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샤페로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페로닌은 단백질이 제대로 접히도록 돕는 분자 샤페론의 일종이다. 도넛 모양의 구조를 가지며, 세균, 고세균, 진핵생물 등 모든 세포에서 발견된다. 샤페로닌은 크게 그룹 I (GroEL/GroES 시스템), 그룹 II (TRiC/열소체), 그리고 기타 계열로 분류되며, 각 그룹은 유기체 내 위치와 구조적 특징에 차이가 있다. 샤페로닌은 ATP 가수분해, 기질 단백질 및 코샤페로닌 결합을 통해 형태 변화를 겪으며, 단백질의 캡슐화 및 방출을 반복하여 폴딩을 촉진한다. 샤페로닌은 구조와 기능의 상동성을 유지하며, 박테리오파지 T4의 형태 형성, 레지오넬라 감염 등에 관여하는 등 임상적 의의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열충격단백질 - DNAJB6
    DNAJB6는 다양한 전사 변이체를 생성하고 Hsp70 샤페로닌과 상호 작용하여 단백질 접힘 및 항상성 유지, 폴리글루타민 응집과 아밀로이드 베타 42 응집 억제 기능을 하며, 돌연변이는 사지-어깨 거들 근이영양증 D1형을 유발할 수 있는 유전자이다.
  • 열충격단백질 - DNAJB1
    DNAJB1은 STUB1 및 HSPA4 단백질과 상호작용하여 세포 생존과 사멸에 영향을 미치며 세포 내 단백질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
  • 문라이팅 단백질 - 피루브산 카복실화효소
    피루브산 카복실화효소는 ATP를 사용하여 피루브산을 옥살로아세트산으로 전환하는 효소로, 포도당신생합성과 시트르산 회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아세틸-CoA에 의해 활성이 조절되고 결핍 시 젖산산증이나 저혈당증을 유발할 수 있다.
  • 문라이팅 단백질 - 알돌레이스
    알돌레이스는 과당 1,6-이중인산을 분해하는 반응 등을 촉매하며 해당과정, 포도당신생합성 등 다양한 대사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이다.
  • 단백질 접힘 - 알파폴드
    알파폴드는 딥마인드에서 개발한 단백질 구조 예측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아미노산 서열로부터 3차원 구조를 예측하며 높은 정확도로 신약 개발과 질병 연구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지만, 단백질 복합체 및 무질서 단백질 영역 예측에는 한계가 있다.
  • 단백질 접힘 - 글로빈
    글로빈은 글로빈 슈퍼패밀리에 속하는 단백질로, 8개의 α 나선으로 구성된 '글로빈 폴드'라는 3차원 구조를 가지며, 헤모글로빈, 미오글로빈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산소 운반, 저장, 센서 기능 등을 수행하며, 공통 조상으로부터 진화하여 M/F, S, T 세 가지 주요 계열로 나뉜다.
샤페로닌
일반 정보
세균 샤페로닌 GroEL의 구조
세균 샤페로닌 GroEL의 구조
심볼Cpn60_TCP1
이름TCP-1/cpn60 샤페로닌 패밀리
PfamPF00118
InterProIPR002423
SMART해당 없음
PrositePDOC00610
SCOP1grl
CATH5GW5
TCDB해당 없음
OPM 패밀리해당 없음
OPM 단백질해당 없음
PDB"K:23-525"
"Z:23-525"
"A:190-375"
"H:23-525"
"F:23-525"
"E:23-525"
"J:23-524"
"J:23-524"
"I:23-525"
"J:23-524"
"K:23-525"
"C:190-335"
"L:23-525"
"E:23-524"
"H:23-525"
"H:23-525"
"E:23-524"
" :190-375"
"F:23-525"
"B:23-524"
"A:190-375"
"A:190-335"
" :190-335"
"A:187-378"
"A:23-526"
"e:22-526"
"E:22-526"
"B:42-522"
"A:1-143"
"B:33-521"
"B:33-521"
"B:215-366"
" :214-364"
" :214-364"
"H:210-380"
"B:210-380"
CDDcd00309
설명
샤페로닌다른 단백질의 접힘과 펼쳐짐을 돕는 단백질의 한 종류
기능단백질이 올바르게 접히도록 돕고, 비정상적인 응집을 막음
관련 질병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루게릭병)
종류
주요 종류Hsp60
Hsp70
Hsp90
Hsp100

