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은 백제 후기에 조성된 마애불상으로,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에 위치하며 국보 제84호로 지정되었다. 중앙의 여래 입상, 오른쪽의 보살 입상, 왼쪽의 반가사유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백제 불상의 특징인 고졸한 미소를 보여준다. 이 삼존상은 《법화경》의 수기삼존불을 표현하며, 6세기 말에서 7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1959년 홍사준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백제 불상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제의 불상 - 백제관음상
    7세기 초 백제에서 제작되어 일본으로 건너간 것으로 추정되는 백제관음상은 녹나무로 만들어졌으며 가늘고 긴 신체와 섬세한 조각이 특징으로, 현재 일본 호류지에 소장되어 있다.
  • 백제의 불상 - 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
    정읍 보화리 석조이불입상은 전라북도 정읍시에 있는 백제 시대 석불입상 2구로, 큰 불상은 백제 불상의 특징을 보이며, 작은 불상은 미소를 띠고 있어 정읍 지역의 유일한 백제 시대 불상으로 평가받는다.
  • 서산시의 문화유산 - 서산 휴암리 선사유적지
    서산 휴암리 선사유적지는 충청남도 서산시 휴암리에서 발견된 신석기시대 유적으로, 11개의 움집 터와 볍씨가 붙어 있는 민무늬토기를 통해 당시 벼농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는 '휴암리형 집터'가 특징이다.
  • 서산시의 문화유산 - 서산 보원사지
    서산 보원사지는 충청남도 서산시에 위치했던 사찰 터로, 827년에 처음 존재가 확인되었으며 고려 시대에는 법인국사가 입적하고 조선 시대에 쇠퇴하여 현재 석조, 당간지주 등 다양한 문화재가 남아 있다.
  • 충청남도의 국보 - 난중일기
    《난중일기》는 이순신이 임진왜란 중 군중에서 직접 쓴 친필 일기로, 전쟁 상황과 개인적인 소회, 사회상 등이 기록된 7권의 일기이며 국보 제76호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다.
  • 충청남도의 국보 - 무령왕릉 지석
    무령왕릉 지석은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2매의 매지권으로, 왕과 왕비의 생년월일, 사망일, 장례 날짜 등이 기록되어 있어 무덤의 주인을 확인하고 당시 백제인들의 매장 풍습과 사후 세계관, 백제와 중국 남조의 문화 교류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명칭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로마자 표기Seosan Yonghyeolli Maaeyeorae Samjonsang
위치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2-10번지
상세 정보
지정 번호국보 제84호
지정일1962년 12월 20일
시대백제
소유국유
수량3구
참고 자료
문화재청문화재청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2. 특징

백제 후기 중국고구려와의 해상 교통을 통해 불교 문물을 받아들이던 주요 지역이었던 서산에 위치한 서산 마애삼존불상은, 중앙에 여래 입상을 크게 새기고, 여래의 오른쪽에 보살 입상, 왼쪽에 반가사유형 보살좌상을 배치한 형태이다.[2] 삼존불에 나타나는 소박하면서도 은은한 미소는 백제 불상의 특징적인 모습으로 꼽힌다.[2]

이 삼존상은 《법화경》에 나오는 수기삼존불(授記三尊佛), 즉 석가불,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을 나타낸 것으로, 법화경 사상이 백제 사회에 널리 퍼져 있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3] 또한 조선시대 사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응진전 수기삼존불의 기원이 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4]

서산 마애삼존불과 태안 마애삼존불은 깊은 산의 암벽에 새겨져 있으며, 근처에 작은 암자를 지어 수행하던 공간으로, 한국 석굴 사원(石窟寺院) 조성의 초기 형태를 보여준다.[2]

2. 1. 본존 여래입상

소발(素髮, 장식 없는 민머리)에 낮은 육계(肉髻, 정수리가 불룩 솟아오른 것, 부처의 몸에 갖추어져 있는 팔십수형호의 하나)를 갖추었으며, 백호(白毫, 부처의 두 눈썹 사이에 있는 희고 빛나는 터럭) 구멍이 있다. 직사각형에 가까운 얼굴에 눈썹은 초생달 모양, 눈은 은행 씨 모양이고, 코는 얇고 넓으며, 입가에 살짝 미소를 띠었다. 두광은 머리 바로 위에는 연화문을 두었고, 그 바깥에 원권문을 돌리고, 가장 바깥에 화염문을 장식했다. 거기에 화불(化佛, 작은 부처상) 3구를 새겼다. 목에는 삼도가 없고, 수인은 시무외여원인을 하고 있다. 법의는 통견(양쪽 어깨를 모두 덮음)이고 가슴에 옷의 띠 매듭이 있고, 옷주름은 U자형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며 무릎 아래까지 드리웠다. 발가락이 정면으로 드러나있고, 발 밑에는 단판의 복련이 조각되어 있다. 살찐 얼굴에, "살구 씨앗과 같은" 눈, 얕고 큰 코와 미소를 짓는 입을 가지고 있는 본존 여래입상은 백제 시대 조각상의 특징인 자비로운 인상을 보여준다. 두꺼운 옷 때문에 윤곽이 드러나지 않고 U자형 주름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머리 뒤쪽의 둥근 광배는 중앙에 연꽃이 새겨져 있고 가장자리에 불꽃 무늬가 있다.

