는 "중국 공산당의 뛰어난 당원이자, 오랫동안 시험받은 공산주의 사업의 충실한 투사이며, 당과 국가의 특출한 지도자"로 불리며 중국 공산당 고위 간부에게 주어지는 최고의 영예로 공식 추모되었다. 그의 상하이 재임 기간은 높은 경제 성장과 도시 스카이라인 및 기반 시설의 극적인 변화로 요약된다. 일부 상하이 주민들과 정치 평론가들은 황쥐가 특히 푸둥 지역 개발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고 평가한다.

2012년 12월, 상하이 인민출판사에서는 그의 업적을 기리는 사진집 ''황주''가 발간되었다. 장쩌민이 직접 쓴 제목 글씨가 담긴 이 책에는 황쥐의 어린 시절부터 부총리 시절까지의 사진이 실렸다. 당시 상하이 당 서기였던 한정이 출판 기념 행사에 참석했는데,[35] 이는 황쥐에 대한 공식적인 긍정 평가가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6. 2. 부정적 평가

황쥐는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의 후원으로 정치적으로 성장했으며, '상하이방'의 핵심 인물로 여겨졌다.[4] 이 때문에 파벌 정치의 중심에 있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장쩌민에 대한 그의 충성심은 상하이 시장 시절 뉴욕 방문 시 공항 도착 직후 장쩌민의 아들 장몐헝(江綿恒)과 만찬을 한 일화에서도 드러난다.[9]

상하이 시민들 사이에서 황쥐는 20세기 후반 시장들 중 가장 인기가 없었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평판이 좋지 않았다.[7] 그는 당시 상하이 시장으로 인기가 높았던 쉬광디(徐匡迪)를 공개적으로 비판하고 그의 승진을 반대했으며,[7] 이는 시민들 사이에서 그의 명성을 더욱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었다.[4] 상하이 정계에서 그는 상관들과의 관계 형성에 능숙하다는 평을 받았다.[4]

황쥐는 재임 기간 동안 여러 부패 의혹에 연루되었다.

  • 자선 단체 자금 세탁 의혹: 1994년 상하이 당서기 임명 후, 그의 아내 유회문(兪慧文)과 천철제(陳鐵迪) 등 측근들이 기업들로부터 '기부금'을 받는 자선단체를 설립하여 자금 세탁에 이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8] 일부 자금은 실제 자선 사업에 사용되었으나 상당 금액의 행방이 묘연했으며, 황쥐의 권력이 가족의 비리를 묵인하는 배경이 되었다는 비판이 있다.[8]
  • 상하이 부동산 스캔들 연루: 상하이 부동산 재벌 주정이(周正毅)가 연루된 부동산 스캔들에 황쥐가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받았다. 황쥐는 부동산 시장 과열 속에서 독과점을 막기 위한 조치를 거의 취하지 않았고, 개발 과정에서 주민들이 제대로 된 보상 없이 강제 퇴거당하며 항의 시위가 발생하기도 했다.[9] 주정의는 사기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3년이라는 가벼운 형을 선고받았는데, 이는 황쥐가 시 당국에 영향력을 행사한 결과라는 분석이 제기되었다.[9] 황쥐 재임 시절 상하이의 주요 건설 프로젝트 42개 중 7개가 주정이에게 돌아갔으며,[33] ''위권'' 변호사 정은충 등은 황쥐가 주정이 사건의 추가 조사를 방해했다고 주장했다.[34] 중국어권 언론들은 황쥐가 주정이에게 "정치적 보호"를 제공했다고 추측했다.[32]
  • 상하이 연금 스캔들 연루 의혹: 황쥐의 아내 유회문은 상하이 연금 기금 운용에도 관여했으며, 기금 횡령 의혹의 중심인물인 장용군(張榮坤)과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받았다.[5]
  • 가족 비리: 황쥐의 형제 또한 푸둥 개발 회사 고위 임원으로 재직하며 공금을 유용한 혐의를 받았다.[10]


황쥐는 후진타오(胡錦濤) 주석과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등 당시 중앙 지도부와 대립각을 세우던 상하이방의 주요 인물로 간주되었다.[18] 일부에서는 그의 사망이 상하이 연금 스캔들에 대한 그의 책임을 묻는 것을 어렵게 만들고, 그와 그의 가족을 정치적 불명예에서 구제하여 당 지도부 내의 분열을 피하게 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31]

7. 가족 관계

상하이 연금위원회 간부였던 余慧文|위후이원중국어과 결혼했다. 그녀는 상하이에서의 부패 사건에 연루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1995년 2월, 그의 딸 黄凡|황판중국어(Daphne Huang영어)은 方李邦琴|팡리팡친중국어(Florence Fang영어)의 아들인 方以伟|팡이웨이중국어(James Fang영어)와 결혼했다.