2. 구조

샤페로닌의 구조는 도넛 두 개가 서로 겹쳐져 통 모양을 이루는 것을 닮았다. 각 고리는 샤페로닌이 발견되는 유기체에 따라 7, 8 또는 9개의 서브유닛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약 60kDa 펩타이드 사슬은 정점, 중간, 적도 3개의 도메인으로 나눌 수 있다.[4]

원래의 샤페로닌은 페록시레독신에서 진화한 것으로 추정된다.[5]

3. 분류

3. 1. 그룹 I 샤페로닌 (GroEL/GroES 시스템)

GroES/GroEL 복합체 (측면)


그룹 I 샤페로닌(Cpn60)은 세균과 내공생 기원의 세포 소기관인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에서 발견된다.[6]

''대장균''의 GroEL/GroES 복합체는 그룹 I 샤페로닌이며, 가장 잘 연구된 대형 (~ 1 MDa) 샤페로닌 복합체이다. GroEL은 입구에 기름진 소수성 패치를 가진 이중 링 14량체이며, 크기가 15-60 kDa인 기질의 네이티브 폴딩을 수용할 수 있다. GroES는 ATP 또는 ATP 가수분해의 전이 상태 유사체(예: ADP-AlF3)가 있는 경우 GroEL에 결합하는 단일 링 7량체이며, GroEL을 덮는 덮개(상자/병)와 같다.

GroEL/GroES는 단백질 응집체를 되돌릴 수 없지만, 잘못된 폴딩 및 응집 경로에서 경쟁하여 응집체 형성을 방지한다.[6]

Cpn60 서브패밀리는 1988년에 발견되었고,[7] 1992년에 서열이 분석되었다. cpn10과 cpn60 올리고머는 기능적인 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해 Mg2+-ATP를 필요로 한다.[8] cpn10이 cpn60에 결합하면 cpn60의 약한 ATPase 활성이 억제된다.[9]

RuBisCO 서브유닛 결합 단백질은 이 패밀리의 구성원이다.[22] ''대장균'' GroEL의 결정 구조는 2.8 Å까지 해상되었다.[10]

일부 세균은 이 샤페로닌의 여러 사본을 사용하여, 아마도 서로 다른 펩타이드를 처리하는 데 사용한다.[4]

3. 2. 그룹 II 샤페로닌 (TRiC/열소체)



그룹 II 샤페로닌(TCP-1)은 진핵생물의 세포질과 고세균에서 발견되며, 특징이 덜 밝혀져 있다.

고세균의 복합체는 열소체라고 불린다. 일부 고세균에서 호모-16량체이며, 전형적인 II형 샤페로닌으로 간주된다. TRiC는 진핵생물 샤페로닌으로, 8개의 서로 다른 관련 소단위의 두 고리로 구성되며, 각 소단위는 8개로 구성된 고리당 한 번씩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TRiC는 원래 세포 골격 단백질인 액틴과 튜불린만 접는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현재는 수십 개의 기질을 접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ethanococcus maripaludis'' 샤페로닌(Mm cpn)은 16개의 동일한 소단위(고리당 8개)로 구성되어 있다. 미토콘드리아 단백질 로다네이스를 접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아직 자연 기질은 확인되지 않았다.[12]

그룹 II 샤페로닌은 기질을 접기 위해 GroES형 보조 인자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신 ATP 의존적 방식으로 닫혀 기질을 캡슐화하는 "내장형" 뚜껑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최적의 단백질 접힘 활성에 필요하다. 또한 기질을 안으로 이동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보조 샤페론인 프리폴딘과 상호 작용한다.[3]