2. 2. 좌협시 보살 입상 (제화갈라보살)

조각의 왼쪽에 있는 보살 입상은 관을 쓰고 있다. 본존불의 모습처럼 통통한 얼굴을 하고 있으며 온 얼굴로 미소짓는 듯하다. 상체는 목걸이로 장식되어 있고, 하체는 발목까지 내려오는 치마로 덮여 있다.[1]

2. 3. 우협시 반가사유상 (미륵보살)

오른쪽의 반가사유상은 둥글고 살이 많은 얼굴로, 온 얼굴에 미소를 짓고 있다. 두 팔은 심하게 훼손되었지만, 왼쪽 손으로 오른쪽 발목을 잡고 턱을 오른손에 괸 정교한 조각 기술을 보여준다.[1]

이 불상은 법화경에 나오는 미륵보살을 표현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존불상에서 나타나는 육중하고 위엄 있는 체구, 둥글고 깨끗한 조각, 보살상의 세련된 조형 감각, 그리고 이미지의 생동감 등으로 미루어 6세기 말에서 7세기 초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1]

3. 도상 및 양식

백제 후기에 중국고구려와의 해상 교통을 통한 불교 문물 수용의 요지였던 서산에 있는 서산 마애삼존불상은 중앙에 여래 입상의 거구(巨軀)를 양각(陽刻)하고 여래의 오른쪽에 보살 입상을, 왼쪽에 반가사유형 보살좌상을 배치하였다.[2] 삼존에 나타난 고졸(古拙)한 미소는 백제 불상의 특이상(特異相)으로 지적된다.[2]

이 삼존상은 《법화경》의 수기삼존불(授記三尊佛), 즉 석가불 '''·''' 미륵보살 '''·''' 제화갈라보살로, 《법화경》 사상이 백제 사회에 유행하였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유물이다.[3] 또한 조선시대 사원에 흔히 건립된 응진전 수기삼존불의 원조로서 의의가 있다.[4]

서산 마애석불과 태안 마애석불의 두 마애석불은 깊은 산의 암벽을 택하여 조형되었으며, 부근에 소암(小庵)을 경영하고 있어서 한국 석굴 사원(石窟寺院) 조영(造營)의 시원적 형태를 보인다.[2]

소발(素髮, 장식 없는 민머리)에 낮은 육계(肉髻, 정수리가 불룩 솟아오른 것, 부처의 몸에 갖추어져 있는 팔십수형호의 하나)를 갖추었으며, 백호(白毫, 부처의 두 눈썹 사이에 있는 희고 빛나는 터럭) 구멍이 있다. 직사각형에 가까운 얼굴에 눈썹은 초생달 모양, 눈은 은행 씨 모양이고, 코는 얇고 넓으며, 입가에 살짝 미소를 띠었다. 두광은 머리 바로 위에는 연화문을 두었고, 그 바깥에 원권문을 돌리고, 가장 바깥에 화염문을 장식했다. 거기에 화불(化佛, 작은 부처상) 3구를 새겼다. 목에는 삼도가 없고, 수인은 시무외여원인을 하고 있다. 법의는 통견(양쪽 어깨를 모두 덮음)이고 가슴에 옷의 띠 매듭이 있고, 옷주름은 U자형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며 무릎 아래까지 드리웠다. 발가락이 정면으로 드러나있고, 발 밑에는 단판의 복련이 조각되어 있다.

4. 역사적 의의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은 백제 후기에 중국고구려와의 해상 교통을 통한 불교 문물 수용의 요지였던 서산에 위치한다. 중앙에 여래 입상, 오른쪽에 보살 입상, 왼쪽에 반가사유형 보살좌상을 배치한 삼존불로, 고졸한 미소는 백제 불상의 특징이다.[2]

이 삼존상은 《법화경》의 수기삼존불, 즉 석가불(석가모니) '''·''' 미륵보살 '''·''' 제화갈라보살을 나타내며, 법화경 사상이 백제 사회에 유행했음을 보여주는 유물이다.[3] 또한 조선시대 사원에 흔히 건립된 응진전 수기삼존불의 원조로서 의의가 있다.[4]

서산 마애석불과 태안 마애불은 깊은 산 암벽에 조형되었고, 부근에 작은 암자를 두어 한국 석굴 사원 조영의 시원적 형태를 보인다.[2]

1959년 4월 홍사준이 보원사지 유물조사 중 발견하여 국보로 지정되었다. 용현계곡 인바위에 새겨져 있어, 인근 사람들은 마애불 존재를 알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서산 마애불 발견으로 백제 불상의 진면목이 밝혀졌고, 금동미륵반가상, 일본 고류지 목조반가사유상, 호류지 백제관음 등 백제계 불상과의 관련성이 드러났다.[5]

이 지역은 태안반도를 통과하는 길목으로, 중국, 백제, 부여를 오가는 교통의 중심지였다. 따라서 이 조각상은 중국과 백제 사이의 활발한 문화 교류를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5. 현황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은 국보 제84호로, 마애불(동산)로 분류된다.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2-1에 있으며, 백제 말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현황
분류국보 제84호
종별마애불(동산)
소재지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2-1
시대백제 말기


참조

[1] 간행물 문화재청고시제2010-89호(국가지정문화재 보물지정) http://gwanbo.mois.g[...] 관보(정호) 2010-08-25
[2] 백과사전 한국사 > 고대사회의 발전 > 삼국의 성립과 발전 > 고대문화의 발전 > 서산마애석불
[3] 백과사전 사회 I·문화재 > 문 화 재 > 중요 문화재 > 충청남도 > 서산 마애삼존불상
[4] 서적 마애불 대원사 2003-01-30
[5] 서적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