참조

[1] 웹사이트 Huang Ju 黄菊 https://web.archive.[...] ChinaVitae 2006-09-27
[2]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People's Daily Online 2007-06-05
[3] 웹사이트 Comrade Wong Ju's biography https://web.archive.[...] 2006-09-27
[4] 뉴스 黄菊将升为政治局常委、国务院常务副总理 http://www.boxun.com[...] Boxun 2002-10-24
[5] 뉴스 Steering Shanghai's rapid rise was pinnacle for 'faithful fighter' 2007-06-03
[6] 뉴스 Citizens recall 'pragmatic cadre's' contributions 2007-06-03
[7] 뉴스 黄菊过世,上海人反应很冷漠 http://www.boxun.com[...] 中央社 via Boxun 2007-06-30
[8] 웹사이트 《人民日報》八股文頌黃菊,《官商竊國錄》揭黃家(圖) https://web.archive.[...] 2008-12-01
[9] 뉴스 黄菊之死 - 《华夏报》 http://www.boxun.com[...] Boxun 2013-06-11
[10] 웹사이트 Duowei: Huang's wife started a "officials' wives' club" http://www1.chinesen[...]
[11] 서적 China's Leaders: The New Generation https://archive.org/[...] Rowman and Littlefield Publishers Inc. 2001
[12] 뉴스 Exposé on 17th National Party Congress – democracy within the Party http://news.bbc.co.u[...] 2007-05-11
[13] 뉴스 Balance of power to shift with Huang's fate South China Morning Post 2007-05-10
[14] 뉴스 Ailing Chinese Vice Premier And Jiang Ally Dies in Beijing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07-06-02
[15] 뉴스 China Attributes Vice Premier's Absence to Unidentified Illness https://www.washingt[...]
[16] 뉴스 Huang Ju's pancreatic cancer advanced, enters Hospital 301 http://www.peacehall[...] Boxun.com 2006-03-18
[17] 뉴스 China vice-premier back in public eye after illness https://web.archive.[...] Reuters, Thanh Nien News 2006-06-05
[18] 뉴스 Shanghai clique takes another hit https://web.archive.[...] Asia Times 2007-01-27
[19] 뉴스 Beijing denies reports ailing leader is dead 2007-05-10
[20] 웹사이트 News reports of Huang Ju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2007-05-15
[21] 뉴스 Ming Pao 2007-05-10
[22] 뉴스 China denies death of vicepremier https://archive.toda[...] 2007-05-09
[23] 뉴스 Xinhua breaks with tradition to be the first to report leader's death 2007-06-03
[24] 뉴스 Long illness claims top party leader 2007-06-03
[25] 뉴스 Urgent: Chinese Vice-Premier Huang Ju dies of illness in Beijing http://news.xinhuane[...] Xinhua 2007-06-02
[26] 뉴스 Huang Ju, Powerful Chinese Official, Dies at 68 https://www.nytimes.[...] 2007-06-02
[27] 보도자료 Huang Ju tongzhi yinbing yizhi wuxiao zai Jing shishi https://web.archive.[...] 中国共产党新闻 2007-06-02
[28] 웹사이트 Former leader Jiang visibly shaken at Huang Ju's funeral http://www3.chinesen[...] Duowei News 2007-06-06
[29] 웹사이트 Huang Ju dies, Shanghai public has little sympathy http://www7.chinesen[...] Duowei News 2007-06-02
[30] 웹사이트 Huang Ju funeral simple affair http://www3.chinesen[...] Duowei News 2007-06-06
[31] 뉴스 徐才厚亮相已白头 处理或参照黄菊模式 http://china.dwnews.[...] 2014-01-21
[32] 뉴스 The Death of Huang Ju: Filling the Chinese Leadership Vacuum https://web.archive.[...] The Jamestown Foundation 2007-06-13
[33] 뉴스 周正毅被判16年,重了还是轻了?(陈破空) http://www.rfa.org/m[...] Radio Free Asia 2007-12-27
[34] 뉴스 郑恩宠和拆迁户联名举报黄菊 http://www.rfa.org/m[...] Radio Free Asia 2006-12-26
[35] 뉴스 《黄菊》画册出版座谈会举行 http://news.xinhuane[...] Xinhua News Agenc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