3. 3. 기타 샤페로닌 계열

Group III에는 Group II와 관련된 일부 세균성 Cpn이 포함된다. 이들은 뚜껑을 가지고 있지만 뚜껑 열림은 협력적이지 않다. 이들은 Group II의 고대 친척으로 여겨진다.[3][4] 파지 EL에서 유래한 Group I 샤페로닌 gp146은 뚜껑을 사용하지 않으며, 도넛 인터페이스는 Group II와 더 유사하다. 이는 샤페로닌의 또 다른 고대 유형을 나타낼 수 있다.[13]

4. 작동 메커니즘

샤페로닌은 ATP의 효소적 가수분해, 기질 단백질 및 GroES와 같은 코샤페로닌의 결합에 따라 폴딩 반응 동안 큰 형태 변화를 겪는다. 이러한 형태 변화를 통해 샤페로닌은 펼쳐지거나 잘못 접힌 단백질을 결합하고, 두 고리에서 형성된 공동 중 하나 내에 해당 단백질을 캡슐화한 다음, 용액으로 다시 방출할 수 있다. 방출되면 기질 단백질은 접히거나 추가 폴딩 라운드가 필요하며, 이 경우 샤페로닌에 다시 결합될 수 있다.[14]

샤페로닌이 기질 단백질의 폴딩을 촉진하는 정확한 메커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다. 샤페로닌 작용에 대한 여러 모델이 제안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샤페로닌 내부의 두 가지 역할(상호 배타적이지 않음)에 중점을 둔다. 수동적 모델은 샤페로닌 케이지를 불활성 형태로 취급하여 단백질 기질에 접근 가능한 형태 공간을 줄이거나 응집 방지와 같은 분자간 상호 작용을 방지함으로써 영향을 미친다.[15] 활성 샤페로닌 역할은 샤페로닌의 형태 재배열에 결합될 수 있는 특정 샤페로닌–기질 상호 작용과 관련된다.[16][17][18]

샤페로닌의 활성 역할에 대한 가장 인기 있는 모델은 반복 어닐링 메커니즘(IAM)으로, 단백질 기질이 샤페로닌에 반복적이고 소수성인 결합의 효과에 초점을 맞춘다. 계산 시뮬레이션 연구에 따르면 IAM은 잘못 접힌 형태에서 기질을 펼치거나[18], 폴딩 경로를 변경하여 단백질의 잘못된 폴딩을 방지함으로써[16] 보다 생산적인 폴딩을 유도한다.

5. 구조 및 기능 상동성 보존

앞서 언급했듯이, 모든 세포는 샤페로닌을 가지고 있다.


  • 세균에서 전형적인 것은 잘 알려진 ''대장균''의 샤페로닌 GroEL이다.
  • 고세균에서 샤페로닌은 열소체라고 불린다.
  • 진핵생물에서 세포질 샤페로닌은 CCT(또는 TRiC)라고 불린다.


이러한 단백질 복합체는 ''대장균'',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 및 고등 진핵생물에서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것으로 보인다. 진핵생물, 세균 및 고세균 샤페로닌 간에는 차이점이 있지만, 일반적인 구조와 메커니즘은 보존되어 있다.

박테리오파지 T4의 유전자 산물 31(gp31)은 박테리오파지 형태 형성에 필요한 단백질로, 박테리오파지 구조에 통합되기보다는 촉매적으로 작용한다.[19] 세균 ''대장균''(E. coli)은 박테리오파지 T4의 숙주이다. 박테리오파지에서 암호화된 gp31 단백질은 ''대장균''의 공동 샤페로닌 단백질 GroES와 상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이며, 감염 과정에서 파지 T4 비리온의 조립에서 이를 대체할 수 있다.[20] GroES와 마찬가지로, gp31은 GroEL 샤페로닌과 안정적인 복합체를 형성한다.[2] gp31은 더 긴 루프를 가지고 있어 더 높은 용기를 만들기 때문에, gp23 단백질이 기존의 GroES 케이지에 맞지 않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21]

5. 1. 박테리오파지 T4 형태 형성

박테리오파지 T4의 유전자 산물 31(gp31)은 박테리오파지 형태 형성에 필요한 단백질로, 박테리오파지 구조에 통합되기보다는 촉매적으로 작용한다.[19] 세균 ''대장균''(E. coli)은 박테리오파지 T4의 숙주이다. 박테리오파지에서 암호화된 gp31 단백질은 ''대장균''의 공동 샤페로닌 단백질 GroES와 상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이며, 감염 과정에서 파지 T4 비리온의 조립에서 이를 대체할 수 있다.[20] GroES와 마찬가지로, gp31은 GroEL 샤페로닌과 안정적인 복합체를 형성한다.[2] gp31은 더 긴 루프를 가지고 있어 더 높은 용기를 만들기 때문에, gp23 단백질이 기존의 GroES 케이지에 맞지 않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21]

6. 임상적 의의

인간 GroEL은 재향군인병 환자들의 면역 우성 항원이며,[22] 대식세포 내에서 레지오넬라 박테리아를 산소 라디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가설은 cpn60 유전자가 산소 라디칼의 공급원인 과산화 수소에 반응하여 상향 조절된다는 발견에 근거한다. Cpn60은 또한 많은 세균 종에서 강력한 항원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으며,[23] 관련 없는 세균 감염에 대한 면역 보호를 유도할 가능성이 있다.

참조

[1] 논문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bacterial chaperonin GroEL at 2.8 A 1994-10
[2] 웹사이트 Howard Hughes Investigators: Arthur L. Horwich, M.D. http://www.hhmi.org/[...] 2011-09-12
[3] 논문 Bridging human chaperonopathies and microbial chaperonins 2019-03-15
[4] 논문 A Glimpse In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typical Type I Chaperonins 2018
[5] 논문 The structure and evolution of eukaryotic chaperonin-containing TCP-1 and its mechanism that folds actin into a protein spring. 2018-10-05
[6] 논문 Chaperonin-mediated protein folding: fate of substrate polypeptide 2003-05
[7] 논문 Homologous plant and bacterial proteins chaperone oligomeric protein assembly 1988-05
[8] 논문 cDNA clones encoding Arabidopsis thaliana and Zea mays mitochondrial chaperonin HSP60 and gene expression during seed germination and heat shock 1992-03
[9] 논문 Cloning, sequencing, mapping, and transcriptional analysis of the groESL operon from Bacillus subtilis 1992-06
[10] 논문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bacterial chaperonin GroEL at 2.8 A 1994-10
[11] 논문 Staggered ATP binding mechanism of eukaryotic chaperonin TRiC (CCT) revealed through high-resolution cryo-EM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16-12
[12] 논문 Nucleotide-dependent protein folding in the type II chaperonin from the mesophilic archaeon Methanococcus maripaludis 2003-05
[13] 논문 Structure and conformational cycle of a bacteriophage-encoded chaperonin 2020-04-27
[14] 논문 Converging concepts of protein folding in vitro and in vivo 2009-06
[15] 논문 Chaperonin chamber accelerates protein folding through passive action of preventing aggregation 2008-11
[16] 논문 Simulation of chaperonin effect on protein folding: a shift from nucleation-condensation to framework mechanism 2011-07
[17] 논문 Chaperonin-catalyzed rescue of kinetically trapped states in protein folding 2010-07
[18] 논문 Chaperonin-facilitated protein folding: optimization of rate and yield by an iterative annealing mechanism 1996-04
[19] 논문 Dominance interactions in Escherichia coli cells mixedly infected with bacteriophage T4D wild-type and amber mutants and their possible implications as to type of gene-product function: catalytic vs. stoichiometric 1968-08
[20] 논문 Chaperones in bacteriophage T4 assembly. http://www.protein.b[...] 1998-04
[21] 논문 The Hsp70 and Hsp60 chaperone machines 1998-02
[22] 논문 Sequence analysis of the Legionella micdadei groELS operon 1991-01
[23] 논문 Cloning and nucleotide sequence of the Brucella abortus groE operon 199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